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농은 오호십육국 시대 후조의 장군으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수완을 겸비한 인물이었다. 석호 치하에서 군사적 공을 세우고 사공, 태위 등의 요직을 역임했으며, 석호 사후 권력 투쟁에 휘말렸다. 석민과 연합하여 석감을 폐위시키고, 염위 건국에 기여했으나, 350년 염민에 의해 숙청되었다. 이농의 생애는 혼란스러운 시대 상황과 권력의 덧없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며, 고구려와 관련된 역사 연구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50년 사망 - 콘스탄스
    콘스탄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아들로, 제국 분할 통치 중 콘스탄티누스 2세와의 갈등 후 영토를 장악했으나 마그넨티우스의 반란으로 살해되었고, 니케아 신조 옹호와 도나투스파 진압 등 종교 정책에 논란이 있었다.
  • 350년 사망 - 부홍
    부홍은 오호십육국 시대 저족 출신으로, 영가의 난 시기에 세력을 키워 전조와 후조에 복속되었다가 동진에 복속, 삼진왕을 칭하고 자립하여 부씨로 성을 고쳤으나 부하에게 독살당했으며, 그의 아들 부건은 전진을 건국하였다.
  • 살해된 사람 - 정인보
    정인보는 일제강점기 및 한국전쟁 시기에 활동한 사학자, 시조 작가, 교육자로, 민족주의 역사관과 ‘얼’ 사상을 형성하고, 연세대학교 강사, 동아일보 논설위원, 국학대학교 학장, 감찰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조선사 연구』 등의 저서를 남겼으나 한국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살해된 사람 - 정기원 (1559년)
    정기원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1585년 문과 급제 후 임진왜란 때 사은사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예조판서에 추증되고 충렬사에 배향, 시호는 충의이며 저서로 《현산집》, 《현산실기》가 있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이농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농
원어 이름李農
사망일350년
자녀이름 없는 아들 셋
출생일알 수 없음
직업군사 장군, 정치인
경력
관직태재 (太宰)
임기 시작350년
임기 종료350년
군주염민
경력 2
관직대사마 (大司馬)
임기 시작349년
임기 종료350년
군주석감/석민

2. 초기 생애 및 경력

이농의 초기 생애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후조에서 장군으로 임명된 기록이 있다. 339년 규안의 휘하에서 동진을 공격하여 면남을 공략하고 주성을 함락시키는 등의 공을 세웠다. 이후 무군장군, 사지절, 감요서북평제군사, 정동장군, 영주 목으로 승진하여 영지를 다스렸다.

347년에는 사공으로 승진했다. 348년에는 불도징에게 문후를 드리고, 석세를 황태자로 세우는 데 참여하는 등 후조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 1. 후조에서의 활동

석호에 의해 무군장군(撫軍將軍)으로 임명되었다.[2]

건무(建武) 5년(339년), 동진의 유량이 무창(武昌)을 진수하자 석호는 규안을 대도독(大都督)으로 임명하여 석감, 석민, 이농, 장하도, 이도(李菟) 등 5명의 장군과 함께 병사 5만 명을 이끌고 형주(荊州)와 양주(揚州) 북부 변경을 공격하게 하였다. 이농과 규안은 면남(沔南)을 함락시켰다. 이후 이농은 사지절(使持節), 감요서북평제군사(監遼西北平諸軍事), 정동장군(征東將軍), 영주목(營州牧)이 되어 영지(令支, 현재의 허베이성 첸안시 서쪽)를 진수하였다. 같은 해, 이농은 무리 3만 명을 이끌고 정북대장군(征北大將軍) 장거(張舉)와 만나 함께 전연의 범성(凡城)을 공격하였으나 전연의 장수 악완에게 저지되었다.[4]

건무 13년(347년), 사공(司空)으로 임명되었다. 인도의 승려 불도징이 후조에 오자 석호는 이농으로 하여금 아침저녁으로 불도징이 기거하는 곳으로 가서 문후를 묻도록 하였다.[2] 건무 14년(348년), 명을 받고 태위(太尉) 장거와 함께 의논하여 석호의 아들 석세를 태자로 세웠다.

3. 석호 사후의 권력 투쟁

석호 사후 후조는 극심한 권력 투쟁에 휩싸였다. 석세가 즉위한 뒤 장시(張豺)태위 장거(張舉)와 함께 이농을 죽이려 했으나, 장거가 이 사실을 이농에게 알려 이농은 광종(廣宗)으로 도망쳤다.[7] 이후 석준이 석세를 폐위하고 즉위하자 이농은 석준에게 귀부하여 사죄했고, 석준은 이농의 관직을 회복시켜 주었다.[7]

석충이 계성(薊城)에서 석준에게 반기를 들자, 석준은 석민과 이농에게 정예병 10만 명을 이끌고 토벌하게 하였다. 석충은 원씨현(元氏縣)에서 사로잡혔다.[8] 동진의 추포가 후조를 공격하자, 이농은 남토대도독(南討大都督)이 되어 기병 2만 명을 이끌고 대피(代陂, 현재 산둥성 텅저우 동쪽)에서 추포의 부장 왕감(王龕) 등을 크게 격파하고 포로로 사로잡았다.[9]

349년 11월, 석민은 이농, 왕기(王基)와 함께 석준을 폐위하고 석감을 즉위시켰다.[10] 석감은 석민을 대장군(大將軍)·무덕왕(武德王)으로, 이농을 대사마(大司馬)·녹상서사(錄尚書事)로 임명하였다.[10]

석감이 즉위했으나 실권은 이농과 석민이 쥐고 있었고, 석감의 가족 석청(石承), 석지, 석회(石恢)는 이들을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죽임을 당했다.[11] 손복도(孫伏都)와 유주(劉銖)의 암살 시도 역시 실패했고, 석감은 손복도를 배신하여 이농과 석민에게 죽임을 당하게 했다.[11]

350년, 석민은 국호를 위(衛)로, 석(Shi) 씨족의 성을 이(李)로 바꾸었다.[12] 석감은 장군 장천(張沈)을 시켜 예청을 공격하게 했으나, 환관의 배신으로 석민과 이농이 돌아와 석감을 처형하고 석씨족을 모두 제거하였다.[12]

3. 1. 석세(石世) 즉위와 암살 시도

석호가 죽고 석세가 즉위한 뒤, 장시(張豺)태위 장거(張舉)를 찾아가 이농을 죽일 것을 계획하였다.[7] 그러나 장거와 이농은 사이가 매우 가까웠기 때문에, 장거는 이 사실을 이농에게 알렸다.[7] 이농은 이 소식을 듣고 광종(廣宗)으로 도망쳤다.[7]

3. 2. 석준(石遵)과의 연합

석준석세를 폐위하고 즉위하자, 이농은 석준에게 귀부하여 사죄했다. 석준은 이농의 관직을 회복시켜 주었다.[7] 석충이 계성(薊城)에서 석준에게 반기를 들자, 석준은 석민과 이농에게 정예병 10만 명을 이끌고 석충을 토벌하도록 하였다. 석충은 원씨현(元氏縣)에서 석민과 이농에게 사로잡혔다.[8]

한편, 동진의 추포가 후조를 공격하자, 이농은 남토대도독(南討大都督)이 되어 기병 2만 명을 이끌고 추포의 부장 왕감(王龕) 등과 대피(代陂, 현재 텅저우, 산둥성 동쪽)에서 교전하였다. 왕감 등은 크게 패하였고, 모두 포로로 사로잡혔다.[9]

3. 3. 석민(冉閔)과의 동맹과 석감(石鑒) 폐위

석준석세를 죽이고 즉위하자, 이농은 돌아와 석준에게 귀부하여 사죄하였고, 석준은 그의 관위를 회복시켜 주었다.[8] 석충이 계성(薊城)에서 석준에게 반기를 들자 석준은 무흥공(武興公) 석민과 이농에게 정예병 10만 명을 이끌고 석충을 토벌하도록 하였다. 석충은 원씨현(元氏縣)에서 석민과 이농에게 사로잡혔다.[8] 이때 동진의 저부(褚裒)가 후조를 공격하자 이농은 남토대도독(南討大都督)이 되어 기병 2만 명을 이끌고 저부의 부장 왕감(王龕) 등과 대피(代陂, 현재의 산둥성 텅저우 동쪽)에서 교전하였다. 왕감 등은 크게 패하였고, 모두 포로로 사로잡혔다.[9]

11월, 석민이 이농과 우위장군(右衛將軍) 왕기(王基)를 협박하여 함께 석준을 폐출할 것을 은밀히 모의하였고, 이에 석준을 죽인 뒤 석감이 즉위하여 대사면령을 내렸다.[10] 석감은 석민을 대장군(大將軍)으로 임명하고 무덕왕(武德王)으로 봉하였고, 이농을 대사마(大司馬) 및 녹상서사(錄尚書事)로 임명하였다.[10]

석감이 즉위하였으나 실권은 대원수(大元帥)였던 이농과 석민이 쥐고 있었으며, 그들을 제거하려는 수많은 암살 시도가 있었다.[11] 석감의 가족 석청(石承), 석지(石祗), 석회(石恢)가 시도하였으나 모두 이농과 석민에게 패배하여 죽임을 당했다.[11] 손복도(孫伏都)와 유주(劉銖)가 주도한 세 번째 음모에서, 석감은 그들의 계획을 전적으로 지지하였으나, 손복도와 유주는 이농과 석민을 수도에서 매복하려다 패배하였다.[11] 석감은 두려움을 느껴 손복도를 배신하였고, 이전의 공모자들과 마찬가지로, 석민과 이농은 손복도와 그의 부하들을 죽였다.[11]

350년, 석민은 조(趙)나라의 국호를 위(衛)로 바꾸고, 석(Shi) 씨족의 성을 이(李)로 바꾸었는데, 이는 예언을 통해 씨족을 근절하려는 의도였다.[12] 마침내 석감은 석민과 이농을 죽이려는 마지막 시도를 하였다.[12] 석감은 환관을 장군 장천(張沈)에게 보내 예청을 공격하도록 지시했지만, 환관은 석감을 배신하고 계획을 폭로하여 석민과 이농이 수도로 급히 돌아오게 하였다.[12] 석감은 처형되었고, 도시에 남아 있던 석씨족의 나머지 구성원들은 모두 근절되었다.[12]

4. 염위(冉魏) 건국과 죽음

349년, 시지엔(Shi Jian)이 새로운 황제로 즉위했지만, 실권은 대원수 이농(Li Nong)과 스민(Shi Min)이 쥐고 있었다. 이들을 제거하려는 여러 차례의 암살 시도가 있었으나 모두 실패했다. 스지엔과 그의 형제 스바오(Shi Bao)의 기습, 스지엔의 가족 스청(Shi Cheng), 스치(Shi Chi), 스후이(Shi Hui)의 시도, 그리고 쑨푸두(孫伏都)와 류주(劉銖)의 시도 등이 있었지만, 모두 이농과 스민에게 진압되었다. 특히 쑨푸두와 류주의 암살 시도 때는 스지엔이 이들을 지지했다가 배신하기도 했다.[11]

350년, 스민은 국호를 위(衛)로, 스(Shi) 씨족의 성을 리(Li)로 바꾸었다. 이에 스 씨족과 신하들은 스지가 있는 샹궈(襄國, 현재의 싱타이, 허베이)로 도망쳤다. 푸홍, 야오이중(姚弋仲) 등은 스민에게 복종하지 않고 이탈하거나 스즈와 연합했다. 스지엔은 스민과 이농을 죽이려 했으나 실패하고 처형되었으며, 스 씨족은 모두 제거되었다.[12]

4. 1. 염위 건국에 기여

350년 윤정월, 석민이 석감을 폐위하고 살해했다. 사도(司徒) 신종(申鐘) 등이 석민에게 황제 즉위를 권했으나, 석민은 이농에게 양보했다. 그러나 이농 역시 굳게 사양하며 석민에게 황제 즉위를 권했다. 결국 석민이 황제에 즉위하여 대사면령을 내리고, 연호를 영흥(永興)으로, 국호를 대위(大魏)로 정했다. 같은 해 3월, 석민은 자신의 성을 염(冉)씨로 되돌리고, 이농을 태재(太宰), 겸 태위(兼太尉), 녹상서사(錄尚書事)로 임명하고 제왕(齊王)에 봉했다. 이농의 아들들은 모두 현공(縣公)에 봉해졌다.[12]

4. 2. 염민에 의한 숙청

350년 4월, 염민은 이농과 그의 세 아들을 죽였다. 이농의 숙청 이유는 명확하게 기록되지 않았으나, 권력 투쟁의 희생양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14]

5. 평가 및 의의

이농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수완을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후조석호 휘하에서 무군장군, 정동장군, 사공, 태위 등 요직을 역임하며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다. 특히 동진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전연 공격에도 참여하는 등 후조의 주요 군사 활동에 참여했다. 또한, 석호의 아들 석세를 태자로 세우는 데 관여하고, 석민석감을 폐위하고 즉위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등 정치적 수완도 뛰어났다.[1]

그러나 이농은 난세의 권력 투쟁 속에서 희생된 비운의 인물이기도 하다. 석호 사후 후조의 혼란 속에서 석준, 석감, 석민(염민)으로 이어지는 권력 다툼에 휘말렸고, 결국 염민에게 세 아들과 함께 살해당했다. 이러한 이농의 생애는 오호십육국시대의 혼란상과 권력의 무상함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로 평가된다.[1]

이농의 활동 시기 전연과의 관계는 고구려와 전연의 세력 다툼 속에서 후조의 개입이 실패했음을 의미하며, 이는 고구려의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한국사, 특히 고구려와 관련된 역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서적 Zizhi Tongjian
[3] 서적 Book of Jin
[4] 서적 Zizhi Tongjian
[5] 서적 Book of Northern Wei
[6] 서적 Book of Jin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Book of Jin
[9] 서적 Book of Jin
[10] 서적 Annals of the Sixteen Kingdoms
[11] 서적 Annals of the Sixteen Kingdoms
[12] 서적 Book of Jin
[13] 서적 Annals of the Sixteen Kingdoms
[14] 서적 Book of Jin
[15] 서적 高僧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