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위화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위화도는 압록강 하구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고구려와 발해의 영토였다. 1388년 고려의 장군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일으킨 장소로, 조선 왕조 개창의 계기가 되었다. 1896년 평안북도 의주군에 속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이 중지도라고 불렀다. 1945년 광복 당시에는 위화면으로, 1961년 신의주시에 편입되었다. 2010년 집중 호우로 섬 대부분이 침수되었으며, 북한은 2009년부터 위화도 자유무역지구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압록강 - 훈강
    훈강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에서 발원하여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만주족 퉁기야 씨족의 발상지이며 고구려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 압록강 - 황금평
    황금평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공동으로 자유 무역 지대를 조성하기로 합의했으나, 외자 유치 실패로 사업이 개시되지 못했다.
  • 의주군 - 백마산성
  • 의주군 - 통군정
    통군정은 압록강변 삼각산 정상에 위치한 관서팔경 중 하나로, 고려 시대 창건 추정, 조선 중종 때 재건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파괴 후 복원되었으며, 현재 북한 보물 제51호로 지정된 조선 초기 정자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유산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하중도 - 비단섬
    비단섬은 압록강 하구의 여러 섬과 간석지를 연결하여 형성된 섬으로, 평안북도 신도군에 속하며 조선과 청나라의 접경 지역이었고 현재는 북한과 중국의 국경을 이루며 지리천연기념물이 위치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하중도 - 황금평
    황금평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공동으로 자유 무역 지대를 조성하기로 합의했으나, 외자 유치 실패로 사업이 개시되지 못했다.
위화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 (한국어)위화도
이름 (한자)威化島
로마자 표기Wihwado
지리
위치압록강
좌표39.8702° N, 124.2941° E
면적11.2 ㎢
행정 구역
국가북한
평안북도
신의주시
신도군
인구 통계
민족한국인

2. 역사



위화도는 고구려발해의 영역이었다. 1388년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일으켜 정권을 잡고 조선 왕조를 개창하는 계기가 되었다.[7] 이후 1896년 13도제 실시로 평안북도 의주군에 속하게 되었다.[7]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이 위화도를 중지도(中之島|나카노시마일본어)라고 불렀으며, 섬 내에는 일본인 학교인 '중지도 북(北)국민학교'와 조선인 학교인 '중지도 남(南)국민학교'가 있었다.[7]

1945년 광복 당시 위화도는 평안북도 의주군 위화면 상단동(上端洞), 하단동(下端洞)이었다.[7] 1961년 신의주시에 편입되어 상단리와 하단리가 되었다.

2. 1. 고려 시대

고구려발해의 영역이었다.

1388년, 당시 고려의 장군이었던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일으켰고, 이 사건을 계기로 정권을 잡고 조선 왕조를 개창하였다.[7]

2. 2. 조선, 대한제국 시대

1896년 13도제가 실시되면서 평안북도 의주군에 속하였다.[7]

2. 3.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은 이 섬을 中之島|나카노시마일본어라고 불렀는데, 교육 시설로는 일본인 학교인 '중지도 북(北)국민학교'와 조선인 학교인 '중지도 남(南)국민학교'가 있었다.[7]

2. 4. 광복 이후

1945년 광복 당시 행정 구역상 평안북도 의주군 위화면 상단동(上端洞), 하단동(下端洞, 면사무소 소재지)이었다.[7] 1961년 신의주시에 편입되어 신의주시 상단리와 하단리가 되었다.

3. 자연재해

2010년 8월 19일부터 8월 21일까지 압록강 상류 지역에 집중 호우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강물 수위가 상승하면서, 8월 21일에는 위화도를 비롯한 강 가운데 섬들 대부분이 침수되었다.[6]

4. 위화도 자유무역지구 설치 계획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009년부터 중국과의 국경을 접하는 위화도에 자유무역지구 설치를 추진하려고 계획하였으나,[8] 10년 가까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What Is Hwanggumpyong Island? http://english.chosu[...] Digital Chosun 2011-06-10
[2] 웹사이트 China’s Embrace of North Korea: The Curious Case of the Hwanggumpyong Island Economic Zone http://38north.org/2[...] U.S.-Korea Institut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2012-02-19
[3] 웹사이트 「中・朝、威化島に「自由貿易市場」開設予定」 http://nkfocus.org/a[...] NKフォーカス 2006-04-19
[4] 뉴스 中国・北朝鮮国境で「経済地帯」着工式 経済協力本格化へ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1-06-08
[5] 뉴스 中朝の経済協力、目玉事業が始動 黄金坪島・威化島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1-06-08
[6] 뉴스 中朝国境の鴨緑江氾濫、4人死亡・6万人避難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0-09-02
[7] 웹사이트 中之島望見 http://www.dia.janis[...]
[8] 뉴스 북, "위화도 자유무역지구" 추진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9-01-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