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척시는 강원특별자치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삼한 시대에는 실직국으로 불렸다. 신라 시대 삼척군이 되었고,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는 삼척부로 승격되었다. 1986년 삼척읍이 삼척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삼척군과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 광업, 임·수산업이며, 석회석, 무연탄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주요 관광지로는 죽서루, 환선굴, 대금굴, 삼척해수욕장 등이 있으며, 삼척정월대보름제, 삼척대게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교통은 철도(영동선, 삼척선, 동해선)와 동해고속도로를 통해 연결되며, 여러 국도와 지방도가 시내를 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척시의 행정 구역 - 원덕읍
원덕읍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있는 읍으로, 신라 시대 죽령현에서 조선 시대 덕번, 원덕면을 거쳐 198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1개의 법정리와 여러 교육기관을 포함하고 일제강점기 지명 회복의 역사를 가진 지역이다. - 삼척시의 행정 구역 - 근덕면
근덕면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 속하는 면으로, 20개의 법정리와 여러 학교, 초당굴 등의 관광 명소를 포함하고 있다. - 삼척시 -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은 1971년 동해방송으로 개국하여 삼척문화방송으로 상호 변경 후 AM 라디오 방송을 시작으로 TV와 FM 라디오 방송을 개국하며 방송 영역을 확장했으며, 2015년 강릉MBC와 합병하여 MBC강원영동으로 출범, 현재는 TV와 라디오 방송을 통해 강원 영동 남부와 경북 북부 일부 지역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지역 방송국이다. - 삼척시 - 강원종합박물관
- 강원특별자치도의 도시 - 태백시
태백시는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고원 도시로, 탄광 도시에서 고랭지 농업과 관광 산업 중심으로 경제를 재편하고 있으며, 한강과 낙동강의 발원지이자 태백산 등 자연, 역사·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도시 - 춘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서북부에 위치한 춘천시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맥국의 수도였고, 춘주를 거쳐 도호부로 승격, 강원도청 소재지가 되었으며, 한국전쟁 이후 재건, 1995년 춘천군과 통합, 현재는 호반의 도시로서 관광자원과 경공업, 관광산업을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는 도시이다.
삼척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시 |
한국어 표기 | 삼척시 |
한자 표기 | 三陟市 |
로마자 표기 | Samcheok-si |
McCune-Reischauer 표기 | Samch'ŏk-si |
방언 | 강원도 방언 |
면적 | 1185.78 km² |
인구 (2024년 9월) | 62,111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기후 | 온난 습윤 기후(Cfa) |
상징 | 시목: 느티나무 시화: 진달래 시조: 갈매기 |
![]() | |
행정 | |
광역자치단체 | 강원특별자치도 |
하위 행정 구역 | 2읍, 6면, 4동 |
시장 | 박상수 (국민의힘) |
국회의원 | 이철규(국민의힘,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
전화 지역 번호 | +82-33 |
시청 소재지 | 중앙로 296 (교동 592) |
시정 슬로건 | 희망찬 미래, 행복도시 삼척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삼척시청 |
2. 역사
삼한 시대에 실직국(悉直國) 또는 실직곡국(悉直谷國)이라 불리는 씨족 국가가 있었으며, 신라의 북쪽 변경 지역이었다. 6세기 초 신라 지증왕 때 주군현제가 시행되면서 실직주가 설치되었고, 통일신라 경덕왕 때인 757년에 국내 지명이 당나라 풍으로 바뀔 때 '''삼척군'''으로 개칭되었다.
후삼국 시대에는 삼척 김씨 등 유력한 호족 세력의 지배를 받아 진주(眞珠)라는 별칭으로 불렸다.[5] 고려 성종 14년(995년)에 척주(陟州) 단련사(團練使)가 설치되었다가, 현종 9년(1018년)에 삼척현(三陟縣)으로 격하되었다.
조선 태조 2년(1393년) 목조의 외가라는 이유로 삼척부(三陟府)로 승격되었고, 1397년(태조 6년)에 삼척진(三陟鎭)이 설치되었다. 태종 13년(1413년)에는 삼척도호부(三陟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393년부터 1413년까지 공양왕이 유배되었고, 1394년에 이곳에서 살해되었다. 또한 태조의 4대조인 이양무 부부의 묘소인 준경묘·영경묘가 울창한 송림에 둘러싸여 있어 풍수지리적으로 중요한 곳으로 여겨졌다.
1631년(인조 9년) 삼척도호부 내에 9개 행정 구역이 설치되었고, 1738년(영조 14년)에는 12개 면으로 재조정되었다. 1681년(숙종 7년)에는 양양 지진이 발생했는데, 이는 한반도에서 기록된 지진 중 가장 큰 규모로 추정된다.
1917년 삼척군 부내면이 삼척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38년 10월 1일 삼척면이 삼척읍으로 승격되었다.[28] 1979년 12월 31일 삼척군(5읍 5면)은 인구가 30만 명이 넘어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군이 되었다. 1980년 4월 1일 삼척군 북평읍이 명주군 묵호읍과 합쳐져 동해시로 분리 독립되었고, 원덕면이 원덕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7월 1일 삼척군 장성읍과 황지읍이 태백시로 분리 독립되었다. 1986년 1월 1일 삼척군 삼척읍이 삼척시로 승격되었다.[29] 1995년 1월 1일 삼척시와 삼척군이 다시 통합되어 도농복합시 형태의 삼척시가 설치되었다.[30]
2. 1. 고대 및 삼국 시대
삼한 시대에 실직국(悉直國) 또는 실직곡국(悉直谷國)이라 불리는 소국이 있었다.[5] 102년 (파사 이사금 시기) 신라에 복속되었고,[5] 468년 (장수왕 시기) 고구려에 복속되었다.[5] 505년 (지증왕 시기) 실직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5] 658년 (무열왕 시기) 북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2. 2. 통일 신라 시대
757년(경덕왕 16년) 행정 제도 개편으로 현재 이름인 삼척군으로 개칭되었으며, 현재 삼척시 안팎에 있던 4개 현을 속현으로 관할했다.[5]현 이름 | 위치 |
---|---|
만경현 | 옛 만약현. 현재의 삼척시 근덕면. |
우계현 | 옛 우곡현. 고려 시대에 명주로 소속 변경. 현재의 강릉시 옥계면. |
죽령현 | 옛 죽현현. 조선 인조 8년(1630년) 삼척부사 이준이 삼척부 경내를 9리로 나눌 때 장성리라 칭함. 후에 상장성면과 하장성면으로 나뉘었는데, 상장성면은 현재의 태백시, 하장성면은 현재의 삼척시 하장면. |
해리현 | 옛 파리현. 현재의 삼척시 원덕읍. |
2. 3. 고려 시대
995년 (고려 성종 14년) 척주(陟州)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 1018년 (고려 현종 9년) 삼척현(三陟縣)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 고려 시대에는 삼척 김씨 등 호족 세력의 지배하에 있었고 진주(溟州)라는 별칭으로 불렸다.[5]2. 4. 조선 시대
1393년(조선 태조 2년) 태조의 5대조 이양무가 삼척에 거주했기 때문에 삼척현이 삼척부로 승격되었다.[5] 1413년(조선 태종 13년) 삼척도호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1393년부터 1413년까지 고려 마지막 왕이었던 공양왕이 유배되었고, 1394년에 이곳에서 암살되었다.[5] 또한 조선 왕조 태조 이성계의 현조부인 이양무 부부의 묘소인 준경묘·영경묘가 있으며, 울창한 송림에 둘러싸여 풍수를 갖춘 땅으로 여겨지고 있다.[5]
1631년(인조 9년) 삼척도호부 내에 9개의 행정 구역이 설정되었다.
행정 구역 |
---|
말곡 |
부내 |
덕번 |
북평 |
미로 |
소달 |
노곡 |
견박곡 |
장성리 |
1681년(숙종 7년) 양양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은 한반도에서 발생한 기록이 남아있는 지진 중 최대 규모로 추정된다.
1738년(영조 14년) 12개 면으로 재조정되었다.
행정 구역 |
---|
말곡(동 지역 내륙) |
부내(동 지역 해안) |
근덕번 |
원덕번 |
미로 |
소달 |
노곡 |
견박곡 |
상장성 |
하장성 |
도상 |
도하 |
2. 5. 일제 강점기
- 1914년 4월 1일: 군면 통폐합으로 삼척군에 9개 면(부내면, 북삼면, 상장면, 근덕면, 원덕면, 미로면, 소달면, 노곡면, 하장면)이 설치되었다.[12]
- 1917년: 부내면이 삼척면으로 개칭되었다.
- 1938년 10월 1일: 삼척면이 삼척읍으로 승격되었다.[16]
- 1943년: 원덕면의 일부(초곡면·매원리)가 근덕면에 편입되었다.
- 1945년 7월 1일: 북삼면이 북평읍으로 승격되었다.[17]
2. 6. 대한민국
- 1979년 12월 31일: 삼척군(당시 5읍 5면)은 인구 30만 명을 넘어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군이 되었다.[28]
- 1980년 4월 1일: 삼척군 북평읍이 명주군 묵호읍과 합쳐 동해시로 신설·분리되었고, 원덕면이 원덕읍으로 승격하였다.
- 1981년 7월 1일: 삼척군 장성읍과 황지읍이 태백시로 신설·분리되었다.
- 1986년 1월 1일: 삼척군 삼척읍이 삼척시로 승격하였다.[29]
- 1995년 1월 1일: 삼척시와 삼척군을 재통합해 도농복합시인 삼척시가 설치되었다.[30]
- 2022년 3월 4일: 인접한 울진군에서 대규모 산불이 발생하여 삼척시로 번졌으며[8], 일주일 이상 불이 계속되었다.[9]
3. 지리
강원특별자치도 남동부에 위치한 삼척시는 동쪽으로 동해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태백산맥과 접한다. 해안선의 길이는 58.4km이며, 전체 면적의 대부분은 산림(1,049.6㎢)으로 이루어져 있다. 태백산맥의 주요 봉우리로는 두타산(1,353m), 청옥산(1,404m), 덕항산(1,071m) 등이 솟아 있으며, 석회암 지형이 발달하여 환선굴, 대금굴 등 여러 동굴이 있다.
삼척시의 동쪽 끝은 원덕읍 월천리(동경 129°21′58″), 서쪽 끝은 하장면 공전리(동경 128°57′01″)로 동서 간 거리는 45.75km이다. 남쪽 끝은 가곡면 풍곡리(북위 37°02′10″), 북쪽 끝은 교동 증산(북위 37°28′26″)로 남북 간 거리는 48.6km이다.
3. 1. 지세
해안선 부근을 제외하면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넓은 충적평야인 북평평야가 있다. 지질은 평안계와 조선계·화강편마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잡한 편이다. 태백산맥의 분수령이 되는 청옥산(1,404m), 두타산(1,353m), 덕항산(1,071m), 중봉산(999m) 등의 봉우리가 솟아 있다.[28] 주요 산계(山系)는 태백산맥 중 척추산맥을 이루는 두타산(1,352.77m)-덕항산(1,070.7m)을 잇는 산계, 안항산(356)-삿갓봉(751.3m)-두리봉(1,072.3m)-육백산(1,253m)을 잇는 중앙산맥과 사금산을 연결하는 해안산맥 등 3개의 산계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 중 중앙산맥의 고봉과 산릉에는 조선 누층군의 장산규암층 및 묘봉셰일층이 분포되어 있으며 차별 침식에 의한 지형적 특색을 나타낸다.[28]태백산맥이 동쪽으로 급격히 내려오면서 동해안으로 흘러 들어가고 서쪽으로는 고원 구릉지대를 형성하여 광동댐이 위치하는 등 곳곳에 동쪽으로 흐르는 많은 하천이 골고루 발달되어 있다.
삼척시의 주된 수계는 위에서 언급한 3개의 산계 사이에서 그들과 나란하게 대략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오십천과 마읍천 수계로 구분된다. 태백산에서 발원하여 미인계곡에서 오십천으로 유입되는 오십천 상류부는 원래 낙동강 지류인 철암천의 상류였으나 하천 쟁탈에 의해 오십천 유역으로 바뀌었다. 오십천과 마읍천은 각각 오십천 단층과 마읍천 단층을 따라 발달한다.[28]
3. 2. 해안
58.4km의 긴 해안선은 단조롭고 완만하여 간척사업이나 수산양식사업에는 다소 불리하나, 해안을 따라 넓게 펼쳐진 송림과 모래사장, 동해의 맑은 청정 해수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 추암리-오분리, 덕산리-부남리 사이에는 해식애, 파식대, 스택 등의 해안 지형이 나타난다. 추암리의 촛대바위는 스택의 좋은 예시이다. 근덕면 덕산리 부근에는 소규모의 '''육계사주'''(陸繫沙洲)가 있으며, 그 끝에 있는 덕봉산(52.1 m)은 작은 육계도이다.[28]3. 3. 기후
태백산맥과 동해의 영향으로 해양성 기후의 특징을 보이며, 온난다습하다. 영서 지방에 비해 여름은 서늘하고 겨울은 온난하며, 연평균 기온은 12.5°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284.5mm이며, 여름철에 강수량이 집중된다. 겨울철에는 북동 기류의 영향으로 눈이 많이 내리며, 때때로 3~4월에도 많은 눈이 내린다.[33]지난 12년간의 평균 기온은 12.5°C로, 영서 지방의 다른 도시에 비해 다소 높다. 최고 기온은 1992년 7월 29일 37.5°C였으며, 최저 기온은 1990년 1월 26일 -13.5°C였다.
기온 분포는 8월 평균 24.1°C, 1월 평균 0.5°C로 나타나 여름은 서늘하고 겨울은 온화한 특징을 보인다. 연평균 강수량은 1,284.5mm이며, 강수량의 50% 이상이 7월~8월에 집중되어 여름철에 강수량이 많다. 일 최대 강수량은 2002년 8월 31일~9월 1일(2일) 태풍 루사로 인한 폭우 시 노곡에서 819mm를 기록했다.
4. 지질
삼척시는 옥천 습곡대와 영남 지괴의 동부 경계 부분에 위치하여 지질 구조가 다양하고 복잡하다. 선캄브리아기 암석은 주로 동·남부에, 고생대 암석은 서부에 분포한다. 오십천 단층과 마읍천 단층 등 대부분의 단층은 도계읍, 신기면, 노곡면과 그 주변에 집중되어 있다.[35][36]
4. 1. 개요
삼척시는 옥천 습곡대와 영남 지괴의 동부 경계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질 구조가 다양하고 복잡하다.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은 주로 동·남부에 분포하며, 고생대의 암석은 서부에 주로 분포한다. 오십천 단층과 마읍천 단층을 위시한 대부분의 단층은 도계읍, 신기면, 노곡면과 그 주변에 집중 분포한다.[35][36]4. 2. 선캄브리아기
삼척시 남부(원덕읍, 가곡면, 근덕면) 지역은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영남 육괴의 북부에 자리잡고 있어 주로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백산변성암복합체(태백산통)가 기반을 이룬다. 삼척시 내에서 태백산통은 편암류(PCEt),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PCEmgn), 화강암질 편마암(PCEggn), 홍제사 화강암 등으로 구성된다.[28] 하장면 골지천 북동부 지역에도 선캄브리아기의 지층이 분포한다.[28]4. 3. 고생대 조선 누층군과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
고생대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기에 퇴적된 조선 누층군은 삼척시 서부에 넓게 분포한다. 삼척시에 분포하는 조선 누층군은 두위봉형 조선 누층군에 속하며 장산 규암층부터 막동 석회암층까지 나타난다. 조선 누층군의 주향과 경사는 대체로 북동 12°및 북서 20°이다. 특히, 조선 누층군 중 풍촌 석회암층(CEp)과 막동 석회암층(Omg) 분포 지역인 동해시 대구동-삼척시 우지동, 원당동-성남동, 미로면 하정리 부근과 노곡면 여삼리 일대에는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여 돌리네, 우발라 등이 나타난다. 이 밖에 카르스트 현상으로서 관음굴을 비롯한 수많은 석회동굴이 분포한다.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도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 분포 지역에 있다.[28]4. 4. 고생대 평안 누층군 (삼척탄전과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
고생대 석탄기~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형성된 평안 누층군은 삼척시 남부 도계읍 일대에만 소규모로 분포한다. 소위 '''삼척탄전'''으로 불리는 이 지역에서는 평안 누층군 지층에서 석탄의 일종인 무연탄이 산출된다.[28]; 도계 광업소
삼척시 석탄산업의 시초인 '''도계 광업소'''는 1936년 삼척탄광으로 개광하여 1951년 대한석탄공사 도계 광업소로 개발하면서 오늘에 이른다. 석탄산업 합리화로 탄광 대다수가 폐광하는 상황 속에서도 도계 광업소는 3개의 갱구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도 석탄 생산을 계속하고 있다. 1945년 미 군정청 직할운영을 거쳐 1951년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로 운영되어왔다.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는 삼척시의 핵심 산업으로 자리하면서 삼척시의 발전과 궤를 함께했다. 1987년까지 도계갱, 동덕갱, 흥전갱, 나한정갱, 점리갱 등 5개 갱에서 석탄을 생산했으나,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 이후 생산 규모가 축소되었다. 1990년 점리갱 폐쇄, 1994년 흥전갱과 나한갱을 통합하여 중앙갱으로 통합하면서 갱구수가 축소되었다. 도계광업소는 2018년 5월 현재도 도계갱, 중앙갱, 동덕갱 등 3개 갱에서 석탄을 생산한다.
도계광업소에서 생산된 탄은 열량과 점결성이 높아 연탄제조와 3급의 고질탄으로 발전용에 적합하다. 1990~2000년대 평균 5,000 kcal를 기록했다.[38]
2012년 12월 시점의 생산규모는 연간 302천톤에 이른다. 지표에서 수직으로 368m를 내려간 곳에서 석탄을 생산하며 지하 갱도의 총 연장은 93km에 달한다.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225에 있는 도계 광업소는 총 5,281ha의 면적에 16개의 광구를 가지고 있으며, 모두 가행 중이다. 광량(鑛量) 현황은 도계가 49백만톤(20%), 석탄공사가 247백만톤(100%)이다. 가채량은 도계가 31백만톤, 석탄공사가 79백만톤이다. 1984년 이후 꾸준한 생산량 증가를 보이다가 1988년 1,270,120톤으로 최대 생산을 기록했다. 개광 이래 총 생산량은 40,665,287톤이고 석탄공사 창립이래 생산량은 39,561,245톤에 이른다.
고생대 장성층에 해당되는 탄층으로 탄층수는 3~5배가 발달되어 있고 이중 현 가행탄층수는 중층탄 1매로 노두연장 14km, 평균탄폭 2.0m이다. 지형지질 여건상 광구 중앙부를 통과하는 오십천 단층을 경계로 남동부와 북서부로 양분된다. 남동부는 오봉산 스러스트 단층으로 탄층 발달이 분리되어있다. 상부탄층을 묵점, 하부탄층을 도계, 흥심 지구로 구분하며 이들 탄층은 본역 남동단의 죽암산을 저부로 하는 30도 내외의 경사를 가진 향사구조를 이루고 있다. 북서부는 3개 이상의 단층으로 인하여 각각의 단층대를 경계로 나한, 흥전, 하장 지구로 구분되며 이들 각 지구의 탄층 주향은 북동향으로 30도 내외로 북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흥전지구의 북동향 연장부인 점리지구는 과습곡에 의하여 분리되며 남동측으로 경사를 이룬다.[39]
4. 5. 중생대
중생대에 형성된 지층은 도계읍 남부 끝에 소규모로 분포한다.[28]- '''적각리층(Kj)''' : 흥전리-심포리 일대에 분포하며, 함백산층과 조선 누층군을 덮고 유문암에 의해 덮여 있다. 적자색(赤紫色) 내지 잡색의 역암, 역질 사암, 사암 그리고 이암으로 구성된다. 하부에는 역암이 많고, 상부에는 역암이 사암, 이암과 함께 층리를 이루며 교호(交互)한다. 역암의 역(礫)은 화강암질 편마암, 편암, 석회암, 사암, 규암, 셰일 등 변성암 복합체, 조선 누층군 및 평안 누층군의 각종 암석들로 구성된다. 사암층 일부에는 사층리가 발달한다.[28] 도계읍 심포리의 '''미인폭포'''와 '''통리협곡''' 지역의 암석은 적각리층으로 역암과 사암, 셰일의 호층으로 구성된다. 통리 협곡은 한국판 그랜드캐니언으로 불린다.
- '''흥전층(Kh)''' : 경상계에 속하며 흥전리-심포리 일대에 분포한다. 응회암류와 응회질 쇄설암류로 구성되며 응회질 쇄설암류에는 담녹회색, 녹회색, 회록색의 역암/역질 사암, 사암, 실트암, 이암들이 있다. 드물게 암회색, 갈회색의 실트암, 이암도 관찰된다. 이들은 대체로 상향세립성의 평범한 층리를 이루며 역질사암과 사암의 단위층에는 점이 층리가 발달한다.[28]
- '''유문암(Kav)''' : 산성화산암류이며 도계읍 심포리와 구사리, 흥전리의 일부 지역에 소규모로 분포하고 있다. 적각리층과 흥전층 및 화강암질 편마암을 덮고 있다.[28]
- '''화강반암(Kgp)''' : 도계읍 상덕리 경동탄광 동쪽에 함백산층을 암주상으로 소규모 관입하고 있다.[28]
5. 단층
삼척시는 태백시, 정선군과 같이 단층의 밀도가 매우 높은 곳이다. 가장 대표적인 오십천 단층과 마읍천 단층을 위시하여 조선 누층군과 평안 누층군 분포지역에 많은 수의 소규모 단층이 발달되어 있다. 지질도 상에서 보여지는 이들 단층의 주향은 오십천 단층이 지나는 도계읍 지역에서 대략 남-북 방향, 노곡면-근덕면-조비동 경계 지역에서 북동 방향을 보이고 있다. 삼척-고사리 지질도폭에 따르면 조선 누층군은 선캄브리아기 태백산변성암복합체 위에 부정합적으로 놓여 있으나 부분적으로는 단층으로 접하기도 한다. 어떤 지역에서는 단층의 양면에서 파쇄대(破碎帶)가 발달하면서 반화강암이 관입하기도 한다. 조선 누층군은 특히 노곡면 하군천리에서는 동-서 내지 북서 80°의 주향을 갖는 수직 단층에 의해 잘리며, 지질도 확인 결과 북서 주향의 단층에 의해 조선 누층군 장산규암층, 묘봉층, 풍촌석회암층 등이 잘렸고 묘봉층이 선캄브리아기의 태백산변성암복합체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PCEmgn)과 단층 접촉하고 있다.[28]
오십천 단층은 한반도 옥천 습곡대 내 강원도 태백시 통리에서 도계읍을 지나 삼척시까지의 오십천 계곡을 따라 발달하는 연장 45km, 북북동 주향의 단층이다. 오십천 단층은 ESR 연대측정결과 32만 년 전부터 17만 년 전에 이르기까지 최소 2회 이상 단층이 재활성화 된 것으로 분석되어, '''활성단층'''이다.[41][42][43][44]
마읍천 단층은 삼척시 가곡면 복두산에서 시작해 마읍천을 따라 북상하다가, 삼척시 근덕면 상맹방리에서 동해 바다로 이어지는 남-북 주향, 연장 25km의 단층이다. 한울원자력발전소에서 25~35km 정도 떨어져 있다.[45][46]
6. 행정 구역
강원특별자치도 남동부에 위치한 삼척시의 면적은 1185.86km2이고, 인구는 2020년 6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33,557세대, 66,497명이다.[47] 삼척시는 2읍 6면 4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구역 | 한자 | 면적 | 인구 | 세대 |
---|---|---|---|---|
도계읍 | 道溪邑 | 164.73km2 | 10,188 | 6,021 |
원덕읍 | 遠德邑 | 175.94km2 | 3,356 | 2,080 |
근덕면 | 近德面 | 133.41km2 | 5,236 | 3,146 |
하장면 | 下長面 | 205.68km2 | 1,346 | 727 |
노곡면 | 盧谷面 | 144.67km2 | 716 | 438 |
미로면 | 未老面 | 99.44km2 | 1,879 | 1,022 |
가곡면 | 柯谷面 | 152.39km2 | 700 | 426 |
신기면 | 新基面 | 56.33km2 | 679 | 405 |
남양동 | 南陽洞 | 18.18km2 | 7,793 | 4,034 |
교동 | 校洞 | 9.52km2 | 14,712 | 5,991 |
성내동 | 城內洞 | 22.69km2 | 8,236 | 3,789 |
정라동 | 汀羅洞 | 2.96km2 | 9,184 | 4,466 |
삼척시 | 三陟市 | 1185.94km2 | 66,497 | 33,557 |
행정동·읍·면 | 법정동·법정리 |
---|---|
남양동 | 남양동, 사직동, 오분동, 적노동, 조비동 |
교동 | 갈천동, 교동, 마달동, 우지동, 증산동 |
정라동 | 정상동, 정하동 |
성내동 | 건지동, 근산동, 당저동, 도경동, 등봉동, 마평동, 성남동, 성내동, 성북동, 오사동, 원당동, 읍상동, 읍중동, 자원동, 평전동 |
도계읍 | 고사리, 구사리, 눌구리, 도계리, 마교리, 무건리, 발리리, 산기리, 상덕리, 신리, 심포리, 전두리, 점리, 차구리, 한내리, 황조리, 흥전리 |
원덕읍 | 갈남리, 임원리, 옥원리, 산양리, 호산리, 이천리, 월천리, 사곡리, 기곡리, 노곡리, 노경리 |
신기면 | 신기리, 서하리, 고무릉리, 대이리, 대기리, 대평리, 안의리, 마차리 |
가곡면 | 탕곡리, 오목리, 오저리, 풍곡리, 동활리 |
근덕면 | 광태리, 교가리, 교곡리, 궁촌리, 금계리, 덕산리, 동막리, 매원리, 부남리, 상맹방리, 용화리, 장호리, 초곡리, 하맹방리 |
미로면 | 고천리, 내미로리, 동산리, 삼거리, 사둔리, 무사리, 하거로리, 하사전리, 상거로리, 상사전리, 하정리, 상정리, 천기리, 활기리 |
노곡면 | 여삼리, 우발리, 상군천리, 상마읍리, 상반천리, 상월산리, 상천기리, 하군천리, 하마읍리, 하반천리, 하월산리, 고자리, 개산리, 둔달리, 주지리, 중마읍리 |
하장면 | 중봉리, 번천리, 숙암리, 광동리, 장전리, 추동리, 갈전리, 토산리, 공전리, 둔전리, 역둔리, 대전리, 용연리, 한소리, 판문리, 어리 |
7. 인구
삼척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48] 태백시와 동해시가 분리되면서 인구가 많이 감소하였다.
연도 | 총인구 |
---|---|
1966년 | 250,049명 |
1970년 | 276,946명 |
1975년 | 294,239명 |
1980년 | 251,387명 |
1985년 | 132,887명 |
1990년 | 110,492명 |
1995년 | 83,791명 |
2000년 | 75,592명 |
2005년 | 67,957명 |
2010년 | 67,131명 |
2018년 | 69,115명 |
2020년 | 65,243명 |
8. 산업
삼척시는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무연탄, 철, 석회석 매장량이 많다. 삼척탄전은 남부 태백산 지역 매장량의 33% 이상을 차지하는 대규모 탄전으로, 열량 7,000cal의 우수한 괴탄(塊炭)이 생산된다. 과거에는 묵호항을 통해 해상 운송했으나, 영동선과 태백선 개통 후 육상 운송에 의존하며, 삼척 화력발전소에 연료를 공급한다.[40]
석탄기~트라이아스기에 형성된 평안 누층군이 도계읍 일대에 소규모로 분포하며, '''삼척탄전'''에서 무연탄이 산출된다.[28] 1936년 삼척탄광으로 개광한 '''대한석탄공사 도계 광업소'''는 1987년까지 5개 갱에서 석탄을 생산했으나, 이후 규모가 축소되어 2018년 5월 현재 도계갱, 중앙갱, 동덕갱 3곳에서 생산 중이다.
지질 시대 | 지역 | |||||||||
---|---|---|---|---|---|---|---|---|---|---|
기 | 세 | 절 | 삼척탄전 | 강릉탄전 | 정선-평창탄전 | 영월탄전 | 단양탄전 | 보은탄전 | 평남분지 | 두만분지 |
중생대 삼첩기 201.3–252.17 Mya | 중세 237–247.2 Mya | 아니시안 | 동고층 | 박지산층 | rowspan=2 | 동고층 | rowspan=2 | 태자원통 | rowspan=2 | | |||
전세 247.2–252.17 Mya | 인두안 | 상원산층 | | | | | ||||||
고생대 페름기 252.17–298.9 Mya | 로핑기아 252.17–259.8 Mya | | | | | | | | | 고방산통 | 송상통 | |||
과달루페 259.8–272.3 Mya | 카피탄 | 고한층 | (언별리층) | 옥갑산층 | 고한층 | |||||
워디안 | 도사곡층 | 망덕산층 | rowspan=2 | 도사곡층 | |||||||
로디안 | ||||||||||
시수랄리아 272.3–298.9 Mya | 쿤쿠리안 | 함백산층 | 함백산층 | 함백산층 | 함백산층 | 계룡산통 | ||||
아르틴스키안 | 장성층 | 장성층 | 장성층 | 미탄층 | 장성층 | 장성층 | 사동통 | |||
사크마리안 | | | 밤치층 | 밤치층 | rowspan=2 | 밤치층 | 암기통 | |||||
아셀리안 | | | 입석통 | ||||||||
고생대 석탄기 252.17–298.9 Mya | 펜실베이니아 298.9–323.2 Mya | 모스크바 | 금천층 | 금천층 | 금천층 | 판교층 | 금천층 | rowspan=2 | 홍점통 | rowspan=3 | | |
만항층 | 만항층 | 만항층 | 요봉층 | 만항층 | 만항층 | |||||
바시키르 | | |
석회석은 삼척, 영월, 단양 일대에 60여 억t 넘게 매장되어 동해와 더불어 시멘트 공업이 발달했다.
임야 면적의 97%가 입목지이며, 목재, 갱목, 굴참나무 수피(樹皮), 장뇌, 버섯류 등이 주요 임산물이다.
수산업은 삼척, 호산, 임원, 장호 등 어항을 중심으로 명태, 꽁치, 오징어, 미역 등을 어획하나, 소규모 영세어업 또는 반농반어(半農半漁) 형태가 많다.
특산물로는 장뇌, 왕마늘, 토종꿀, 고포미역, 삼베, 삼척불술, 가시오가피 등이 있다.
8. 1. 농업
해안과 하천 유역 평야에 농경지가 분포하며, 쌀, 보리, 콩, 감자 등이 주로 생산된다. 경지 면적 10,734.5ha 중 논 2,253.8ha, 밭 8,480.7ha로서 밭이 압도적으로 많고, 농가 가구는 12,081가구이다.[40] 주요 농산물은 쌀, 보리, 콩, 감자, 누에고치, 꿀 등이다.8. 2. 광업
고생대 석탄기~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형성된 평안 누층군은 도계읍 일대에 소규모로 분포하며, 이 지역은 '''삼척탄전'''으로 불린다. 삼척탄전에서는 평안 누층군 지층에서 무연탄이 산출된다.[28]삼척시 석탄산업의 시초인 '''도계 광업소'''는 1936년 삼척탄광으로 개광하였다. 1951년 대한석탄공사 도계 광업소로 개발되었으며, 석탄산업 합리화로 탄광 대다수가 폐광하는 상황 속에서도 3개의 갱구를 유지하며 현재도 석탄 생산을 계속하고 있다. 도계광업소는 삼척시의 핵심 산업으로 삼척시의 발전과 함께했다. 1987년까지 5개 갱에서 석탄을 생산했으나, 이후 석탄 생산 규모가 축소되어 1990년 점리갱 폐쇄, 1994년 흥전갱과 나한갱을 통합하여 중앙갱으로 통합되었다. 2018년 5월 현재 도계갱, 중앙갱, 동덕갱 등 3개 갱에서 석탄이 생산된다.
도계광업소에서 생산된 탄은 열량과 점결성이 높아 연탄제조와 3급의 고질탄으로 발전용에 적합하다. 1990~2000년대 평균 5,000 kcal의 품질을 기록했다.[38] 2012년 12월 기준 생산규모는 연간 302천톤에 이른다. 지하 갱도의 총 연장은 93km에 달한다. 도계읍 도계로 225에 있는 도계 광업소는 총 5,281ha의 면적에 16개의 광구를 가지고 있으며, 모두 가행 중이다. 광량(鑛量) 현황은 도계가 49백만톤(20%), 석탄공사가 247백만톤(100%)이다. 가채량은 도계가 31백만톤, 석탄공사가 79백만톤이다. 1984년 이후 꾸준히 생산량이 증가하다가 1988년 1,270,120톤으로 최대 생산을 기록했다. 개광 이래 총 생산량은 40,665,287톤이고 석탄공사 창립 이래 생산량은 39,561,245톤에 이른다.
고생대 장성층에 해당되는 탄층으로 탄층수는 3~5배가 발달되어 있고 이중 현 가행탄층수는 중층탄 1매로 노두연장 14km, 평균탄폭 2.0m이다. 지형지질 여건상 광구 중앙부를 통과하는 오십천 단층을 경계로 남동부와 북서부로 양분된다. 남동부는 오봉산 스러스트 단층으로 탄층 발달이 분리되어있다. 상부탄층을 묵점, 하부탄층을 도계, 흥심 지구로 구분하며 이들 탄층은 본역 남동단의 죽암산을 저부로 하는 30도 내외의 경사를 가진 향사구조를 이루고 있다. 북서부는 3개 이상의 단층으로 인하여 각각의 단층대를 경계로 나한, 흥전, 하장 지구로 구분되며 이들 각 지구의 탄층 주향은 북동향으로 30도 내외로 북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흥전지구의 북동향 연장부인 점리지구는 과습곡에 의하여 분리되며 남동측으로 경사를 이룬다.[39]
지질 시대 | 지역 | |||||||||
---|---|---|---|---|---|---|---|---|---|---|
기 | 세 | 절 | 삼척탄전 | 강릉탄전 | 정선-평창탄전 | 영월탄전 | 단양탄전 | 보은탄전 | 평남분지 | 두만분지 |
중생대 삼첩기 201.3–252.17 Mya | 중세 237–247.2 Mya | 아니시안 | 동고층 | 박지산층 | 동고층 | 태자원통 | rowspan=2 | | |||
전세 247.2–252.17 Mya | 인두안 | 상원산층 | ||||||||
고생대 페름기 252.17–298.9 Mya | 로핑기아 252.17–259.8 Mya | 고방산통 | 송상통 | |||||||
과달루페 259.8–272.3 Mya | 카피탄 | 고한층 | (언별리층) | 옥갑산층 | 고한층 | |||||
워디안 | 도사곡층 | 망덕산층 | 도사곡층 | |||||||
로디안 | ||||||||||
시수랄리아 272.3–298.9 Mya | 쿤쿠리안 | 함백산층 | 함백산층 | 함백산층 | 함백산층 | 계룡산통 | ||||
아르틴스키안 | 장성층 | 장성층 | 장성층 | 미탄층 | 장성층 | 장성층 | 사동통 | |||
사크마리안 | 밤치층 | 밤치층 | 밤치층 | 암기통 | ||||||
아셀리안 | 입석통 | |||||||||
고생대 석탄기 252.17–298.9 Mya | 펜실베이니아 298.9–323.2 Mya | 모스크바 | 금천층 | 금천층 | 금천층 | 판교층 | 금천층 | 홍점통 | rowspan=3 | | |
만항층 | 만항층 | 만항층 | 요봉층 | 만항층 | 만항층 | |||||
바시키르 |
각종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며, 그 중 무연탄, 철, 석회석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삼척탄전은 남부 태백산 지역 매장량(13억 4,000만t)의 33% 이상(4억t)을 차지하고 있다. 장성, 도계, 황지를 중심으로 한 대 탄전으로 괴탄(塊炭)으로 산출되며 열량 7,000cal로서 탄질도 우수하다. 과거에는 묵호항을 거쳐 해상 수송을 했으나 영동선과 태백선이 개통된 후로는 주로 육운에 의존하며, 삼척 화력발전소에 연료로 공급되고 있다. 장성, 도계, 황지 등은 탄광취락이다. 석회석은 삼척, 영월, 단양 일대에 60여 억t 넘게 매장되어 있으며, 삼척시와 동해시는 시멘트 공업이 발달하였다.
8. 3. 임·수산업
임야 면적 10만 7,431ha 중 97%인 10만 846ha가 입목지이다. 비교적 육림(育林)이 잘 되어 있으며, 주요 임산물은 다음과 같다.2001년 기준 수산업 가구는 741가구, 수산업 인구는 2,276명이다. 삼척, 호산, 임원, 장호 등의 어항이 수산업 중심지이다. 어선은 634척으로, 이 중 동력선이 602척, 무동력선이 32척이다. 5톤 이상의 어선은 99척에 불과하여 영세어업 또는 반농반어(半農半漁) 형태가 대부분이다. 주요 어획물은 명태, 꽁치, 오징어, 미역 등이다.
8. 4. 특산물
장뇌, 왕마늘, 토종꿀, 고포미역, 삼베, 삼척불술, 가시오가피 등이 유명하다.9. 교통
삼척시는 철도,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버스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갖추고 있다.
=== 철도 ===
동해시에서 삼척선이 영동선에서 분기되어 삼척역으로 향하지만, 무궁화호 열차의 정기 운행은 없다. 대신 바다열차가 강릉역에서 삼척역까지 운행한다. 영동선은 태백시에서 도계읍을 지나 동해시로 이어지며, 삼척역, 삼척해변역, 도계역, 신기역이 있다. 동해선은 2019년 균형발전프로젝트 발표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 사업으로 선정되었으며, 영덕~삼척 간 철도가 2022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삼척-포항간 철도가 건설 중이므로 완공될 시에는 삼척시 철도교통이 향상될 것이다.
=== 고속도로 ===
동해고속도로가 있으며, 2016년 9월 9일에 근덕 나들목 ~ 동해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1] 평택제천고속도로가 연장되면 삼척시가 종착 지역이 될 예정이다.[1]
=== 국도 및 지방도 ===
=== 버스 ===
삼척종합버스터미널에서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도계버스터미널, 임원종합버스터미널, 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도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삼척시에서는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삼척시의 시내버스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구분 | 터미널 이름 | 위치 |
---|---|---|
고속버스 | 삼척종합버스터미널 | 남양동 |
시외버스 | 삼척종합버스터미널 | 남양동 |
도계버스터미널 | 도계읍 전두리 | |
임원종합버스터미널 | 원덕읍 임원리 | |
호산시외버스터미널 | 원덕읍 호산리 |
9. 1. 철도
동해시에서 삼척선이 영동선에서 분기되어 삼척역으로 향하지만 무궁화호 열차의 정기 운행은 없으며 바다열차가 강릉역에서 삼척역까지 운행한다. 강릉-영주간 영동선 철도가 태백시에서 도계읍을 지나 동해시로 향한다. 삼척역, 삼척해변역, 도계역, 신기역이 있다. 또한 삼척-포항간 철도가 건설 중이므로 완공될 시에는 삼척시 철도교통이 향상될 것이다.동해선이 2019년 균형발전프로젝트 발표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 사업으로 선정되어 철도의 길이 열렸다. 영덕~삼척 간 철도가 2022년에 개통할 예정이다.
9. 2. 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가 있으며, 2016년 9월 9일에 근덕 나들목 ~ 동해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1] 추후 평택제천고속도로가 연장되면 이곳이 종착 지역이 될 예정이다.[1]
9. 3. 국도 및 지방도
9. 4. 버스
삼척종합버스터미널에서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도계버스터미널, 임원종합버스터미널, 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도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삼척시에서는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삼척시의 시내버스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구분 | 터미널 이름 | 위치 |
---|---|---|
고속버스 | 삼척종합버스터미널 | 남양동 |
시외버스 | 삼척종합버스터미널 | 남양동 |
도계버스터미널 | 도계읍 전두리 | |
임원종합버스터미널 | 원덕읍 임원리 | |
호산시외버스터미널 | 원덕읍 호산리 |
10. 문화·관광
초당동굴, 연어·잉어장, 환선굴, 대금굴, 대이리의 너와집·통방아·굴피집 등이 있다. 그 밖에 삼척해수욕장, 후진·맹방·근덕해수욕장이 유명하다. 최근엔 삼척해양레일바이크가 인기를 끌고 있다.[1]
10. 1. 문화재
- 죽서루: 관동팔경 중 하나로 보물 제213호이다. 고려 원종 7년(1266) 이승휴가 서루에 올라 시를 남겼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태종 3년(1403) 삼척부사 김효손이 중창한 이래 10여 차례의 중수를 거쳤다.[1]
- 공양왕릉: 강원특별자치도기념물 제71호. 고려 마지막 왕인 공양왕의 능묘이다. 공양왕은 왕조의 몰락과 함께 폐위되어 삼척에서 조선 태조 3년(1394)에 교살되었다고 전한다.[1]
- 준경묘: 강원특별자치도기념물 제43호. 조선 태조의 5대조 양무장군의 묘이다. 고종 광무 3년(1899)에 묘소를 수축하고 제각과 비각을 건축하였다.[1]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천연기념물 제178호. 환선굴, 대금굴 등 다양한 석회동굴이 있다.
- 미인폭포: 높이 50m로 도계읍 심포리에 있는 폭포이다. 오봉산과 백병산이 만나는 곳에 있다.
- 삼척교수당
- 산양서원묘정비
- '''국가지정문화재'''
지정명 | 번호 | 등록명 | 위치 |
---|---|---|---|
보물 | 213호 | 삼척 죽서루 | 성내동 |
사적 | 421호 | 삼척 두타산 이승휴 유허 | 미로면 |
524호 | 삼척 준경묘·영경묘 | 미로면 | |
명승 | 28호 | 삼척 죽서루와 오십천 | 성내동 |
천연기념물 | 94호 | 삼척의 회화나무 (지정해제) | 성내리 |
95호 | 삼척 도계리 긴잎느티나무 | 도계읍 | |
178호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신기면 | |
226호 | 삼척 초당굴 | 근덕면 | |
272호 | 삼척 갈전리 당숲 | 하장면 | |
363호 | 삼척 궁촌리 음나무 | 근덕면 | |
중요민속자료 | 33호 | 삼척 신리소재 너와집 및 민속유물 | 도계읍 |
33-1 | 물레방아 | 도계읍 | |
33-2 | 통방아 | 도계읍 | |
33-3 | 채독 | 도계읍 | |
33-4 | 나무통 (김치통) | 도계읍 | |
33-5 | 화티 (화투) | 도계읍 | |
33-6 | 살티 (살피) | 도계읍 | |
33-7 | 창 | 도계읍 | |
33-8 | 코클 | 도계읍 | |
33-9 | 주루막 | 도계읍 | |
33-10 | 너와집 | 도계읍 | |
221호 | 삼척 대이리 너와집 | 신기면 | |
222호 | 삼척 대이리 통방아 | 신기면 | |
223호 | 삼척 대이리 굴피집 | 신기면 |
- '''시도지정문화재'''
지정명 | 번호 | 등록명 | 위치 |
---|---|---|---|
유형문화재 | 38호 | 삼척 척주동해비 및 평수토찬비 | 정상동 |
61호 | 삼척 교수당 | 근덕면 | |
76호 | 삼척 영은사 대웅보전 | 근덕면 | |
77호 | 삼척 영은사 팔상전 | 근덕면 | |
94호 | 삼척 김진배가옥 (지정해제) | 근덕면 | |
95호 | 삼척 김낙윤가옥 | 원덕읍 | |
102호 | 삼척향교 | 교동 | |
108호 | 삼척 영은사 괘불 (월정사 보관) | 근덕면 | |
127호 | 삼척 흥전리 삼층석탑재 | 도계읍 | |
147호 | 삼척 천은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 미로면 | |
무형문화재 | 2호 | 삼척 기줄다리기 | 남양동 |
기념물 | 14호 | 교가리 느티나무 | 근덕면 |
15호 | 실직군왕릉 | 성북동 | |
40호 | 삼척 저승굴 | 도계읍 | |
41호 | 삼척 활기굴 | 미로면 | |
43호 | 준경묘, 영경묘 (지정해제) | 미로면 | |
43-1 | 묘 | 미로면 | |
43-2 | 재각 | 미로면 | |
43-3 | 비각 | 미로면 | |
43-4 | 비 | 미로면 | |
43-5 | 재실 | 미로면 | |
59호 | 삼척 늑구리 은행나무 | 도계읍 | |
60호 | 삼척 천은사의 이승휴유허지 (지정해제) | 미로면 | |
61호 | 삼척 숙암리 고분군 | 하장면 | |
71호 | 삼척 공양왕릉 | 근덕면 | |
85호 | 삼척 안의리 모과나무 | 신기면 | |
민속자료 | 2호 | 홍서대 | 당저동 |
문화재자료 | 94호 | 삼척 민경국가옥 (지정해제) | 원덕읍 |
95호 | 삼척 김종각가옥 (지정해제) | 근덕면 | |
96호 | 삼척 김영우가옥 | 미로면 | |
97호 | 삼척 김인주가옥 (지정해제) | 근덕면 | |
107호 | 삼척 소공대비 | 원덕읍 | |
108호 | 삼척 신흥사 설선당 및 심검당 | 근덕면 | |
121호 | 삼척 역둔리철비 | 하장면 | |
121-1 | 부사 이규헌 영세불망비 | 하장면 | |
121-2 | 금옥첨원비 | 하장면 | |
123호 | 삼척 산양서원 묘정비 | 원덕읍 | |
130호 | 삼척 박걸남묘역 | 노곡면 | |
144호 | 삼척 고천리 석불좌상 | 성남동 | |
145호 | 삼척 임원리 석불입상 | 원덕읍 |
- '''등록문화재'''
10. 2. 축제
삼척정월대보름제, 삼척대게축제, 삼척 장미축제, 삼척 해맞이축제, 두타산 산나물축제, 삼척 맹방유채꽃축제 등이 열린다.삼척 맹방유채꽃축제는 유채꽃, 벚꽃, 그리고 동해의 푸른 바다를 함께 볼 수 있는 경관을 자랑한다. 이 축제에서는 지역 농산물 시장, 신선한 딸기 따기, 유채꽃 및 꿀벌 전시를 포함한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3]
10. 3. 주요 명소
초당동굴, 연어·잉어장, 환선굴, 대금굴, 대이리의 너와집·통방아·굴피집 등이 있다. 그 밖에 삼척해수욕장, 후진·맹방·근덕해수욕장이 유명하다. 최근엔 삼척해양레일바이크가 인기를 끌고 있다.[1] 해신당공원(Haesindang Park영어)이 대표적으로 유명하다.[1]
11. 교육
삼척시에는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가 2006년 3월 1일에 설립되었다.[1] 삼척시 관내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12. 자매 도시
삼척시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2. 1. 국내
12. 2. 해외
국가 | 도시 |
---|---|
일본 | 구로베시, 도야마현 |
일본 | 아카비라시, 홋카이도 |
일본 | 간다, 후쿠오카현 |
중국 | 왕칭현, 지린성 |
중국 | 둥잉시, 산둥성 |
중국 | 지시시, 헤이룽장성 |
러시아 | 쿤구르시 |
러시아 | 코르사코프, 사할린주 |
미국 | 리스버그시 |
오스트레일리아 | 마레바, 퀸즐랜드주 |
13. 출신 인물
- 황영조 - 마라톤 선수 (1992년 하계 올림픽 및 1994년 아시안 게임 마라톤 우승자)
- 이재형 - K팝 밴드 더 로즈 멤버
- 정경호 - 축구 선수
- 박상철 - 가수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SAMCHEOK CITY
http://eng.samcheok.[...]
[3]
뉴스
"[Travel Bits] Festivals, sights around Korea"
http://www.koreahera[...]
2018-04-20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5]
문서
"삼척시청 : 21세기 동북아 에너지메카 도시 삼척 - 삼척시 소개 - 삼척의 역사 - 역사"
http://www.samcheok.[...]
[6]
법률
"法律第3798号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7]
법률
"法律第4774号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8]
웹사이트
韓国東部の大規模山火事 山林当局「長期戦に備える」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2-03-08
[9]
웹사이트
近づけないほど険しい山で八日間炎上…韓国東部の山火事、過去最大・最長期間に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22-03-12
[10]
문서
"勅令第98号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1]
문서
勅令第36号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2]
문서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3]
문서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01-01
[14]
문서
府内面と末谷面が合併。
[15]
문서
見朴面、道下面、道上面が合併。
[16]
문서
朝鮮総督府令第197号
1938-09-27
[17]
문서
朝鮮総督府令第149号
1945-06-28
[18]
법률
法律第539号 읍설치에관한법률
1960-01-01
[19]
법률
法律第1177号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20]
법률
大統領令第6543号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21]
법률
大統領令第6542号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年3月12日公布
1973-03-12
[22]
법률
法律第3188号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79-12-28
[23]
법률
大統領令第10050号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24]
법률
法律第3425号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25]
법률
大統領令第11874号
[26]
문서
郡条例第1371号
[27]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8]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09-27
[29]
법률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30]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31]
문서
시조례 제270호
[32]
문서
삼척시의 지세
http://www.samcheok.[...]
2012-04-19
[33]
문서
삼척시의 기후
http://www.samcheok.[...]
2012-04-19
[34]
웹인용
평년값자료(30년) 삼척(105)
http://www.kma.go.kr[...]
강원지방기상청
2011-04-30
[35]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6]
웹인용
삼척-고사리도폭 지질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4년
[37]
웹인용
삼척시 도계읍 지역에 분포하는 풍촌층 석회석의 부존 특성
https://www.dbpia.c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2년
[38]
웹인용
삼척시의 산업 태동 도계광업소
https://ncms.ncultur[...]
지역N문화
[39]
웹인용
광산역사 - 강원도 삼척시 도계광업소 91년의 역사
http://azine.kr/m/_w[...]
한국광해관리공단
[40]
웹인용
한반도 남부의 상부 고생대 평안누층군의 층서와 대비
https://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2017년 4월
[41]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년
[42]
웹인용
오십천 단층대의 단계적 단층 발달 특성
https://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2000년 10월
[43]
웹인용
삼척 오십천 단층의 제4기 활동성 연구
https://scienceon.ki[...]
고려대학교
2012년 1월
[44]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5]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년
[46]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년
[47]
웹사이트
인구현황 - 삼척시청
http://www.samcheok.[...]
[48]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