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리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리 3세는 모스크바 공국의 다닐 알렉산드로비치의 아들로, 1303년 아버지로부터 모스크바를 물려받았으며 이반 1세의 형이었다. 그는 블라디미르 대공 자리를 두고 미하일 야로슬라비치와 경쟁했고, 킵차크 칸국과의 관계를 통해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려 했다. 1318년 블라디미르 대공이 되었으나, 드미트리 미하일로비치와의 갈등으로 인해 1322년 징세권을 빼앗겼다. 이후 킵차크 칸국의 사라이에서 재판을 받기 전 드미트리에게 살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81년 출생 - 루돌프 1세 (보헤미아)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 루돌프 1세는 독일 왕 알브레히트 1세의 아들로, 1306년부터 1307년까지 보헤미아 왕으로 재위했으나 귀족들의 반발과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짧고 혼란스러운 통치를 마쳤으며, 그의 죽음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보헤미아 왕위 획득 시도를 좌절시키고 왕국 내 혼란을 야기했다.
  • 1281년 출생 - 제3대 랭커스터 백작 헨리 플랜태저넷
    제3대 랭커스터 백작 헨리 플랜태저넷은 헨리 3세의 손자이자 잉글랜드 귀족으로, 에드워드 2세 폐위 과정에서 왕비 이사벨라를 지지했으며, 에드워드 3세 치세에서 섭정 위원회 수장 등을 역임했고, "Wryneck"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다.
  • 1325년 사망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 1325년 사망 - 기야스 알딘 투글루크
    기야스 알딘 투글루크는 1320년에 델리 술탄국을 세운 투글루크 왕조의 창시자이며, 몽골과의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쿠스라우 칸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켜 권력을 잡은 후 투글라카바드 요새 건설을 시작했으나, 1325년 벵골 원정 후 델리로 귀환하던 중 사망했다.
  • 모스크바 대공 - 드미트리 돈스코이
    드미트리 돈스코이는 킵차크 칸국 군대를 쿨리코보 전투에서 격파하여 '돈스코이' 칭호를 얻고 모스크바 크렘린을 건설했으며 몽골의 침입에 맞서 싸운 모스크바 대공이자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사후 정교회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모스크바 대공 - 바실리 3세
    바실리 3세는 이반 3세의 아들로서 영토 확장 정책을 펼쳐 프스코프 공화국 등을 병합하고 스몰렌스크를 점령했으며, 차르 칭호와 이중두상 독수리를 채택하고 후계자를 얻기 위해 재혼 후 이반 4세를 낳았으며, 승천 교회를 건립하고 농양으로 사망하기 전 수도승이 되었다.
유리 3세
기본 정보
이름유리 1세
로마자 표기Yuri I
다른 이름유리 다닐로비치
러시아어 표기Юрий (Георгий) Данилович
짧은 러시아어 표기Юрий III
한국어 (러시아어 음차)유리 3세
통치
모스크바 공작1303년 – 1325년
블라디미르 대공1318년 – 1322년
모스크바 공국의 계승자다니일 알렉산드로비치
모스크바 공국의 후계자이반 1세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계승자미하일 야로슬라비치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후계자드미트리 미하일로비치
생애
출생1281년
출생지모스크바, 모스크바 공국, 블라디미르-수즈달
사망1325년 11월 21일 (44–45세)
가족
아버지다니일 알렉산드로비치
배우자콘차카 (쿤체크)
종교
종교러시아 정교회
왕조
가문류리크 가문
왕조류리크 왕조

2. 생애

모스크바 공국의 다닐 알렉산드로비치의 아들이자 이반 1세의 형이다. 1303년 아버지 다닐로부터 모스크바를 물려받았고, 1318년부터 1322년까지 블라디미르 대공을 역임했다.

1313년 킵차크 칸국우즈베크 칸에게 인질로 잡혔으나, 사라이에서 정치적 역량을 강화했다. 1315년 블라디미르로 돌아와 1318년 우즈베크 칸에게서 블라디미르 대공 칭호를 받았다.

1318년 니제고로드 공국 원정에 나섰지만 미하일에게 패하고 노브고로드로 도주했다. 그러나 사라이에서 미하일의 죄상을 폭로하여 1318년 11월 22일 미하일을 처형되게 했다.

1318년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즉위했지만 노브고로드에서 정치적 입지를 강화했다. 1322년 우즈베크 칸은 노브고로드에 원정군을 파병했고, 유리 3세는 노브고로드로 피신했다. 드미트리 미하일로비치는 우즈베크 칸에게서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징세권을 획득했다. 한편 유리 3세는 우즈베크 칸에게 바칠 세금을 싣고 사라이로 가던 중 세금을 약탈당했다.

1325년 사라이로 소환된 유리 3세는 우즈베크 칸에게 용서를 구했고, 킵차크 칸국도 그를 용서했다. 그러나 미하일을 증오하던 드미트리는 재판 직전 유리를 살해했다.

2. 1. 초기 생애

모스크바 공국의 다닐 알렉산드로비치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이반 1세의 형이다.[4] 1303년 아버지 다닐이 사망하자 모스크바 공작위를 계승했다. 역사에 기록된 그의 첫 행동은 1303년 블라디미르 대공 안드레이 3세의 페레슬라블잘레스키 공격을 저지한 것이었다.

2. 2. 트베리 공국과의 갈등

모스크바 대공국다닐 알렉산드로비치 공작의 아들인 유리 3세는 1303년 아버지 다닐로부터 모스크바를 물려받은 후, 트베리 공국의 미하일블라디미르 대공 자리를 놓고 경쟁했다. 1304년 킵차크 칸국의 톡타 칸이 미하일을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임명하자, 유리 3세는 이에 불복하고 1305년과 1308년에 미하일에게 군사적으로 대항했다. 트베리 군대는 페레슬라블과 모스크바를 포위하기도 했다.

한편, 유리 3세는 랴잔 공국의 콘스탄틴 공작을 살해하고 콜롬나 요새를 모스크바에 병합했으며, 스몰렌스크 공국에게서 모자이스크를 점령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1314년, 유리 3세는 모스크바 대주교 표트르의 지지를 확보하고 노브고로드와 동맹을 맺어 트베리에 대항할 기반을 마련했다.[4]

2. 3. 킵차크 칸국과의 관계

1315년, 유리 3세는 킵차크 칸국으로 건너가 2년간 머무르며 우즈베크 칸과 동맹을 맺었다.[4] 우즈베크 칸의 여동생 콘차카와 결혼했고,[4]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임명받았다.[4] 콘차카는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며 아가피아라는 세례명을 받았다.[4] 킵차크 칸국의 지원을 받아 트베리로 진격했으나 패배했고, 형제 보리스와 아내 콘차카가 포로로 잡혔다.[4] 콘차카가 트베리에서 사망하자,[4] 유리 3세는 미하일이 독살했다고 주장하여 1318년 11월 22일 미하일을 처형되게 만들었다.[4]

2. 4. 블라디미르 대공 재위와 최후

1319년, 유리 3세는 수즈달로 돌아와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즉위했지만, 다른 공작들과 백성들은 그의 대공 임명이 정당하지 않다고 여겨 격렬하게 저항했다.[2] 그는 킵차크 칸국에 바칠 공물을 징수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많은 반대에 직면했다.[2] 우즈베크 칸은 유리 3세의 재위 마지막 2년(1320~1322년) 동안 공동 권위를 강요하기 위해 루스 북동부 공국에 최소 네 차례의 징벌 원정을 보냈다.[2] 특히 미하일 야로슬라비치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드미트리 미하일로비치는 여전히 그에게 저항했다.[2]

1322년, 드미트리는 사라이로 가서 유리 3세가 킵차크 칸국에 바쳐야 할 공물의 상당 부분을 가로챘다고 우즈베크 칸에게 모함했다.[2] 우즈베크 칸은 드미트리에게 블라디미르 대공의 특허장을 수여했다.[2]

1325년, 유리 3세는 재판을 위해 킵차크 칸국의 사라이로 소환되었으나, 재판이 시작되기 전에 드미트리에게 암살당했다.[2] 8개월 후, 드미트리 또한 킵차크 칸국에서 처형되었다.[2] 1326년 초, 유리 3세의 유해는 모스크바로 반환되어 러시아 정교회의 표트르 대주교의 주도로 매장되었다.[3]

2. 5. 노브고로드와의 관계 및 스웨덴과의 전쟁

유리 3세는 노브고로드 군대를 이끌고 스웨덴과 싸워 네바강 어귀에 요새를 건설했다.[2] 1323년 오레호보 조약(노테보리 조약)을 체결한 후, 동쪽으로 계속 진군하여 같은 해 벨리키 우스튜그를 정복했다.[4]

3. 유산

1325년 킵차크 칸국의 사라이에서 우즈베크 칸에게 용서를 받았으나, 아버지 미하일 야로슬라비치를 증오하던 드미트리 미하일로비치에게 재판 직전에 살해되었다.[4] 유리 3세의 죽음 이후, 모스크바 공국의 공위는 그의 동생 이반 1세가 계승했다.

이반 1세의 통치는 모스크바 공국의 성장과 몽골 지배 하 루스 제후국 간 권력 투쟁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특히, 트베리 공국과의 경쟁은 모스크바 공국이 이후 루스 지역의 패권을 장악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서적 Russia: a reference guid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Facts On File 2004
[2] 논문 "Princely Executions in the Horde 1308-1339" 1988
[3] 서적 The Emergence of Moscow, 1304-1359 https://www.ucpress.[...] Univ of California Press 2022-09
[4] 논문 "Princely Executions in the Horde 1308-1339"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