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능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능민은 1927년 평안남도 중화군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퍼듀 대학교에서 유기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방부 과학기술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1969년부터 1993년까지 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이과대학 학장, 대한화학회 회장, 한국과학재단 이사, 유기반응연구센터 소장 등을 역임했다. 유기화학 분야의 연구 업적과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1983년 국민훈장 목련장, 1990년 대한민국과학기술상, 1993년 대한민국학술원상, 1995년 인촌상을 수상했다. 2009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이학부 동문 - 허원제
허원제는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국제신문 기자로 시작하여 KBS, SBS 등에서 기자로 활동했으며,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을 거쳐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이학부 동문 - 정근모
정근모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물리학자이자 과학기술정책가로서, 주요 과학기술 기관 설립을 주도하고 과학기술처 장관 등을 역임하며 국내 기초연구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한국형 원전 표준 설계 사업을 주도하여 원자력 기술 자립에 기여했다. - 퍼듀 대학교 동문 - 데니스 홍
데니스 홍은 한국계 미국인 로봇 공학자이자 UCLA 교수 겸 로봇 연구소 소장으로, 시각장애인 운전 자동차, 휴머노이드 로봇, 재난 구조 로봇 개발 등 로봇 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이루었으며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다. - 퍼듀 대학교 동문 - 유진 서넌
유진 서넌은 미국의 우주비행사로, 해군 조종사, NASA 우주비행사, 아폴로 17호 선장으로 활동하며 달에 착륙한 마지막 인류가 되었다. - 유기화학자 - 레오폴트 루지치카
크로아티아 출신 스위스 과학자 레오폴트 루지치카는 테르펜, 스테로이드 연구, 이소프렌 규칙 제창, 호르몬 합성, 거대 고리 화합물 증명 등 유기화학에 기여하여 193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유기화학자 -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블라디미르 프렐로그는 입체화학에 기여한 크로아티아계 화학자로, 아다만탄 최초 합성, 트뢰거 염기 거울상 이성질체 분리, CIP 체계 개발, 칸-잉골드-프렐로그 순위 규칙 확립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197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윤능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윤능민 |
한자 표기 | 尹能民 |
일본어 표기 | ユン・ヌンミン |
출생 | 1927년 11월 21일 |
출생지 | , 평안남도 중화군 |
사망 | 2009년 4월 1일 (향년 81세) |
학력 | |
모교 | 서울대학교 |
박사 학위 | 퍼듀 대학교 |
지도 교수 | 허버트 브라운 |
경력 | |
직장 | 서강대학교 |
소속 | 대한민국 학술원 |
수상 | |
훈장 | 목련장 |
수상 | 대한민국 학술원상 |
수상 | 인촌상 |
수상 | 대한민국 과학상 (과학) |
2. 생애
1927년 10월 21일 평안남도 중화군에서 태어났다. 1947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예과에 입학하여 1951년 동 대학 화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국방부 과학기술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다가 미국 퍼듀 대학교로 유학하여 허버트 찰스 브라운에게 배우고, 1968년 유기화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69년부터 1993년까지 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1977년부터 1982년까지는 서강대학교 이과대학장을 지냈다. 1977년부터 2001년까지 대한화학회 이사, 간사장, 감사, 부회장을 거쳐 회장을 역임하였고, 1986년부터 1991년까지 한국과학재단 이사, 1990년부터 2001년까지 유기반응연구센터 소장을 역임했다. 『유기화학』, 『일반화학』, 『수소화붕소와 유기붕소화합물』, Introductory Organic Experiment영어, 『현대과학의 제문제』, 『현대유기화학』 등의 저서와 번역서를 남겼다.[5] 아들 윤기종은 단국대학교 공학과 교수를 지냈다.[5] 2009년 4월 1일 지병으로 향년 8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6]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1947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예과에 입학했고 1951년 동 대학의 화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한국 국방부의 과학기술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다가, 미국의 퍼듀 대학교로 유학하여 허버트 찰스 브라운 아래에서 수학하고 1968년 유기화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5] 1969년부터 1993년까지 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2. 2. 서강대학교 교수 재직
1969년부터 1993년까지 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1977년부터 1982년까지는 서강대학교 이과대학장을 지내기도 하였다.[5]2. 3. 학회 및 연구 활동
1977년부터 2001년까지 대한화학회에서 이사, 간사장, 감사, 부회장을 거쳐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1986년부터 1991년까지 한국과학재단 이사로 활동했다.[5] 1990년부터 2001년까지는 유기반응연구센터 소장을 역임했다.[5]2. 4. 저술 활동
Introductory Organic Experiment영어』, 『현대과학의 제문제』, 『현대유기화학』, 『유기화학』, 『일반화학』, 『수소화붕소와 유기붕소화합물』 등의 저서와 번역서를 남겼다.[5]2. 5. 가족
아들 윤기종은 단국대학교 공학과 교수를 지냈다.[5]2. 6. 사망
2009년4월 1일 지병으로 향년 8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6]3. 연구 업적
4. 수상 경력
참조
[1]
웹사이트
Yoon Nung-min at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Korea (Korean)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Department of Chemistry, Sogang University.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부고] 유기합성 석학 윤능민 박사"
https://news.joins.c[...]
2009-04-03
[4]
웹사이트
학술원 회원 윤능민 박사 별세
http://news.kmib.co.[...]
2021-05-19
[5]
웹인용
윤능민(尹能民)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
2019-01-09
[6]
뉴스
(부고) 유기합성 석학 윤능민 박사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