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영 (교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명영은 1928년 함경남도 북청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경향신문과 중앙일보에서 논설위원으로 활동했다. 김일성 및 북한 관련 연구에 집중하여, 《진위 김일성 열전》, 《김일성 열전》 등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으며, 일본어로 번역된 저서를 통해 연구 성과를 알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한학자 - 강명도
강명도는 평양 출신으로 북한 요직을 거쳐 1994년 탈북하여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김일성 외척 출신의 북한 전문가로, 대학교수와 방송 활동, 저술 등을 통해 북한 사회의 실상과 내부 비밀을 알리고 있다. - 북한학자 - 안드레이 란코프
안드레이 란코프는 러시아 출신으로 김일성종합대학 유학 후 현재 국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북한의 정치, 사회, 역사, 특히 권력 구조와 주민 생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NK News, 코리아타임스 등 여러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Korea Risk Group의 이사로 활동하는 등 북한 관련 연구 및 대중 활동을 활발히 이어가는 북한학 전문가이다. -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 강준만
강준만은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한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자 언론인이자 저술가이다. -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 이정옥 (사회학자)
이정옥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사회과학연구소장, 사회과학대학장을 역임하고 국방부 양성평등위원회 민간위원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사회학자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여성가족부 장관과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조직위원회 공동조직위원장을 역임했다. - 김일성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김일성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이명영 (교수) | |
---|---|
이명영 (교수) | |
![]() | |
출생 | 1935년 9월 10일 |
사망 | 2008년 12월 26일 (향년 73세)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학사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 |
석사 | 미국 플레처 법률외교대학원 |
박사 | 미국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
경력 | |
직업 | 정치학 교수 |
주요 경력 | 성균관대학교 정외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한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한림대학교 총장 |
저서 | |
저서 | 《한국행정론》 《한국의 관료제》 《국가, 관료, 그리고 민주주의》 《정치사상》 《한국 민주주의의 이상과 현실》 《한국정치연구》 《현대정치사상》 《민주화의 조건》 《한국 민주주의의 좌표》 |
상훈 | |
상훈 | 국민훈장 모란장 |
2. 생애
이명영(李命英)은 1928년 함경남도 북청에서 태어났다. 1948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고,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1993년까지 이 대학 교수로 재직했다.[1] 1963년부터 7년간 경향신문에서,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중앙일보에서 논설위원으로 활동했다.[1]
이명영은 김일성과 북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특히 김일성 가짜설을 주장하여 북한의 역사 왜곡을 비판했다. 1974년 중앙일보에 《진위 김일성 열전(眞僞 金日成 列傳)》[3]을 연재하며 이 주장을 처음 제기했다. 그는 언론 기고 및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3. 주요 연구 및 활동
이명영은 김일성과 북한에 관한 연구 외에도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수행했다. 다음은 주요 연구 및 저서 목록이다.제목 출판사 출판 연도 비고 《재만 한인 공산주의운동 연구(在滿韓人 共産主義運動 硏究)》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2 《북한의 근대사 위조》 민족통일중앙협의회 1982 《권력(權力)의 역사(歷史) : 조선노동당과 근대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5 《통일의 조건 : 발상의 전환을 위하여》 종로서적 1989 《조국통일(祖國統一)의 두 방도(方途)》 海星社會倫理問題研究所 1993
3. 1. 김일성 가짜설
이명영은 여러 저서와 논문을 통해 김일성이 여러 명이었다는 김일성 가짜설을 주장했다. 1974년 중앙일보에 연재한 《진위 김일성 열전(眞僞 金日成 列傳)》[3]을 시작으로, 《김일성 열전(金日成 列傳)》(1974), 《北傀魁首 金日成의 正體 : 4人의「金日成」에 관한 硏究》(1975) 등에서 이 주장을 펼쳤다.
그는 북한의 공식 역사 기록과 김일성 회고록의 허구성을 비판했다. 특히 《김일성 회고록의 진실과 허구》(1992), 《세기와 더불어는 어떻게 날조되었나》(2021) 등의 저서를 통해 회고록의 내용이 날조되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북한 체제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며, 학계와 대중의 관심을 받았다. 일본에서도 《四人の金日成》(1976), 《アルバム 謎の金日成 写真で捉えたその正体》(1978)[4], 《金日成は四人いた》(2000)[5], 《北朝鮮金日成は四人いた》(2003) 등의 저서를 통해 그의 주장이 소개되었다.
이명영의 저서 및 논문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비고 |
---|---|---|---|
《진위 김일성 열전(眞僞 金日成 列傳)》 | 중앙일보 | 1974.03.23 ~ 1974.09.03 (총 53회) | [3] |
《김일성 열전(金日成 列傳) - 그 전설과 신화의 진상 규명을 위한 연구》 | 신문화사 | 1974 | |
《北傀魁首 金日成의 正體 : 4人의「金日成」에 관한 硏究》 | 민족문화사 | 1975 | |
《김일성 회고록의 진실과 허구》 | 신동아 1992년 7월호 | 1992 | |
《김일성(金日成) 회고록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문제와 인식(問題와 認識)》 | 해성사회윤리문제연구소 | 2000 | |
《세기와 더불어는 어떻게 날조되었나 (원제: 김일성회고록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세이지 | 2021 | |
四人の金日成일본어 | 成甲書房일본어 <東アジア叢書> | 1976 | 일본어판 |
アルバム 謎の金日成 写真で捉えたその正体일본어 | 東アジア問題研究会일본어 | 1978 | 일본어판, [4] |
金日成は四人いた - 北朝鮮のウソは、すべてここから始まっている!일본어 | 成甲書房일본어 | 2000 | 일본어판, [5] |
北朝鮮金日成は四人いた일본어 | ワニ文庫일본어 | 2003 | 일본어판 |
4. 주요 저서
이명영은 김일성 관련 연구, 재만 한인 공산주의 운동 연구, 북한 근대사 위조 비판 등 다양한 주제의 저서를 출간했다. 대표적인 저서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저서 |
---|
일본어 저서 |
---|
참조
[1]
뉴스
(삶과 추억) 타계한 전 성균관대 교수 이명영씨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00-06-21
[2]
뉴스
북한전문가 전 성대 교수 이명영씨 별세
http://nk.chosun.com[...]
조선
2000-06-21
[3]
뉴스
진위 김일성 열전 그 전설·실존·도명을 밝힌다 | 역사로 벗기는 김성주의 가면 (연재 예고)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1974-03-23
[4]
서적
《アルバム 謎の金日成 写真で捉えたその正体》
http://iss.ndl.go.jp[...]
成甲書房
1978
[5]
서적
《金日成は四人いた - 北朝鮮のウソは、すべてここから始まっている!》
https://books.google[...]
成甲書房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