맨위로가기

울티마 VI: 거짓 선지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티마 VI: 거짓 선지자는 1990년에 출시된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으로, 로드 브리티쉬가 권력을 되찾은 후 가고일의 침략으로부터 브리타니아를 구하는 아바타의 이야기를 다룬다. 게임은 단일 스케일 맵을 도입하여 이전 시리즈와 차별화되었으며, VGA 그래픽과 마우스 지원으로 PC 환경을 강화했다. 개발 과정에서 애플 II 버전은 출시되지 않았으며, 중국 출신 프로그래머가 NPC 대화를 개선하기 위해 자체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했다. 비평가들은 스토리, 그래픽, NPC 대화 등을 칭찬했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게임플레이 변화에 대해서는 복합적인 평가를 내렸다. 1990년 말까지 미국 내에서 10만 장 미만의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이후 팬 메이드 리메이크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리진 시스템스 게임 - 울티마 III: 엑소더스
    《울티마 III: 엑소더스》는 리처드 개리엇이 제작하고 소사리아를 배경으로 악당 엑소더스를 물리치는 퀘스트를 다루는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으로, 4인 파티 시스템, 3D 던전, 턴 기반 전투 시스템 등의 특징을 갖춘 울티마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이다.
  • 오리진 시스템스 게임 - 울티마 I: 제1차 암흑기
    울티마 I: 제1차 암흑기는 1981년에 출시된 리처드 개리엇의 롤플레잉 게임으로, 사악한 마법사 몬데인에 맞서 싸우기 위해 4명의 영주에게 보석을 얻고 타임머신을 찾아 불멸의 보석을 파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울티마 - 울티마 III: 엑소더스
    《울티마 III: 엑소더스》는 리처드 개리엇이 제작하고 소사리아를 배경으로 악당 엑소더스를 물리치는 퀘스트를 다루는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으로, 4인 파티 시스템, 3D 던전, 턴 기반 전투 시스템 등의 특징을 갖춘 울티마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이다.
  • 울티마 - 울티마 I: 제1차 암흑기
    울티마 I: 제1차 암흑기는 1981년에 출시된 리처드 개리엇의 롤플레잉 게임으로, 사악한 마법사 몬데인에 맞서 싸우기 위해 4명의 영주에게 보석을 얻고 타임머신을 찾아 불멸의 보석을 파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990년 비디오 게임 - 건 프론티어
    건 프론티어는 우주 서부극을 배경으로 리볼버 모양의 전투기를 조종하여 우주 해적에게 잡힌 생존자를 구출하는 수직 스크롤 슈팅 게임이다.
  • 1990년 비디오 게임 - 사가 2: 비보전설
    스퀘어가 1990년 게임보이로 발매한 롤플레잉 게임 《사가 2: 비보전설》은 과학 판타지 세계관을 배경으로 4인 파티가 실종된 아버지를 찾는 모험을 떠나는 게임으로, 전작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여 게임성을 높였으며 2009년 닌텐도 DS로 리메이크되었다.
울티마 VI: 거짓 선지자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울티마 VI: 거짓 예언자
원제목Ultima VI: The False Prophet
시리즈울티마
개발
개발사오리진 시스템스
유통
배급사오리진 시스템스
제작
프로듀서리처드 개리엇
워렌 스펙터
디자이너리처드 개리엇
엔진
출시
MS-DOS1990년 6월 1일
장르 및 모드
장르롤플레잉
모드일인용
플랫폼
플랫폼MS-DOS
아미가
아타리 ST
코모도어 64
FM 타운즈
PC-9801
슈퍼 패미컴
샤프 X68000

2. 줄거리

''울티마 VI'' (MS-DOS)의 주요 오버헤드 뷰. 아바타와 일행이 게임 시작 부분에서 가고일과 싸우고 있다.


로드 브리티쉬가 권력을 되찾은 지 몇 년 후, 아바타는 붉은 악마 같은 모습의 가고일에게 붙잡혀 제단 위에서 희생될 위기에 처한다. 이때 아바타의 동료들이 나타나 그를 구출하고, 가고일 사제가 가지고 있던 성스러운 문서를 빼앗는다.

아바타 일행은 문게이트를 통해 로드 브리티쉬의 성으로 피신하지만, 가고일 세 마리가 뒤따라온다. 게임은 플레이어가 로드 브리티쉬의 왕좌 앞에서 이 가고일들과 싸우는 것으로 시작된다. 전투 후, 아바타는 브리타니아의 미덕 사당들이 가고일에게 점령당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침략자들로부터 브리타니아를 구하기 위한 여정을 시작한다.

게임 후반부에 이르러, 아바타는 가고일의 관점에서 보면 상황이 매우 다르게 보인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가고일에게도 그들만의 미덕 체계가 있었던 것이다.[2] 이로 인해 가고일을 상대로 승리하기 위한 퀘스트는 점차 그들과 평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전환된다.

2. 1. 등장인물


  • 아바타: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주인공으로, 브리타니아의 영웅이다. 게임 시작 시 가고일에게 붙잡혀 제단에 묶여 희생될 위기에 처하지만, 동료들의 도움으로 구출된다. 이후 가고일에게 점령당한 미덕의 사당을 되찾고 브리타니아를 구하기 위한 여정을 시작한다. 게임 후반에는 가고일의 입장을 이해하게 되면서, 그들과의 전쟁 대신 평화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삼게 된다.
  • 로드 브리티쉬: 브리타니아의 통치자이자 아바타의 조력자이다. 아바타와 동료들이 가고일로부터 도망쳐 그의 성으로 피신하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 가고일: 브리타니아를 침략한 붉은 악마 같은 외형의 종족이다. 처음에는 아바타를 제물로 삼으려 하고 미덕의 사당을 점령하는 등 적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게임을 진행하면서 그들만의 고유한 미덕 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2]
  • 듀프레, 샤미노, 이올로: 아바타의 오랜 동료들이다. 가고일에게 붙잡힌 아바타를 구출하고, 문게이트를 통해 함께 로드 브리티쉬의 성으로 도망치는 등 아바타의 모험 전반을 돕는다.

3. 게임플레이

이 게임은 이전 시리즈에서 사용하던 여러 축척(스케일) 방식을 폐지하고 단일 축척 맵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전 게임들에서는 마을, 성, 던전 등이 월드 맵에서 하나의 기호로 표시되다가 해당 장소에 진입하면 별도의 하위 맵으로 확장되는 방식이었으나, ''울티마 VI''에서는 게임 전체가 하나의 축척을 사용하며, 마을이나 다른 장소들이 메인 맵에 자연스럽게 통합되었다. 던전 역시 ''울티마 I''부터 ''V''까지 사용되었던 1인칭 시점 대신, 게임의 다른 부분들과 동일하게 위에서 내려다보는 사선 시점으로 표현된다. 게임의 기본적인 타일 시스템과 화면 구성은 이전 작품들과 유사하지만, 새로 출시된 VGA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훨씬 다채롭고 상세한 그래픽을 보여주었다. 특히 PC 버전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졌다. NPC와 대화할 때는 각 인물의 초상화가 표시되어 몰입감을 높였는데, 이는 이전 세대의 애플 II와 같은 8비트 컴퓨터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기능이다.

''울티마'' 시리즈는 본래 애플 II 플랫폼에서 개발이 시작되었고 이전까지 모든 시리즈가 해당 플랫폼을 중심으로 개발되었지만, 1990년경 미국 내 8비트 컴퓨터 시장이 위축됨에 따라 ''울티마 VI''는 처음으로 애플 II 버전이 출시되지 않았다. 게임 자체가 8비트 하드웨어의 성능을 넘어서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오리진 시스템은 애플 II 이식을 시도했으나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 강력한 16비트 애플 IIGS용 이식도 계획되었고 개발이 시작되었다는 소문도 있었지만, 결국 출시되지 못했다(게임 패키지와 매뉴얼에는 해당 기기가 언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코모도어 64로는 이식되었으나, 그래픽(초상화 부재 등)뿐만 아니라 게임플레이 측면에서도 상당한 요소(말 미등장, 보석 기능 미작동, NPC 대화 축소, 퀘스트 단순화 등)가 제거되어야 했다.[3]

게임플레이에는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었는데, 이는 오리진 시스템이 1988년에 출시한 액션 롤플레잉 게임 ''Times of Lore''[4][5]와 FTL 게임의 1987년 RPG ''던전 마스터''[6]의 영향을 받았다. 대표적인 변화는 세계 디자인으로, 더 이상 오버월드 맵에 마을이나 성이 아이콘으로 표시되지 않고, 던전과 일부 작은 야외 맵을 제외한 게임 세계 전체가 동일한 1024x1024 크기의 타일 맵 위에 표현되었다. 땅 아래의 동굴이나 던전 역시 1인칭 시점이 아닌, 게임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오버헤드 사선 투영 시점으로 바뀌었다.[4][5] 또한, 몇 가지 실시간 요소가 게임에 통합되었다.[5] 리처드 개리엇은 ''Times of Lore''의 영향을 받아 아이콘 기반의 새로운 포인트 앤 클릭 인터페이스를 도입하여, 게임 명령 체계를 10개의 아이콘으로 간소화했다.[4] 개리엇은 이 방식이 "이전 게임들에 대한 명백한 해답"이었다고 회고하며, 더 일찍 이 방식을 떠올리지 못한 것을 아쉬워했다.[7]

캐릭터 이동과 전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루틴은 당시 25세의 보스턴 출신 프로그래머 허먼 밀러가 개발했으며, 그는 이전에 ''울티마 V''와 ''Times of Lore''의 IBM 버전 변환 작업을 담당했었다. 플레이어가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는 핵심 수단인 대화 시스템은 당시 26세의 중국 출신 프로그래머 셰릴 첸이 개발했다. 그녀는 이 게임을 위해 UCS(''울티마 VI'' 대화 시스템)라는 자체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들기도 했다.[4] 이 새로운 시스템 덕분에 이전 ''울티마'' 게임들과 달리 마을 사람들과의 대화 길이에 제한이 없어졌다.[4]

''울티마 VI''는 주요 게이밍 컴퓨터가 여전히 아미가였던 시기에, VGA 그래픽과 마우스를 갖춘 PC 시스템을 직접적으로 겨냥한 초기 주요 PC 게임 중 하나였다. 또한 출시 당시에는 흔치 않았던 음악용 사운드 카드를 지원했다. 다만 칼 부딪히는 소리, 마법 효과음, 폭발음 등 다른 음향 효과는 여전히 PC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었다. 아미가 버전은 PC 버전을 이식한 것이었으나, 최적화 부족으로 매우 느렸고, 1세대 또는 2세대 아미가에서는 가속기 카드 없이는 플레이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후지쯔FM 타운즈 플랫폼으로도 이식되었는데, 이는 주로 일본 시장을 겨냥한 것이었다.[8] 이 CD-ROM 기반 버전은 영어일본어로 된 전체 음성 더빙을 포함하는 특징을 가졌다. 음성 녹음은 오리진 시스템 내부에서 마틴 갤웨이의 지휘 아래 이루어졌으며, 리처드 개리엇(로드 브리티쉬 역), 그렉 다이크스(듀프레 역), 척 부케(척클스 역) 등 캐릭터의 모델이 된 직원들이 직접 참여한 경우가 많았다. 다만 녹음 당시 자리에 없던 일부 직원을 대신해 다른 성우가 참여하기도 했다.

4. 개발

''울티마'' 시리즈는 전통적으로 애플 II 플랫폼에서 시작되고 개발되었으나, 1990년 미국 내 8비트 컴퓨터 시장이 사실상 붕괴하면서 ''울티마 VI''는 시리즈 최초로 애플 II 버전이 출시되지 않았다. 이미 게임의 요구 사양이 8비트 하드웨어의 성능을 넘어서고 있었기 때문이다. 오리진 시스템즈는 애플 II로의 이식을 시도했으나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 강력한 16비트 애플 IIGS로의 이식도 계획되었고 개발이 시작되었다는 소문도 있었지만, 결국 출시되지 못했다(게임 패키지와 매뉴얼에는 해당 기기가 언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게임은 코모도어 64로도 이식되었지만, 그래픽(NPC 초상화 부재)뿐만 아니라 게임 플레이(말 미등장, 보석 기능 미작동, NPC 대화 축소, 퀘스트 단순화 등) 측면에서도 상당한 요소가 제거되어야 했다.[3]

''울티마 VI''는 이전 시리즈와 구별되는 몇 가지 중요한 기술 및 디자인 변화를 도입했다. 이전 게임들에서 사용되던 여러 축척 방식(월드 맵의 기호가 마을이나 던전 진입 시 하위 맵으로 확장되는 방식)을 버리고, 전체 게임 월드를 단일 축척으로 구현했다. 마을과 기타 장소들이 메인 맵에 자연스럽게 통합되었으며, 던전 역시 이전의 1인칭 시점이 아닌, 게임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사선 시점(오버헤드 등각 투영 뷰)으로 표현되었다.[4][5] 이러한 변화는 오리진 시스템즈가 1988년에 출시한 액션 롤플레잉 게임인 크리스 로버츠의 ''Times of Lore''[4][5]와 FTL 게임의 1987년 RPG ''던전 마스터''[6]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래픽 면에서는 이전 시리즈의 타일 시스템과 화면 레이아웃을 유지하면서도, 당시 새로 출시된 VGA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훨씬 다채롭고 상세한 그래픽을 선보였다. PC 환경에 맞춰 개발되면서 NPC와 대화할 때 초상화가 표시되는 기능도 추가되었는데, 이는 고전적인 8비트 애플 II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게임의 인터페이스 역시 크게 변경되었다. ''Times of Lore''의 영향을 받아 아이콘 기반의 포인트 앤 클릭 인터페이스가 도입되었고, 명령어 체계가 10개의 아이콘으로 간소화되었다.[4] 리처드 개리엇은 이 방식이 "이전 게임들에 비해 명백히 더 나은 방법"이었다고 회고하며, 왜 더 일찍 이 방식을 생각하지 못했는지 아쉬워했다고 한다.[7] 또한 게임에는 약간의 실시간 요소가 통합되었다.[5]

핵심 시스템 개발에는 젊은 프로그래머들이 기여했다. 이동과 전투 관련 소프트웨어 루틴은 당시 25세였던 보스턴 출신 프로그래머 허먼 밀러가 개발했다. 그는 이전에 ''울티마 V''와 ''Times of Lore''의 IBM 버전 변환 작업을 맡은 경험이 있었다. 플레이어와 캐릭터 간의 상호작용을 담당하는 대화 시스템은 당시 26세였던 중국 출신 프로그래머 셰릴 첸이 개발했다. 그녀는 이 게임을 위해 'UCS'(''울티마 VI'' 대화 시스템)라는 자체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들었으며, 덕분에 이전 ''울티마'' 게임들과 달리 NPC와의 대화 길이에 제한이 없어졌다.[4]

''울티마 VI''는 당시 주요 게이밍 컴퓨터가 여전히 아미가였던 시기에, VGA 그래픽 카드와 마우스를 갖춘 PC 시스템을 주요 타겟으로 삼은 최초의 대작 게임 중 하나였다. 또한 출시 당시 흔치 않았던 사운드 카드를 지원하여 음악을 재생했다. 다만 칼 부딪히는 소리, 마법 효과음, 폭발음 등 다른 음향 효과는 여전히 PC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었다. 아미가 버전은 PC 버전을 이식한 것이었는데, 최적화가 부족하여 매우 느렸고, 가속 카드가 없는 1세대 또는 2세대 아미가에서는 플레이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후지쯔FM 타운즈 플랫폼으로는 주로 일본 시장을 겨냥한 이식 버전이 제작되었다.[8] 이 CD-ROM 기반 버전은 영어일본어로 된 전체 음성 더빙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음성 녹음은 오리진 시스템즈 내부에서 마틴 갤웨이의 지휘 하에 이루어졌으며, 리처드 개리엇(로드 브리티쉬 역), 그렉 다이크스(듀프레 역), 척 부케(척클스 역) 등 자신의 캐릭터 모델이 된 직원들이 직접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다만 녹음 당시 모든 직원이 참여할 수는 없었기에 일부 역할은 대체 성우가 투입되었다.

게임 패키지에는 브리타니아 천 지도와 검은색 유리 조각으로 만든 문스톤이 동봉되었다. 약간 개선된 형태의 ''울티마 VI'' 엔진은 이후 ''월드 오브 울티마'' 스핀오프 시리즈 개발에도 사용되었다.

오리진 시스템즈는 일반 소매 버전과 동일한 69.95USD 가격으로 우편 주문을 통해 ''울티마 VI''의 디럭스 에디션을 판매하기도 했다. 이 에디션에는 로드 브리티쉬의 서명, 그와의 오디오 인터뷰, 게임 힌트, 더 높은 품질의 문스톤 등이 포함되었다.[9]

DOS 버전의 ''울티마 VI''는 최신 컴퓨터와 운영체제에서 실행할 경우 사운드나 속도 관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DOSBox와 같은 에뮬레이션 환경을 사용하면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Nuvie[10]와 xU4[11] 등 여러 오픈 소스 리메이크 프로젝트가 존재하며, 이들은 Exult(울티마 VII 엔진 리메이크)와 유사하게 ''울티마 VI'' 엔진을 현대적인 시스템에서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5. 반응

1990년 말까지 미국 내 집계 판매량은 10만 장 미만이었다.[13]

게임 평론가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래픽, 게임플레이의 변화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예를 들어, 단일 축척 지도 도입으로 이동 시간이 늘어난 점이나 특정 상황에서의 성능 저하 등이 지적되었다.[14] 하지만 두 번째 3부작을 잘 마무리하는 탄탄한 스토리, 의미 없는 야외 전투의 배제, 개선된 NPC와의 상호작용 등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4] 특히 게임이 다루는 편견과 차별이라는 주제는 많은 평론가로부터 호평을 받았다.[23]

주요 게임 잡지인 ''컴퓨터 게이밍 월드''는 이 게임을 "매우 훌륭한 게임"이라고 평가하며[14] 1990년 '올해의 롤플레잉 게임' 후보로 지명했고,[21] 이후에는 잡지의 명예의 전당에 헌액했다.[22] ''드래곤''은 MS-DOS 버전에 높은 점수를 주었으며,[16] ''스트래티지 플러스''는 1990년 최고의 롤플레잉 게임으로 선정하기도 했다.[18]

5. 1. 수상 및 평가

1990년 말까지 미국 내 집계 판매량은 10만 장 미만이었다.[13]

1990년 ''컴퓨터 게이밍 월드''의 스코피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래픽, 게임플레이의 변화에 대해 "어떤 심오하고 복합적인 감정을 느꼈다"고 평가했다. 그는 세계가 단일 축척으로 변경되면서 이동과 탐험 시간이 크게 늘어난 점, 긴 퀘스트의 보상이 적은 점, 화면에 많은 캐릭터가 등장할 때 성능이 느려지는 점 등을 지적했다. 하지만 두 번째 3부작을 우아하게 마무리하는 "견고한" 스토리, 의미 없는 야외 전투의 부재, 개선된 NPC 대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울티마 VI''를 "매우 훌륭한 게임"이라고 결론지었다.[14] 1993년에 스코피아는 게임의 중반부 진행과 해적 지도를 찾는 과정을 비판하면서도 "분명히 시간을 할애할 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15]

''드래곤''은 MS-DOS 버전에 대해 5점 만점에 5점의 높은 점수를 주었으나,[16] 슈퍼 NES 버전에는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했다.[17]

''스트래티지 플러스'' (현 ''컴퓨터 게임스 매거진'')의 편집자들은 ''울티마 VI''를 1990년 최고의 롤플레잉 게임으로 선정했다.[18] 그러나 편집장 브라이언 워커는 당시 롤플레잉 장르가 펜과 종이 시스템을 지나치게 답습하며 정체되어 있다고 지적하며, "만약 어떤 장르가 변화가 필요하다면, 분명 이 장르일 것"이라고 썼다. 그는 ''울티마 VI''가 "훌륭한 그래픽과 일관된 세계를 제공하면서 이러한 [일반적인] 매개변수 내에서 롤플레잉을 최대한 발전시켰다"고 평가했다.[18][19]

''더 원''은 아미가 버전에 대해 91%의 점수를 주었다.[20] 이 잡지는 게임 전반에 걸쳐 잦은 디스크 교환이 필요하다는 점과 게임을 시작하기 위해 4개의 플로피 디스크로 압축을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비판했다. 특히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 때마다 이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는 점에 실망감을 표했다. 또한 "''울티마 VI''는 결코 빠른 게임이 아니며, 빈번한 디스크 접근 및 교환으로 인해 두 개의 드라이브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원''은 게임의 "놀라운 규모와 범위"를 언급하며 "아미가로 출시된 것 자체가 기적"이라고 평가했다. 잡지는 게임의 규모, 게임플레이, 디자인을 높이 평가하며 "''울티마 VI''의 엄청난 깊이와 놀랍도록 현실적인 분위기를 따라갈 만한 RPG는 없다"고 결론지었다.[20]

''컴퓨터 게이밍 월드''는 ''울티마 VI''를 1990년 "올해의 롤플레잉 게임" 상 후보로 지명했지만, 이 상은 ''스타플라이트 2: 클라우드 성운의 교역로''에 돌아갔다. 당시 잡지는 ''울티마 VI''의 "흥미롭고 중요한 스토리, 다이너마이트 그래픽... 그리고 놀라운 디테일"을 높이 평가했다.[21] 1992년에는 독자들에게 꾸준히 높은 평가를 받은 게임들을 선정하는 잡지의 명예의 전당(''CGW Hall of Fame'')에 ''울티마 VI''를 헌액했다.[22] 이후 1996년, 이 잡지는 ''울티마 VI''를 역대 최고의 게임 44위로 선정하며, 게임이 "게임 세계 내 정의된 객체들을 통해 가상현실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편견의 위험성에 대한 훌륭한 논제를 제시했다"고 평가했다.[23]

6. 팬 리메이크

팬 메이드로 제작된, ''던전 시즈'' 엔진을 사용한 ''울티마 VI''의 재현작인 The U6 Project (일명 Archon)가 2010년 7월 5일에 출시되었다. 또 다른 리메이크 프로젝트는 Exult 엔진을 사용하며, ''울티마 VII''의 그래픽을 사용한다. ''Ultima 6 Online''은 ''울티마 VI''의 MMO 버전이다.[24]

참조

[1] 웹사이트 Software Plus https://newspapers.c[...] 1990-04-05
[2] 웹사이트 Gargish Virtues http://codex.ultimaa[...]
[3] 웹사이트 Ultima Collectors Guide - Ultima VI - C64 http://www.ultimacol[...] 2017-06-07
[4] 웹사이트 The Official Book Of Ultima https://archive.org/[...] 1990-09-17
[5] 간행물 Computer Gaming World 1990-02
[6] 웹사이트 Ultima VI http://www.filfre.ne[...] 2017-04-07
[7] 웹사이트 Ultima Guide OfficialBookOfUltima https://archive.org/[...]
[8] 웹사이트 Ultima 6 For FM-TOWNS Sound Files http://originmuseum.[...] 2004-06-15
[9] 잡지 Special Limited Edition Ultima VI Offer http://www.cgwmuseum[...] 1990-03
[10] 웹사이트 Nuvie http://nuvie.sourcef[...]
[11] 웹사이트 phorum - Exult Discussion - New patch - Ultima 6 conversion http://exult.sourcef[...]
[12] 간행물 Zzap!64 review Newsfield Publications
[13] 서적 The Official Book Of Ultima https://archive.org/[...] 1990
[14] 잡지 Ultima VI http://www.cgwmuseum[...] 1990-06
[15] 잡지 Scorpia's Magic Scroll Of Games http://www.cgwmuseum[...] 1993-10
[16] 학술지 The Role of Computers https://archive.org/[...] 1990-10
[17] 학술지 Eye of the Monitor 1994-08
[18] 학술지 "Strategy Plus" Awards 1990 1991-01
[19] 학술지 1990: A Walkthru 1991-01
[20] 잡지 Ultima VI Review https://archive.org/[...] emap Images 1992-05
[21] 잡지 "CGW"s Game of the Year Awards 1990-09
[22] 잡지 The CGW Poll http://www.cgwmuseum[...] 1992-04
[23] 잡지 150 Best Games of All Time http://www.cgwmuseum[...] 1996-11
[24] 웹사이트 Ultima 6 Online - Free Online MMORPG and MMO Games List - OnRPG http://www.onrpg.com[...]
[25] 학술지 The Role of Computers https://archive.org/[...] 1990-10
[26] 학술지 Eye of the Monitor 1994-08
[27] 잡지 Ultima VI Review https://archive.org/[...] emap Images 1992-05
[28] 잡지 "CGW"s Game of the Year Awards 1990-09
[29] 잡지 The CGW Poll http://www.cgwmuseum[...] 1992-04
[30] 서적 The Official Book Of Ultima https://archive.org/[...]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