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바투 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드 바투 리그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총 3개의 시즌과 파이널 라운드로 진행된 바둑 리그이다. 예선은 시드전, 온라인 예선, 오프라인 예선, 최종 예선으로 구성되었으며, 본선은 16명의 선수가 4개 조 풀리그를 거쳐 8강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총 상금은 12억 원이었으며, 시즌 1 우승 상금은 1억 5천만 원이었다. 시즌 1에서는 이재웅이 우승을 차지했다.
바투는 제작 초기부터 바둑의 이스포츠화를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다. 바투 발표 직후, 기존 바둑 기사와 아마추어 유저가 함께 참여하는 바투 인비테이셔널이 개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총상금 12억원 규모의 세계 대회인 월드 바투 리그가 열렸다. 대회는 예선과 본선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개발사인 이플레이온은 장기적으로 월드 바투 리그를 한국, 중국, 일본 등이 연계하는 글로벌 e스포츠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1]
바둑의 이스포츠화를 목표로 개발된 바투는 출시 직후 바투 인비테이셔널을 개최하여 기존 바둑 기사와 아마추어 유저들의 참여를 유도했다. 이를 바탕으로 총상금 12억원 규모의 세계 대회인 월드 바투 리그가 개최되었다. 개발사 이플레이온은 장기적으로 월드 바투 리그를 한국, 중국, 일본 등이 연계하는 글로벌 e스포츠로 성장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1]
2. 대회 방식
2. 1. 예선
월드 바투 리그의 예선은 시드전, 온라인 예선, 오프라인 예선, 최종 예선으로 구성되었다.
시드전은 한국 라운드와 한중 슈퍼라운드로 진행되었다.
온라인 예선은 전 세계 바투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리그 포인트 상위 140명과 한중 슈퍼라운드에서 패배한 4명이 오프라인 예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오프라인 예선에서는 온라인 예선을 통과한 선수들이 12강 8개 조로 나뉘어 경쟁했으며, 총 16명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은 오프라인 예선을 통과한 16명이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하여 8명의 본선 진출자를 가렸다.
이 외에 바투 인비테이셔널 우승자인 허영호, 아마추어 시드전 우승자, 그리고 초청 선수 2명은 예선 없이 16강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했다.
결과적으로 시드전 통과자 4명, 최종 예선 통과자 8명, 자동 진출자 4명을 합쳐 총 16명의 선수가 본선에 진출했다.
2. 2. 본선
시드 배정자를 중심으로 4명씩 4개 조로 나뉘어 조별 풀리그를 진행했다.[1] 각 조 1, 2위가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 경기는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으며, 순위는 다승, 세트 득실, 승자승 순으로 결정했다. 승자승까지 같을 경우에는 재경기를 치렀다.[1]
8강 진출자들은 조지명식을 통해 대진을 결정했으며, 8강전부터는 5판 3선승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하여 승자가 4강에 진출했다.[1]
3. 일정
월드 바투 리그는 총 3개의 시즌과 파이널 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각 시즌 및 파이널 라운드의 기간은 다음과 같다.
각 시즌 및 파이널 라운드의 구체적인 일정과 결과는 하위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 1. 시즌 1
시즌 1은 2009년 5월 11일부터 2009년 11월 7일까지 진행되었다.
단계 | 일정 |
---|---|
시드전 한국라운드 예선 | 2009년 4월 6일 |
시드전 한국라운드 본선 | 2009년 4월 7일 ~ 4월 29일 |
한중라운드 | 2009년 5월 17일 ~ 6월 7일 (매주 일요일) |
온라인 예선 | 2009년 5월 28일 ~ 6월 29일 |
오프라인 예선 | 2009년 7월 4일 (1~4조), 7월 5일 (5~8조) |
최종 예선 | 2009년 7월 18일 (A, B조), 7월 23일 (C조), 중국 별도 진행 (D조) |
16강 | 2009년 8월 14일 ~ 9월 20일 |
8강 조지명식 | 2009년 9월 20일 |
8강 | 2009년 10월 10일 (A조), 10월 15일 (B조), 10월 17일 (C조), 10월 22일 (D조) |
준결승전 | 2009년 10월 24일, 10월 31일 |
결승전 | 2009년 11월 5일 |
3,4위전 | 2009년 11월 7일 |
3. 2. 시즌 2
2009년 8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진행되었다.3. 3. 시즌 3
2009년 11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진행되었다.3. 4. 파이널 라운드
2010년 4월에 진행되었다.4. 상금
5. 시즌 1 결과
월드 바투 리그 시즌 1은 대한민국의 이재웅이 우승을 차지하며 마무리되었다. 결승전에서는 같은 대한민국의 최철한을 상대로 4승 2패를 기록했다. 3위는 대한민국의 허영호가 차지했다. 자세한 참가 선수 명단 및 경기 결과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5. 1. 참가 선수
구분 | 선수 | 자격/비고 |
---|---|---|
시드 배정 (8명) | 허영호 | 바투 인비테이셔널 우승 |
손창호 | 아마추어 시드전 우승 | |
이창호 | 초청 선수 | |
최철한 | 초청 선수 | |
추이찬 | 한중 슈퍼 라운드 우승 | |
판페이 | 한중 슈퍼 라운드 우승 | |
텅청 | 한중 슈퍼 라운드 우승 | |
멍판숑 | 한중 슈퍼 라운드 우승 | |
최종 예선 통과자 (8명) | 김승준 | A조 1위 |
안달훈 | A조 2위 | |
김찬우 | B조 1위 | |
서정인 | B조 2위 | |
박지은 | C조 1위 | |
이재웅 | C조 2위 | |
저우전위 | D조 1위 | |
장리 | D조 2위 |
5. 2. 16강 조별 리그 결과
wikitextA조 | B조 | C조 | D조 |
---|---|---|---|
대한민국 허영호 2승 1패 | 대한민국 손창호 2승 1패 | 대한민국 이창호 2승 1패 | 대한민국 최철한 2승 1패 |
대한민국 김승준 1승 2패 | 대한민국 김찬우 0승 3패 | 대한민국 박지은 1승 2패 | 중국 저우전위 2승 1패 |
중국 장리 0승 3패 | 대한민국 이재웅 3승 0패 | 대한민국 서정인 1승 2패 | 대한민국 안달훈 1승 2패 |
중국 추이찬 3승 0패 | 중국 판페이 1승 2패 | 중국 텅청 2승 1패 | 중국 멍판시웅 1승 2패 |
5. 3. 8강 토너먼트 결과
wikitext라운드 | 선수 1 | 점수 | 선수 2 | 점수 |
---|---|---|---|---|
8강전 | 대한민국 이재웅 | 3 | 대한민국 이창호 | 1 |
대한민국 손창호 | 2 | 중국 저우전위 | 3 | |
대한민국 허영호 | 3 | 중국 추이찬 | 0 | |
대한민국 최철한 | 3 | 중국 텅청 | 0 | |
4강전 | 대한민국 이재웅 | 3 | 중국 저우전위 | 0 |
대한민국 허영호 | 1 | 대한민국 최철한 | 3 | |
3/4위전 | 중국 저우전위 | 2 | 대한민국 허영호 | 3 |
결승전 | 대한민국 이재웅 | 4 | 대한민국 최철한 | 2 |
5. 4. 4강 ~ 결승 결과
'''준결승'''
'''3/4위전'''
'''결승'''
시즌 1 우승자는 이재웅이다.
6. 평가 및 한계
바투는 제작 초기부터 바둑의 이스포츠화를 목표로 하였다.[1] 이러한 목표의 일환으로, 기존 바둑 기사들과 아마추어 바투 유저가 참여하는 바투 인비테이셔널 대회를 먼저 개최하였다.[1] 이를 바탕으로 총상금 12억원 규모의 세계 대회인 월드바투리그를 열었다.[1] 개발사인 이플레이온은 장기적으로 월드바투리그를 한국, 중국, 일본 등이 연계된 글로벌 e스포츠로 성장시키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1]
참조
[1]
뉴스
총상금 12억, 월드바투리그 열린다
http://news.naver.co[...]
아이뉴스21
2009-03-30
[2]
뉴스
월드바투리그 시드전 한국라운드 예선 시작
http://news.naver.co[...]
포모스
2009-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