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창자간막동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창자간막동맥은 첫째 허리뼈 아래쪽에서 시작하여 이자, 지라정맥 뒤쪽을 지나 앞아래쪽으로 뻗어 나가는 동맥이다. 이 동맥은 왼쪽 콩팥정맥, 샘창자, 이자 갈고리돌기 등과 인접하며, 아래이자샘창자동맥, 창자동맥, 돌잘록창자동맥, 오른잘록창자동맥, 중간잘록창자동맥 등의 가지를 내어 소장과 대장에 혈액을 공급한다. 위창자간막동맥의 급성 폐색은 장 허혈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으며, 콩팥정맥 압박으로 호두까기 인형 증후군, 샘창자 압박으로 위창자간막동맥 증후군을 일으키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창자간막동맥 | |
|---|---|
| 일반 정보 | |
![]() | |
![]() | |
| 라틴어 이름 | arteria mesenterica superior |
| 영어 이름 | superior mesenteric artery |
| 해부학 정보 | |
| 기원 | 배대동맥 |
| 선구 구조 | 난황동맥 |
| 정맥 | 위창자간막정맥 |
| 혈액 공급 | 창자, 췌장 |
| 그레이 해부학 | 주제: 154 페이지: 606 |
| 가지 | |
| 가지 | 아래이자샘창자동맥 중간잘록창자동맥 오른잘록창자동맥 창자 가지(빈창자동맥, 돌창자동맥) 돌잘록창자동맥 회결장동맥 결장의 변연동맥 |
| 식별 | |
| 메시 이름 | Mesenteric Artery, Superior |
| 메시 번호 | A07.231.114.565.755 |
| 도land 사전 접두사 | a_61 |
| 도land 사전 접미사 | 12155072 |
2. 구조
위창자간막동맥은 성인의 첫째 허리뼈(L1) 아래쪽 경계에서 앞쪽으로 뻗어 나오며, 보통 복강동맥이 시작되는 지점보다 1cm 정도 아래에 위치한다. 위창자간막동맥은 이자의 목과 지라정맥 뒤아래쪽을 지나 앞아래쪽으로 주행한다.
위창자간막동맥과 배대동맥 사이에는 왼쪽 콩팥정맥, 샘창자의 세 번째 부분, 이자 갈고리돌기 등이 위치한다.
2. 1. 주행 경로 및 주변 구조물
성인의 경우 위창자간막동맥은 첫째 허리뼈(L1) 아래쪽 경계에서 앞쪽으로 뻗어 나오며, 보통 복강동맥이 시작되는 지점보다 1cm 정도 아래에 위치한다. 처음에는 이자의 목과 지라정맥의 뒤아래쪽을 지나 앞아래쪽으로 주행한다.위창자간막동맥 아래쪽, 즉 위창자간막동맥과 배대동맥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구조물들이 있다.
- 왼쪽 콩팥정맥 - 왼쪽 콩팥과 아래대정맥 사이를 주행한다. 이 위치에서 왼쪽 콩팥정맥이 위창자간막동맥과 배대동맥 사이에서 눌리면 호두까기 인형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
- 샘창자의 세 번째 부분 - 이 위치에서 샘창자가 위창자간막동맥에 의해 눌리면 위창자간막동맥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
- 이자 갈고리돌기 - 위창자간막동맥 주위를 연결하는 이자의 작은 부분이다.
위창자간막동맥은 일반적으로 위창자간막정맥의 왼쪽에 위치한다. 이자의 목을 지나면 가지를 내기 시작한다.
2. 2. 가지
| 가지 | 공급 부위 |
|---|---|
| 아래이자샘창자동맥 | 이자 머리, 샘창자 오름부분과 아랫부분 |
| 창자동맥 | 돌창자, 빈창자 |
| 돌잘록창자동맥 | 돌창자 마지막 부분, 막창자, 막창자꼬리 |
| 오른잘록창자동맥 | 오름잘록창자 |
| 중간잘록창자동맥 | 가로잘록창자 |
복강 동맥과 마찬가지로, 위창자간막동맥에도 몇 가지 변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 간 동맥이 위창자간막동맥에서 분지하거나, 오른쪽 결장 동맥이 없을 수 있다.
위창자간막동맥의 급성 폐색은 거의 예외 없이 장의 허혈로 이어지며, 종종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위창자간막동맥 폐색의 최대 80%가 사망에 이를 수 있다.[5][2] 위창자간막동맥 폐색은 위창자간막동맥 혈전증을 일으키는데, 이 질환의 예후는 좋지 않아 80%가 사망에 이른다.[3]
[1]
논문
An investigation of human jejunal and ileal arteries
2010-03
돌창자의 동맥활 수는 빈창자보다 많다.[4]
중간잘록창자동맥, 오른잘록창자동맥, 돌잘록창자동맥은 잘록창자 안쪽 경계를 따라 모서리동맥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문합(연결)한다. 모서리동맥은 아래창자간막동맥 가지인 왼잘록창자동맥으로 완성된다.
3. 변이
4. 임상적 중요성
위창자간막동맥은 왼쪽 콩팥정맥을 압박하여 호두까기 인형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샘창자의 세 번째 부분(수평부분)이 눌리면 위창자간막동맥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비슷한 크기의 혈관과 비교했을 때, 위창자간막동맥은 죽상경화증의 영향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데, 이는 보호적인 혈역학적 조건 때문일 수 있다.
5. 추가 이미지





참조
[2]
논문
Intraoperative laser Doppler flowmetry: a predictor of ischemic injury in acute mesenteric infarction
1998
[3]
논문
Intraoperative laser Doppler flowmetry: a predictor of ischemic injury in acute mesenteric infarction
1998
[4]
논문
An investigation of human jejunal and ileal arteries
http://link.springer[...]
2010-03
[5]
논문
Intraoperative laser Doppler flowmetry: a predictor of ischemic injury in acute mesenteric infarction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