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스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소스 전투는 기원전 333년 오늘날 튀르키예의 이스켄데룬 근처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끄는 마케도니아 군과 다리우스 3세가 지휘하는 페르시아 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알렉산드로스는 페르시아군보다 열세한 병력으로 전투에 임했으나, 기병을 활용한 전술로 승리했다. 이 전투는 헬레니즘의 결정적인 승리이자 페르시아 제국 멸망의 시작을 알렸다. 전투 이후 다리우스 3세의 가족이 포로로 잡혔고, 알렉산드로스는 이들을 존중했다. 이소스 전투는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의 "이소스 전투의 알렉산더"와 얀 브뤼헐 (아버지)의 "이소스 전투"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투 - 카이로네이아 전투
카이로네이아 전투는 기원전 338년에 필리포스 2세가 이끈 마케도니아 왕국이 그리스 도시 국가 연합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그리스에 대한 지배력을 확립하고 코린토스 동맹을 결성, 페르시아 원정의 기반을 마련한 결정적인 전투이다.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투 - 가우가멜라 전투
가우가멜라 전투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3세의 마케도니아군이 다리우스 3세의 페르시아 제국군을 격파한 전투이며, 알렉산드로스의 승리로 페르시아 제국 멸망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고 헬레니즘 제국 탄생에 기여했다. - 하타이주의 역사 - 안티오키아
안티오키아는 기원전 300년경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건설한 헬레니즘 도시로, 로마 제국 시대 동방의 주요 도시이자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였으며, 526년 대지진과 페르시아의 공격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터키 안타키아로 남아 있다. - 하타이주의 역사 - 1872년 아미크 지진
1872년 아미크 지진은 사해 변환단층의 일부인 아마노스 단층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아미크 호수 주변과 안티오키아를 포함한 넓은 지역에 극심한 피해를 야기했으며, 튀르키예 남부 해안에서는 쓰나미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소스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 | |
전투명 | 이소스 전투 |
일부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쟁 |
날짜 | 기원전 333년 11월 5일 |
장소 | 아케메네스 제국, 아나톨리아, 이소스(현재 튀르키예 하타이 주 되르트욜, 예실쾨이) |
좌표 | 36°45′09″N 36°11′32″E |
결과 | 마케도니아 왕국의 승리 |
영토 변화 | 알렉산더, 소아시아 남부 점령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마케도니아 왕국 코린토스 동맹 |
교전국 2 | 아케메네스 제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전국 1 지휘관 | 알렉산드로스 대왕 파르메니온 크라테루스 헤파이스티온 프톨레마이오스 판토르다누스 시탈케스 2세 메네스 발라크루스 |
교전국 2 지휘관 | 다리우스 3세 아르사메스 레오미트레스 아티지예스 부바케스 사바케스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병력 | 총 병력: 약 37,000명 |
교전국 1 세부 병력 | 24,000 중보병 9,000 팔랑크스 3,000 히파스피스트 7,000 동맹 중장보병 5,000 용병 중장보병 8,000 경보병 7,000 트라키아인 및 일리리아인 1,000 아그리아니 및 궁수 5,100 중기병 1,800 마케도니아 기병대 1,800 테살리아 기병대 600 기타 그리스 기병대 900 경 기병대 트라키아인 및 파이오니아인 |
교전국 2 병력 | 총 병력: 50,000–100,000명 (현대 추정) 총 병력: 250,000–600,000명 (고대 자료) |
교전국 2 세부 병력 | 30,000–80,000 경보병 11,000 기병 10,000 불멸군 40,000 아르메니아 보병 및 7,000 아르메니아 기병 10,000 그리스 용병 |
사상자 규모 | |
교전국 1 사상자 | 4,952명 |
교전국 1 세부 사상자 | 150명 사망 4,500명 부상 302명 실종 |
교전국 2 사상자 | 약 20,000-40,000명 |
2. 배경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다르다넬스 해협을 건너 페르시아 제국을 침공했다. 그라니쿠스 강 전투에서 페르시아 군대를 격파하고 소아시아 지역 대부분을 점령했다. 페르시아 제국의 황제 다리우스 3세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반격을 준비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이소스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파르메니온을 보내 이소스를 선점하도록 했다. 다리우스 3세가 이소스 만에 도달하면 지중해에 있는 페르시아 함대의 지원을 받아 보급을 용이하게 하고, 마케도니아 군 후방에 병력을 상륙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18]
이 전투는 오늘날 튀르키예 이스켄데룬 근처의 고대 도시 이소스 남쪽, 피나루스 강이라고 불리는 작은 강 유역에서 벌어졌다. 이스켄데룬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자신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도시로, 터키어로 "알렉산드리아"를 의미한다. 이소스 만에서 주변 산까지의 거리는 2.6km에 불과하여, 다리우스는 이곳에서 자신의 수적 우위를 활용할 수 없었다.
그리스 중장보병 10,000명
다리우스 3세는 파르메니온이 '요나의 길목'(시리아 관문)을 지키고 있는 것을 알고, 우회하여 북쪽에서 이소스 평원으로 진격하여 저항없이 이소스를 점령했다. 그는 그곳에 남겨진 알렉산드로스 군대의 부상병들의 손을 모두 자르고 남쪽으로 내려왔는데, 이때 마케도니아 군의 보급로를 차단했음을 알게 되었다. 알렉산드로스는 흩어져 있던 군사를 모아 남쪽에서 파르메니온과 합세했다.
3. 지형
피나루스 강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었다. 이전 역사가들은 이 강이 델리 차이 강이라고 믿었지만, 역사가 N.G.L. 해먼드와 A. M. 데빈은 파야스 강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고대 이후 크게 변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여겨지는 강의 흐름을 직접 조사한 결과를 사용했다. 그들의 증거는 칼리스테네스의 전투장 측정과 양측 군대의 행군 거리에 대한 기록, 그리고 전투 후 디오도루스가 제시한 거리를 기반으로 한다.
4. 양측 병력
중장보병 22,00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