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엄 1세 (스코틀랜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1세는 1165년부터 1214년까지 스코틀랜드 왕국을 통치했다. 그는 1174년 알니크 전투에서 포로로 잡힌 후 팔레즈 조약을 통해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잃었지만, 1189년 사자심왕 리처드에게 돈을 지불하고 독립을 되찾았다. 그는 잉글랜드와의 관계에서 긴장 상태를 유지했으며, 1209년 잉글랜드의 존 왕에게 위협을 받기도 했다. 윌리엄 1세는 1186년 잉글랜드 왕 헨리 1세의 서손녀인 에르몽가르드 드 보몽과 결혼하여 알렉산더 2세를 포함한 자녀를 두었으며, 1214년에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알렉산더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14년 사망 - 로스티슬라프 2세
    류리크 로스티슬라비치의 아들인 로스티슬라프 2세는 여러 지역을 소유하고 장인의 지원을 받아 키예프 대공에 올랐으나, 귀족들의 저항과 외부 세력의 침입으로 정치적 안정을 이루지 못하고 갈리치에서 추방당했다.
  • 1214년 사망 - 다이라노 도쿠시
    다이라노 도쿠시는 헤이안 시대 말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딸이자 다카쿠라 천황의 중궁으로, 안토쿠 천황을 낳았으며 헤이시 정권 붕괴 후 출가하여 잣코인에서 은거하다 생을 마감했다.
  • 1143년 출생 - 발리앙 디블랭
    발리앙 디블랭은 12세기 예루살렘 왕국의 귀족으로 몽기사르 전투에서 살라딘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고, 아모리 1세의 미망인과 결혼하여 나블루스 영지를 받았으며, 보두앵 4세와 5세의 섭정을 지지하고 예루살렘 방어에 힘쓰다 1193년에 사망했다.
  • 1143년 출생 - 니조 천황
    니조 천황은 고시라카와 천황의 아들로, 헤이지의 난을 겪으며 상황과의 정치적 대립 속에서 친정을 시도했으나 요절한 일본의 제78대 천황이다.
  • 12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알렉산더 1세 (스코틀랜드)
    맬컴 3세와 웨식스의 마가렛의 아들인 알렉산더 1세는 1107년부터 1124년까지 스코틀랜드를 통치하며 남부 스코틀랜드를 분봉하고 잉글랜드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정책을 펼치는 한편, 모레이 지역의 반란을 진압하고 기독교를 후원했다.
  • 12세기 스코틀랜드의 군주 - 에드거 (스코틀랜드)
    에드거는 맬컴 3세의 아들이자 1097년부터 1107년까지 스코틀랜드 왕국을 통치한 왕으로, 잉글랜드의 지원을 받아 왕위를 찬탈한 후 잉글랜드에 순종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에든버러 성을 왕궁으로 사용한 최초의 왕이다.
윌리엄 1세 (스코틀랜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윌리엄 1세 국왕의 인장
윌리엄 1세 국왕의 인장
칭호알바의 왕
별칭사자왕
중세 게일어Uilliam mac Eanric (윌리엄 막 헨리크)
게일어Uilleam an Leòmhann (윌리엄 안 레오만)
Uilleam MacEanraig (윌리엄 막에안라이그)
Uilleam Garbh (윌리엄 가르브)
로마자 표기Uilleam an Leomhann
통치
즉위1165년 12월 9일
대관식1165년 12월 24일
이전 통치자말 콜룸 4세
다음 통치자알락산다르 2세
가문
왕가둔켈드 가
왕조아살 가
개인 정보
출생1142년경
사망1214년 12월 4일 (71-72세)
사망 장소스코틀랜드, 스타링
매장지스코틀랜드, 아브로스 수도원
가족 관계
아버지헨리
어머니에이다 드 바렌느
배우자에르망가르드 드 보몽 (1186년 결혼)
자녀마가렛, 켄트 백작부인
이사벨라, 노퍽 백작부인
알락산다르 2세
Marjorie, Countess of Pembroke (마저리, 펨브로크 백작부인)
이사벨라, 워크 남작 부인 (사생아)

2. 생애 초기

윌리엄은 1142년경 할아버지인 스코틀랜드의 다비드 1세 국왕 재위 기간에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국왕의 아들인 헨리와 아다 드 바렌이었다.[3] 1152년 아버지 헨리가 사망했을 때 윌리엄은 10세 정도였으며, 이로 인해 그의 형인 말콤이 할아버지의 추정 상속인이 되었다. 윌리엄은 아버지로부터 노섬브리아 백작령을 상속받았다. 이듬해 다비드 1세가 사망했고, 윌리엄은 새 국왕인 말콤 4세의 추정 상속인이 되었다. 1157년, 윌리엄은 잉글랜드의 헨리 2세에게 노섬브리아 백작령을 잃었다.[4]

3. 치세

말콤 4세가 1165년 12월 9일 24세의 나이로 사망하면서 윌리엄 1세가 왕위에 올랐고, 1165년 12월 24일에 대관식을 치렀다.[3] 그는 형과 달리 체격이 좋고 붉은 머리에 고집이 센 성격이었다.[3] 윌리엄 1세는 노섬브리아를 앵글로-노르만족으로부터 되찾으려는 시도로 인해 통치 기간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유능한 군주였다.

윌리엄 1세는 1173년~1174년 반란에서 헨리 2세의 아들들이 주도하고 프랑스의 루이 7세가 지원한 반란의 핵심 인물이었다.[5] 1174년 알니크 전투에서 윌리엄 1세는 무모하게 영국군을 공격하다가 포로로 잡혔고, 팔레즈 조약을 통해 헨리 2세를 자신의 봉건적 상전으로 인정해야 했다.[3] 이 조약으로 스코틀랜드 교회는 잉글랜드에 복속되었고, 윌리엄 1세는 (26000GBP)를 지불해야 했다.[6][7]

팔레즈 조약의 굴욕은 갤러웨이에서 1186년까지 지속된 반란을 촉발시켰고, 덤프리스 성 건설로 이어졌다.[8] 1179년, 윌리엄 1세와 그의 형제 데이비드는 군대를 이끌고 이스터 로스로 북상하여 블랙 아일의 에더더우르와 크로마티 피르스 입구 근처의 던키스에 두 개의 성을 건설했다.[8][9] 1181년에는 던컨 2세의 후손인 도널드 메익 윌리엄이 로스를 장악하는 봉기를 일으켰으나, 1187년 윌리엄 1세가 인버네스를 되찾았다.[9]

1189년 리처드 1세가 제3차 십자군에 참여하기 위한 자금이 필요하여 (6500GBP)를 받고 팔레즈 조약을 종료하기로 동의하면서 상황이 반전되었다.[5] 윌리엄 1세는 왕국의 외곽 지역 지도자들에게 접근하여 권위를 인정받고, 모레이와 인버네스에서 반란을 종식시켰으며, 케이스네스와 서덜랜드를 왕권 아래에 두었다.[5]

윌리엄 1세는 교황 알렉산데르 3세와 세인트 앤드루스 대교구 주교 선출을 두고 갈등을 겪었으나, 교황 루키우스 3세와의 타협으로 해결했다. 1188년에는 스코틀랜드 교회가 로마에만 직접 종속된다는 교황 칙서를 얻어냈다.[5]

1194년 윌리엄 1세는 리처드 1세에게 노섬브리아를 구매하려 했으나 실패했고,[10] 1200년에는 존 왕에게 노섬브리아에 대해 경의를 표했다.[5] 1209년 존 왕이 군대를 이끌고 오자 윌리엄 1세는 막대한 금액을 약속하고 딸들을 잉글랜드 귀족과 결혼시키기로 했으며,[11] 1212년에는 알렉산더 2세와 존 왕의 딸 조안의 결혼이 성사되었다.

3. 1. 잉글랜드와의 관계

윌리엄 1세는 말콤 4세가 1165년에 사망하면서 왕위에 올랐다. 그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노섬브리아를 앵글로-노르만족으로부터 되찾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윌리엄 1세는 1152년 노섬벌랜드 백작으로 임명되었고, 조부가 스코틀랜드 영토로 획득한 잉글랜드 북부의 노섬벌랜드, 컴벌랜드, 웨스트모어랜드 3개 주를 소유했지만, 1157년 형이 잉글랜드 왕 헨리 2세의 강요에 굴복하여 3개 주를 빼앗겼기 때문에 (대신 헌팅던 백작령은 반환) 헨리 2세에 대한 원한을 품게 되었다. 1165년에 형이 미혼에 자식 없이 사망했기 때문에 왕위와 헌팅던 백작위를 계승했다.[27][28]

윌리엄 1세는 왕위에 오른 후 헨리 2세의 궁정에서 얼마간 머물렀고, 헨리 2세와 다툰 후 1168년에 프랑스와 스코틀랜드 간의 최초의 확정적인 동맹 조약(오래된 동맹)을 체결했다.[5] 1173년 헨리 2세의 차남 젊은 헨리 왕을 시작으로 왕자들이 루이 7세의 지원으로 반란을 일으켜 부자 간의 내분이 일어나자, 헌팅던 백작위를 동생 데이비드에게 양도하고 반란에 가세, 1174년 노섬벌랜드에 쳐들어갔지만, 알니크 전투에서 잉글랜드군에게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다.

이 전투에서 윌리엄 1세는 무모하게 영국군을 공격하다가 라눌프 드 글랜빌이 이끄는 헨리 2세의 군대에 의해 포로로 잡혔다.[3] 그는 뉴캐슬어폰타인, 노샘프턴, 을 거쳐 노르망디팔레즈로 이송되었다.[3] 헨리 2세는 스코틀랜드를 점령했고, 윌리엄 1세는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에 완전히 신종할 것, 스코틀랜드 남부의 성에는 잉글랜드군이 주둔할 것 등 굴욕적인 강화 (파레 조약)를 맺게 되었다. 패배로 몰수된 헌팅던 백작령은 1184년에 반환되어 데이비드에게 재양도되었지만, 외교에서는 잉글랜드에 대한 예속상태에 놓이게 되었다.[29]

윌리엄 1세는 몸값을 지불하고 왕국을 되찾기 위해 헨리 2세를 자신의 봉건적 상전으로 인정해야 했다. 또한 스코틀랜드에 대한 영국군의 점령 비용을 스코틀랜드인들에게 세금을 부과하여 지불하기로 했는데, 그 비용은 40,000 스코틀랜드 마르크 (26000GBP)와 같았다.[6] 스코틀랜드 교회 역시 잉글랜드에 복속되었다. 윌리엄은 팔레즈 조약에 서명함으로써 이를 인정했고, 그 후 스코틀랜드로 돌아갈 수 있었다.[7] 1175년 8월 10일, 그는 요크 성에서 헨리 2세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그의 종신 봉신이 되었다.[3]

1189년 헨리 2세가 사망하고 리처드 1세가 잉글랜드 왕이 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제3차 십자군 참여 자금이 필요했던 리처드 1세는 1189년 12월 5일에 10000마르크 (6500GBP)를 받고 팔레즈 조약을 종료하기로 동의했다. 이로써 윌리엄 1세는 스코틀랜드의 주권을 회복하고 잉글랜드와의 신종 관계를 해제하였으며, 잉글랜드군은 스코틀랜드에서 철수했다. (캔터베리 조약)[30]

윌리엄 1세는 1194년에 노섬브리아를 15000마르크 (9750GBP)에 구매하려고 시도했으나, 리처드 1세가 땅 안의 성들을 원했기 때문에 거절되었다.[10] 1200년, 윌리엄 1세는 노섬브리아에 대해 리처드 1세의 후계자인 존에게 경의를 표했다.[5]

13세기 첫 10년 동안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관계는 긴장 상태였다. 1209년 8월, 존 왕은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노럼 (베릭 근처)으로 진군했다. 윌리엄 1세는 막대한 금액을 약속하고,[11] 그의 장녀들을 잉글랜드 귀족과 결혼시키는 데 동의했다. 1212년 조약이 갱신되면서 존 왕은 윌리엄 1세의 유일한 적통 아들인 알렉산더 2세와 그의 장녀 조안의 결혼을 성사시켰다.

1199년 리처드 1세의 사망 후 잉글랜드 왕이 된 동생 과는 처음에는 대립했고, 존의 입장을 약화시키기 위해 교황 인노첸시오 3세를 편들었지만 1212년 존과 화해, 노섬벌랜드를 되사기 위한 교섭을 했지만 실현되지 못했다.[31]

3. 2. 내부 통치와 개혁

윌리엄 1세는 1165년 12월 24일에 즉위하여 스코틀랜드의 왕이 되었다. 그는 형 말콤 4세와 달리 강건하고 붉은 머리를 가진 인물이었다.[3] 윌리엄 1세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노섬브리아를 잉글랜드로부터 되찾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윌리엄은 1168년에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다.[5] 1174년, 알니크 전투에서 윌리엄 1세는 잉글랜드 군에 포로로 잡혔다.[3] 그는 헨리 2세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스코틀랜드 교회를 잉글랜드에 복속시키는 조건으로 풀려났다.[7] 이를 위해 팔레즈 조약을 체결했다.[7] 1175년 8월 10일, 그는 요크 성에서 헨리 2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3]

팔레즈 조약의 굴욕은 갤러웨이에서 1186년까지 지속된 반란을 일으켰다.[8] 윌리엄 1세는 군대를 이끌고 북쪽으로 진군하여 보울리와 크로마티 북쪽에 두 개의 성을 더 건설했다.[8] 1181년에는 던컨 2세의 후손인 도널드 메익 윌리엄의 봉기가 있었고, 1187년에 윌리엄 1세는 인버네스를 되찾았다.[9]

윌리엄 1세는 교황 알렉산데르 3세와 세인트 앤드루스 대교구의 주교 임명을 두고 갈등을 겪었다. 이후 교황 루키우스 3세와의 타협을 통해 갈등을 해결했다. 1188년, 교황 칙서를 통해 스코틀랜드 교회가 로마에만 직접 종속된다는 것을 확인받았다.[5]

1189년, 윌리엄 1세는 잉글랜드 왕 리처드 1세에게 10,000 마르크를 지불하고 팔레즈 조약을 종료시켰다.[5] 이후 갤러웨이, 모레이, 인버네스 등에서 반란을 진압하고 케이스네스와 서덜랜드를 왕권 아래 두었다.[5]

1194년, 윌리엄 1세는 리처드 1세에게 노섬브리아를 구매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0] 1200년, 윌리엄 1세는 잉글랜드의 존 왕에게 노섬브리아에 대해 경의를 표했다.[5]

1209년, 존 왕은 잉글랜드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노럼으로 진군했다. 윌리엄 1세는 막대한 금액을 지불하고 딸들을 잉글랜드 귀족과 결혼시키기로 약속했다.[11] 1212년, 존 왕은 윌리엄 1세의 아들 알렉산더 2세와 자신의 딸 조안의 결혼을 성사시켰다.

3. 3. 종교 정책

윌리엄 1세는 교황 알렉산데르 3세와 세인트 앤드루스 대교구 주교 선출을 두고 다툼을 벌였다. 윌리엄 1세는 자신의 사제인 휴 더 채플린을 내세웠지만, 교황은 정식으로 선출된 부제 존 스코투스를 지지했다. 1181년 알렉산데르 3세가 사망한 후, 후임 교황 루키우스 3세는 휴가 주교직을 얻고 존이 던켈드 주교가 되는 타협안에 동의했다. 1188년 윌리엄 1세는 스코틀랜드 교회가 로마에만 직접적으로 종속된다고 선언하여 잉글랜드 대주교가 주장한 우월성에 대한 주장을 거부하는 교황 칙서를 얻었다.[5]

1192년 로마 교황 첼레스티노 3세와 교섭하여 스코틀랜드 교회를 잉글랜드의 캔터베리 대주교로부터 독립시키고, 자체 교회 조직을 갖는 데 성공했다.[31]

4. 결혼과 후계자

1186년, 잉글랜드 왕 헨리 1세의 서손녀인 Ermengarde de Beaumont|보몽의 에르몽가르드영어와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출생-사망배우자비고
마가렛1193년 - 1259년켄트 백작 휴버트 드 부르
이자벨라1195년 - 1253년노퍽 백작 로저 비고드
알렉산더 2세1189년 - 1249년스코틀랜드 왕
마조리1200년 - 1244년펨브로크 백작 길버트 마샬



윌리엄 1세는 결혼 외에도 2명의 애인과의 사이에서 6명의 사생아를 두었다.

애인자녀 이름출생-사망배우자비고
아담 드 하이서스마가렛생몰년 미상알느윅 영주 유스타스 드 베시
이자벨 다브넬로버트 드 런던생몰년 미상
헨리 드 갈리스리생몰년 미상스코틀랜드 왕위 계승자 패트릭 갈리슬리의 아버지
에이다 피츠윌리엄1164년경 - 1200년던바 백작 패트릭 1세
아우프리카생몰년 미상윌리엄 드 세이스코틀랜드 왕위 계승자 로저 드 맨더빌의 고조모
Isabella Mac William|이사벨라 맥 윌리엄영어1165년경 - ?아난데일 경 로버트 드 브루스의 아들 로버트, 로버트 드 로스



팔레즈 조약의 조항에 따라 헨리 2세는 윌리엄의 신부를 선택할 권한을 가졌다. 1184년 윌리엄은 헨리 2세의 궁정에 참석하여 헨리의 손녀인 작센의 하인리히 사자공과 잉글랜드의 마틸다의 딸인 작센의 마틸다와의 결혼을 요청했다. 이 제안은 교황에게 회부되었고 근친혼을 이유로 금지되었다.[3]

헨리는 대신 보몽의 에르몽가르드를 선택했는데, 그녀는 잉글랜드의 헨리 1세의 증손녀였지만 사생아였다.[12] 그들은 1186년 9월 5일 우드스톡 궁전에서 결혼했다. 에든버러 성은 그녀의 지참금이었고 헨리 2세는 4일간의 축제를 위한 비용을 지불했다. 결혼식 후 그녀는 스코틀랜드 귀족들과 글래스고 주교 조슬린의 호위를 받으며 스코틀랜드로 갔다.[12]

이 결혼은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고, 그들이 상속자를 얻기까지는 여러 해가 걸렸다.

5. 사망과 유산

윌리엄 1세는 1214년 12월 4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알렉산더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14]

윌리엄 1세의 통치는 데이비드 1세가 제시한 방침을 따랐으며, 여러 업적을 남겼다. 앵글로-프랑스 정착과 봉건화 확대, 새로운 부르크 설립(예: 1210년 퍼스),[22] 형법 명확화, 치안 판사와 보안관의 책임 확대, 무역 성장이 이루어졌다. 윌리엄 1세는 아브로스 수도원[23]을 설립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이곳은 훗날 아브로스 선언이 이루어진 장소이다. 아길 주교구는 교황 첼레스티노 3세의 스코틀랜드 교회의 교황 확정과 같은 해인 1192년경에 설립되었다.

윌리엄 1세는 생전에 "사자왕"으로 불리지는 않았으며,[24] 이 칭호는 그의 끈기 있는 성격이나 군사적 용맹함과는 관련이 없었다. 꼬리가 갈라진(queue fourchée프랑스어) 빨간 사자가 노란색 배경에 있는 그의 깃발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이 깃발은 오늘날 스코틀랜드 왕실 기(Royal Banner of Scotland)로 사용되며,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의 문장과 함께 분할되어 사용된다. 연대기 작가인 존 오브 포던은 윌리엄 1세를 "정의의 사자"라고 불렀다.

그는 1152년 노섬벌랜드 백작으로 임명되었으나, 1157년 잉글랜드 왕 헨리 2세에게 굴복하여 노섬벌랜드 등 3개 주를 빼앗긴 것에 대한 원한을 품었다. 1168년 프랑스 왕 루이 7세와 비밀 동맹을 맺어 잉글랜드에 대항했다. 1174년 알니크 전투에서 패배하여 파레 조약을 맺고 잉글랜드에 신종하는 등 굴욕을 겪었지만, 1189년 리처드 1세에게 10000마르크를 지불하고 캔터베리 조약을 체결하여 스코틀랜드의 주권을 회복했다.

1192년 로마 교황 첼레스티노 3세와의 교섭을 통해 스코틀랜드 교회를 캔터베리 대주교로부터 독립시키고 자체 교회 조직을 갖는 데 성공했다. 1212년 왕과 화해하고 노섬벌랜드를 되찾으려 했으나 실패하고, 1214년 스털링에서 사망하여 아브로스 수도원에 묻혔다.[31]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British history
[2] 기타
[3] 웹사이트 William I [known as William the Lion] (c. 1142–1214), king of Scots https://www.oxforddn[...] 2004
[4] 서적 The Scottish Antiquary, Or, Northern Notes & Queries https://books.google[...] T. and A. Constable 2024-06-17
[5] 백과사전 William of Scotland
[6] 서적 Numismata scotiæ, or A series of the Scottish coinage, from the reign of William the Lion to the Union. By Adam De Cardonnel, member of the [[Antiquarian|antiquarian society]] of Edinburgh, Edinburgh, MDCCLXXXVI 1786
[7] 서적 The acts of William I, King of Scots, 1165-1214 https://archive.org/[...]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71
[8] 서적 Scotland's Northwest Frontier: A Forgotten British Borderland https://books.google[...] Troubador Publishing Ltd
[9] 서적 The intelligent traveller's guide to historic Scotland https://books.google[...] Congdon & Weed 1986
[10] 서적 Richard Yale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BBC - History - British History in depth: King John, the Lusignan Affair and the Early Years https://www.bbc.co.u[...] 2024-09-14
[12] 웹사이트 Ermengarde [Ermengarde de Beaumont] (d. 1233), queen of Scots, consort of William I https://www.oxforddn[...] 2004
[13] 웹사이트 Margaret, countess of Kent (1187x95–1259), princess https://www.oxforddn[...] 2004
[14] 웹사이트 Alexander II (1198–1249), king of Scots https://www.oxforddn[...] 2004
[15] 서적 Scotland: The Making of the Kingdom. Oliver & Boyd 1975
[16] 웹사이트 Eustace de Vesci http://magnacarta800[...] 2013-05-13
[17] 서적 Scotland: The Making of the Kingdom. Oliver & Boyd 1975
[18] 기타 The Scots Peerage 1904
[19] 웹사이트 Patrick, fourth earl of Dunbar (d. 1232), magnate https://www.oxforddn[...] 2004
[20] 웹사이트 Robert de Ros http://magnacarta800[...] 2013-06-24
[21] 웹사이트 William I of Scotland ('WiIliam the Lion'), about 1143 - 1214 https://www.national[...] 2024-09-14
[22] 뉴스 Historic royal charter restored http://news.bbc.co.u[...] 2024-09-14
[23] 뉴스 The history of Arbroath Abbey http://news.bbc.co.u[...] 2024-09-14
[24] 논문 The Posthumous Reputation of King William the Lion of Scotland https://www.jstor.or[...] 1978
[25] 기타
[26] 기타
[27] 기타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31]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