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븐 캄무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븐 캄무나는 13세기의 유대인 철학자이자 저술가로, 조명 철학에 대한 주석과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를 비교하는 논문을 저술했다. 그의 저서 '세 종교의 고찰'에서 이슬람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무함마드의 완전성을 비판하면서, 이슬람 개종의 동기를 비판했다. 이러한 주장은 바그다드에서 폭동을 일으켰고, 그는 도시에서 도피하여 은신하다가 사망했다. 일부 학자들은 그가 말년에 시아파 이슬람으로 개종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 유대인 - 찰스 사치
    찰스 사치는 이라크 출신의 영국의 광고인, 미술 수집가, 갤러리 소유주로, 사치 & 사치와 M&C 사치를 설립하고 사치 갤러리를 통해 현대 미술을 전시하며, 저술 활동과 자선 활동을 병행했다.
  • 이라크 유대인 - 새슨 가바이
    이라크 출신 이스라엘 배우인 새슨 가바이는 텔아비브 대학교에서 연극과 심리학을 전공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특히 영화 《밴드의 방문》과 브로드웨이 뮤지컬 《밴드의 방문》, 그리고 《슈티첼》에서의 연기로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 1215년 출생 - 교황 첼레스티노 5세
    교황 첼레스티노 5세는 은수자 출신으로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5개월 만에 자진 퇴위하여 교황 역사상 드물게 퇴위한 교황으로 기록되었으며,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어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고 교황 사임의 선례로 재조명되고 있다.
  • 1215년 출생 - 교황 요한 21세
    교황 요한 21세는 1276년 선출되어 짧은 기간 재위했으며, 본명은 페드루 줄리앙으로, 의학, 신학 등을 공부하고 브라가 대주교와 추기경을 역임했으며, 십자군 원정 등을 시도하다가 건물 붕괴 사고로 사망했다.
  • 1284년 사망 - 호조 도키무네
    호조 도키무네는 가마쿠라 막부 시대의 싯켄으로, 몽골의 일본 침략을 격퇴하고 권력을 강화했지만, 강경한 외교 정책과 권위주의적 통치로 평가가 엇갈린다.
  • 1284년 사망 - 이치조 사네쓰네
    구조 미치이에의 아들인 이치조 사네쓰네는 가마쿠라 시대 간바쿠와 섭정을 역임하고 고후카쿠사 천황의 토구후를 겸했으나 미야 소동에 연루되어 물러났다가 복권되기도 한 공경이다.
이븐 캄무나
기본 정보
본명이븐 캄무나, 아즈 알다울라 사드 이븐 만수르 알바그다디
원어 이름ابن كمونة، عز الدولة سعد بن منصور البغدادي
개인 정보
출생1215년
출생지바그다드
사망1284년
사망지힐라
국적알 수 없음
학력 및 경력
소속알 수 없음
분야알 수 없음
사상과 업적
주요 관심사알 수 없음
영향알 수 없음
영향을 받은 인물알 수 없음

2. 주요 저작

이븐 캄무나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 활동을 남겼다. 그의 주요 저작으로는 샤하브 앗딘 수라와르디의 ''탈위하트''에 대한 주석과 세 종교를 비교한 논문 ''세 종교의 고찰'' 등이 있다.

''탈위하트'' 주석은 조명철학의 핵심 텍스트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이 사상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로 여겨진다.

''세 종교의 고찰''은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를 비교 분석한 저서이다. 이 책에서 이븐 캄무나는 이슬람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샤리아가 정의의 원칙과 양립하기 어렵다는 점 등을 들어 무함마드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제시했다.[1][2] 이 책의 내용은 출판 후 바그다드에서 큰 논란을 일으켜 폭동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2][5]

2. 1. 철학 연구

이븐 캄무나는 샤하브 앗딘 수라와르디의 ''탈위하트''에 대한 주석을 남겼다. 이 주석은 조명철학의 핵심 텍스트 중 하나로, 해당 사상에 대한 가장 심도 깊은 연구로 평가받는다.[1][2]

그의 저서 중 ''세 종교의 고찰''은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세 종교를 비교 분석한 논문이다. 이 책에서 그는 이슬람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샤리아가 정의의 원칙과 양립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무함마드가 완전한 인간이라는 주장을 반박하며, 사람들이 신앙 외적인 동기로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했다.[1][2] 그는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 "그래서 오늘날까지 우리는 공포, 권력 추구, 과중한 세금 회피, 굴욕 회피, 포로가 되거나 무슬림 여성에 대한 열정에 굴복하는 등과 같은 이유가 아니라면,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존경받고 부유하며 경건한 비무슬림이 자신의 신앙과 이슬람의 신앙에 정통하며, 앞에서 언급했거나 이와 유사한 동기 없이 이슬람 신앙으로 개종하는 것을 보지 못합니다."[1][3]

이븐 캄무나는 무함마드를 "독창적이지 않다"고 보았으며, 그의 가르침이 이전 종교에서 발견된 것 이상을 더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2][4] 또한 "무함마드가 주장하는 것처럼 완전함과 다른 사람을 완전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얻었다는 증거는 없다"고 주장했다.[1][2]

''세 종교의 고찰''의 출판은 바그다드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다. 13세기 역사가인 이븐 알-푸와티의 기록에 따르면, 1284년 이 책의 내용이 알려지자 분노한 군중이 폭동을 일으켜 그의 집을 공격하고 그를 살해하려 했다. 당시 아미르와 고위 관리들이 무스탄시리야 마드라사에서 이 문제를 논의했으나, 이븐 캄무나는 이미 몸을 숨긴 뒤였다. 군중의 분노가 가라앉지 않자, 아미르는 다음 날 이븐 캄무나를 도시 성벽 밖에서 화형에 처할 것이라고 공표하여 군중을 진정시켰다. 그러나 이븐 캄무나는 가죽 상자에 숨겨져 아들이 관료로 있던 힐라로 비밀리에 옮겨졌고, 그곳에서 여생을 보내다 사망했다.[2][5]

일부 학자들은 이븐 캄무나가 말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했다고 보기도 한다. 특히 ''마탈리브''의 저자가 시사한 바와 같이, 그가 생애 마지막 몇 달 동안 12이맘 시아파로 개종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6][7]

2. 2. 종교 비교 연구

이븐 캄무나의 주요 저작 중 하나는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세 종교를 비교 분석한 《세 종교의 고찰》(Examination of the Three Faiths)이다. 이 책에서 그는 이슬람의 정당성에 대해 비판적인 질문을 던졌다. 특히 샤리아(이슬람 율법)가 보편적인 정의의 원칙과 양립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무함마드가 완전한 인간이라는 이슬람의 주장을 반박했다.[1][2] 또한, 사람들이 순수한 신앙심보다는 다른 동기 때문에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

> "그래서 오늘날까지 우리는 공포, 권력 추구, 과중한 세금 회피, 굴욕 회피, 포로가 되거나 무슬림 여성에 대한 열정에 굴복하는 등과 같은 이유가 아니라면,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존경받고 부유하며 경건한 비무슬림이 자신의 신앙과 이슬람의 신앙에 정통하며, 앞에서 언급했거나 이와 유사한 동기 없이 이슬람 신앙으로 개종하는 것을 보지 못합니다."[1][3]

그는 무함마드가 이전 종교들의 가르침에 새로운 것을 더하지 못했으며 "독창적이지 않다"고 평가하고, "불완전하다"고 보았다.

> "우리는 무함마드가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그에 대한 순종에 이전 종교에서 발견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더했다고 인정하지 않을 것입니다."[2][4]

> "무함마드가 주장하는 것처럼 완전함과 다른 사람을 완전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얻었다는 증거는 없습니다."[1][2]

이 책이 출판되자 1284년 바그다드에서는 큰 소요가 일어났다. 13세기 역사가 이븐 알-푸와티의 기록에 따르면, 이븐 캄무나가 예언자들에 대해 불경한 내용을 담은 책을 썼다는 소문이 퍼지자 분노한 군중이 그의 집을 습격하고 살해하려 했다. 당시 아미르(통치자)와 고위 관리들이 무스탄시리야 마드라사(학교)에서 법관들과 함께 사건을 심리하려 했으나, 이븐 캄무나는 이미 숨어버린 뒤였다. 군중의 분노가 극에 달하자, 아미르는 다음 날 그를 화형에 처할 것이라고 공표하여 군중을 진정시켰다. 그러나 이븐 캄무나는 가죽 상자에 숨겨져 아들이 관리로 있던 힐라로 비밀리에 옮겨졌고, 그곳에서 여생을 보내다 사망했다.[2][5]

일부 학자들은 이븐 캄무나가 말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특히 그의 생애 마지막 몇 달 동안 12이맘 시아파로 개종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으나, 확실하게 입증되지는 않았다.[6][7]

3. 논란과 박해

이븐 캄무나는 그의 저서 ''세 종교의 고찰''에서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를 비교하며 이슬람교의 정당성에 대해 비판적인 관점을 제시했다. 그는 샤리아가 정의의 원칙과 양립하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무함마드의 완전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사람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동기가 신앙보다는 세속적인 이유, 예를 들어 공포, 권력욕, 세금 회피, 사회적 굴욕 회피 등 때문이라고 지적했다.[1][2] 그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며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그래서 오늘날까지 우리는 공포, 권력 추구, 과중한 세금 회피, 굴욕 회피, 포로가 되거나 무슬림 여성에 대한 열정에 굴복하는 등과 같은 이유가 아니라면,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존경받고 부유하며 경건한 비무슬림이 자신의 신앙과 이슬람의 신앙에 정통하며, 앞에서 언급했거나 이와 유사한 동기 없이 이슬람 신앙으로 개종하는 것을 보지 못합니다."[1][3]

이븐 캄무나는 무함마드가 독창적이지 않으며 불완전하다고 평가했고,[2][4] 그가 완전함과 타인을 완전하게 할 능력을 갖추었다는 증거가 없다고 주장했다.[1][2]

이러한 도발적인 내용이 담긴 책이 1284년 바그다드에 알려지자 큰 소요가 발생했다. 분노한 군중은 폭동을 일으켜 이븐 캄무나를 위협했고, 그는 결국 비밀리에 바그다드를 탈출하여 아들이 관료로 있던 힐라로 피신했다. 그는 그곳에서 얼마간 머물다 세상을 떠났다.[2][5]

일부 학자들은 이븐 캄무나가 말년에 이슬람교로 개종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특히 12이맘 시아파로 개종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으나, 명확히 확인된 바는 없다.[6][7]

3. 1. 바그다드 폭동

이븐 캄무나의 저서 ''세 종교의 고찰''은 이슬람교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샤리아가 정의의 원칙과 맞지 않다고 주장하며, 무함마드가 완전한 인간이라는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사람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동기가 신앙심보다는 다른 현실적인 이유에 있다고 보았다.[1][2]

이 책이 알려지자 1284년 바그다드에서는 큰 소요가 발생했다. 13세기 역사가 이븐 알-푸와티는 당시 상황을 기록했다. 그에 따르면, 유대인 이븐 캄무나가 예언에 대해 논하며 불손한 내용을 담은 책을 썼다는 사실이 바그다드에 알려지자 분노한 군중이 폭동을 일으켜 그의 집을 공격하고 그를 죽이려 했다. 아미르와 고위 관리들은 무스탄시리야 마드라사로 가서 대법관과 법학 교수들을 소집하여 사건 심리를 열고자 했으나, 이븐 캄무나는 이미 숨은 상태였다. 사건 당일은 금요일이었는데, 대법관이 기도를 하러 가려 하자 군중이 이를 막아 그는 무스탄시리야로 돌아가야 했다. 아미르가 군중을 진정시키려 나섰지만, 군중은 오히려 그에게 욕설을 퍼붓고 그가 이븐 캄무나를 편든다고 비난했다. 결국 아미르는 다음 날 아침 일찍 바그다드 성벽 밖에서 이븐 캄무나를 화형에 처할 것이라고 공표했고, 이 발표 후에야 군중은 잠잠해졌다. 이븐 캄무나는 가죽 덮개가 씌워진 상자에 담겨, 당시 그의 아들이 관료로 일하고 있던 힐라로 비밀리에 옮겨졌으며, 그곳에서 얼마간 머물다 세상을 떠났다.[2][5]

3. 2. 도피와 죽음

이븐 캄무나의 저서 ''세 종교의 고찰''은 바그다드에서 큰 소동을 일으켰다. 그의 책이 이슬람교를 비판하고 샤리아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다.[1][2] 13세기 역사가 이븐 알-푸와티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1284년, 유대인 이븐 캄무나가 예언에 대한 논의에서 뻔뻔함을 보인 책을 썼다는 사실이 바그다드에서 알려지게 되었다. 분노한 군중은 폭동을 일으키며 그의 집을 공격하고 그를 죽이려고 몰려들었다. 아미르와 고위 관리들은 무스탄시리야 마드라사로 가서 대법관과 법학 교수들을 불러 사건에 대한 심리를 열도록 했다. 그들은 이븐 캄무나를 찾았지만 그는 숨어 있었다. 그날은 금요일이었다. 대법관은 기도하러 나섰지만 군중이 그를 막아서자 무스탄시리야 마드라사로 돌아갔다. 아미르는 군중을 진정시키기 위해 나섰지만, 그들은 그에게 욕설을 퍼붓고 그가 이븐 캄무나의 편이며 그를 변호한다고 비난했다. 그러자 아미르의 명령에 따라 다음 날 아침 일찍 바그다드 성벽 밖에서 이븐 캄무나를 불태울 것이라고 바그다드에 공표되었다. 군중은 가라앉았고, 이븐 캄무나에 대한 더 이상의 언급은 없었다. 이븐 캄무나는 가죽 덮개 상자에 넣어져 아들이 당시 관료로 근무하고 있던 힐라로 옮겨졌다. 그는 그곳에서 얼마 동안 머물다가 죽었다.[2][5]

4. 개종 논란

일부 학자들은 이븐 캄무나가 이슬람으로 개종했다고 보기도 한다. 그의 생애 마지막 몇 달 동안 12이맘 시아파로 개종했을 가능성은 ''마탈리브''의 저자가 시사한 바와 같이 완전히 거부할 수는 없다.[6][7] 그러나 이것이 명확하게 입증된 사실은 아니며, 여전히 논의의 여지가 있는 부분이다.

5. 참고 문헌


  • 사'드 이븐 만수르 이븐 캄무나의 ''영혼 불멸에 관한 아랍어 논문''
  • ''세 종교의 견해에 대한 조사 개요''
  • ''이븐 시나의 알-이샤라트 와 'ㄹ-탄비하트 주석''
  • ''이븐 캄무나의 라바니테스와 카라이테스의 차이점에 관한 논문''
  • 푸르자바디, 레자. ''바그다드의 유대인 철학자: 이즈 알-다울라 이븐 캄무나 (서기 683/1284년 사망)와 그의 저술'' (브릴 학술 출판사, 2006)
  •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에 있는 이븐 캄무나에 관한 글

6. 기타 저술 목록


  • 사'드 이븐 만수르 이븐 캄무나의 ''영혼 불멸에 관한 아랍어 논문''
  • ''세 종교의 견해에 대한 조사 개요''
  • ''이븐 시나의 알-이샤라트 와 'ㄹ-탄비하트 주석''
  • ''이븐 캄무나의 라바니테스와 카라이테스의 차이점에 관한 논문''

참조

[1] 서적
[2] 서적 Why I Am Not a Muslim Prometheus Books
[3] 서적 Examination of the Three Faiths Berkeley and Los Angeles
[4] 서적 Judaism and World Religions: Encountering Christianity, Islam, and Eastern Traditions
[5] 서적
[6] 서적
[7] 서적 Examination of the Three Faiths Berkeley and Los Angel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