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화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군은 황해북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동서로 긴 지형을 가지며 평양평야의 일부를 포함한다. 기후는 한서의 차가 크고 연강수량은 약 944mm이다. 이 지역은 고구려 시대에는 가화압으로 불렸으며, 고려 시대에는 중화현으로 설치되어 1322년에 중화군으로 승격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평안도에 소속되었고, 임진왜란 이후 도호부로 승격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상원군을 편입하는 등 행정 구역 개편이 있었으며, 해방 이후 북한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현재 1읍 16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이 주 산업이다. 평부선 철도와 평양-원산 관광도로 등 교통 요충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북도의 군 - 평산군
    평산군은 황해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멸악산맥과 례성강이 지나고, 고구려 시대에는 대곡군으로 불렸으며, 신숭겸과 유금필의 본관이며, 우라늄 제련 시설 관련 논란이 있었고, 평부선, 청년이천선, 평양-개성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지역이다.
  • 황해북도의 군 - 황주군
    황주군은 황해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벼농사가 성행하고 철광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평부선과 송림선이 지나가고 정방산성 등 명승고적이 있는 지역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중화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정보
좌표38° 51′ 33″ N, 125° 49′ 44″ E
일반 정보
명칭중화군
한자 표기中和郡
로마자 표기Junghwa-gun
McCune-Reischauer 표기Chunghwa-gun
국가북한
황해북도
면적232.4 km²
인구 (2008년)77,367명
인구 밀도332.9 명/km²
행정 구역
종류행정 구역
구성1읍 16리

2. 위치와 지형

황해북도 북부에 위치하며 동쪽에 상원군, 서쪽에 강남군, 남쪽에 황주군서흥군, 북쪽에 평양직할시 력포구역, 사동구역이 있다. 북으로는 대동군강동군, 동으로는 황해도수안군 및 강서군과 면하고 있다.[7]

동쪽은 산지 구릉들이 분포하는 카르스트 지형을 이루며, 서쪽은 곤양강이 개석하여 곳곳에 잔구(殘丘)가 전개되는 평양평야의 일부 지대를 이룬다. 정이산, 해압산 등은 모두 모식적인 잔구들이다. 평양직할시에 속해 있던 시기에는 그 남부에 위치했으며, 동서 길이는 26km, 남북 길이는 10km로, 동서로 길쭉한 군역을 가진다.[7]

2. 1. 지형

황해북도 북부에 있으며 동쪽에 상원군, 서쪽에 강남군, 남쪽에 황주군서흥군, 북쪽에 평양직할시 력포구역, 사동구역이 있다.

동쪽은 산지 구릉들이 분포하는 카르스트 지형을 이루며, 서쪽은 곤양강이 개석하여 곳곳에 잔구(殘丘)가 전개되는 평양평야의 일부 지대를 이룬다. 정이산, 해압산 등은 모두 모식적인 잔구들이다.[7]

군역 대부분은 평양준평원에 속하며, 지세는 평탄하다. 군 동부에는 마장산(馬場山, 340m), 무등산(無等山, 240m), 청룡산(青龍山, 195m) 등이 있다. 군내에는 중앙부에 곤양강(昆陽江), 북동부에 무진천(戊辰川)이 흐르고 있다. 중요한 농업 시설로는 명월(明月) 저수지와 마장(馬場) 저수지가 있다.[7]

2. 2. 수계

중화군의 동서 길이는 26km, 남북 길이는 10km로, 동서로 길쭉한 군역을 가진다.[7] 군역 대부분은 평양준평원에 속하며, 지세는 평탄하다. 군 동부에는 마장산(馬場山, 340m), 무등산(無等山, 240m), 청룡산(青龍山, 195m) 등이 있다. 군내에는 중앙부에 곤양강(昆陽江), 북동부에 무진천(戊辰川)이 흐른다. 중요한 농업 시설로는 명월(明月) 저수지와 마장(馬場) 저수지가 있다.

3. 기후

연평균 기온은 10.3°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9.4°C, 8월 평균 기온은 26.3°C이다. 최저 기온은 -28.8°C(1939년 1월), 최고 기온은 38.5°C(1944년 7월)이며, 연 강수량은 약 944mm이다. 한서의 차가 심하여 한반도 소우 지역의 하나가 되고 있다.[1]

4. 역사

1895년, 23부제 시행에 따라 평양부 소속 중화군이 되었다. 이듬해인 1896년 13도제가 도입되면서 평안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4. 1. 고대 ~ 조선 시대

이 지역은 원래 낙랑군 땅이었다가 고구려 시대에는 '가화압'으로 불렸다. 통일 신라에서는 한주에 속했고, 헌덕왕 시대에 당악현이 되었다.

고려에서는 당악현을 당악촌으로 고쳐 서경에 소속시켰지만, 1136년 묘청의 난 이후 행정 기구를 재편하면서 '서경 육현' 중 하나로 중화현을 설치했다. 1322년, 중화군으로 승격되었다.

조선 시대인 1413년, 중화군은 평안도에 소속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에서의 군민의 항전이 공적으로 인정되어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4. 2. 일제강점기

1914년 일제는 행정 구역을 대규모로 통폐합하면서 동쪽에 인접한 상원군을 중화군에 편입시켰고, 면(面)도 통폐합하였다. 당시 중화군은 15개 면(왼쪽이 기존 중화군, 오른쪽이 기존 상원군)으로 구성되었다.[8]

valign="top" |valign="top" |



1929년 4월 1일 고생양면(古生陽面)이 중화면·동두면에, 상도면(上道面)이 풍동면에, 하도면(下道面)이 상원면에, 배화면(培和面)이 간동면에 합쳐졌다.[11]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고생양면 어부산리, 빙장리, 사룡리, 충의리, 묵성리, 장원리중화면 일부
고생양면 서옥리, 대류리, 서가리, 다기장리, 조양리동두면 일부
상도면 일원풍동면 일부
하도면 일원상원면 일부
배화면 일원간동면 일부



1930년에는 면을 다시 조정하여, 배화면은 간동면에, 상도면은 풍동면에, 하도면은 상원면에 편입되었고, 고생양면은 중화면과 동두면으로 분할 편입되어 총 11개 면이 되었다.

4. 3. 해방 이후 ~ 현재

1914년에 상원군을 합쳤으며 1929년 4월 1일 고생양면(古生陽面)이 중화면·동두면에, 상도면(上道面)이 풍동면에, 하도면(下道面)이 상원면에, 배화면(培和面)이 간동면에 합면되었다.[11]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고생양면 어부산리, 빙장리, 사룡리, 충의리, 묵성리, 장원리중화면 일부
고생양면 서옥리, 대류리, 서가리, 다기장리, 조양리동두면 일부
상도면 일원풍동면 일부
하도면 일원상원면 일부
배화면 일원간동면 일부



1947년, 대동군의 청룡면, 율리면, 룡연면, 남곶면을 편입하고, 청룡면과 풍동면을 강동군으로 이관하여 13면이 되었다.

1952년 12월, 북한의 지방 행정 구역 재편에 따라 동부의 상원면, 수산면, 천곡면, 간동면을 상원군으로, 서부의 당정면, 신흥면, 해압면, 양정면, 남곶면을 강남군으로 분리했다. 남은 중화면, 동두면, 율리면, 룡연면을 중심으로 중화군(1읍 20리)이 재편성되었다. 중화읍은 구 중화면에 설치되었다.

1963년에 평양직할시에 편입되었다.[7]

2010년경부터, 평양직할시가 축소되어 중화군 등 남부·동부 교외의 군 및 구역이 황해북도에 이관되었다는 보도가 나오기 시작했다. 2011년 2월 15일에 대한민국 통일부상원군, 강남군, 중화군, 승호구역이 황해북도로 이관되었다고 발표했다. 다만, 이 발표 내용에 대해서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으며, 일본의 아시아경제연구소 도서관에서는 중화군의 이관에 대해 "확실하지 않다"라고 하고 있다.[9]

5. 행정 구역

중화군은 1읍 16리로 구성되어 있다.[3][7]

중화읍관봉리, 삼성리, 백운리, 진광리, 건산리, 동산리, 금산리, 장산리, 명월리, 채송리, 마장리, 룡산리, 어룡리, 충룡리, 삼흥리, 물동리


6. 산업

농업이 주 산업인 근교 농업 지대이다. 군 서부에서는 쌀이 생산되고, 군 동부에서는 옥수수, 콩 등의 잡곡류가 생산된다. 이 외에도 담배, 면화, 과일 재배도 활발하다. 동부 산지 지역은 석회암 지역으로 경지가 적고, 서부의 황주평야 일부 지역은 관개 수리가 잘 되어 있어 논농사가 잘 되며 쌀, 조, 콩, 팥, 명화, 사과, 모밀, 고구마도 많이 산출된다. 양잠업과 석회암, 철광석의 매장도 알려져 있다.

7. 교통

평양 남쪽에 위치하며, 평부선을 비롯한 중요한 교통로가 통과한다.


  • 평부선
  • * 중화역
  • 고속도로
  • * 평양-원산 관광도로


이 외에도 평양과 개성을 잇는 1급 도로가 군내를 관통하고 있다. 중화-강남, 중화-력포, 중화-상원에는 2급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7]

8.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DPR Korean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8 Population Census http://unstats.un.or[...] DPR Korean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9-00-00
[2] 뉴스 Pyongyang now more than one-third smaller; food shortage issues suspected http://www.asahi.com[...] 2010-07-17
[3] 웹사이트 중앙일보 - 아시아 첫 인터넷 신문 http://nk.joins.com/[...]
[4] 웹사이트 DPR Korean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8 Population Census http://unstats.un.or[...]
[5] 문서 면적 정보 (출처: 북한 지역 정보넷·행정 구역 정보관)
[6] 문서 인구 정보 (출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산출 기관 불명)
[7] 웹사이트 북한 지역 정보넷·행정 구역 정보관 중화군 http://www.cybernk.n[...]
[8] 웹사이트 북한 지역 정보넷·행정 구역 정보관 중화군 http://www.cybernk.n[...]
[9] 웹사이트 朝鮮行政区域変更に関する韓国統一部の発表について http://crd.ndl.go.jp[...] 日本貿易振興機構アジア経済研究所図書館 2011-02-15
[10] 웹사이트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11] 법규 도령 제7호 면의 명칭 및 구역 (개정 1929년 3월 25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