뤄둥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뤄둥진은 타이완 이란현 중부에 위치한 면적이 가장 작은 향진이다. 란양 평원에 위치하며, 2023년 기준 인구는 7만 명 이상이다. 과거 평포족에게는 '노동'으로 불렸으며, 일본 통치 시대에는 타이핑 산의 벌목 사업을 기반으로 발전했다. 현재는 뤄둥 야시장, 뤄둥 임업 문화 공원 등 관광 명소로 유명하며, 타이완 철로관리국의 이란선 뤄둥역을 통해 교통이 편리하다. 일본 사이토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여러 저명한 인물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뤄둥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뤄둥진 (羅東鎮) |
다른 이름 | 라토 (Ratō) 로퉁 (Lotung)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슬로건 | 해당사항 없음 |
행정 | |
국가 | 중화민국 (대만) |
위치 | 이란현 |
종류 | 진 (도시 진) |
수립 | 해당사항 없음 |
정부 유형 | 해당사항 없음 |
수장 직함 | 진장 |
수장 이름 | 우추링 |
면적 | |
전체 면적 | 11km² |
인구 | |
인구 (2023년 9월) | 70,002명 |
기타 정보 | |
시간대 | 해당사항 없음 |
UTC 오프셋 | 해당사항 없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뤄둥 진은 이란현 중부에 위치하고 타이완 섬에서 가장 면적이 작은 향진이다. 남쪽은 둥산 향, 동쪽은 우제 향, 서쪽은 싼싱 향과 각각 접하고 북쪽에는 란양시가 흐르고 있다.
뤄둥은 옛날 평포족 사람들에게는 '로동(老懂)'으로 불렸다. 이는 일찍이 임야가 무성하고 원숭이가 많이 살아 평포족 말로 원숭이를 로동으로 불렀기 때문이다. 청나라 가경 9년(1804년), 창화 지구로부터 온 평포족의 수령, 반현문과 모격이 천 명이 넘는 이주자를 인솔해 몇 개의 산을 넘어 뤄둥으로 왔고 아리사와 아속사 부락을 만들었다. 이때부터 뤄둥에는 대규모 농업 개발이 이루어졌다. 가경 17년(1812년), 순검사를 마련해 초대 순겸인 범방간이 같은 해 8월 9일에 임기를 시작하였다. 2년 후, 한족 이민 개간단이 정식으로 뤄둥의 십육빈(지금의 뤄장 리, 난창 리), 북성(베이청 리, 베이터우 항), 왜자왜(런아이 리)에 들어갔다. 뤄둥 개발 과정 중에 평포족과 한족은 토지 쟁탈과 종족 충돌을 경험했지만, 결국 함께 노력해 뤄둥을 개발했다.
뤄둥은 란양 평원에 위치해 있다. 면적은 11.34km2이며, 2023년 9월 기준 인구는 70,002명이다. 넓고 조경이 잘 된 스포츠 공원이 있다.
3. 역사
일제강점기 뤄둥 최대의 역사적 변천은 천춘징이 추진한 타이핑 산의 임업 개발로 초래된 상공업 발전의 기초이다. 1916년 8월, 일본 제국은 영림소의 지란 출장소를 설립해 타이핑 산의 벌채와 목재 운수, 그리고 재목 저장 업무를 관리했고 재목 저장지를 현재의 위안산 향에 설치했다. 이후 수로 건설, 댐 발전 때문에 수로 운수가 철도 수송으로 바뀌기 시작했고 관련된 철도 수송 노선도 출장소의 설치 장소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정황하에서 천춘칭은 출장소의 뤄둥 설치에 진력해 마침내 1924년 1월, 뤄둥에 목재를 저장, 집적하는 장소(지금의 다퉁 향)까지 삼림철도가 개통되었고 출장소도 뤄둥의 주린으로 이전했다. 이로 인해 뤄둥은 농업 사회에서 점차 상공업 사회로 향했다.[2]
3. 1. 명칭 유래
뤄둥은 옛날 평포족 사람들에게는 노동(老懂)으로 불리고 있었다. 이것은 일찍이 임야가 무성하고 원숭이가 많이 살아 평포족 말로 원숭이를 로동으로 불렀기 때문이다.[1] 이 지역의 이름과 이전 이름(老懂|Lō͘-tóng중국어)은 50여 년 전 이 지역에 많았던 원숭이를 가리키는 카바란어 단어 ''rutung''('원숭이'를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3. 2. 청나라 시대
뤄둥은 옛날 평포족 사람들에게는 노동(老懂)으로 불리고 있었다. 이것은 일찍이 임야가 무성하고 원숭이가 많이 살아 평포족 말로 원숭이를 로동으로 불렀기 때문이다. 청 가경 9년(1804년), 창화 지구로부터 온 평포족의 수령, 반현문과 모격이 천 명이 넘는 이주자를 인솔해 몇 개의 산을 넘어 뤄둥으로 왔고 아리사와 아속사 부락을 만들었다. 이때부터 뤄둥에는 대규모 농업 개발이 이루어졌다. 가경 17년(1812년), 순검사를 마련해 초대 순겸인 범방간이 같은 해 8월 9일에 임기를 시작하였다. 2년 후, 한족 이민 개간단이 정식으로 뤄둥의 십육빈(지금의 뤄장 리, 난창 리), 북성(베이청 리, 베이터우 항), 왜자왜(런아이 리)에 들어갔다. 뤄둥 개발 과정 중에 평포족과 한족은 토지 쟁탈과 종족 충돌을 경험했지만, 결국 함께 노력해 뤄둥을 개발했다.
3. 3. 일제강점기
뤄둥은 과거 평포족 사람들에게 '로동(老懂)'으로 불렸다. 이는 임야가 무성하고 원숭이가 많이 살아 평포족 말로 원숭이를 로동이라 불렀기 때문이다. 청나라 가경 9년(1804년), 평포족 수령 반현문과 모격이 천 명이 넘는 이주자를 이끌고 뤄둥으로 와서 아리사와 아속사 부락을 만들었고, 이후 대규모 농업 개발이 이루어졌다. 가경 17년(1812년)에는 순검사가 설치되었고, 2년 후 한족 이민 개간단이 뤄둥에 들어왔다. 뤄둥 개발 과정에서 평포족과 한족 사이에 토지 쟁탈과 종족 충돌이 있었지만, 결국 함께 뤄둥을 개발하여 이란 지구에서 가장 번영한 마을이 되었고, 선주민 문화와 한족 문화가 융합된 특색있는 지방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뤄둥 최대의 역사적 변천은 천춘징이 추진한 타이핑 산의 임업 개발로 인한 상공업 발전이었다. 1916년 8월, 일본 제국은 영림소의 지란 출장소를 설립해 타이핑 산의 벌채, 목재 운수, 재목 저장 업무를 관리했고, 처음에는 재목 저장지를 현재의 위안산 향에 설치했다. 이후 수로 운수가 철도 수송으로 바뀌면서, 천춘칭은 출장소를 뤄둥에 설치하고자 노력했다. 1924년 1월, 뤄둥에 목재를 저장, 집적하는 장소(지금의 다퉁 향)까지 삼림철도가 개통되었고, 출장소도 뤄둥의 주린으로 이전하면서 뤄둥은 농업 사회에서 상공업 사회로 발전하기 시작했다.[2] 1920년부터 1945년까지 뤄둥진은 타이베이 주의 羅東街|라토 가이일본어로 행정 구역이 지정되었다.
4. 행정 구역
뤄둥진은 25개 촌(村)과 524개 린(鄰)으로 구성되어 있다.[2] 뤄둥진의 촌은 카이밍(開明), 다신(大新), 퉁안(東安), 신췬(新群), 뤄좡(羅莊), 난창(南昌), 난하오(南豪), 청궁(成功), 런더(仁德), 런허(仁和), 중산(中山), 한민(漢民), 웨이양(維揚), 셴(賢), 베이청(北成), 궈화(國華), 셴원(賢文), 궁정(公正), 지샹(集祥), 신이(信義), 수린(樹林), 주린(竹林), 런아이(仁愛) 촌이다.
구역 | 리 |
---|---|
시가지 | 다신리, 중산리, 궁정리, 신이리, 지샹리, 셴원리 |
남문 | 런허리, 런더리, 청궁리, 난창리, 난하오리, 카이밍리 |
북성 | 베이청리, 퉁안리, 궈화리, 한민리, 웨이양리 |
후잔 | 퉁안리, 신췬리 |
뤄좡 | 뤄좡리 |
주린 | 런아이리, 주린리, 수린리 |
5. 정치
(현재 섹션의 내용이 없으므로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음)
5. 1. 역대 진장
대 | 성명 | 임기 |
---|
6. 경제
제공된 소스는 뤄둥진 문서의 경제 섹션 내용이 아니라 위키백과에서 사용하는 토막글 템플릿입니다. 따라서 뤄둥진의 경제 섹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으므로, 주어진 소스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현재로서는 경제 섹션을 생성하거나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7. 교육
뤄둥진에는 고등학교, 고급직업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있다.
7. 1. 고등학교
뤄둥고등학교7. 2. 고급직업학교
- 국립 뤄둥 고급상업직업학교
- 국립 뤄둥 고급공업직업학교
- 사립 성모 고급간호직업학교
7. 3. 중학교
- 이란현립 둥광 국민중학교
- 이란현립 궈화 국민중학교
- 이란현립 뤄둥 국민중학교
7. 4. 초등학교
학교명 |
---|
이란현립 죽림 국민소학교 |
이란현립 성공 국민소학교 |
이란현립 뤄둥 국민소학교 |
이란현립 공정 국민소학교 |
이란현립 북성 국민소학교 |
8. 교통
타이완 철로관리국 이란 선과 국도 5호선이 뤄둥진을 지난다.
종류 | 노선 명칭 | 기타 |
---|---|---|
국도 | 국도 5호선 | 뤄둥 분기점 |
성도 | 타이 7병선 | |
성도 | 타이 9선 | 베이이 공로 |
현도 | 현도 191갑호 | |
현도 | 현도 196호 |
8. 1. 철도

뤄둥은 타이완 철로청 이란선 뤄둥역에서 열차편을 이용할 수 있다.[1]
종류 | 노선 명칭 | 기타 |
---|---|---|
철도 | 이란선 | 뤄둥역 |
경편 철도 | 뤄둥 삼림 철도 | 1979년 폐지 뤄둥역, 주린역, 웨이자이웨이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