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터 길버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터 길버트는 미국의 생화학자, 분자생물학자, 물리학자이며, 1980년 DNA 염기서열 결정 방법을 개발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앨런 맥섬과 함께 DNA 염기서열 결정 방법을 개발했다. 또한, RNA 세계 가설에 기여했으며, 바이오젠, 마이리어드 제네틱스와 같은 바이오테크 회사를 공동 설립했다. 은퇴 후에는 예술가로 활동하며 디지털 사진 작품을 선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인 노벨상 수상자 - 멜빈 캘빈
멜빈 캘빈은 광합성 과정의 탄소 고정 경로를 밝혀 196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로, 캘빈 순환을 규명하고 화학 생역학 연구소 설립, NASA 협력 등을 통해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 유대인 노벨상 수상자 - 가브리엘 리프만
룩셈부르크 태생의 프랑스 물리학자이자 발명가인 가브리엘 리프만은 빛의 간섭을 이용한 컬러 사진술을 발명하고 모세관 전위계를 발명하는 등 물리학에 공헌하여 19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 수상자 - 랜디 셰크먼
랜디 셰크먼은 세포 내 소포 수송 기전 연구로 201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효모 유전학을 이용해 단백질 분비 과정을 연구하고 학술지 출판 개혁을 주장하며 파킨슨병 연구에도 참여한다. -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 수상자 - 엘리자베스 블랙번
엘리자베스 블랙번은 텔로미어와 텔로머라아제의 기능, 노화 및 암과의 관계를 밝혀낸 분자생물학자로, 캐롤 W. 그라이더, 잭 쇼스택과 함께 텔로머라아제 발견 공로로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텔로미어 연구를 통해 세포 노화와 암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생명윤리 문제에도 참여하고 있다. - 미국의 생화학자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생화학자 - 랜디 셰크먼
랜디 셰크먼은 세포 내 소포 수송 기전 연구로 201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효모 유전학을 이용해 단백질 분비 과정을 연구하고 학술지 출판 개혁을 주장하며 파킨슨병 연구에도 참여한다.
월터 길버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월터 길버트 |
로마자 표기 | Walter Gilbert |
출생일 | 1932년 3월 21일 |
출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
국적 | 미국 |
배우자 | 셀리아 스톤 (1953년 결혼) |
자녀 | 2명 |
웹사이트 | 노벨상 웹사이트 |
학문 분야 | |
분야 | 생화학 물리학 |
소속 기관 | 하버드 대학교 |
최종 학력 | 하버드 대학교(학사, 석사) 케임브리지 대학교(박사) |
박사 논문 제목 | 일반화된 분산 관계 및 중간자-핵자 산란에 관하여 |
박사 학위 년도 | 1958년 |
박사 지도교수 | 압두스 살람 |
박사 지도 학생 | 벤노 뮐러힐 디디에 스타이너 조지 처치 제럴드 구럴닉 헬렌 도니스 켈러 잭 그린블랫 |
주요 업적 | |
주요 업적 | DNA 염기서열 분석 |
수상 내역 | |
수상 | NAS 분자생물학상 (1968년)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 (1979년) 노벨 화학상 (1980년) |
2. 생애
월터 길버트는 미국의 분자생물학자이자 물리학자이며, 생명공학 기업가이다. 1932년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5] 하버드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했다.[6][9] 이후 분자생물학 분야로 관심을 돌려 제임스 왓슨과 함께 연구했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10][6]
길버트는 앨런 맥섬과 함께 DNA 시퀀싱의 새로운 방법인 맥섬-길버트 시퀀싱을 개발한 공로로 잘 알려져 있다.[23][36] 또한 유전자 내의 발현 영역과 비발현 영역을 구분하는 엑손과 인트론이라는 용어를 처음 제안했으며,[26] 생명의 기원에 관한 RNA 세계 가설을 제시하기도 했다.[28] 이러한 핵산의 염기서열 결정 방법 개발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80년 프레더릭 생어, 폴 버그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6]
그는 학문적 연구 외에도 바이오젠[11], 마이리어드 제네틱스[12][13] 등 여러 생명공학 기업을 공동 창업하며 산업계에도 기여했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초기 지지자 중 한 명이었으며,[14] 초기 AIDS의 원인에 대한 논쟁에도 참여한 바 있다.[19]
1953년 셀리아 스톤과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으며,[3] 200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은퇴한 후에는 디지털 사진을 활용한 예술 활동을 하고 있다.[17][37]
2. 1. 어린 시절 및 교육
월터 길버트는 1932년 3월 21일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5] 아버지는 경제학자인 리처드 V. 길버트였고, 어머니는 아동 심리학자인 엠마(코헨)였다.[6][7]길버트가 일곱 살이었을 때, 그의 아버지가 뉴딜정책의 브레인 트러스트에서 해리 홉킨스 밑에서 일하게 되면서 가족은 워싱턴 D.C. 지역으로 이사했다. 워싱턴에 살면서 그들은 언론인 I.F. 스톤의 가족과 친구가 되었고, 길버트는 스톤의 큰딸 셀리아와 여덟 살 때 만나 나중에 21세에 결혼했다.[8]
그는 시드웰 프렌즈 스쿨에서 교육을 받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마쳤다. 1953년에 화학과 물리학 학사 학위를, 1954년에 물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6]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노벨상 수상자인 압두스 살람의 지도 아래 1957년에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6][9]
2. 2. 연구 경력
1956년 하버드 대학교로 돌아와 1959년 물리학 조교수로 임명되었다.[6] 그의 아내 셀리아가 제임스 왓슨 밑에서 일하게 되면서 길버트는 분자생물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왓슨과 길버트는 1960년대 대부분 동안 공동으로 연구실을 운영했으며, 이는 왓슨이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로 옮기기 전까지 이어졌다.[10] 길버트는 1964년 생물물리학 부교수로, 1968년에는 생화학 교수로 승진했다.[6]길버트는 박사 과정 학생 베노 뮬러-힐과 함께 최초로 lac 억제 단백질을 분리했으며,[21] 이는 유전자 조절 단백질 분리 경쟁에서 마크 프타슈네를 간발의 차이로 앞선 것이었다.[22]
그는 앨런 맥섬과 함께 DNA 염기서열 분석의 새로운 방법인 맥섬-길버트 시퀀싱을 개발했으며,[23][36] 이는 안드레이 미르자베코프가 개발한 화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했다. 재조합 DNA를 통한 인슐린 합성을 시도했으나,[24] 이는 천연 재료 대신 뉴클레오타이드로부터 유전자를 직접 합성한 제넨테크의 방식에 비해 상업화에서 뒤처졌다.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재조합 DNA 연구 규제로 인해 연구팀은 영국의 생물무기 시설로 작업을 옮겨야 했다.[25]
길버트는 유전자 내에서 단백질로 발현되지 않는 영역인 인트론과 발현되는 영역인 엑손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제안했다.[26] 1978년 과학 저널 ''네이처''에 발표한 "왜 유전자는 조각으로 나뉘어 있는가?(Why genes in pieces?)"라는 제목의 글에서 그는 인트론의 진화적 중요성에 대한 설명을 제시했다.[27] 1986년, 길버트는 생명의 기원에 대한 RNA 세계 가설을 제안했다. 이는 1967년 칼 우즈가 처음 제시한 개념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28]
연구 활동 외에도 길버트는 생명공학 기업 창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케네스 머레이, 필립 샤프, 찰스 와이스만 등과 함께 바이오젠을 공동 창업했으며,[11] 마크 스콜닉 박사, 케빈 킴벌린과 함께 마이리어드 제네틱스를 공동 설립했다.[12][13] 그는 두 회사에서 모두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바이오젠의 CEO로 일하기 위해 하버드 교수직을 사임했지만, 나중에 회사 이사회로부터 사임을 요청받았다.[14] 1996년에는 스튜어트 B. 레비와 함께 파라텍 제약(Paratek Pharmaceuticals)을 설립하여 2014년까지 회장직을 맡았다.[15]
길버트는 인간 게놈 서열 분석의 필요성을 일찍부터 주장한 인물 중 하나이다. 1986년 뉴멕시코주 산타페에서 열린 한 회의에서 그는 "인간 전체 염기서열은 인간 유전학의 성배"라고 강조했다. 1987년에는 게놈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접근 권한을 판매하는 회사를 설립하자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14] 1991년 ''네이처''에 기고한 글에서는 인간 게놈 서열 분석이 완료되면 생물학 연구에서 컴퓨터 데이터베이스가 실험실 시약만큼이나 중요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16]
1985년 길버트는 다시 하버드 대학교로 돌아왔다.[17] 그는 테레자 이마니시-카리를 둘러싼 과학적 사기 혐의 논란과 관련하여 데이비드 볼티모어의 대응 방식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18] 초기 AIDS의 원인에 대한 논쟁에 참여하여 HIV와 AIDS의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으나,[19] 이후에는 치료제의 발전이 HIV가 원인임을 증명하는 데 기여했다고 인정했다.
1962년 길버트의 물리학 박사 과정 학생 제럴드 구랄닉은 질량이 없는 입자에 대한 길버트의 연구를 확장했는데, 이는 힉스 보손 발견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20]
길버트는 스크립스 연구소의 과학이사회 이사이며, 하버드 펠로우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2. 3. 기업 활동
월터 길버트는 케네스 머레이, 필립 샤프, 찰스 와이스만 등과 함께 생명공학 기업 바이오젠을 공동으로 설립하고 초대 회장을 맡았다.[11] 그는 바이오젠의 최고경영자(CEO)로 활동하기 위해 하버드 대학교 교수직을 잠시 떠나기도 했으나, 이후 이사회의 요청으로 사임했다.[14] 또한 마크 스콜닉 박사, 케빈 킴벌린과 함께 마이리어드 제네틱스를 공동 창업하여 초대 회장을 지냈다.[12][13] 1996년에는 스튜어트 B. 레비와 함께 파라텍 제약(Paratek Pharmaceuticalseng)을 설립하여 2014년까지 회장으로 활동했다.[15] 그는 스크립스 연구소의 과학이사회 이사로도 활동하고 있다.길버트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초기 주창자 중 한 명이었다. 1986년 3월 뉴멕시코주 산타페에서 열린 회의에서 "인간 전체 염기서열은 인간 유전학의 성배"라고 선언하며 DNA 시퀀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듬해인 1987년에는 인간 게놈 전체를 해독하고 그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판매하는 방식의 '게놈 코퍼레이션(Genome Corporationeng)' 설립을 제안하기도 했다.[14] 그는 1991년 과학 저널 ''네이처'' 기고를 통해, 인간 게놈 서열 분석 완료가 생물학 연구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이 실험실 시약만큼 커질 것이라고 예측했다.[16]
2. 4. 인간 게놈 프로젝트 관련 활동
길버트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초기 지지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1986년 3월 뉴멕시코주 산타페에서 열린 회의에서 "인간 전체 염기서열은 인간 유전학의 성배이다"라고 선언하며 인간 게놈 서열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4] 1987년에는 게놈 서열을 분석하고 그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판매하는 '게놈 코퍼레이션'이라는 회사를 설립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14] 1991년 과학 저널 ''네이처''에 기고한 글에서는 인간 게놈 서열 분석이 완료되면, 생물학 연구에서 실험실 시약만큼이나 컴퓨터 데이터베이스가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생물학 연구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견한 것이었다.[16]2. 5. 사회적 활동
월터 길버트는 바이오테크놀로지 관련 회사인 바이오젠의 창업자 중 한 명이다. 현재는 하버드대학교 펠로우(fellow) 조직의 의장을 역임하고 있다.1980년대 후반, 그는 HIV(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와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의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는 최근 에이즈 치료제의 급속한 발전이 HIV가 에이즈를 일으킨다는 "원인의 증명"에 크게 힘입은 바가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2. 6. 은퇴 이후
길버트는 1953년 I. F. 스톤의 딸인 셀리아 스톤과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3] 200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은퇴한 후, 길버트는 예술과 과학을 결합하는 예술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그의 주된 예술 형식은 디지털 사진이다.[17][37]
3. 주요 업적
월터 길버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프레더릭 생어(Frederick Sanger)와 함께 핵산(nucleic acid) 내 뉴클레오타이드(nucleotide) 서열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이 공로로 길버트는 생어, 폴 버그(Paul Berg)와 함께 1980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6] 길버트와 생어는 핵산 서열 분석법 개발 공로를, 폴 버그는 재조합 DNA에 대한 기초 연구 공로를 인정받았다.
길버트는 앨런 맥샘(Allan Maxam)과 함께 1977년 발표한 논문 "DNA 시퀀싱의 새로운 방법"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미국화학회 역사화학부문에서 수여하는 2017년 화학적 돌파구상(Citation for Chemical Breakthrough Award)을 수상했으며, 이 상은 하버드 대학교 분자 및 세포 생물학과에 수여되었다.[35][36]
길버트는 연구 경력 동안 다수의 상과 영예를 안았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상 이름 | 수여 기관 |
---|---|---|
1968 | US 스틸 재단상 | 미국국립과학원 |
1969 | 레들리 상 | 하버드 대학교[6] |
1977 | 워런 3년상 | 매사추세츠 종합병원[30] |
1977 | 루이스와 버트 프리드먼 재단상 | 뉴욕 과학 아카데미[6] |
1977 | 프릭스 샤를 르오폴드 마이어 상 |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6] |
1979 | 루이자 그로스 호르비츠 상 | 컬럼비아 대학교 (프레더릭 생어와 공동 수상)[6][29] |
1979 | 가이르드너 상 | 가이르드너 재단[6] |
1979 | 알버트 라스커 기초의학연구상 | 라스커 재단[6] |
1980 | 노벨 화학상 |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프레더릭 생어, 폴 버그와 공동 수상) |
2002 | 생명공학 유산상 | 생명공학산업협회(BIO), 화학유산재단[33][34] |
이 외에도 1972년에는 미국암협회(American Cancer Society) 분자생물학 교수로 임명되었으며,[6] 1987년에는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ForMemRS)으로 선출되었다.[6][31][32]
4. 수상 경력
월터 길버트는 DNA 시퀀싱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특히 프레더릭 생어, 폴 버그와 함께 핵산 내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결정 방법을 개발한 공로로 198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6]
주요 수상 및 영예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상 이름 | 비고 / 공동 수상자 | 수여 기관 |
---|---|---|---|
1968년 | 미국 국립 과학원 분자생물학상[6] | US 스틸 재단상 | 미국 국립 과학원 |
1969년 | 레들리 상[6] | 하버드 대학교 | |
1977년 | 워런 3년상[30] |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 |
1977년 | 루이스와 버트 프리드먼 재단상[6] | 뉴욕 과학 아카데미 | |
1977년 | 샤를-레오폴 마이어 상[6] |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 |
1979년 |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6][29] | 프레더릭 생어와 공동 수상 | 컬럼비아 대학교 |
1979년 | 가드너 국제상[6] | 프레더릭 생어와 공동 수상 | 가드너 재단 |
1979년 | 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6] | 프레더릭 생어와 공동 수상 | 래스커 재단 |
1980년 | 노벨 화학상 | 프레더릭 생어, 폴 버그와 공동 수상 | 스웨덴 왕립 과학한림원 |
1987년 |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선출[6][31][32] | 왕립학회 | |
1987년 | 훔볼트 연구상 | 알렉산더 폰 훔볼트 재단 | |
2002년 | 생명공학 유산상[33][34] | 생명공학산업협회(BIO), 화학유산재단 | |
2017년 | 화학적 돌파구상[35][36] | 앨런 맥샘과 공동 수상 (1977년 논문 "DNA 시퀀싱의 새로운 방법" 공로) (하버드 대학교 분자 및 세포 생물학과에 수여) | 미국화학회 역사화학부문 |
참조
[1]
논문
Genomic sequencing
[2]
웹사이트
Jack Greenblatt
https://academictree[...]
[3]
웹사이트
Nobelprize
2020-10-11
[4]
Scopus
[5]
웹사이트
Jewish Nobel Prize Winners in Chemistry
https://www.jinfo.or[...]
2023-03-30
[6]
논문
Walter Gilbert--1980 Nobel Prize for Chemistry
http://www.mayoclini[...]
2003-05-01
[7]
웹사이트
Home - the Chicago Literary Club
http://www.chilit.or[...]
[8]
뉴스
Five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Wally Gilbert
https://www.bostongl[...]
2018-03-31
[9]
논문
On generalised dispersion relations and meson-nucleon scattering
http://ethos.bl.uk/O[...]
University of Cambridge
1958-01-01
[10]
서적
Genes, Girls and Gamow
[11]
웹사이트
40 years later, Biogen's founders Get the Band Back Together
https://www.bizjourn[...]
2018-05-31
[12]
서적
Breakthrough: The Race to Find the Breast Cancer Gene
Wiley
[13]
웹사이트
MYRIAD: PIONEERING PREDICTIVE MEDICINE
https://pivotcenter.[...]
2018-04-25
[14]
논문
The Genome Project
1987-12-13
[15]
웹사이트
Founders
https://paratekpharm[...]
[16]
논문
Towards a paradigm shift in biology
[17]
뉴스
A physicist, biologist, Nobel laureate, CEO, and now, artist
https://www.bostongl[...]
2015-03-13
[18]
논문
Inquiry lacking due process
https://www.nytimes.[...]
1996-06-25
[19]
논문
The Duesberg Phenomenon
http://www.sciencema[...]
1994-12-09
[20]
서적
The Infinity Puzzle: The Personalities, Politics and Extraordinary Science Behind the Higgs Boson
Oxford University Press
[21]
논문
Isolation of the lac repressor
1966-12-01
[22]
논문
Isolation of the lambda phage repressor
1967-02-01
[23]
서적
Nucleic Acids Part I
[24]
논문
A bacterial clone synthesizing proinsulin
[25]
서적
Invisible Frontiers: The Race to Synthesize a Human Gene
Atlantic Monthly Press
[26]
논문
Spliced segments at the 5' terminus of adenovirus 2 late mRNA
1977-08-01
[27]
논문
Why genes in pieces
1978-02-09
[28]
논문
Origin of life: The RNA world
[29]
논문
Frederick Sanger CBE CH OM. 13 August 1918 — 19 November 2013
Royal Society publishing
[30]
웹사이트
Warren Triennial Prize
https://ecor.mgh.har[...]
[31]
웹사이트
Professor Walter Gilbert ForMemRS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32]
웹사이트
Fellowship of the Royal Society 1660-2015
https://docs.google.[...]
Royal Society
[33]
웹사이트
Biotechnology Heritage Award
https://www.scienceh[...]
2016-05-31
[34]
뉴스
Paratek Pharmaceuticals Chairman and Co-Founder Dr. Walter Gilbert Receives Heritage Award at BIO 2002
http://www.prnewswir[...]
2002-06-10
[35]
웹사이트
Citations for Chemical Breakthrough Awards 2017 Awardees
http://www.scs.illin[...]
[36]
저널
A new method for sequencing DNA
[37]
웹사이트
Wally Gilbert "Worlds"
https://www.nyartbea[...]
2019-12-16
[38]
저널
Genomic sequenc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