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빈 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빈 백씨는 청나라 건륭제의 후궁으로, 건륭 2년(1737년) 귀인으로 봉해졌고, 건륭 6년(1741년) 이빈으로 진봉되었다. 건륭 10년(1745년)에는 여동생이 후궁 선발에 합격하여 백상재가 되었다. 그녀는 건륭 22년(1757년) 사망하여 청동릉의 비원침에 안장되었다. 이빈의 가족으로는 아버지 백사채, 형제 백영길과 백영경 등이 있으며, 그녀의 삶은 드라마 《연희공략》과 《여의전》 등에서 재해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21년 출생 - 윌리엄 로버트슨
    윌리엄 로버트슨은 스코틀랜드의 역사가이자 에든버러 대학교 총장으로, 스코틀랜드 역사, 카를 5세 황제 통치 시대 역사, 아메리카 역사 등의 저서를 통해 유럽 사회 발전에 대한 분석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에든버러 대학교 발전과 학계에도 기여했다.
  • 1721년 출생 - 임윤지당
    임윤지당은 조선 후기 여성 성리학자로, 불우한 환경 속에서도 학문에 정진하여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하고 여성의 교육과 철학 접근 권리를 옹호했으며, 사후 《윤지당유고》를 통해 학문적 업적이 전해져 한국 여성 지성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1757년 사망 - 베르나르 퐁트넬
    베르나르 르 보비에 드 퐁트넬은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과학 저술가로, 르네 데카르트의 사상을 옹호하며 과학 지식의 대중화에 기여했고, 17세기와 18세기를 잇는 가교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 1757년 사망 - 정성왕후
    정성왕후는 조선 영조의 왕비로, 효장세자와 사도세자를 친아들처럼 아끼고 64세에 세상을 떠나 서오릉 홍릉에 묻혔으며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의 존호를 받았다.
  • 청나라의 후궁 - 화유황귀비
    화유황귀비는 청나라 가경제의 후궁으로, 가경제의 첩 시절 두 자녀를 두었으며 함비, 함귀비를 거쳐 현희황귀태비로 봉해졌고 사후 화유황귀비로 추증되었으며 73세에 사망하여 창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후궁 - 경민황귀비
    경민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인상의 생모이며, 비빈으로 총애를 받아 윤상 등 자녀를 낳고 사망 후 민비로 추증, 아들 윤상의 공헌으로 황귀비로 추봉, 최종적으로 경민황귀비로 추존되어 경릉에 합장되었으나, 출생년도, 입궁 시기, 가족 배경 등은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이빈 백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물 사진 없음
인물 사진 없음
인물 정보
부친백사채
배우자건륭제
친인척백귀인 (동복자매)
출생일1721년 음력 4월 6일
사망일건륭 22년 (1757년) 음력 5월 15일
매장지청동릉 유릉비원침
칭호귀인 → 이빈
모친적모 범씨
생모 장씨 (첩)

2. 생애

이빈 백씨는 건륭 연간에 입궁하여 총애를 받았던 후궁이다. 건륭 17년(1757년) 10월 17일, 효현순황후, 혜현황귀비, 철민황귀비의 관이 유릉에 묻혔을 때, 건륭제는 황후 휘발나랍씨, 가귀비 김씨, 이빈 백씨, 영빈 파림씨 등과 함께 청동릉으로 가 봉안식에 참석했다.

2. 1. 입궁과 초기 생애

백씨는 건륭 4년 전에 입궁하였는데, 평안이 소주의 직조를 맡았을 때 백가의 일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남방 관원을 위해 건륭제에게 진상해야한다고 했다. 옹정 13년 11월, 하이바오 지회 강녕과 쑤저우 두 곳에서 《후사 후 혼행하여 여자를 찾아다니며 허세를 부릴 필요가 없다》라는 직조를 만들었다. 강녕직조 이영(李英)은 성지(聖志)를 받들어 3년 동안 단 한 사람도 밖에서 구하지 못하였고, 석복 후에도 어떤 여자도, 우동을 진상하지 않았다. 그러나 건륭제 3년 5월, 건륭제가 건륭 2년 11월 복역한 뒤 소주가 직조하여 해보를 두 여자로 들여보냈는데, 이 여자가 백씨인지 아닌지를 간접적으로 지적했다.

건륭 4년 4월 6일, 백씨의 생일로, 궁궐감부사 유옥 등 전내용에는 단자 1토, 소단 1토, 관용단 2토, 화춘편집 2토, 능 2토 등이 사용되어 《국조궁사(國朝宮史)》에서 정한 귀인급(貴人級)과 같은 대우를 받았다.

건륭 6년 2월 13일, 황태후의 의지를 받들어 가빈을 비로 진봉하고, 귀인 백씨는 해귀인귀인 엽혁륵씨와 함께 빈으로 진봉되었다. 백씨는 위분에서 승진했을 뿐만 아니라, 궁중생활에서도 고종의 총애를 받았다. 건륭 6년 2월 15일, 성경이 보내온 젖병과 약과 산사, 검은 대추를 황후, 귀비, 빈 등 고종의 보살핌을 받았다. 건륭제는 4월 10일 "내정(內政)의 아들이 백(白)이며, 본관은 소주(蘇州)이며, 지조(知造)가 이부모를 방문하여 상경(上京)에 왔으며, 저서를 찾으면 저자가 돌봐서 상경(上京)에 오거나, 그 나이 든 영자제가 한 사람을 따라와도 괜찮지만, 방문하여 이부친이생(異生)이 아니라서 밀경(密京)을 방문하여 상경(上京)을 하였다."라고 하였다. 그해 11월 계미일(啓未)에는 예부시랑(禮部詩郞) 목화림을 정사로, 내각학사 얄호달(雅爾胡達)을 부사(副使)로 하여 귀인 백씨를 이빈으로 정식 책봉하였다.

건륭 10년 (1745년), 이빈의 친여동생인 백씨가 내무부 상삼기 여인으로, 내무부 수녀선발을 통해 입궁했고, (늦어도 건륭 13년 1월, 백상재로 봉해졌다.) 3월 3일, 연희궁 이빈은 황제와 황후 등을 따라 혜현황귀비의 금관이 안치된 육계도 빈궁으로 향했다. 연희궁 이빈, 승건궁 서빈, 그리고 영수궁 영빈의 환관이 같은 수레에 올라 육계도 빈궁에 묵었다. 그해 12월 25일, 이빈의 형제인 백영길이 한자문서 한 개를 들고왔다. 공찰 : 「현재 가비, 서빈, 이빈의 칠분의장에는 각각 붉은 비단 손잡이 우산이 하나 추가되어야하며, 이에 따라 귀하의 부서에 문의하여 속히 조송위 응용 등이 이루어져야합니다."

2. 2. 가족 관계와 궁중 생활

이빈 백씨는 건륭 4년(1739년) 이전에 입궁하였다. 건륭제의 총애를 받아 건륭 6년(1741년) 2월 13일 황태후의 의지에 따라 해귀인, 귀인 엽혁륵씨와 함께 빈으로 진봉되었고, 그해 11월에 이빈으로 정식 책봉되었다. 건륭 10년(1745년)에는 이빈의 친여동생인 백씨가 내무부 수녀선발을 통해 입궁하여 백상재로 봉해졌다.

건륭 22년(1757년) 5월 15일 이빈이 병사하자 건륭제는 조정을 2일간 정지하고, 화석친왕 이하 내대신 등이 제사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그해 11월 2일 이빈은 청동릉 유릉비원침에 묻혔다.

이빈의 가족에 대한 상세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백사채소주 사람, 건륭 24년(1759년) 11월 병사.
적모범씨건륭 24년(1759년) 2월 병사. 건륭 8년(1743년) 5월 11일, 가마를 타고 친척을 방문하다 가난한 백성 심사의 아이와 부딪혀 싸움이 벌어졌고, 이로 인해 심사 부부가 처벌받는 사건이 있었다.
생모장씨첩. 건륭 54년(1789년) 8월 병사.
형제백영길감생 출신, 조판처 낭중 겸 좌령 등을 지냄.
형제백영경 (백태로 개명)건륭 21년(1756년) 병자과 거인, 산동평원의 현지현.
형제백영서가경 연간 산서 양곡현 전사(典吏).
자매백사채의 차녀
자매백사채의 3녀건륭제 6년(1741년) 입궁, 백귀인.
조카백화보산시성 시용 이문.
조카백화륜, 백화봉피갑인.
조카백화산, 백화옥, 백화서, 백화시, 백화문한산.
조카손자극승액, 극몽액, 성유, 성선, 이거, 성덕한산.



건륭 6년(1741년) 4월 10일, 건륭제는 이빈의 부모를 북경으로 불러 이빈을 만나게 하였다. 이빈의 아버지 백사채의 나이가 이미 예순아홉이었고, 가족들의 부축이 필요했기에, 이빈의 부모, 형제자매, 형수, 조카 등 8명이 수로를 통해 상경하도록 허락했다. 그해 10월, 백사채 등은 소주로 돌아갔다.

2. 3. 죽음과 사후

건륭 22년 (1757년) 5월 15일 사시(巳時, 오전 9시~11시)에 이빈이 병사하였다. 건륭제는 이 소식을 듣고 2일간 조정을 정지하였고, 화석친왕 이하, 내대신, 공후백, 도통관 이상이 제사에 참여하였다. 그해 11월 2일, 이빈은 청동릉 유릉비원침에 묻혔다.

3. 민간 설화

민국시대에 쉬커(徐民)가 지은 《청패류초(淸稗類鈔)》에는 건륭제의 '은비(恩妃)'에 관한 민간 설화가 실려 있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은비는 산둥성 칭저우 사람으로, 아명은 진주(眞珠)이며, 아버지가 56세 때 태어났다고 한다. 그녀의 아버지는 제생(諸生)이었는데, 은비가 태어난 지 2년도 채 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집이 가난하여 그녀의 어머니는 은비를 같은 마을 황씨(黃氏)의 의붓딸로 보냈다. 황씨는 명망 있는 집안이었고, 진주에게 중매가 끊이지 않자 황씨는 완곡하게 거절했다. 진주는 다른 사람에게 "귀하신 미녀여, 남자 귀 끊으라. 진주가 백옥인데, 어찌 흠잡을 곳이 있겠는가!"라고 말했고, 이로 인해 진주의 명성은 더욱 널리 퍼졌다.

어느 해 건륭제가 남쪽으로 순행하여 산둥을 지날 때, 어떤 사람이 건륭제에게 진주라는 미인을 언급했다. 건륭제는 천자를 알현할 때 산둥 순무에게 황씨와 잘 상의하여 진주를 궁으로 데려오기를 바란다는 뜻을 은연중에 내비쳤다. 산둥 순무는 황씨에게 방문하라고 지시했고, 황씨는 북쪽을 향해 머리를 조아리며 명을 따랐다. 다음날 진주를 베이징으로 데려갔다. 건륭제는 그녀를 곤녕궁(坤寧宮)에 모셨지만, 태후에게 알려질까 봐 사지서옥(四知書屋)에 숨겼다. 어느 날 저녁, 진주는 이미 승은(承恩)을 입었다고 외치며 은비(恩妃)로 책봉되었다. 어느 날 은비의 양아버지 황씨가 어떤 내감(內監)에 의해 건청궁(乾淸宮)으로 끌려가자 건륭제는 그를 보고 누구냐고 물었다. 황씨는 땅에 엎드려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내감은 그가 은비의 양아버지라고 했다. 앞서 은비를 베이징으로 데려왔을 때 건륭제가 그에게 산둥으로 돌아가라고 명하며 "이미 지난(濟南)에 오라는 밀지(密旨)가 있다"라고 말했다. 황씨가 집에 돌아와 보니 집이 새로워지고 좋은 논밭과 재물이 나타났으며, 문무 관리들이 그를 맞이했다.

진주가 처음 입궁했을 때 궁중 예절에 익숙하지 않아 밤이 깊으면 등불을 켜고 흐느꼈다. 하인이 건륭제에게 알리자 건륭제는 그녀를 위로했다. 어느 날 밤, 진주가 순종하지 않아 건륭제를 몹시 분노하게 했다. 진주가 살던 곳을 벗어나자 궁인들은 모두 두려워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예전처럼 그녀를 총애했다. 몇 년 후, 회부(回部)에서 향비(香妃)를 데리고 입궁했는데, 향비가 처음 입궁했을 때 은비와 같은 궁에 있다가 얼마 후 바로 다른 궁으로 이사했다. 건륭제는 향비에게 은비보다 더 좋은 물건을 하사했다. 향비가 죽은 후 고종(高宗)은 크게 울면서 눈이 어두워졌고, '은비를 헌신짝 버리듯 했다.'

이 은비 설화는 건륭제의 이빈 백씨, 의빈 황씨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보이지만, 둘 다 경력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4. 가족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백사채소주 사람, 건륭 24년(1759년) 11월에 병사.
적모범씨건륭 24년(1759년) 2월에 병사.
생모장씨 (첩)건륭 54년(1789년) 8월에 병사.
형제백영길원래 감생, 조판처 낭중 겸 좌령 등을 지냄.
형제백영경건륭 21년(1756년) 병자과 거인, 백태로 개명, 산동평원 현지현 역임.
형제백영서가경 연간, 산서 양곡현 전사(典吏).
자매백사채의 차녀
자매백사채의 3녀건륭 6년(1741년)에 입궁, 백귀인.
조카백화보산시성 시용 이문
조카백화륜, 백화봉피갑인
조카백화산, 백화옥, 백화서, 백화시, 백화문한산
조카손자극승액, 극몽액, 성유, 성선, 리거, 성덕한산



건륭 6년(1741년) 4월 10일, 건륭제는 이빈의 부모를 북경으로 보내 이빈을 만나게 하였다. 백사채의 나이가 예순아홉이었기 때문에 가족들의 부축이 필요했고, 백사채의 차남과 딸이 어려서 돌봐줄 사람이 없어 이빈의 부모, 형제자매, 형수, 조카 등 8명이 수로를 통해 상경하도록 허락했다. 그해 10월, 백사채 등은 소주로 돌아갔다.

건륭 7년(1742년), 백가는 그 뜻을 받들어 정황기 포의제4참령제1기고좌령으로 입기하였다. 그해 12월에 백사채 등 열한 명의 친척들과 아홉 명의 종들을 북경으로 보냈고, 백영길과 백영경에게 각각 갑옷에 석 냥씩 주었으며, 집에 예순일 칸, 땅에 칠경(七景)을 주고 매년 은 이백이십 냥을 세내어 스물여덟 칸을 세내어 매달 은 십 냥을 받았다.

5. 미디어 매체에서의 등장

徐百慧|쉬바이후이중국어가 연기한 2018년작 드라마 《연희공략》에서 이빈 백씨는 조연인 백씨(白氏) 역으로 등장한다. 허훙산이 연기한 2017년작 드라마 《여의전》에서는 이빈 백씨를 모델로 한 백예희(白蕊姬)라는 캐릭터가 등장하며, 극중 호칭은 매빈(玫嬪)이다.

미디어 매체에서의 등장
연도제목배우극중 이름극중 호칭비고
2018연희공략徐百慧|쉬바이후이중국어백씨이빈
2018여의전허훙산백예희매빈이빈 백씨를 모델로 해서 만든 캐릭터로 추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