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령남씨가전화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령 남씨 가전화첩은 조선 시대(1392~1776) 의령 남씨 가문 인물들이 참여한 사건이나 행사를 기념하여 제작된 5개의 화첩이다. 각 화첩은 태조, 중종, 명종, 선조, 영조 시대의 사건들을 담고 있으며, 남재, 남세건, 남응운, 남이신, 남태회 등 의령 남씨 가문 인물들이 관련된 행사를 그림과 기록으로 남겼다. 이 화첩들은 회화사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특히 임진왜란 이후 효행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선묘조제재경수연도>가 주목할 만하다. 현재 <태조망우령가행도>, <중묘조서연관사연도>, <명묘조서총대시예도>, <선묘조제재경수연도>, <영묘조구궐진작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화첩은 그림의 특징과 역사적 배경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마포구의 문화유산 - 근사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58호)
    근사록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58호)은 주희와 여조겸이 편찬한 성리학 저서로, 16세기 후반에 간행된 초주갑인자 인본이며 활자 인쇄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서울 마포구의 문화유산 - 망원정 터
    망원정 터는 조선 성종 때 월산대군에게 하사된 정자에서 유래하여 한성십영으로 꼽힐 만큼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했으나, 을축년 대홍수로 유실되고 훼손되어 1989년에 조선 초기 건축 양식과 역사적 고증을 통해 복원되었으며 현재는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다.
  • 홍익대학교 - 경성고등학교
    1967년 경성학원에 의해 설립 인가된 경성고등학교는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고등학교로, 2021년 기준 총 졸업생 수는 28,510명이다.
  • 홍익대학교 - 홍대 (지역)
    홍대(지역)는 홍익대학교를 중심으로 상수동, 서교동 일대에서 시작하여 상권 확장에 따라 동교동, 합정동 등으로 넓어졌으며, 인디 음악, 예술, 다양한 문화 행사, 드라마 촬영 등으로 유명하다.
  • 조선의 그림 - 청양 모덕사 최익현 초상
    청양 모덕사 최익현 초상은 채용신이 1909년에 이모한 작품으로, 73세 최익현의 오사모와 단령 차림의 전신좌상이며, 구한말 유학자의 풍모를 형상화한 작품으로 모덕사에 소장되어 최익현의 삶과 정신을 기리고 채용신의 초상화 기법을 보여준다.
  • 조선의 그림 - 몽유도원도
    1447년 안견이 안평대군의 꿈을 듣고 그린 몽유도원도는 웅장하고 신비로운 분위기의 산수화로 이곽파 화풍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현재 일본 덴리 대학에 소장되어 있다.
의령남씨가전화첩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의령남씨가전화첩
의령남씨가전화첩
국가대한민국
위치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상수동, 홍익대학교)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382
지정일2016년 4월 7일
시대조선시대
소유자홍익대학교
수량1건 5점

2. 의령 남씨 가전화첩 목록

「의령 남씨 가전화첩」은 태조년간(1392~1398)부터 영조년간(1724~1776)까지 있었던 특정 사건이나 행사에 의령 남씨 출신 인물이 관련되면서, 이를 기념하는 그림과 관련 기록을 묶어 5개의 개별 화첩으로 꾸민 것이다. 원래 한 질로 연결되어 있던 것을 후대에 각각 분리하여 5개의 화첩이 된 것이라 판단된다.

시기적으로 가장 먼저 있었던 <태조망우령가행도>는 태조가 자신의 장지(葬地)를 신하들과 함께 돌아보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이는 의령 남씨 남재(南在, 1351~1419)가 미리 준비해둔 자신의 장지를 태조 수릉(壽陵)으로 헌상하게 된 것을 영광으로 여겨 기념하는 그림을 제작한 것이다. ‘망우령(忘憂嶺)’은 태조가 남재의 장지를 다른 곳에 마련해 주면서 “군신이 모두 수지(壽地)를 갖추었으니 근심을 잊을 만하다.”며 잠시 머물렀던 곳이다. 현재 오른쪽 절반이 결실되어 있지만, 장서각 소장본을 통해 그림의 원형을 유추할 수 있다. 이 그림은 산수 배경에 인물을 배치한 전체 구도와, 배경의 산수에서 정선의 진경산수화법이 보이므로, 18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중묘조서연관사연도>는 중종이 1535년 왕세자(인종)가 『춘추』 교육을 마치자, 서연관 39명의 노고를 치하하기 위해 경복궁 근정전 앞뜰에서 베풀었던 연회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이때 의령 남씨 남세건(南世健, 1484~1552)이 승정원 우부승지(右副承旨) 겸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으로 참여하였다. 궁중행사도는 대개 좌우대칭으로 그려지는데, 연회 장면이 오른쪽으로 치우친 특이한 구도이며 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명묘조서총대시예도>는 명종이 서총대에서 거행한 문무시예(文武試藝)에서 모두 1등을 차지한 의령 남씨 남응운(南應雲, 1509~1587)이 백마와 흑마를 하사받은 다음 자랑스럽게 나서는 장면을 나타낸 것이다. 화면은 오봉병(五峰屛)을 배경으로 한 용상(龍床)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구도이며, <중묘조서연관사연도>와 화면 재질이나 화풍 등이 유사하여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선묘조제재경수연도>는 1605년 4월 의령 남씨 남이신(南以信, 1562~1608)을 포함한 13명의 재신들이 70세 이상의 노모를 모시고 삼청동 공해(公廨)에서 벌였던 경수연을 다섯 장면으로 나누어 그린 것이다. 제1면은 연회가 열리는 청사의 입구, 제2면은 음식을 준비하는 조찬소(造饌所) 주변, 제3~5면은 연회 장면으로 되어 있다. 임진왜란 이후 가족제도의 재정립이 필요하였던 상황에서 경수연은 효행의 실천을 강조하는 모범적 사례였고, 선조는 경비의 일부를 하사하기도 하였다. 이경석(李景奭, 1595~1671)의 서문에 의하면 이 그림은 원화(原畵)가 아니라 경수연에 참석했던 이문훤(李文萱, 1634~?)이 82세가 되었을 때 아들 이관(李灌)에게 다시 그리도록 하면서, 이경석과 허목의 서문을 받아 1655년 경에 화첩으로 꾸민 것이라고 한다. 이 화첩은 대각선 구도로 경수연의 장면을 다양하게 표현하여 현장감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데 중점을 둔 것이 주목된다.

<영묘조구궐진작도>는 영조가 『태조실록』을 상고하여 1767년 12월 16일 경복궁 근정전 옛 터에서 백관으로부터 소작(小酌)을 받고 있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이 의례에 참석한 진작관(進爵官)은 총 31명이며 의령 남씨 남태회(南泰會, 1706~1770)가 우참찬(右參贊)으로 동참하였다. 궁중기록화의 전형적 구도인 좌우대칭이며, 배경의 산수표현이나 색채감각 등이 <태조망우령가행도>와 거의 유사하여 행사 직후인 1767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의령 남씨 가전화첩」은 의령 남씨 출신 인물과 관련된 특정 사건이나 행사를 기념하여 그린 그림과 관련 기록이나 참석자 명단 등으로 꾸며진 5개의 화첩이다. 의령 남씨인 남재, 남세건, 남응운, 남이신, 남태회 등이 각각 참여했던 행사의 시기와, 현존하는 <태조망우령가행도>를 비롯해 <중묘조서연관사연도>, <명묘조서총대시예도>, <선묘조제재경수연도>, <영묘조구궐진작도>의 제작시기는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의령 남씨 가문의 인물이 조선 왕실과 관련한 특정 행사에 직접 참여했던 사실이 관련 기록과 행사 장면을 묘사한 화책으로, 일괄로 현전하고 있다는 점과 현존하는 유사한 사례의 작품들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회화사적으로나 역사적으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지정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2. 1. 태조망우령가행도 (太祖忘憂嶺駕幸圖)

2. 1. 1. 그림의 특징

정선의 진경산수화법이 나타나며, 18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2. 1. 2. 역사적 배경

의령 남씨 가문의 시조인 남재는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웠다. 특히 남재는 이성계가 함경도에서 한양으로 돌아올 때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설에 따르면, 남재는 자신의 장지를 태조에게 바쳤는데, 그곳은 왕이 도읍할 만한 명당이었다고 한다.

이성계는 함경도에서 한양으로 돌아오는 길에 망우령에 들렀다. 망우령에서 이성계는 한양을 바라보며 모든 근심을 잊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남재의 장지를 헌상받은 것과 연관 지어, 후세 사람들은 이 고개를 망우령이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2. 2. 중묘조서연관사연도 (中廟朝書筵官賜宴圖)

2. 2. 1. 그림의 특징

궁중 행사도로서는 특이한 구도를 가지며, 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2. 2. 2. 역사적 배경

의령 남씨 남세건은 우부승지 겸 경연참찬관을 역임하였다.

2. 3. 명묘조서총대시예도 (明廟朝瑞葱臺試藝圖)

2. 3. 1. 그림의 특징

오봉병을 배경으로 한 용상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구도를 이룬다.

2. 3. 2. 역사적 배경

남응운이 백마와 흑마를 하사받은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2. 4. 선묘조제재경수연도 (宣廟朝諸宰慶壽宴圖)

2. 4. 1. 그림의 특징

경수연의 여러 장면을 대각선 구도로 다양하게 표현하여 현장감을 살렸다.

2. 4. 2. 역사적 배경

임진왜란 이후 조선 사회는 붕괴된 가족제도를 재정립하고, 흐트러진 사회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효행을 강조하고,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의령남씨가전화첩의 제작 역시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남이신 등 여러 인물이 참여하였다. 이경석과 허목 등이 이 화첩에 서문을 작성하여 그 의미를 더했다.

2. 5. 영묘조구궐진작도 (英廟朝舊闕進爵圖)

2. 5. 1. 그림의 특징

은 궁중기록화의 전형적인 좌우대칭 구도를 따르고 있으며, 1767년경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2. 5. 2. 역사적 배경

의령 남씨 남태회가 우참찬으로 참여한 사실을 기록한다.

3. 의령 남씨 가전화첩의 가치와 의의

의령 남씨 가전화첩은 의령 남씨 가문 인물들이 조선 왕실과 관련된 특정 행사에 참여한 사실을 기록과 그림으로 남긴 것으로, 회화사적, 역사적 가치가 높다.

태조 년간(1392~1398)부터 중종 년간(1506~1544), 명종 년간(1545~1567), 선조 년간(1567~1608), 영조 년간(1724~1776)에 걸쳐 의령 남씨 출신 인물들이 참여한 행사들을 기념하는 그림과 관련 기록을 5개의 개별 화첩으로 꾸몄다. 원래 한 질로 연결되었던 것을 후대에 분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각 화첩은 태조망우령가행도(太祖忘憂嶺駕幸圖), 중묘조서연관사연도(中廟朝書筵官賜宴圖), 명묘조서총대시예도(明廟朝瑞葱臺試藝圖), 선묘조제재경수연도(宣廟朝諸宰慶壽宴圖), 영묘조구궐진작도(英廟朝舊闕進爵圖)로 구성되어 있다.


  • '''태조망우령가행도(太祖忘憂嶺駕幸圖)'''는 태조가 자신의 묘자리를 보러 가는 장면에 남재가 자신의 묘자리를 받치는 내용이다. 18세기 후반에 제작된것으로 추정된다.
  • '''중묘조서연관사연도(中廟朝書筵官賜宴圖)'''는 중종이 왕세자(인종)의 교육을 마친 기념으로 연회를 베푼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남세건이 참여했다.
  • '''명묘조서총대시예도(明廟朝瑞葱臺試藝圖)'''는 명종이 주최한 시험에서 1등을 차지한 남응운이 상을 받는 장면을 나타낸 것이다.
  • '''선묘조제재경수연도(宣廟朝諸宰慶壽宴圖)'''는 남이신을 포함한 재상들이 70세 이상 노모를 모시고 경수연을 벌인 장면을 그린 것이다. 임진왜란 이후 효행의 실천을 강조하는 모범적 사례였다.
  • '''영묘조구궐진작도(英廟朝舊闕進爵圖)'''는 영조경복궁 근정전 옛 터에서 소작을 받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남태회가 참여했다.


이 화첩들은 의령 남씨 가문 인물들이 참여한 행사의 시기와 제작 시기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조선 왕실 관련 행사에 직접 참여한 사실을 기록과 그림으로 남겼다는 점, 현존하는 유사 사례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따라서 지정문화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다.

3. 1. 회화사적 가치

3. 2. 역사적 가치

「의령남씨가전화첩」은 조선 왕실 관련 행사 기록 및 의령남씨 가문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화첩은 의령남씨 출신 인물들이 조선 왕실과 관련된 특정 행사에 직접 참여했던 사실을 기록과 그림으로 담고 있으며, 현존하는 유사한 사례의 작품들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1]

특히, 임진왜란 이후 가족제도의 재정립과 효행 강조라는 시대적 배경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 <선묘조제재경수연도>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다. 1605년 4월, 남이신을 포함한 13명의 재신들이 70세 이상의 노모를 모시고 삼청동 공해(公廨)에서 경수연을 벌였는데, 이는 효행의 실천을 강조하는 모범적 사례였다.[1] 선조는 경비의 일부를 하사하기도 하였다.[1]

화첩은 <태조망우령가행도>, <중묘조서연관사연도>, <명묘조서총대시예도>, <선묘조제재경수연도>, <영묘조구궐진작도> 등 총 5개의 개별 화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화첩은 태조, 중종, 명종, 선조, 영조년간에 있었던 특정 사건이나 행사에 의령남씨 출신 인물이 관련되면서 이를 기념하는 그림과 관련 기록을 묶은 것이다.[1]

4. 각 화첩의 크기, 재질 및 제작 시기

② 32.5×24.5
③ 32.9×24.6
④ 32.7×24.5
⑤ 32.5×23.9지본채색1655년 경5영묘조구궐진작도42.6×59.2cm지본채색1769년 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