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상화와 평가절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화와 평가절하는 심리학적 개념으로, 대상이나 자기 자신을 실제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거나, 반대로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자기애 이론에서 이상화를 처음 언급하며, 하인츠 코헛은 이를 건강한 방어 기제로 보았다. 오토 컨버그는 이상화를 방어적, 적응적 측면에서 논의하며, 병적인 이상화와 정상적인 이상화를 구분했다. 이상화는 개인의 심리적 발달과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정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계선 인격장애 - 변증법적 행동치료
    변증법적 행동치료는 마샤 리네한이 경계성 인격 장애 환자 치료를 위해 개발한 심리 치료 방법으로, 인지행동치료에 기반하여 변화와 수용의 균형, 마음챙김, 고통 감내, 감정 조절, 대인관계 효용성 기술 훈련을 강조하며 다양한 정신 질환, 특히 경계선 성격 장애, 만성적 우울증,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에 효과를 보인다.
  • 경계선 인격장애 - 수동적 공격성
    수동적 공격성은 감정을 직접 드러내지 않고 간접적으로 불만을 표출하는 행동 양식으로, 모호한 발언, 비효율성, 건망증, 타인 비난 등으로 나타나 사회생활과 직장 내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 이분법 - 심신 문제
    심신 문제는 마음과 몸, 정신과 물질의 관계를 다루는 철학 및 과학 분야의 핵심 질문으로, 마음과 몸이 서로 다른 실체라는 이원론과 하나의 실체라는 일원론으로 나뉘며, 현대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은 뇌 활동과 의식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 이분법 - 말굽 이론
    말굽 이론은 정치적 스펙트럼의 극단이 서로에게 가까워진다는 개념으로, 좌우 극단의 유사한 입장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지만, 지나치게 단순화되었다는 비판과 연구 부족의 한계가 존재한다.
  • 방어기제 - 방어 기제
    방어 기제는 심리적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안정감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이 사용하는 심리적 도구로, 건강한 것과 미성숙하거나 병리적인 것이 있으며, 자아 간의 갈등을 조절하고 때로는 문화적 활동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 방어기제 - 합리화
    합리화는 심리학에서 개인이 자신의 행동 동기를 숨기기 위해 상황을 단순화하거나 미화하여 해석하는 방어 기제이며, 자기 방어적인 설명으로 정의되고, 정신분석학에서 긍정적 및 부정적 관점으로 연구되었으며, 사회적으로 불평등과 차별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도 작용한다.
이상화와 평가절하
개요
이름이상화와 평가절하 (Idealization and devaluation)
유형심리 방어 기제
특징
정의다른 사람을 극단적으로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
설명대인관계에서 나타나는 심리 방어 기제의 일종이다.
대상에 대한 인식이 극단적으로 변동하며, 일관성이 결여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상화는 대상을 과도하게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평가절하는 대상을 과도하게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이러한 양극단의 평가는 개인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자존감을 유지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될 수 있다.
원인어린 시절의 경험, 특히 부모와의 관계에서 비롯될 수 있다.
불안정한 애착 관계나 학대 경험은 이상화와 평가절하의 경향성을 높일 수 있다.
결과대인관계의 어려움, 감정적 불안정, 자기 인식의 왜곡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이상화된 대상에 대한 실망감은 분노, 좌절감, 심지어는 적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자기 자신의 평가절하는 낮은 자존감과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관련 개념
대상항상성대상이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모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일관된 감정을 유지하는 능력.
분열 (splitting)대상을 좋은 부분과 나쁜 부분으로 분리하여 인식하는 심리 방어 기제. 이상화와 평가절하의 기저에 깔린 메커니즘으로 여겨진다.
정신 역동 이론적 관점
멜라니 클라인정신분석 이론가인 멜라니 클라인은 이상화와 평가절하를 초기 아동 발달 단계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현상으로 보았다.
아동은 세상을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으로 나누어 인식하며, 이를 통해 불안감을 해소하고 자기애를 유지하려 한다.
이러한 분열은 이후 통합 과정을 통해 점차 완화되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특정한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다.
오토 컨버그오토 컨버그는 이상화와 평가절하가 경계선 성격 장애의 주요 특징이라고 보았다.
경계선 성격 장애 환자는 대상항상성의 결여로 인해 대상을 극단적으로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극단적인 평가는 대인관계의 불안정성을 야기하고, 환자의 감정적 고통을 심화시킨다.
치료적 접근
목표이상화와 평가절하의 기저에 깔린 불안감과 미해결된 감정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환자가 대상을 보다 현실적으로 인식하고,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모두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방법정신역동 치료, 인지 행동 치료, 변증법적 행동 치료 등의 다양한 치료적 접근이 사용될 수 있다.
치료자는 환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이상화와 평가절하의 패턴을 인식하고, 이를 환자의 자기 탐색과 성장의 기회로 활용한다.
환자는 치료 과정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보다 건강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2. 지그문트 프로이트

이상화 개념은 지그문트 프로이트자기애 이론에서 비롯되었다. 프로이트는 유아가 세상의 중심이 자신이라고 믿는 초기 자기애 단계를 거친다고 보았다. 아이는 부모의 사랑을 얻기 위해 부모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관을 내면화하고, 이를 통해 자아 이상을 형성한다.[1] 자아 이상은 훌륭한 행동 규칙과 기준을 포함한다. 아이가 현실의 자기와 자아 이상 사이의 양가성을 견디지 못하고 방어에 자주 의존하면 병적인 상태가 된다. 프로이트는 이를 이차 자기애라고 불렀으며, 자아 자체가 이상화되기 때문이다. 타인에 대한 이상화는 욕동이론과 대상관계이론에서 설명된다. 리비도 욕동 관점에서 타인 이상화는 자기애적 리비도가 타인에게 넘쳐흐르는 것이고, 대상관계이론 관점에서는 양육자와 같은 대상 표상이 실제보다 미화된다.[15]

2. 1. 프로이트의 관점

이상화라는 용어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자기애를 정의하면서 처음 등장했다. 프로이트의 관점에서, 영아는 우주의 중심이 자기라고 보는 초기 자기애 단계를 거친다. 부모의 사랑을 얻기 위해 아이는 부모가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하게 된다. 이러한 가치관을 내면화함으로써 아이는 자아 이상을 형성한다.[13][14] 자아 이상은 자아가 추구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하는 좋은 행동에 관한 규칙과 탁월함의 기준을 담고 있다. 아이가 참 자기와 자아 이상 간의 양가성을 견딜 수 없고 방어를 지나치게 자주 사용할 때 병적이라고 본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상황을 이차 자기애라고 하였다. 자아 자체를 이상화하기 때문이다. 자기 이외에도 타인을 이상화한다는 설명은 욕동이론은 물론 대상관계이론에서도 사용한다. 리비도 욕동의 관점에서, 타인에 대한 이상화는 자기애적 리비도를 타자에게 넘쳐흐르는 것을 말한다. 자기 대상 관계의 관점에서, 양육자와 같은 타자 표상은 실제보다 더 미화된다.[15]

3. 하인츠 코헛

하인츠 코헛(Heinz Kohut)은 프로이트자기애 이론을 확장하여 이상화와 미러링의 '자기-타자 전이(self-object transferences)'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코헛은 아동기 이상화는 건강한 방어기제라고 보았다. 부모가 건강한 자기애(healthy narcissism)라 할 수 있는 이상화, 그리고 현실을 다루는 방식인 미러링을 아이가 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면, 아이는 자기를 과대한(grandiose) 존재로 바라보면서도 자신의 자존감(self-esteem)을 공급하고자 타인에게 의존하는 발달 단계를 뛰어넘지 못한다.[16][17] 코헛은 자기애 환자 치료 과정에서 환자는 자기 자신과 치료사에 대한 이상화가 필요하며, 피할 수 없는 최선의 좌절(frustration)이라는 결과로서 매우 서서히 이상화가 사그러질 것이라고 주장한다.[18]

3. 1. 코헛의 자기심리학

하인츠 코헛(Heinz Kohut)은 프로이트자기애 이론을 확장하여 이상화와 미러링의 '자기-타자 전이(self-object transferences)'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코헛은 아동기 이상화는 건강한 방어기제라고 보았다. 부모가 건강한 자기애(healthy narcissism)라 할 수 있는 이상화, 그리고 현실을 다루는 방식인 미러링을 아이가 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면, 아이는 자기를 과대한(grandiose) 존재로 바라보면서도 자신의 자존감(self-esteem)을 공급하고자 타인에게 의존하는 발달 단계를 뛰어넘지 못한다.[16][17] 코헛은 자기애 환자 치료 과정에서 환자는 자기 자신과 치료사에 대한 이상화가 필요하며, 피할 수 없는 최선의 좌절(frustration)이라는 결과로서 매우 서서히 이상화가 사그러질 것이라고 주장한다.[18]

4. 오토 컨버그

오토 컨버그는 이상화를 방어적 측면과 적응적 측면 모두에서 논의하였다. 컨버그는 이상화를 타인의 싫어하는 특징을 부인하고, 자신의 리비도나 전능함을 타인에게 투사하여 타인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는 정상적인 이상화와 병적인 이상화라는 발달 선형을 제시하였다. 병적 이상화 상태에서는 대상 항상성에 문제가 있어 타인을 완전히 좋거나 나쁘다고 받아들이며, 이상화와 평가절하를 강화한다. 이 단계에서 이상화는 경계선 인격장애의 병리적 상태와 관련있다. 반대로, 정상적 이상화 상태에서 이상화는 성숙한 사랑의 감정에 필요한 전구체라고 할 수 있다.[19][8]

4. 1. 컨버그의 대상관계이론

오토 컨버그는 이상화를 방어적 측면과 적응적 측면 모두에서 논의를 확장하였다. 컨버그는 이상화를 타인이 싫어하는 특징을 부인하고, 자신의 리비도나 전능(omnipotence)을 타인에게 투사(project)함으로써 타자를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컨버그는 한쪽 끝을 정상적인 이상화로, 다른 한쪽 끝을 병적인 이상화로 하는 발달 선형(developmental line)을 제시하였다. 병적 이상화 상태에서는 대상 항상성(object constancy, 대상에 대한 상, 특히 정서적 애착 대상에 대한 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심리 상태)에 문제가 있어 타인은 완전히 좋거나 나쁘다고 받아들이며, 이상화와 평가절하를 강화한다. 이 단계에서 이상화는 경계선 인격장애의 병리적 상태와 관련있다. 반대로, 정상적 이상화 상태에서 이상화는 성숙한 사랑의 감정에 필요한 전구체(precursor)라고 할 수 있다.[19][8]

5. 한국 사회와 이상화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1. 이상화의 긍정적 및 부정적 측면

오토 컨버그는 이상화를 방어적 측면과 적응적 측면 모두에서 광범위하게 논의하였다. 그는 이상화를 대상의 원치 않는 특성을 부정하고, 자신의 성적 욕망(리비도)이나 전능함을 투사하여 대상을 강화하는 것으로 개념화했다. 컨버그는 발달 단계를 제안했는데, 한쪽 끝은 정상적인 형태의 이상화, 다른 쪽 끝은 병적인 형태를 이룬다. 병적 이상화의 경우, 개인은 대상 항상성(대상에 대한 상, 특히 정서적 애착 대상에 대한 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심리 상태)에 문제가 있으며, 다른 사람을 완전히 좋거나 완전히 나쁜 존재로 인식하여 이상화와 평가절하를 강화한다. 이 단계에서 이상화는 경계선 인격장애와 관련이 있다. 반면, 정상적인 이상화는 성숙한 사랑의 감정을 위한 필수적인 전구체라고 한다.[8]

참조

[1] 간행물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plitting Countertransference. http://www.psychiatr[...] The Psychiatric Times 1998
[2] 논문 The Ego Ideal of the Psychoanalyst. 1978
[3] 서적 Perspectives on Personality. Needham Heights: Allyn & Bacon 2000
[4] 논문 Freud's Concepts of Idealization. 1979
[5] 웹사이트 Kohut and Jung A Comparison of Theory and Therapy http://www.findingst[...] 1989
[6] 논문 Idealization and Interpretation. 1987
[7] 서적 Freud and beyond. New York: Basic Books 1995
[8] 논문 A Note on the Assessment of Idealization. 1995
[9] 간행물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plitting Countertransference. http://www.psychiatr[...] The Psychiatric Times 1998
[10] 논문 The Ego Ideal of the Psychoanalyst. 1978
[11] 서적 Perspectives on Personality. Needham Heights: Allyn & Bacon 2000
[12] 간행물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plitting Countertransference. http://www.psychiatr[...] The Psychiatric Times 1998
[13] 논문 The Ego Ideal of the Psychoanalyst. 1978
[14] 서적 Perspectives on Personality. Needham Heights: Allyn & Bacon 2000
[15] 논문 Freud's Concepts of Idealization. 1979
[16] 웹사이트 Kohut and Jung A Comparison of Theory and Therapy http://www.findingst[...] 1989
[17] 논문 Idealization and Interpretation. 1987
[18] 서적 Freud and beyond. New York: Basic Books 1995
[19] 논문 A Note on the Assessment of Idealization.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