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병대기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을병대기근은 1695년(숙종 21년)에 발생한 자연재해로, 극심한 가뭄과 잦은 서리, 우박, 폭우, 해일, 지진 등 이상 기후 현상이 4월부터 8월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조선 조정은 기우제를 지내고 군량미를 풀어 백성을 구휼했으나, 이로 인해 흉년이 들고 쌀값이 폭등하여 당시 조선 사회에 큰 타격을 주었다.
1695년(숙종 21년)은 조선 전역에 걸쳐 다양한 자연재해가 발생한 해였다. 4월에는 극심한 가뭄[2]과 함께 강계 등 여러 지역에서 서리[3][4]와 우박[6][7]이 내렸고, 월식[5]도 있었다. 조정에서는 이러한 자연재해에 대응하여 사면령을 내리고[8] 기우제를 지냈다.[9][10][11]
2. 1695년 을해년의 자연재해
5월에는 강원도 평창, 함경도 길주 등에서 서리와 우박 피해[12][13]가 발생했고, 평안도와 함경도 단천, 산수군 등지에서는 소나기와 얼음, 우박이 섞여 내렸다.[14][15] 조정은 기우제를 지내고 군량미를 풀어 백성을 구휼하였다.[16][17][18][19][20]
6월에는 강계에서 눈과 서리[21]가 내렸고, 평안도 영원에는 흙비[22], 황해도 해주에는 우박[23]이 내렸다. 황해도에는 폭풍우[24]가 발생했고, 충청도 당진, 서천에는 해일[25]이 일어났다.
7월에는 흉년과 함께 바다 인근 지역에 해손(바다 피해)이 발생했다.[26] 영제를 지낸 후 비가 그쳤으나[27], 황해도와 평안도에서는 황충이 발생했고, 진주에서는 눈이 9cm 정도 쌓였다.[28] 서산 등지에서 지진[29][30]이 발생했고, 충청도에서는 폭우가 쏟아졌다.[31] 경기, 충청도, 전라도, 평안도의 여러 고을에 서리가 내렸다.[32]
8월에는 평안도 성천과 양덕에 우박 피해[33][34]가 발생했고, 전라도 정읍 등지에서 지진[35]이 발생했다. 추수기에도 곡식 가격이 폭등하여 쌀 한 말의 가격이 50전이었고, 이듬해인 1696년 봄에는 200전까지 올랐다.[36]
2. 1. 4월
4월에는 극심한 가뭄[2]이 계속되었다. 8일 강계에서 서리가 내렸고,[3] 13일에는 여러 도에서 서리가 내리고 17일까지 한랭한 날씨가 이어졌다.[4] 16일에는 월식이 있었다.[5] 21일 평안도 강계 등지에 우박이 내렸고,[6] 23일에는 경기도, 충청도, 평안도 지역에서 밤마다 서리가 내렸으며, 평안도 은산 지역에서는 바람을 동반한 우박이 내렸다.[7] 조정에서는 이러한 자연재해에 대응하여 사면령을 내리고[8] 세 차례 기우제를 지냈다.[9][10][11]
2. 1. 1. 4월 8일
극심한 가뭄[2]에 이어 4월 8일에는 강계에서 서리가 내렸다.[3]
2. 1. 2. 4월 13일
여러 도에서 서리가 내렸고 17일까지 한랭한 날씨가 지속되었다.[4]
2. 1. 3. 4월 16일
16일에 월식이 있었다.[5]
2. 1. 4. 4월 21일
평안도 강계 등지에 우박이 내렸다.[6]
2. 1. 5. 4월 23일
1671년(현종 12년) 4월 23일, 경기도, 충청도, 평안도 지역에 밤마다 서리가 내렸고, 평안도 은산 지역에서는 바람을 동반한 우박이 내렸다.[7]
2. 2. 5월
5월에는 강원도 평창과 함경도 길주 등에서 서리와 우박 피해가 발생했다.[12][13] 평안도와 함경도 단천, 산수군 등지에서는 소나기와 얼음, 우박이 섞여 내렸다.[14][15] 이에 조정은 여러 차례 기우제를 지내고 군량미를 풀어 백성을 구휼하였다.[16][17][18][19][20]
2. 2. 1. 5월 2일
五月중국어 2일, 강원도 평창에 서리가 내렸다.[12]
2. 2. 2. 5월 7일
함경도 길주에서 새알만 한 우박이 내렸다.[13]
2. 2. 3. 5월 12일
平壤道중국어에 서리가 내렸고, 咸鏡道중국어에서는 소나기와 얼음 우박이 쏟아졌다.[14]
2. 2. 4. 5월 15일
咸鏡道중국어 단천, 산수군 등지에서 폭우와 얼음, 우박이 섞여 내렸다.[15]
2. 3. 6월
6월에는 강계에서 눈과 서리가 내리고, 평안도 영원에 흙비가 쏟아졌으며, 황해도 해주에서 우박이 쏟아졌다. 또한 황해도에 폭풍우가 발생하고, 충청도 당진, 서천에 해일이 일어나는 등 자연재해가 잇따랐다.[21][22][23][24][25]
2. 3. 1. 6월 11일
강계에서 눈과 서리가 내렸다.[21]
2. 3. 2. 6월 14일
평안도 영원에 흙비가 쏟아졌다.[22]
2. 3. 3. 6월 16일
황해도 해주에서 우박이 쏟아졌다.[23]
2. 3. 4. 6월 26일
황해도에 폭우와 광풍이 발생해서 나무가 부러지고 가옥이 무너졌다.[24]
2. 3. 5. 6월 29일
충청도 당진, 서천에 해일이 일었다.[25]
2. 4. 7월
이 해 가을에 크게 흉년이 들었고, 바다 인근 지역은 해손(바다 피해)도 입었다.[26]
2. 4. 1. 7월 6일
이날 영제를 지냈고, 3일 후 비가 그쳤다.[27]
2. 4. 2. 7월 7일
7일 제도에 우박이 내렸으며, 황해도와 평안도에서는 황충이 발생했고, 진주에서는 눈이 9cm 정도 쌓였다.[28]
2. 4. 3. 7월 13일
13일에는 지동이 있었고 서산 등지에서 지진이 발생했으며, 충청도에서는 6월 25일부터 거센 바람과 함께 폭우가 쏟아졌다.[29][30][31]
2. 4. 4. 7월 28일
경기, 충청도, 전라도, 평안도의 여러 고을에 8월 초2일까지 서리가 내렸다.[32]
2. 5. 8월
1695년 8월 1일, 평안도 성천과 양덕에 우박 피해가 발생했고, 특히 양덕에는 큰 바람도 불었다. 여러 지역에 서리가 쏟아졌다.[33][34] 8월 7일에는 전라도 정읍 등지에서 지진이 발생했다.[35] 그해 8월 30일, 추수기에도 곡식 가격이 폭등하여 쌀 한 말의 가격이 50전이 되었고, 이듬해인 1696년 봄에는 쌀 한 말의 가격이 200전까지 올랐다.[36]
2. 5. 1. 8월 1일
八月朔日|8월 1일중국어, 평안도 성천과 양덕에 우박으로 인한 피해가 많이 발생했고 특히 양덕은 큰 바람도 동반하였다. 또한 제도에 서리가 쏟아졌다.[33][34]
2. 5. 2. 8월 7일
7일에는 전라도 정읍 등지에서 지진이 발생했다.[35] 그해 8월 30일, 추수기에도 곡식 값이 올라 쌀 한 말의 가격이 50전이 되었고, 이듬해인 1696년 봄에는 쌀 한 말의 가격이 200전까지 올랐다.[36]
2. 5. 3. 8월 30일
추성의 절기에 미곡 가격이 폭등하여 쌀 한 말 값이 50전이 되었고, 다음 해인 1696년 봄에는 200전이 되었다.[36]
참조
[1]
실록
숙종실록 33권, 25년(1699 기묘 / 청 강희(康熙)38년) 11월 16일 경술 4번째기사
1699-11-16
[2]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4월 1일 임진 5번째기사
1695-04-01
[3]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4월 8일 기해 1번째기사
1695-04-08
[4]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4월 13일 갑진 3번째기사
1695-04-13
[5]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4월 16일 정미 1번째기사
1695-04-16
[6]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4월 21일 임자 4번째기사
1695-04-21
[7]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4월 23일 갑인 2번째기사
1695-04-23
[8]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4월 19일 경술 2번째기사
1695-04-19
[9]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4월 21일 임자 2번째기사
1695-04-21
[10]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4월 25일 병진 1번째기사
1695-04-25
[11]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4월 30일 신유 1번째기사
1695-04-30
[12]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5월 2일 계해 1번째기사
1695-05-02
[13]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5월 7일 무진 3번째기사
1695-05-07
[14]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5월 12일 계유 1번째기사
1695-05-12
[15]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5월 15일 병자 4번째기사
1695-05-15
[16]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5월3일 갑자 2번째기사
1695-05-03
[17]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5월 7일 무진 2번째기사
1695-05-07
[18]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5월 10일 신미 3번째기사
1695-05-10
[19]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5월 11일 임신 1번째기사
1695-05-11
[20]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5월 13일 갑술 1번째기사
1695-05-13
[21]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6월 11일 신축 2번째기사
1695-06-11
[22]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6월 14일 갑진 2번째기사
1695-06-14
[23]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6월 16일 병오 1번째기사
1695-06-16
[24]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6월 26일 병진 2번째기사
1695-06-26
[25]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6월 29일 기미 2번째기사
1695-06-29
[26]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7월 1일 신유 1번째기사
1695-07-01
[27]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7월 6일 병인 1번째기사
1695-07-06
[28]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7월 7일 정묘 1번째기사
1695-07-07
[29]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계유 1번째기사
1695
[30]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계유 3번째기사
1695
[31]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7월 13일 계유 6번째기사
1695-07-13
[32]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7월 28일 무자 3번째기사
1695-07-28
[33]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8월 1일 경인 1번째기사
1695-08-01
[34]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8월 1일 경인 2번째기사
1695-08-01
[35]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8월 7일 병신 4번째기사
1695-08-07
[36]
실록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8월 30일 기미 1번째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