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교 (192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성교는 1921년 12월 4일에 태어났으며, 제1, 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을 역임했다. 삼척군 근덕면 의원, 영진광업 대표이사를 지냈으며, 태백호텔 회장, 태백시 지역개발 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1980년 민주정의당 창당 준비위원으로 참여했고, 1988년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려 했으나 최종 경선에서 탈락했다.
이성교는 1921년 12월 4일 (일설에는 1922년 2월 9일[1]) 강원도 삼척군 근덕면 교가리에서 태어났다. 초기에는 풍전철광 직원, 강원도립병원 위생사무촉탁 등으로 일했으며, 6.25 전쟁 이후 잠시 정미소를 운영하기도 했다.
1972년 12월 4일 제1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삼척군 장성읍 지역구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여[7][8], 같은 해 12월 17일 당선되었다.[9][10][11] 1972년 12월 23일부터 1978년 5월 18일까지 제1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으로 활동했다.
wikitext
2. 생애
1952년 삼척군 근덕면 초대 의원으로 선출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4] 이후 광업 분야에 투신하여 대명광업 덕대, 영진광업 대표이사 등을 역임하며 지역 경제계에서 활동했다. 1963년에는 박정희 군사정권의 군정 연장 반대 시위에 참여했다가 구속되는 등[5]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이력도 있다.
1972년과 1978년에는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했으며[9][13], 1980년 민주정의당 창당 준비위원으로 참여하기도 했다.[16]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공천을 신청했으나 최종적으로 후보가 되지는 못했다.[21][22]
그는 정치 활동 외에도 황지읍 의용소방대 대장, 황지여자중학교 및 황지여자고등학교 육성회 회장, 산업전사 위령탑 건립추진위원장, 라이온스 클럽 활동, 삼척상공회의소 부회장, 태백호텔 회장 등 다양한 사회 활동에 참여하며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했다.[3][12][14][18] 생애 후반까지 영진광업 대표이사로 활동했다.[3]
2. 1. 초기 활동
1921년 12월 4일에 태어났으며, 일설에는 1922년 2월 9일생이라는 설도 있다. 1973년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편찬한 후보자 명부에는 생년월일이 1922년 2월 9일로 기재되어 있다.[1] 강원도 삼척군 근덕면 교가리(현 삼척시 근덕면 교가리) 재동 부락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주원(周謜)이고, 아버지는 희전(熙田)이며, 어머니는 삼척 김씨 김지석(金智碩)이다. 고종 때 성주 독용산성 별장을 지낸 이인호의 종증손이다. 누이 이정자(李貞子)는 삼척 김씨 김두진(金斗鎭)과 혼인하였다.
강원도 삼척군 근덕면 교가리 출신이지만, 이후 삼척군 장성읍 황지2리(三陟郡 長省邑 黄池2里, 후일의 강원도 태백시 황지동) 253-1번지로 이주하여 생활했다.[2] 그 뒤로도 태백시에 거주했으며, 1999년 당시에는 태백시 황지3동에 거주하였다.[3]
풍전철광(豊田鐵鑛)에 입사하여 직원으로 근무하다가 퇴사하고 대명탄광의 덕대가 되었다.
1940년에는 강원도립병원 위생사무촉탁직원으로 일했다. 6.25 전쟁 휴전 직후에는 정미소를 운영하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폐업하였다.
2. 2. 기초의원, 탄광 근무
1952년 4월 25일 제1대 읍면의회 선거 때 삼척군 근덕면 의회 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4] 이에 따라 1952년부터 1956년까지 초대 삼척군 근덕면 의회 의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광업 분야에 종사하여 1959년 9월 9일 대명광업에 입사하여 덕대가 되었다. 1960년대 이후에는 삼척군 황지읍(현 태백시 황지동)에 영진광업(映振鑛業)을 창립하고 대표이사를 지냈다.
1963년 3월 22일에는 박정희 군사정권의 군정 연장에 반대하여 서울 종로1가, 을지로1가, 서울시청 등지에서 열린 시위에 참여했다. 당시 민정당 당원이었던 그는 이 시위 참여로 고형곤, 유치진 등 105명과 함께 당일 남대문경찰서에 체포되어 구속되었다.[5] 같은 해 황지읍 의용소방대 대장을 맡아 소방차량 증설에 기여하기도 했다.
1965년에는 북삼척광철산소(北三陟鑛鐵山所) 소장으로 재직했다.[6] 그해 10월 10일에는 베트남 전쟁 중 부하를 구하고 순직한 군인 강재구 소령의 장례식에 조위금으로 1만원을 기탁했다.[6] 1968년에는 라이온스 클럽 강원도지부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2. 3. 정치, 사회단체 활동
1972년 12월 4일 제1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삼척군 장성읍 지역구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여[7][8], 같은 해 12월 17일 당선되었다.[9][10][11] 1972년 12월 23일부터 1978년 5월 18일까지 제1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으로 활동했다.
1973년에는 장성읍(의용)소방대장을 맡았다.[12] 1975년에는 황지여자중학교와 황지여자고등학교의 육성회 회장이 되었다.[3] 같은 해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산69-9에 산업전사 위령탑 건립에 참여하여 건립추진위원장을 맡았으며, 위령탑은 그해 11월 29일 제막했다. 또한, 1975년 5월 10일 총력안보협회가 창립되자 강원도지부 운영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76년에는 라이온스 클럽 309A지구 부총재로 선임되었다.
1978년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삼척군 황지읍 지역구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여 같은 해 5월 19일 당선되었다.[13] 1978년부터 1980년 10월 27일까지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으로 활동했다.
1978년 7월 삼척상공회의소에서 제6대 의원 및 임원 선출 시 부회장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다.[14]
1979년에는 강원도 삼척군 도계읍 도계3리 3401 ~ 5번지, 3456 ~ 7번지에 위치한 무연탄(無煙炭) 생산 업체인 달전광업소(達田礦業所)의 대표이사를 맡았다.[15] 같은 해 영진광업소 대표이사도 되었다.[3]
1980년 12월 8일 민주정의당(민정당) 창당 준비위원 중 한 사람으로 참여했다.[16][17] 1981년에는 태백시 지역개발 위원장이 되었다.[3]
그 외에도 태백호텔 회장[18], 태백시 번영회 회원 등을 역임했다. 1987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직전 출마 예상자로 거론되기도 했다.[19] 1987년 1월 당시에는 태백호텔 회장이었다.[20]
2. 4. 생애 후반
1988년 1월 6일 오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민주정의당의 태백시 지역구 공천을 신청했다.[21] 1월 8일 공천이 확정되었으나[22][23][24], 최종 경선 과정에서는 탈락하였다.
이후 1999년에는 영진광업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었다.[3]
3. 사회 활동
1973년에는 장성읍 (의용)소방대장을 맡았다.[12] 1975년에는 황지여자중학교와 황지여자고등학교 육성회 회장이 되었으며[3], 같은 해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에 산업전사 위령탑 건립을 추진하는 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아 위령탑 건립에 참여했다. 이 위령탑은 그해 11월 29일 제막되었다. 또한, 1975년 5월 10일 창립된 총력안보협회의 강원도 지부 운영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76년에는 라이온스 클럽 309A지구 부총재로 선임되었다.
1978년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삼척군 황지읍 지역구 무소속 후보로 다시 출마하여, 그해 5월 19일 당선되었다.[13] 1978년부터 1980년 10월 27일까지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으로 활동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삼척상공회의소 제6대 부회장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다.[14]
1979년에는 강원도 삼척군 도계읍 도계3리 3401 ~ 5번지, 3456 ~ 7번지에 위치한 달전광업소(達田礦業所)의 대표이사를 맡았다.[15] 달전광업소는 무연탄을 생산하는 곳이었다.[15] 같은 해 영진광업소 대표이사도 역임했다.[3]
1980년 12월 8일, 민정당 창당 준비위원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16][17] 1981년에는 태백시 지역개발 위원장을 맡았다.[3]
그 외에도 태백호텔 회장[18], 태백시 번영회 회원 등을 역임했다. 1987년 제13대 총선 직전에는 출마 예상자로 호명되었다.[19] 1987년 1월 당시 태백호텔 회장직을 유지하고 있었다.[20]
4. 수상 경력
5. 가족 관계
참조
[1]
서적
대한민국 정당사 2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73
[2]
서적
대한민국 정당사 2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73
[3]
서적
강원도를 움직이는 인물들
강원일보사
1999
[4]
문서
삼척시지 제 3편 참조
[5]
뉴스
1百 5名을 軍裁送致 87名은 拘束 18名 不拘束 데모한 舊政治人 등
경향신문
1963-03-23
[6]
뉴스
故(고) 姜在求少領追悼(강재구소령추도)
조선일보
1965-10-10
[7]
뉴스
代議員(대의원) 立候補者(입후보자) 명단
동아일보
1972-12-04
[8]
뉴스
統一主體(통일주체)국민회의代議員立候補者(대의원입후보자) 최종確定(확정)
경향신문
1972-12-04
[9]
뉴스
統一主體 국민회의 代議員 當選者
조선일보
1972-12-17
[10]
뉴스
代議員當選者 명단
동아일보
1972-12-18
[11]
뉴스
國民會議(국민회의)대의원 當選者(당선자) ○표가 確定者(확정자) <下午(하오)2시現在(현재)>
경향신문
1972-12-16
[12]
서적
대한민국 정당사 2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73
[13]
뉴스
統一主體 國民會議 代議員 당선자 명단
동아일보
1978-05-19
[14]
서적
상공회의소 백년사
대한상공회의소
1984
[15]
서적
全國企業體總覽
大韓商工會議所
1979
[16]
뉴스
民正黨(민정당) 創黨(창당)준비위원
경향신문
1980-12-08
[17]
뉴스
◇民正黨(민정당) 創黨(창당)준비위원 명단
조선일보
1980-12-09
[18]
뉴스
13代總選 전국 出馬예상자 名單
경향신문
1987-12-26
[19]
뉴스
13代 국회 出馬예상자 지역별 명단
조선일보
1987-12-31
[20]
뉴스
출마예상자 명단
경향신문
1987-01-06
[21]
뉴스
民正 공천신청자<6일하오접수>
경향신문
1988-01-07
[22]
뉴스
民正黨 13대議員 공천신청자 8일현재
조선일보
1988-01-09
[23]
뉴스
民正黨 공천신청자 명단
동아일보
1988-01-08
[24]
뉴스
全國 지구별 民正黨 공천신청자 名單
경향신문
1988-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