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소스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소스 전투는 기원전 333년 오늘날 튀르키예의 이스켄데룬 근처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끄는 마케도니아 군과 다리우스 3세가 지휘하는 페르시아 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알렉산드로스는 페르시아군보다 열세한 병력으로 전투에 임했으나, 기병을 활용한 전술로 승리했다. 이 전투는 헬레니즘의 결정적인 승리이자 페르시아 제국 멸망의 시작을 알렸다. 전투 이후 다리우스 3세의 가족이 포로로 잡혔고, 알렉산드로스는 이들을 존중했다. 이소스 전투는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의 "이소스 전투의 알렉산더"와 얀 브뤼헐 (아버지)의 "이소스 전투"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투 - 카이로네이아 전투
    카이로네이아 전투는 기원전 338년에 필리포스 2세가 이끈 마케도니아 왕국이 그리스 도시 국가 연합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그리스에 대한 지배력을 확립하고 코린토스 동맹을 결성, 페르시아 원정의 기반을 마련한 결정적인 전투이다.
  •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투 - 가우가멜라 전투
    가우가멜라 전투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3세의 마케도니아군이 다리우스 3세의 페르시아 제국군을 격파한 전투이며, 알렉산드로스의 승리로 페르시아 제국 멸망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고 헬레니즘 제국 탄생에 기여했다.
  • 하타이주의 역사 - 안티오키아
    안티오키아는 기원전 300년경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건설한 헬레니즘 도시로, 로마 제국 시대 동방의 주요 도시이자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였으며, 526년 대지진과 페르시아의 공격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터키 안타키아로 남아 있다.
  • 하타이주의 역사 - 1872년 아미크 지진
    1872년 아미크 지진은 사해 변환단층의 일부인 아마노스 단층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아미크 호수 주변과 안티오키아를 포함한 넓은 지역에 극심한 피해를 야기했으며, 튀르키예 남부 해안에서는 쓰나미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소스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알렉산더가 다리우스를 공격하는 모습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 소장)
알렉산더가 다리우스를 공격하는 모습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
전투명이소스 전투
일부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쟁
날짜기원전 333년 11월 5일
장소아케메네스 제국, 아나톨리아, 이소스(현재 튀르키예 하타이 주 되르트욜, 예실쾨이)
좌표36°45′09″N 36°11′32″E
결과마케도니아 왕국의 승리
영토 변화알렉산더, 소아시아 남부 점령
교전 세력
교전국 1마케도니아 왕국
코린토스 동맹
교전국 2아케메네스 제국
지휘관 및 지도자
교전국 1 지휘관알렉산드로스 대왕
파르메니온
크라테루스
헤파이스티온
프톨레마이오스
판토르다누스
시탈케스 2세
메네스
발라크루스
교전국 2 지휘관다리우스 3세
아르사메스
레오미트레스
아티지예스
부바케스
사바케스
병력 규모
교전국 1 병력총 병력: 약 37,000명
교전국 1 세부 병력24,000 중보병
9,000 팔랑크스
3,000 히파스피스트
7,000 동맹 중장보병
5,000 용병 중장보병
8,000 경보병
7,000 트라키아인 및 일리리아인
1,000 아그리아니 및 궁수
5,100 중기병
1,800 마케도니아 기병대
1,800 테살리아 기병대
600 기타 그리스 기병대
900 경 기병대
트라키아인 및 파이오니아인
교전국 2 병력총 병력: 50,000–100,000명 (현대 추정)
총 병력: 250,000–600,000명 (고대 자료)
교전국 2 세부 병력30,000–80,000 경보병
11,000 기병
10,000 불멸군
40,000 아르메니아 보병 및 7,000 아르메니아 기병
10,000 그리스 용병
사상자 규모
교전국 1 사상자4,952명
교전국 1 세부 사상자150명 사망
4,500명 부상
302명 실종
교전국 2 사상자약 20,000-40,000명

2. 배경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 대왕다르다넬스 해협을 건너 페르시아 제국을 침공했다. 그라니쿠스 강 전투에서 페르시아 군대를 격파하고 소아시아 지역 대부분을 점령했다. 페르시아 제국의 황제 다리우스 3세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반격을 준비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이소스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파르메니온을 보내 이소스를 선점하도록 했다. 다리우스 3세가 이소스 만에 도달하면 지중해에 있는 페르시아 함대의 지원을 받아 보급을 용이하게 하고, 마케도니아 군 후방에 병력을 상륙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18]

다리우스 3세는 파르메니온이 '요나의 길목'(시리아 관문)을 지키고 있는 것을 알고, 우회하여 북쪽에서 이소스 평원으로 진격하여 저항없이 이소스를 점령했다. 그는 그곳에 남겨진 알렉산드로스 군대의 부상병들의 손을 모두 자르고 남쪽으로 내려왔는데, 이때 마케도니아 군의 보급로를 차단했음을 알게 되었다. 알렉산드로스는 흩어져 있던 군사를 모아 남쪽에서 파르메니온과 합세했다.

양군의 이동 경로 (적-페르시아, 청-마케도니아)

3. 지형

이 전투는 오늘날 튀르키예 이스켄데룬 근처의 고대 도시 이소스 남쪽, 피나루스 강이라고 불리는 작은 강 유역에서 벌어졌다. 이스켄데룬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자신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도시로, 터키어로 "알렉산드리아"를 의미한다. 이소스 만에서 주변 산까지의 거리는 2.6km에 불과하여, 다리우스는 이곳에서 자신의 수적 우위를 활용할 수 없었다.

피나루스 강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었다. 이전 역사가들은 이 강이 델리 차이 강이라고 믿었지만, 역사가 N.G.L. 해먼드와 A. M. 데빈은 파야스 강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고대 이후 크게 변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여겨지는 강의 흐름을 직접 조사한 결과를 사용했다. 그들의 증거는 칼리스테네스의 전투장 측정과 양측 군대의 행군 거리에 대한 기록, 그리고 전투 후 디오도루스가 제시한 거리를 기반으로 한다.

4. 양측 병력

그리스 중장보병 10,000명중장보병 22,000명



페르시아군과 마케도니아군의 자세한 병력 구성은 각각 하위 문단을 참조하라.

4. 1. 페르시아군

고대 기록에는 페르시아군의 규모가 상당히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아리아노스플루타르코스는 이전 그리스 자료를 바탕으로 페르시아 군인이 총 600,000명이라고 보았고,[3]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와 유스티누스는 400,000명, 쿠르티우스 루푸스는 250,000명으로 추산했다.

그러나 현대 역사가들은 아리아노스가 추정한 600,000명이라는 숫자는 믿기 어렵다고 본다. 당시 100,000명 이상의 군인을 전투에 투입하는 데 필요한 군수 지원이 매우 어려웠을 것이라는 점을 그 이유로 든다. 한스 델브뤼크는 25,000명으로 추산했지만, 대부분의 역사가들(엥겔스와 그린 포함)은 다리우스 군대의 총 규모를 이소스에서 100,000명 이하로 추정하며,[8] 여기에는 11,000명의 기병,[3] 10,000명의 페르시아 불멸자, 10,000명의 그리스 용병이 포함된다.[9] 워리는 총 108,000명으로 추산한다.

현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페르시아군의 병력 구성은 다음과 같다.

페르시아군 병력 구성
병종병력
기병11,000기
경보병63,000명
불사부대10,000명
그리스 중장보병10,000명


4. 2. 마케도니아군

마케도니아군의 규모는 약 4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 알렉산드로스가 이끄는 헬레니즘 군대는 동맹군을 포함하여 40,000명을 넘지 않았을 것이다. 마케도니아 군대는 중장보병 22,000명(9,000명의 팔랑기테스, 3,000명의 휘아스피스트, 7,000명의 동맹군, 5,000명의 용병 그리스 호플리테스), 경장보병 13,000명(펠타스트, 궁수, 투석병), 기병 5,850명으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5. 전투

다리우스 3세는 좁은 해안가에 군대를 배치하고, 중앙 강가에 말뚝을 박아 적의 진격을 저지하려 했다. 다리우스는 중앙 배후에 최정예 보병과 함께 위치하고, 그리스 중장보병과 페르시아 보병을 전면에 배치했다. 기병은 우익에 배치하여 타격대로 활용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컴패니언 기병대를 직접 지휘하여 우익에 배치하고, 테살리아 기병을 좌익에 배치했다. 중앙에는 파르메니온이 이끄는 팔랑크스를 배치했다.[10][11]

전투는 페르시아 기병이 강을 건너 마케도니아 좌익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알렉산드로스는 우익의 컴패니언 기병대를 이끌고 다리우스의 본진을 향해 돌격했다. 페르시아 전열은 급속히 무너졌고, 다리우스는 도주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좌익과 중앙이 위기에 처하자, 그리스 용병의 후방을 공격하여 페르시아군을 격파했다.[19]

알렉산더의 결정적인 공격


초반에 마케도니아군은 강을 건너 요새화된 둑을 올라야 했기 때문에, 중앙의 팔랑크스는 그리스 용병에게 큰 피해를 입었다. 좌익의 테살리아군은 수적으로 열세인 페르시아 중기병대에 맞서 고전하며 시간을 벌었다.[20][21][22]

알렉산드로스가 이끄는 히파스피스트가 카르다케스를 공격하여 페르시아군 전열에 구멍을 냈다. 알렉산드로스는 컴패니언 기병대를 이끌고 다리우스를 직접 공격하여 그를 도망치게 했다. 이후 그리스 용병의 후방을 공격하여 페르시아군을 붕괴시켰다. 페르시아군은 왕이 도망치자 전의를 상실하고 궤멸되었다. 마케도니아 기병대는 해질 때까지 도망치는 페르시아군을 추격하여 학살했다.[23]

사바케스, 아케메네스 왕조 이집트 총독, 다리우스 3세를 방어하다 이소스 전투에서 사망

6. 결과

이소스 전투는 헬레니즘의 결정적인 승리였으며 페르시아 제국 멸망의 시작을 알렸다. 당시 왕인 다리우스 3세가 참전한 페르시아 군대가 패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1] 전투 이후 헬레네인들은 다리우스의 아내인 스타테이라 1세, 그의 딸인 스타테이라 2세와 드뤼페티스, 그리고 그의 어머니인 시시감비스를 사로잡았는데, 그들 모두 다리우스의 원정에 동행했다.[1] 이후 알렉산드로스스타테이라 2세와 결혼했으며, 포로로 잡힌 여성들을 매우 존중했다.[1]

이후 스파르타 왕 아기스 3세는 페르시아 군에서 복무했던 이소스 전투의 그리스 용병 생존자 8000명의 베테랑 부대를 모집하여 마케도니아와 싸웠다.[1] 기원전 331년 여름, 아기스는 코라구스를 격파했는데, 그는 펠로폰네소스와 고대 코린토스의 주둔지를 지휘하는 마케도니아 장군이었다.[1] 하지만 결국 메갈로폴리스 전투에서 패배했다.[1]

유스투스 수스테르만스의 다리우스 가족과 알렉산드로스, 빅토르 발라게르 도서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전투, 알브레히트 알트도르퍼

7. 전투 이후

이소스 전투는 헬레니즘의 결정적인 승리였으며 페르시아 제국의 멸망의 시작을 알렸다. 당시 왕인 다리우스 3세가 참전한 페르시아 군대가 패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1] 전투 이후 헬레네인들은 다리우스의 아내인 스타테이라 1세, 그의 딸인 스타테이라 2세와 드뤼페티스, 그리고 그의 어머니인 시시감비스를 사로잡았는데, 그들 모두 다리우스의 원정에 동행했다.[1] 이후 스타테이라 2세와 결혼한 알렉산드로스는 포로로 잡힌 여성들을 매우 존중했다.[1]

이후 스파르타 왕 아기스 3세는 페르시아 군에서 복무했던 이소스 전투의 그리스 용병 생존자 8,000명의 베테랑 부대를 모집하여 마케도니아와 싸웠다.[2] 기원전 331년 여름, 아기스는 코라구스를 격파했는데, 그는 펠로폰네소스와 고대 코린토스의 주둔지를 지휘하는 마케도니아 장군이었다.[2] 하지만 결국 메갈로폴리스 전투에서 패배했다.[2]

이소스 전투는 마케도니아 군의 결정적인 승리로 끝났다. 왕이 직접 이끄는 페르시아 군이 패배한 것은 처음이었고, 페르시아의 쇠퇴가 시작되었다. 이 전투에서 마케도니아 군은 페르시아 군과 함께 있던 다리우스 3세의 아내, 스타테이라 1세와 딸 스타테이라 2세, 그리고 다리우스 3세의 어머니 시시감비스를 사로잡았다. 알렉산드로스는 사로잡은 부인들을 정중하게 대했으며, 나중에 스타테이라 2세와 결혼했다. 이 전투 이후 다리우스 3세는 강화 제의를 했지만 알렉산드로스는 이를 일축했다.[3]

8. 이소스 전투를 소재로 한 작품

참조

[1] 서적 Brill’s Companion to Military Defeat in Ancient Mediterranean Society https://books.google[...] BRILL 2019-08-30
[2] 웹사이트 pothos.org - Major Battles http://www.pothos.or[...] 2016-08-19
[3] 문서 (페이지 필요) 2010-09
[4] 웹사이트 ARMENIA AND IRAN ii. The pre-Islamic period http://www.iranicaon[...]
[5] 문서 Welman
[6] 문서 Curtius Rufus
[7] 웹사이트 Battle of Gaugamela: Alexander Versus Darius https://www.historyn[...] 2019-08-18
[8] 웹사이트 pothos.org - Major Battles http://www.pothos.or[...] 2016-08-19
[9] 문서 Welman
[10]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11] 서적 The Marshalls of Alexander's Empire London 1993
[12] 문서 (페이지 필요) 2010-09
[13] 문서 (페이지 필요) 2010-09
[14]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15] 웹사이트 pothos.org - Major Battles http://www.pothos.or[...] 2016-08-19
[16] 문서 Welman
[17] 문서 (페이지 필요) 2010-09
[18] 서적 2001
[19] 서적 ''ibliotheca Historica''
[20] 서적 2013
[21] 서적 2000
[22] 서적 2000
[23] 서적 1973
[24] 서적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