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트레흐트 주교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트레흐트 주교후국은 1024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 의해 제후국이 된 위트레흐트 주교가 다스린 지역을 말한다. 695년 성 윌리브로드가 교황에 의해 프리슬란트인들의 주교로 임명되면서 위트레흐트 교구가 설립되었고, 오토 왕조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다. 1527년 주교는 영지와 교권을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에게 매각했고, 1528년 합스부르크군에 의해 정복당하면서 위트레흐트 영주령, 오버레이설 영주령, 드렌터 백작령으로 분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위트레흐트 주교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1350년경의 위트레흐트 주교국. 네데르스티흐트는 작은 반면 [[오버레이설|오베르스티흐트]]가 더 크다.
1350년경의 위트레흐트 주교국. 네데르스티흐트는 작은 반면 오베르스티흐트가 더 크다.
기본 정보
공식 명칭 (네덜란드어)Sticht Utrecht
공식 명칭 (라틴어)Episcopatus Ultraiectensis
일반 명칭위트레흐트 주교후국
시대중세
지위봉신
제국신성 로마 제국
정부 형태교회 공국
위트레흐트 주교후국 국기
국기
위트레흐트 문장
문장
공용어중세 네덜란드어
중세 라틴어
중세 저지 독일어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국교)
수도위트레흐트
역사
성립1024년
사건 1서임권 투쟁
사건 날짜 11075년–1122년
사건 2보름스 협약
사건 날짜 21122년
사건 3부르고뉴 관구 가입
사건 날짜 31512년
사건 4헬러 전쟁
사건 날짜 41502년–1543년
해체1528년
이전 국가로타링기아 왕국에서 분리된 저지 로렌
이전 국가 날짜959년
이후 국가 1위트레흐트 영주령
이후 국가 2오버레이설 영주령
이후 사건위트레흐트 동맹 서명
이후 사건 날짜1579년
정치
정치 체제교회 공국
지도자 칭호주교후
초대 지도자위트레흐트의 아달볼트 2세
초대 지도자 재임 기간(1024년–1026년)
마지막 지도자팔츠의 하인리히
마지막 지도자 재임 기간(1524년–1528년)
언어
공용어중세 네덜란드어
중세 라틴어
중세 저지 독일어
현재 국가
현재 국가네덜란드

2. 역사

위트레흐트 주교후국은 1024년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국으로 설립되어 1528년까지 존속했다. 주교가 다스리는 이 지역은 'Sticht Utrecht' 또는 'Het Utrecht'라고 불렸으며, 'sticht'는 주교나 수도원장이 관리하는 땅을 의미했다.[1] 이 지역은 네데르스티흐트(Nedersticht, 현재의 위트레흐트주와 대략 일치)와 오베르스티흐트(Oversticht, 현재의 오버레이설주, 드렌터주, 흐로닝언주 일부)로 나뉘었다.[1]

작센 왕조 출신 황제들, 특히 오토 1세 시기에 위트레흐트 주교후국은 전성기를 맞이했다. 황제들은 제국 공의회나 회의에 위트레흐트 주교들을 자주 초청했으며, 1024년에는 위트레흐트 주교들에게 제후의 지위를 부여하여 주교후령이 성립되었다.[1]

1122년 보름스 협약으로 주교 선출 권한을 얻었으나, 곧 이 권한은 위트레흐트의 4개 수도회와 공유하게 되었다. 홀란트와 헬러 백작들도 주교 선출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고, 이는 분쟁으로 이어져 성좌가 개입하는 결과를 낳았다. 14세기 중반 이후, 교황은 수도회를 거치지 않고 직접 주교를 임명했다.[1]

1527년, 주교는 자신의 영토와 세속 권한을 카를 5세에게 매각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지가 되었다. 주교 선출 권한은 카를 5세와 그의 정부로 이전되었는데, 이는 로마 약탈 이후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동의한 조치였다.[1] 이후 위트레흐트 주교후령은 하부 라인-베스트팔렌 제국 크라이스에서 부르고뉴 제국 크라이스로 변경되었다.[1]

1528년, 위트레흐트 주교후령은 합스부르크 군대에 의해 정복되면서 해체되었다. 네데르스티흐트의 남서쪽은 위트레흐트 영주령이 되었고, 오베르스티흐트의 남쪽은 오버레이설 영주령으로, 북쪽 지역은 1536년에 드렌터 백작령으로 합병되었다.[1]

2. 1. 설립 배경

위트레흐트 교구는 695년 성 윌리브로드교황 세르지오 1세에 의해 로마에 있던 프리슬란트인들의 주교로 임명되면서 설립되었다.[2] 프랑크족의 통치자 피피누스 2세의 허락을 받아, 그는 위트레흐트에 있는 옛 고대 로마의 요새에 정착했다. 윌리브로드 사후, 위트레흐트 교구는 프리슬란트인, 그 뒤에는 바이킹들의 약탈 피해를 엄청나게 겪었다. 제임스 팔머가 “최소한 알베리크 시기 (775–84)까지는 주교라는 명확한 개념이 없었다”라고 지적하였기에, 윌리브로드가 초대 위트레흐트 주교로 불렸는지 아닌지에 대해선 의문이 있다.[2] 보니파시오가 그의 성인전에서 윌리브로드의 후계자 (그 이후 위트레흐트의 그레고르는 윌리브로드와 보니파시오가 후계자라고 언급)라고 언급되었음에도, 이것은 “주교의 후계자”라고 반드시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프리슬란트인들에 대한 선교 활동을 이어받았다는 걸 뜻한다.[2]

2. 2. 위트레흐트 주교후령

위트레흐트 주교후령은 작센족 출신 황제들이 지배하던 시기에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1024년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국이 되면서 생겨났다. 교회가 다스리던 지역은 'Sticht Utrecht' 또는 'Het Utrecht'라고 불렸으며, 'sticht'는 주교나 수도원장이 관리하는 땅을 의미한다. 이 지역은 네데르스티흐트(Nedersticht, 현재의 위트레흐트주와 대략 일치)와 오베르스트히트(Oversticht, 현재의 오버레이설주, 드렌터주, 흐로닝언주 일부)로 나뉘었다.[1]

1122년 보름스 협약으로 주교 선출 권한을 얻었으나, 곧 이 권한은 위트레흐트의 4개 수도회와 공유하게 되었다. 홀란트와 헬러 백작들도 주교 선출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고, 이는 분쟁으로 이어져 성좌가 개입하는 결과를 낳았다. 14세기 중반 이후, 교황은 수도회를 거치지 않고 직접 주교를 임명했다.[1]

1527년, 주교는 영토와 교권을 카를 5세에게 매각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지가 되었다. 주교 선출 권한은 카를 5세와 그의 정부로 이전되었는데, 이는 로마 약탈 이후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동의한 조치였다.[1] 이후 위트레흐트 주교후령은 하부 라인-베스트팔렌 제국 크라이스에서 부르고뉴 제국 크라이스로 변경되었다.[1]

2. 2. 1. 권력 투쟁과 교황의 개입

작센족 출신 황제들이 지배하던 시기에 위트레흐트 주교후국은 전성기를 맞이했는데, 황제들은 제국 공의회나 회의에 위트레흐트 주교들을 자주 초청하였다. 1024년에 위트레흐트 주교들은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가 되면서 위트레흐트 주교후령이 생겼다. 교회가 다스리던 지역들은 Sticht Utrecht 또는 Het Utrecht (sticht는 주교나 수도원장이 관리하는 땅을 뜻함)라고 알려졌다. 그 지역은 네데르스티흐트 (Nedersticht, 아랫 쪽으로, 위트레흐트주와 대략 일치), 오베르스트히트 (Oversticht, 위쪽이며 현재 오버레이설주, 드렌터주 그리고 흐로닝언주의 일부를 합친 것)으로 나뉘었다.[1]

1122년, 보름스 협약으로 신성 로마 황제의 서임권이 사라졌고, 위트레흐트 대교구는 주교를 선출할 수 있는 권한을 받았다. 하지만 곧 이 권리를 위트레흐트의 4개 수도회들과 공유해야만 했다. 위트레흐트 주교의 두 영지가 위치한 곳 사이에 있는 홀란트와 헬러 백작들 역시도 주교구에 대한 완전한 영향력을 얻고 싶어했다. 이 바람은 분쟁으로 이어졌고 따라서 성좌는 위트레흐트 주교 선출에 자주 개입했다. 14세기 중반 이후로 교황들은 다섯 수도회를 고려하지 않고 곧바로 임명시켰다.[1]

2. 2. 2. 합스부르크 가문 통치

1527년, 주교는 자신의 영토, 즉 세속적인 권한을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에게 매각했고, 공국은 합스부르크 영토의 일부가 되었다.[1] 주교를 선출할 권한을 가진 참사회는 카를 5세와 그의 정부로 주교 선출 권한을 이전했는데, 이는 로마 약탈 이후 정치적 압력으로 교황 클레멘스 7세가 동의한 조치였다.[1]

1548년까지 하부 라인-베스트팔렌 제국 크라이스에 속해 있었고, 이후 합스부르크 네덜란드의 일부로 부르고뉴 제국 크라이스에 합류했다.[1]

2. 3. 해체

위트레흐트 주교후령은 1528년 합스부르크 군대에 의해 정복되었다. 위트레흐트 주변 중심지인 네데르스티흐트의 남서쪽은 위트레흐트 영주령이 되었고, 오베르스티흐트의 남쪽은 오버레이설 영주령으로 바뀌었다. 북쪽 지역은 1536년에 드렌터 백작령으로 합병되었다.[1]

3. 주교후 목록

Prinsbisdom Utrechtnl 시기 위트레흐트의 주교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비고
아델볼트 2세1010년 ~ 1026년
베른홀트1026년/1027년 ~ 1054년
빌럼 1세1054년 ~ 1076년
콘라드1076년 ~ 1099년
부르카르드1100년 ~ 1112년
호데발트1114년 ~ 1127년
안드레아스 판 카위크1127년/1128년 ~ 1139년
하르트버르트1139년 ~ 1150년
헤르만 판 호르너1151년 ~ 1156년
홋프리트 판 르헤넌1156년 ~ 1178년
바우데베인 2세 판 홀란트1178년 ~ 1196년
아르놀트 1세 판 이센뷔르흐1196년 ~ 1197년
디르크 1세 판 홀란트1197년
디르크 2세 판 아러1197년/1198년 ~ 1212년
오토 1세 판 헬러1212년 ~ 1215년
오토 2세 판 리퍼1216년 ~ 1227년
빌브란트 판 올덴뷔르흐1227년 ~ 1233년
오토 3세 판 홀란트1233년 ~ 1249년
호제베인 판 란데랏1249년 ~ 1250년
헨드릭 판 피안던1250년/1252년 ~ 1267년
나사우의 얀 1세1267년 ~ 1290년
얀 2세 판 시르크1290년 ~ 1296년
빌럼 2세 베르트하우트1296년 ~ 1301년
아베느의 기1301년 ~ 1317년
프레데릭 2세 판 시르크1317년 ~ 1322년
야코프 판 아우츠호른1322년
얀 3세 판 디스트1322년 ~ 1340년
얀 4세 판 아르컬1342년 ~ 1364년
얀 5세 판 피르네뷔르흐1364년 ~ 1371년
아르놀트 2세 판 호르너1371년 ~ 1379년
플로리스 판 페벨링크호번1379년 ~ 1393년
프레데릭 3세 판 블랑켄하임1393년 ~ 1423년
루돌프 판 디폴트1423년 ~ 1455년
즈베더르 판 퀼렘보르흐1425년 ~ 1433년
발라번 판 뫼르스1434년 ~ 1448년
헤이스브레흐트 판 브레데로더1455년 ~ 1456년
부르고뉴의 다비드1456년 ~ 1496년
바덴의 프리드리히 4세1496년 ~ 1517년
부르고뉴의 필리프1517년 ~ 1524년
팔츠의 하인리히1524년 ~ 1529년
빌럼 3세 판 엥켄보이르트1529년 ~ 1534년
헤오르허 판 에흐몬트1534년 ~ 1559년



이후 위트레흐트는 대주교후국으로 승격되었다.

3. 1. 대주교

이름재임 기간비고
프레데릭 5세 스헹크 판 타우텐뷔르흐1559–1580
헤르만 판 레넨베르흐1580–1592종교개혁 때문에 임명되지 못함
얀 판 브뤼헤선1592–1600종교개혁 때문에 임명되지 못함


참조

[1] 서적 Anglo-Saxons in a Frankish World (690-900) https://books.google[...] Brepols
[2] 서적 Anglo-Saxons in a Frankish World (690-900) https://books.google[...] Brepo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