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1482년부터 1581년까지 오늘날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및 프랑스 일부 지역을 포괄하는 지정학적 실체였다. 부르고뉴 공작령 시대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이 통치하면서 찰스 5세는 17개 주를 통합하고, 스페인 펠리페 2세는 전제 정치와 가톨릭 박해를 통해 네덜란드 봉기를 촉발하여 80년 전쟁으로 이어졌다. 1581년 북부 지역이 독립하여 네덜란드 공화국을 수립했고, 남부 지역은 스페인령 네덜란드로 남아 있다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가 되었다. 이 지역은 부르고뉴 십자 깃발을 사용했으며,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시대에는 붉은색, 흰색, 황금색의 깃발을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세기 벨기에 -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부르고뉴령 네덜란드는 부르고뉴 공작이 저지대 국가들을 통치하며 시작되어 영토를 확장했으나, 용담공 샤를의 사망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하에 놓였고, 예술 후원과 삼부회 구성을 통해 정치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다.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
현지 명칭 (네덜란드어) | Habsburgse Nederlanden |
현지 명칭 (프랑스어) | Pays-Bas des Habsbourg |
시대 | 근세 |
지위 | 제국 내의 봉토의 동군연합 |
존속 기간 | 1482년 – 1797년 |
시작 연도 | 1482년 |
시작 사건 | 합스부르크 가문에 상속됨 |
사건 1 | 부르고뉴 원에 통합됨 |
사건 1 날짜 | 1512년 |
사건 2 | 국사조칙 |
사건 2 날짜 | 1549년 |
사건 3 |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에 상속됨 |
사건 3 날짜 | 1556년 |
사건 4 | 뮌스터 조약 |
사건 4 날짜 | 1648년 1월 30일 |
사건 5 | 라슈타트 조약 |
사건 5 날짜 | 1714년 3월 7일 |
사건 6 | 스프리몽 전투 |
사건 6 날짜 | 1794년 9월 18일 |
종료 사건 | 캄포포르미오 조약 |
종료 연도 | 1797년 |
종료 날짜 | 1797년 10월 17일 |
이전 국가 | 부르고뉴 네덜란드 |
이전 국가 2 | 위트레흐트 주교후국 |
계승 국가 1 | 스페인령 네덜란드 |
계승 국가 2 | 네덜란드 공화국 |
계승 국가 3 | 프랑스 제1공화국 |
국기 종류 | 부르고뉴 십자가 |
![]() | |
문장 종류 | (필리프 4세) 문장 |
상징 | 필리프 1세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
수도 | 사실상: 1530년까지는 메헬렌, 그 이후에는 브뤼셀 |
언어 및 종교 | |
공용어 | 네덜란드어 저지 독일어 서프리지아어 왈롱어 룩셈부르크어 프랑스어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국교) 개신교(대중적) |
2. 지리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및 프랑스 북부 노르와 파드칼레 지역을 포함하는 저지대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7] 1200년경부터 저지대 북부 지역은 간척 사업을 통해 경작지가 확대되고 인구가 증가하면서 홀란트 지역이 중요해졌다.[7] 그 이전에는 겐트, 브뤼헤, 안트베르펜, 브뤼셀, 루뱅 등 남부 지역의 대도시들이 발달했다.[7]
2. 1. 저지대의 자연적 특성과 분할
저지대의 강들은 동서로 흐르며 남부와 북부 지역을 자연스럽게 분리하는 역할을 했다.[7] 이는 두 지역이 정치적, 전략적으로 별개의 지역을 형성하게 만들었으며, 남부 지역의 영향력이 북부 지역으로 미치는 것을 막는 장벽이 되었다.[7]3. 역사
1482년 부르고뉴의 마리가 사망한 후, 부르고뉴 네덜란드를 포함한 그녀의 영지는 아들 필립 1세에게 상속되었다. 필립 1세는 카스티야의 후아나와 결혼했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아들이었으므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일원이었다. 이로써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시대가 시작되었다. 1481년부터 1492년까지 플랑드르 도시들의 봉기와 유트레히트 내전이 있었지만, 세기가 바뀔 무렵 합스부르크 통치자들에 의해 평정되었다.
찰스 5세는 겐트에서 태어나 1506년 6살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공작이 되었다. 그는 부르고뉴 제국권에 통합된 부르고뉴 유산을 통치했으며, 오버아이셀과 유트레히트 주교령(겔더스 전쟁 참조)을 획득하고, 작센 공 게오르크에게서 프리슬란트를 매입하고, 그로닝언과 겔더란트를 되찾는 등 영토를 확장했다. 1548년 1548년 부르고뉴 조약과 1549년 1549년 실칙으로 17개 주는 단일 군주 아래 통합되었다.
1555년에서 1556년 사이, 찰스 5세는 퇴위하며 합스부르크 가문을 오스트리아-독일 지파와 스페인 지파로 나누었다. 그의 아들 필립 2세는 17개 주를 상속받아 스페인 왕관에 통합했다. 그러나 필립 2세의 전제 정치와 가톨릭 강요는 네덜란드 봉기를 일으켜 80년 전쟁으로 이어졌다.[4] 1579년 북부 주들은 유트레히트 동맹을 맺고 1581년 아브주라시온 조약으로 독립을 선언했다.[4]
1581년 분리 이후, 남부 주들은 프랑스 혁명 전쟁까지 합스부르크 가문에 속했다.[5] 찰스 2세가 자식 없이 사망하고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1700~1714년)이 일어나면서 1700년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는 단절되었고, 이후 남부 주들은 1715년부터 오스트리아 네덜란드로 불리게 되었다.
3. 1. 부르고뉴 공작령 시대 (14세기 후반 ~ 15세기 후반)
부르고뉴 공작령 시대는 합스부르크 네덜란드의 전신(前身)으로, 부르고뉴 공작들이 저지대 지역을 통합하면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주어진 소스에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다음 내용부터 시작한다.
1482년 부르고뉴의 마리가 사망한 후, 부르고뉴 네덜란드(부르고뉴 네덜란드)를 포함한 그녀의 영지는 아들인 필립 1세에게 상속되었다. 필립 1세는 카스티야의 후아나와 결혼하였고, 그의 아버지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를 통해 합스부르크 가문의 일원이었다. 이로써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시대가 시작되었다. 1481년부터 1492년까지는 플랑드르 도시들의 봉기와 유트레히트 내전이 있었지만, 세기가 바뀔 무렵 합스부르크 통치자들에 의해 양 지역 모두 평정되었다.
3. 2. 합스부르크 가문 통치 초기 (15세기 후반 ~ 16세기 중반)
1482년 부르고뉴의 마리가 사망한 후, 부르고뉴 네덜란드를 포함한 그녀의 영지는 아들인 벨기에의 필립(필립 1세, 필립 아름다운이)에게 상속되었다. 필립 1세는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와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의 딸인 카스티야의 후아나와 결혼하였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아들인 필립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일원이 되었고, 이로써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시대가 시작되었다. 1481년부터 1492년까지는 플랑드르 도시들의 막시밀리안에 대한 봉기와 유트레히트 내전이 있었지만, 세기가 바뀔 무렵 합스부르크 통치자들에 의해 양 지역 모두 평정되었다.
찰스 5세는 겐트에서 태어나 1506년 6살의 나이로 아버지를 계승하여 공작이 되었다. 그의 외조부인 막시밀리안 1세는 부르고뉴 유산을 부르고뉴 제국권에 통합시켰고, 이후 제국의 서쪽 끝에 있는 영토들은 어느 정도 자치권을 갖게 되었다. 찰스 5세는 남편의 죽음 후 정신적으로 붕괴된 어머니 후아나를 통해 카스티야와 아라곤 왕국 그리고 신대륙의 스페인 해외 식민지를 상속받았다. 1515년 성년이 된 찰스는 네덜란드 원주민으로서 그의 부르고뉴 유산을 통치하게 되었다. 그는 오버아이셀과 유트레히트 주교령(겔더스 전쟁 참조)의 땅을 획득하였고, 작센 공 게오르크로부터 프리슬란트를 매입하였으며, 그로닝언과 겔더란트를 되찾았다. 그의 17개 주는 1548년 1548년 부르고뉴 조약에서 재편되었는데, 이 조약에 따라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열린 제국 의회에 참석한 제국 영주들은 네덜란드의 특정 자치권을 인정하였다. 이어 황제의 1549년 실칙이 발표되어 17개 주가 단일 군주가 소유한 단일체로 설정되었다.
3. 3. 네덜란드 독립전쟁과 분열 (16세기 중반 ~ 17세기 중반)
필립 2세는 전제 정치와 가톨릭 강요 정책으로 악명이 높았는데, 이는 네덜란드에서 봉기를 일으켜 80년 전쟁으로 이어졌다.[4] 스페인의 북부 주들에 대한 지배는 점점 더 불안정해졌다. 1579년 북부 주들은 개신교 유트레히트 동맹을 결성하여, 1581년 아브주라시온 조약에 따라 7개 연합 주로서 독립을 선언했다.[4]1581년 분리 이후, 플랑드르, 아르투아, 투르네지스, 캉브레 대교구, 룩셈부르크, 림부르크, 에노, 남부, 메헬렌, 브라반트, 상 겔더스의 "브라반트의 궁정"('t Hof van Brabant)이라고 불리는 남부 주들은 프랑스 혁명 전쟁까지 합스부르크 가문에 남아 있었다.[5]
4. 통치자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부르고뉴 공작, 스페인 국왕,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등 다양한 칭호를 가진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 통치자들이 다스렸다. 실제 통치는 총독(stadtholder)이 담당했으며, 이들은 주로 합스부르크 가문과 관련된 인물들이었다.
4. 1. 주요 통치자
재위 기간 | 이름 | 비고 |
---|---|---|
1482년–1506년 | 필리프 1세 | 부르고뉴 공작, 섭정 마키밀리안 1세(1482년–1493년), 섭정 마가렛 요크 (1489년–1493년) |
1506년–1556년 | 카를 5세 | 부르고뉴 공작, 1519년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
1556년–1581년 | 펠리페 2세 | 스페인 국왕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다음의 총독(총독 목록)에 의해 통치되었다.
재임 기간 | 이름 | 비고 |
---|---|---|
1489년–1493년 | 마가렛 요크 | 부르고뉴 공작 부인 |
1506년–1507년 | 빌헬름 드 크로이 | 아르슈 공작, 아르슈 후작 |
1507년–1530년 | 마가렛 오스트리아 | 사보이 공작 부인 |
1531년–1555년 | 헝가리의 마리아 | |
1555년–1559년 | 사보이아 공작 에마뉘엘 필리베르트 | |
1559년–1567년 | 파르마의 마르가레타 | |
1567년–1573년 | 알바 공작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 톨레도 | |
1573년–1576년 | 루이스 데 레케센스 이 수니가 | |
1576년–1578년 | 오스트리아의 후안 | |
1578년–1592년 | 파르마 공작 알렉산드로 파르네세 | 1578년, 네덜란드 반란군은 오스트리아 대공 마티아스를 총독으로 임명했지만, 그는 성공하지 못하고 1581년 압주라션 선언 전에 사임했다. |
1685년–1692년 |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데 아구르토 살세도 메드라노 수니가 | 가스타냐가 후작 |
4. 2. 총독 목록
재임 기간 | 이름 | 비고 |
---|---|---|
1489년-1493년 | 마가렛 요크 | 부르고뉴 공작 부인 |
1506년-1507년 | 빌헬름 드 크로이 | 아르슈 공작 |
1507년-1530년 | 마가렛 오스트리아 | |
1531년-1555년 | 헝가리의 마리아 | |
1555년-1559년 | 사보이아 공작 에마뉘엘 필리베르트 | |
1559년-1567년 | 파르마의 마르가레타 | |
1567년-1573년 | 알바 공작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 톨레도 | |
1573년-1576년 | 루이스 데 레케센스 이 수니가 | |
1576년-1578년 | 오스트리아의 후안 | |
1578년-1592년 | 파르마 공작 알렉산드로 파르네세 | 1578년 네덜란드 반란군이 오스트리아 대공 마티아스를 총독으로 임명했으나 실패, 1581년 압쥬라션 선언 전 사임. |
1685년-1692년 |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데 아구르토 살세도 메드라노 수니가 | 가스타냐가 후작 |
5. 상징
스페인 통치 시대에는 부르고뉴 십자 깃발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80년 전쟁이라는 격변의 시기를 거친 후, 1713년 남부 네덜란드는 스페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오스트리아에 귀속되었고, 붉은색, 흰색, 황금색 세 가지 색의 수평선으로 이루어진 깃발을 사용하게 되었다. 1781년에는 검은색 이중 머리 독수리가 작은 부르고뉴 십자가를 가렸다.
5. 1. 깃발
스페인 통치 시대에는 부르고뉴 십자 깃발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80년 전쟁이라는 격변의 시기를 거친 후, 1713년 남부 네덜란드는 스페인으로부터 분리되어 오스트리아에 귀속되었고, 붉은색, 흰색, 황금색 세 가지 색의 수평선으로 이루어진 깃발을 사용하게 되었다. 1781년에는 검은색 이중 머리 독수리가 작은 부르고뉴 십자가를 가렸다.참조
[1]
문서
Habsburgse Nederlanden/Pays-Bas des Habsbourg/Belgica
[2]
서적
De centrale overheidsinstellingen van de Habsburgse Nederlanden (1482-1795)
Algemeen Rijksarchief
1994
[3]
웹사이트
Neptune and the Netherlands: State, Economy, and War at Sea in th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BRILL
2004-01-01
[4]
웹사이트
How Brussels became the capital of Europe 500 years ago
https://www.brussels[...]
2017-04-21
[5]
웹사이트
The Muslim Diaspora (Volume 2, 1500-1799): A Comprehensive Chronology of the Spread of Islam in Asia, Africa, Europe and the America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05-07
[6]
웹사이트
Spain, 1469–1714: A Society of Conflic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3-26
[7]
서적
The Dutch Republic
[8]
문서
Roman foederati
[9]
문서
The Chamavi and Tubantes merging into Frankish and Saxon confederations
[10]
문서
Part of East Francia after 939,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orraine in 959
[11]
문서
Lower Lorraine's disintegration into smaller territories
[12]
문서
Lordship of Frisia and Groningen after 1524 and 1536
[13]
문서
County of Zeeland ruled by County of Holland and Flanders until 1432
[14]
문서
Utrecht including Overijssel, Drenthe, and Zutphen until specified dates
[15]
문서
Duchy of Brabant including Duchy of Limburg and Overmaas lands since 1288
[16]
문서
County/Duchy of Guelders and its constituent quarters
[17]
문서
Including County of Artois and Tournaisis
[18]
문서
Prince-Bishopric of Liège's expansion throughout the Middle Ages
[19]
문서
The origin of the name "Seventeen Provi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