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담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담지는 고려 시대의 문인이다. 그의 할아버지 이중약은 이자겸의 모함으로, 아버지 이윤수는 역모 혐의로 고초를 겪었다. 무신정변 이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으며, 1199년에는 유원을 지냈다. 이인로, 오세재 등과 함께 강좌칠현으로 활동했으며, 이규보에 따르면 주필의 창안자였다. 술을 즐겨 마시는 호방한 성격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학자 - 오연총
오연총은 고려 예종 때 요나라와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여진 정벌에서 윤관의 부원수로 활약했으며, 신기군 징발 조건 완화와 서경 궁궐 창건 반대 등의 정치적 행보를 보이다가 문하시중평장사를 지내고 문양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고려의 학자 - 원천석
원천석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고려 말 진사에 합격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은둔하여 야사 6권을 저술했으며, 시조 2수가 전해지고, 강원도 원주에 묘역이 있다. - 고려의 시인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고려의 시인 - 길재
길재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유학자이자 문신으로, 삼은 중 한 명이며 성리학적 학문을 실천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으나 조선 건국 후 관직을 거절하며 사림파 학통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야은집』 저술 및 청백리에 선정되었다. - 무신정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무신정권 -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의 항쟁은 최씨 무신정권의 군사조직인 삼별초가 원종의 친몽 정책과 해산 명령에 반발하여 1270년 강화도에서 시작, 배중손을 중심으로 왕족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며 진도와 제주도에서 3년간 고려-원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1273년 진압되어 고려의 몽골 지배 강화와 원의 제주도 직접 통치를 가져왔으며, 민족적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되지만 무신정권의 잔재라는 비판도 있다.
이담지 | |
---|---|
기본 정보 | |
한글 | 이담지 |
한자 | 李湛之 |
로마자 표기 | I Dam-ji |
인물 정보 | |
성씨 | 경주 이씨(慶州 李氏) |
호 | 청경(淸卿) |
2. 가계
이담지의 가계는 고려 중기 권력 투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가문이었다. 할아버지 이중약은 한안인의 사위였으나 이자겸의 모함으로 장인과 함께 죽임을 당했고,[12] 아버지 이윤수는 남적(南賊)과 함께 역모를 꾀했다는 무고를 당해 거제현령으로 쫓겨났다.[13]
2. 1. 조부와 부친의 수난
할아버지 이중약은 한안인의 사위였으나 이자겸의 모함으로 장인과 함께 죽임을 당했고,[12] 아버지 이윤수는 남적(南賊)과 함께 역모를 꾀했다는 무고를 당해 거제현령으로 쫓겨났다.[13]3. 이력
이담지는 무신정변 때 피신했다가 돌아와 과거에 급제했으며[14], 1199년(신종 2년) 유원(留院)을 지냈다.[15] 이인로, 오세재 등과 함께 강좌칠현의 한 사람으로, 이규보에 따르면 주필(走筆)의 창안자라고 한다.[10]
3. 1. 과거 급제와 관직 생활
무신정변 때 피신했다가 돌아와 과거에 급제했고[14], 1199년(신종 2년) 유원(留院)을 지냈다.[15]3. 2. 강좌칠현과 문학 활동
무신정변 때 피신했다가 돌아와 과거에 급제했고[14], 1199년(신종 2년)에는 유원(留院)을 지냈다.[15] 이인로, 오세재 등과 함께 강좌칠현의 한 사람으로 이규보에 따르면, 주필(走筆)의 창안자라고 한다.[10]4. 성격
이담은 술을 즐겨 마셨으며, 때로는 절제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6][8]
4. 1. 음주 습관
李涵|이함중국어은 술을 마시면 절제하지 못했다고 한다.[16][8]참조
[1]
서적
일재기(逸齋記)
[2]
서적
주필(走筆)의 일을 논한 약언
[3]
서적
파한집 중권 제 17조; 일재기(逸齋記)
[4]
서적
한안인
[5]
서적
명종 5년(1175년) 11월 5일(임자)
1175-11-05
[6]
서적
聞湛之擢第。以詩賀之。
[7]
서적
己未五月日。知奏事崔公宅。(중략) 特喚李內翰仁老,金內翰克己,李留院湛之,咸司直淳及予。占韻命賦云。
[8]
서적
보한집 중권 제36조
[9]
서적
逸齋記
[10]
서적
주필(走筆)의 일을 논한 약언
[11]
서적
파한집 중권 제17조; 앞의 글
[12]
서적
한안인
[13]
서적
명종 5년(1175년) 11월 5일(임자)
1175-11-05
[14]
서적
聞湛之擢第。以詩賀之。
[15]
서적
己未五月日。知奏事崔公宅。(중략) 特喚李內翰仁老,金內翰克己,李留院湛之,咸司直淳及予。占韻命賦云。
[16]
서적
보한집 중권 제36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