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시품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시품왕은 가야의 왕으로, 일본서기와 광개토대왕릉비, 칡꽃 전설 등에 기록이 전해진다. 369년 백제 근초고왕의 지원을 받아 가야를 공격한 신라를 격퇴하고, 400년 왜와 연합하여 신라를 공격했으나 광개토대왕의 공격으로 가야 지역이 타격을 입었다. 칡꽃 전설에서는 백성을 위하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부왕은 거질미왕이고 장남은 좌지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관가야 국왕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금관가야 국왕 - 구형왕
    구형왕은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으로, 신라에 항복 후 신라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으며, 그의 후손 김유신은 신라의 삼국통일에 공헌하였다.
  • 4세기 한국의 군주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4세기 한국의 군주 - 침류왕
    침류왕은 근구수왕의 장남으로 384년 백제의 왕이 되었으며, 동진과의 외교를 통해 고구려에 대항하고,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여 백제에 불교를 처음 전파하고 사찰을 건립했으나, 재위 2년 만에 사망했다.
  • 5세기 한국의 군주 -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즉위 후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 등을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하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다가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5세기 한국의 군주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시품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금관가야 왕관
금관가야 왕관
김이시품
작위폐하
왕조금관가야
가문김해 김씨
능묘미상
재위 기간
재위346년 ~ 407년
이름
한글이시품왕
한자伊尸品王
로마자 표기Isipum Wang
가족 관계
부왕거질미왕
모후아지부인
배우자정신부인
자녀좌지왕
생애
출생생년 미상
사망407년 4월 10일
기타 정보
시호명왕
칭호국왕
연호미상
거주지금관가야

2. 생애

이시품왕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일본서기》, 광개토대왕릉비, 그리고 칡꽃 전설을 통해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있었던 주요 사건과 관련된 내용을 추정해 볼 수 있다.

2. 1. 일본서기 기록

369년 백제 근초고왕목라근자를 파견하여 탁순국(卓淳國)에 모여 가야를 공격한 신라를 격파했다고 한다.

신라가 왜에 사신을 보내지 않자, 일본은 소쓰히코를 파견하였으나 미인계에 속아 엉뚱하게 금관가야를 침공했다. 이로 인해 가야의 왕과 왕족들이 백제로 피신했고, 백제 장군 목라근자가 이들을 구원하고 영토를 회복했다고 한다.[1]

2. 2. 광개토대왕릉비 기록

400년 가야와 왜가 신라를 공격하자 신라는 광개토대왕에게 원병을 요청했다. 이에 광개토대왕은 보병과 기병 5만 명을 편성해 남하시켰다. 이때 왜군을 퇴각시키고 가야까지 쫓아가 종발성(從拔城: 지금의 부산)을 함락시켰다.[1]

2. 3. 칡꽃 전설

불모산 아래에 사는 도공 조씨의 딸 설희와 도공 조씨의 수제자 쇠바우는 서로 사랑하여 약혼하였다. 하지만 쇠바우가 신라고구려 연합군과의 전쟁에 끌려갔다. 설희는 정혼 언약을 끝까지 지키며 기다렸고, 전쟁 포로가 되어 왼팔 불구로 돌아온 쇠바우와 밤늦게까지 도예작품을 만들며 살았다. 마을 사람들은 이 부부를 '칡넝쿨 부부'라 불렀다. 이들은 큰 부를 쌓아 나라에 흉년이 올 때 가난한 백성들에게 곡식을 나눠주며 살았다.

이 소식을 들은 이시품왕은 칡넝쿨 부부를 불러 위로하고 큰 상을 내렸다. 이들 부부가 죽은 뒤 가야 사람들은 칡넝쿨 부부를 기리기 위해서 해마다 여름 칡꽃이 필 때면 여인네들은 머리에 칡꽃을 꽂고 술, 떡, 차를 차린 후에 제사를 지내는 풍속이 생겨났다고 한다.

3. 가계

관계이름비고
부왕거질미왕재위: 291년 ~ 346년
모후아지부인? ~ 347년
왕비정신부인사농경 극충의 딸
장남좌지왕재위: 407년 ~ 421년
며느리용녀
며느리복수부인대아간 도령의 딸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