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개토대왕은 고구려 제19대 왕으로, 374년에 태어나 391년부터 412년까지 재위했다. 그의 휘는 담덕이며, 정식 시호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이다. 광개토대왕은 재위 기간 동안 영락이라는 연호를 사용했으며, 백제, 왜, 거란, 숙신, 동부여, 후연 등을 정벌하여 고구려의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그는 신라를 지원하여 왜군을 물리치고 가야 지역까지 진출했으며, 내치에도 힘써 평양에 사찰을 건립하고 역대 왕릉을 정비했다. 광개토대왕은 39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인 장수왕이 뒤를 이어 고구려를 통치했다. 그는 한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영웅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동북아시아에 거대한 제국을 건설한 인물로 기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12년 사망 - 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로스 1세
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로스 1세는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초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서, 이교 사원 파괴, 오리게네스주의 논쟁,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폐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동방 정교회에서는 비판받고 콥트 정교회에서는 성인으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 412년 사망 - 걸복건귀
걸복건귀는 오호십육국시대 서진의 창건자로, 선비족 걸복부 출신이며, 진왕을 자칭하며 외교와 군사적 능력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지만, 후진에 투항 후 서진을 재건하고 아들에게 암살당했다. - 한국의 태왕 -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즉위 후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 등을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하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다가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한국의 태왕 - 원성왕
원성왕은 신라의 제38대 왕으로, 선덕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조상 추봉, 오묘 재정비, 독서삼품과 실시, 벽골제 증축 등 율령 체제적인 정책을 펼쳤으며, 사후 열조 묘호가 올려졌다.
광개토대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담덕(談德) |
이름 | 고담덕(高談德) |
시호 |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
별칭 | 개토왕(開土王), 광개왕(廣開王), 호태왕(好太王), 광개토왕(廣開土王) |
연호 | 영락(永樂) |
재위 기간 | 391년 5월 ~ 413년 10월 (음력) |
출생 | 374년 |
사망 | 413년 10월 (음력) (38세) |
출생지 | 고구려 국내성 |
사망지 | 고구려 국내성 |
능호 | 국강상(國罡上) |
정치 | |
왕조 | 고구려 |
왕가 | 고(Go) |
전임자 | 고국양왕 |
후임자 | 장수왕 |
대관식 | 391년 5월 |
가계 | |
부왕 | 고국양왕 |
자녀 | |
자녀 | 장수왕, 왕자 (미상), 왕자 (미상) |
고구려 왕자 시절 | |
임명 | 386년 1월 |
해임 | 391년 5월 |
전임자 | 구부 |
후임자 | 거련 |
2. 생애
성은 '''고'''(高)이며, 휘는 '''담덕'''(談德, 탐덕)이다. 선대 고국양왕의 아들로, 386년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며[68], 391년(광개토대왕릉비 기록, 삼국사기는 392년으로 기록[69])에 왕위에 올랐다. 그는 선비족 전연의 공격으로 쇠퇴해 있던 고구려를 중흥시키고 영토를 크게 확장한 군주로 평가받는다.
광개토대왕릉비문에 따르면 정식 시호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𦊆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며,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광개토왕''' 또는 '''광개토대왕'''으로 불린다. 재위 중에 영락(永樂)이라는 연호를 사용했기에 '''영락대왕'''이라고도 불린다.
『삼국사기』 등에는 고구려 왕실이 중국황제의 손자인 고양씨나 증손인 고신씨의 후손이라고 칭했다는 기록도 전해진다.[70][71][72][73][74]
2. 1. 탄생과 즉위
374년(소수림왕 4년), 당시 국왕이었던 소수림왕의 동생인 왕자 이련(伊連, 고국양왕)의 아들로 태어났다. 성은 '''고'''(高)이며, 휘는 '''담덕'''(談德, 탐덕)이다.[68] 광개토대왕릉비에는 시조 동명성왕(추모왕)의 17세손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서 '세손'이 왕의 대수(代數)를 의미하는지 혈연상 세대 수를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88] 광개토대왕릉비는 그의 등극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옛 시조 추모왕께서 나라를 세우셨다. (중략) 17세손에 이르러 국강상 광개토경 평안호태왕께서 18세에 왕위에 올라 영락태왕이라 칭하였다."광개토대왕이 태어날 무렵 고구려는 국력이 약화된 상태였다. 그가 태어나기 3년 전인 371년, 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국왕 고국원왕이 전사하고 수도 평양이 함락되는 등 큰 위기를 겪었다.[23][24] 당시 백제는 동아시아의 강자로 부상하여 중국의 요서, 산둥 지역 및 일본 규슈까지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25] 고구려는 백제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며[28] 전진,[26] 선비족, 유연 등과 관계를 맺고 국력 회복과 내부 체제 정비에 힘썼다.[27]
고국원왕의 뒤를 이은 소수림왕은 불교를 공인하고[29] 법령을 정비하는 등 내치에 힘썼으며, 백제에 대해서는 유화책을 펼쳤다.[28] 또한 과거의 패배를 교훈 삼아 군사 개혁을 단행하여[27] 훗날 광개토대왕 시대의 영토 확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1] 384년 소수림왕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그의 동생이자 광개토대왕의 아버지인 고국양왕이 즉위했다. 고국양왕은 385년 후연을, 386년에는 백제를 공격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추진했다.[30][31] 광개토대왕은 386년 1월에 태자로 책봉되었다.[68]
391년, 고국양왕의 뒤를 이어 18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즉위 연도에 관해서는 광개토대왕릉비에는 신묘년(391년)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69]에는 임진년(392년)으로 기록되어 있어 1년의 차이를 보인다.[89] 즉위 후 연호를 영락(永樂)으로 정하여 사용했기에 '''영락대왕'''이라고도 불린다. 그의 정식 시호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𦊆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며,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광개토왕''' 또는 '''광개토대왕'''으로 불린다. 그는 선비족 전연의 침입으로 쇠퇴했던 고구려를 중흥시키고 영토를 크게 확장한 군주로 평가받는다.
한편,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백제 본기 등에는 고구려 왕실이 중국 황제의 후손인 고양씨 또는 고신씨의 후예라고 자칭했다는 기록이 있다.[70][71][72][73][74]
2. 2. 백제와의 전쟁
시호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구려는 영토를 확장했으며, 예성강을 경계로 백제에 대해서는 즉위 초부터 공세를 취했다.392년 7월, 광개토대왕은 군사 40,000명을 이끌고 백제의 북쪽 변경을 공격하여 석현성(황해북도 개풍군 북면 청석동)을 포함한 10여 개 성을 함락시켰다.[90][33] 당시 백제 진사왕은 고구려군의 위세에 눌려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한강(漢水) 북쪽의 여러 부락이 고구려 수중에 들어갔다. 같은 해 8월, 백제가 고구려 남쪽 변경을 공격했으나 격퇴당했다. 이어 10월에는 고구려가 백제 북방의 요충지인 관미성[75]을 20일간의 공격 끝에 함락시켰다.[91] 이 해 12월, 백제에서는 진사왕이 사망하고 아신왕이 즉위하였다.
아신왕은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고구려에 대한 반격을 시도했다. 393년 8월, 진무를 좌장으로 삼아 군대를 이끌고 북진했으나 별다른 성과 없이 회군했다. 고구려는 같은 해 관미성에서 백제의 공격을 막아냈다.[33] 394년, 아신왕은 다시 고구려를 침공했으나 수곡성(황해북도 신계군)에서 또다시 패배했다.[33] 고구려는 백제의 계속된 침공에 대비하여 이 해 남쪽 국경에 7개의 성을 쌓아 방비를 강화했다.[92]
395년, 고구려는 패수(현재의 예성강으로 비정됨)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백제군을 크게 격파하여 8,000여 명을 사로잡거나 죽이는 대승을 거두었다.[93][33] 이 패배로 백제는 수도 위례성 부근까지 밀려났다.[33][36] 고구려는 백제와의 접경 지역에 7개의 성을 추가로 쌓아 압박을 강화했다.
396년, 광개토대왕은 수륙 양면으로 대대적인 백제 공격에 나섰다.[33] 이 공격으로 한강 이북의 58개 성과 700여 개 촌락을 점령하고 백제의 수도 위례성을 포위하였다. 결국 백제 아신왕은 광개토대왕에게 '영원한 노객(奴客)이 되겠다'고 맹세하며 항복하였고, 아신왕의 동생(혹은 왕자[33][38])과 백제 대신 10명을 인질로 보내야 했다.[4][37](고구려 백제 전쟁)
397년, 아신왕은 왜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왕자 전지를 인질로 보냈다.
2. 3. 신라 구원과 가야 진출
397년, 백제는 왜와 동맹을 강화하며 태자 전지를 인질로 보냈다. 이는 고구려에 대항하기 위한 움직임이었다. 399년 광개토대왕이 평양으로 순행하던 중, 백제와 왜가 연합하여 신라를 침공하였다. 위기에 처한 신라는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구원을 요청했다.이에 광개토대왕은 400년 보병과 기병 5만 명을 신라에 파견하여 왜군을 격퇴하도록 명령했다.[4] 고구려 대군이 신라 수도 근처까지 진격하자 왜군은 남쪽으로 후퇴하였고, 고구려군은 이를 추격하여 금관가야의 종발성(위치 미상) 부근까지 이르러 왜군을 섬멸하였다. 이 과정에서 고구려군은 백제, 가야, 왜의 연합군을 격파한 것으로 보인다.[4]
이 전쟁의 결과로 금관가야는 큰 타격을 입고 급격히 쇠퇴하였으며, 이는 금관가야가 주도하던 전기 가야 연맹이 해체되고 대가야 중심의 후기 가야 연맹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된다.[16] 또한 광개토대왕은 신라에 대한 종주권을 확립하였다.[16] 402년에는 392년부터 고구려에 인질로 와 있던 왕족 실성을 신라로 돌려보내 내물 마립간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게 했다.[46] 이후 고구려군은 신라 영토 내에 주둔하며 신라의 내정에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신라는 사실상 고구려의 보호국과 같은 지위에 놓였다.
404년에는 옛 대방(帶方) 지역으로 쳐들어온 왜군을 격퇴하고 큰 피해를 입혔다.[42][47][48] 일부 기록에 따르면 이때 왜군은 백제, 가야와 연합하여 침공해 온 것으로 보인다.
2. 4. 거란 및 숙신 정벌
백제와의 전쟁 외에도 북방의 여러 민족에 대한 정벌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392년 9월에는 거란을 정벌하여, 과거 소수림왕 8년(378년)에 거란의 침입으로 잡혀갔던 고구려 백성 1만여 명을 되찾아왔다.[94][95] 이때 거란인 남녀 500명을 포로로 잡기도 하였다. 이어서 395년에는 서쪽 요하 유역의 염수[96] 방면으로 진출하여 거란의 일파인 패려(稗麗)를 정벌하여 복속시켰다. 이 과정에서 거란의 3개 부족과 600~700개에 달하는 진영을 격파하였으며,[39][40] 수많은 소, 말, 양떼를 노획하였다. 일부 학자들은 《삼국사기》에 기록된 392년의 거란 정벌과 광개토대왕릉비에 기록된 395년의 비려 정벌을 동일한 사건에 대한 다른 기록으로 해석하기도 한다.[97]
한편 398년에는 동북방의 숙신을 정벌하였다. 숙신은 퉁구스계 민족의 조상이자 후대 여진족과 만주족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민족이다.[4] 이 정벌을 통해 고구려는 동북쪽 국경 지대를 안정시킬 수 있었다.
2. 5. 후연과의 전쟁
광개토대왕은 모용씨(慕容氏)가 세운 후연과 치열한 전쟁을 벌였다. 400년 2월, 고구려의 주력 부대가 신라에 침입한 왜군을 격퇴하고 있을 때, 후연의 왕 모용성은 고구려의 신성과 남소성을 공격해왔다.[42] 이에 광개토대왕은 후연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402년, 광개토대왕은 후연의 수도 근처 요새인 숙군성(宿軍城)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42][44] 404년에도 후연을 정벌하였으며, 비슷한 시기에 연군(燕郡)까지 공격하여 함락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연군은 현재의 베이징 근방으로 추정되며, 이 기록을 근거로 광개토대왕이 베이징 일대까지 진출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후연은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반격해왔으나, 광개토대왕은 이를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405년에는 요동성에서, 406년에는 목저성(木抵城)에서 후연 군대를 연이어 격파하였다.[42] 이러한 승리를 통해 광개토대왕은 요동 지역에 대한 고구려의 지배권을 확고히 했으며[1][4], 이는 고조선의 옛 영토를 회복하는 의미를 지녔다.[4][19] 고구려는 이후 7세기 중반까지 요동 지역을 통치하게 된다.
407년, 광개토대왕은 보병과 기병 5만 명을 동원하여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다. 이 전투에서 고구려군은 후연 군대를 크게 격파하고 막대한 전리품을 확보했는데, 약 1만 개의 갑옷과 무수한 군수 물자를 약탈했다고 전해진다.[42][45] 또한 돌아오는 길에 후연의 6개 성을 추가로 점령하였다. 같은 해, 후연을 견제하기 위하여 남연과 우호 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이후 후연이 멸망하고 고구려계 인물인 고운이 북연을 건국하자, 광개토대왕은 408년 북연과 우호 관계를 맺음으로써 서쪽 국경 지대의 안정을 확보하였다.[98]
2. 6. 동부여 정벌
410년에는 동부여(東夫餘)를 공격하여 굴복시켰다.[99]2. 7. 내치
광개토대왕은 영토 확장뿐만 아니라 내치에도 힘썼다. 특히 평양을 중요하게 여겨 393년에는 9개의 절을 평양에 세웠고[100], 399년에는 왕이 직접 평양에 행차하기도 하였다. 이는 남쪽의 백제, 왜, 가야 등을 견제하려는 목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09년에는 나라 동쪽에 독산성을 비롯한 6개의 성을 쌓고 평양의 백성들을 옮겨 살게 하였으며, 이후 다시 남쪽으로 순행하였다. 또한 중앙 관직으로 장사, 사마, 참군 등을 새로 만들었으며, 역대 왕릉을 관리하기 위한 수묘인(守墓人) 제도를 정비하고 이를 잘 시행할 것을 아들 장수왕에게 유언으로 남겼다.
선대 고국양왕의 정책을 이어받아 불교를 장려하였는데, 393년 평양시에 9개의 사찰을 세운 것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광개토대왕릉비에는 당시 고구려가 "나라가 부강하고 백성이 편안하였으며 오곡이 풍성하게 익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2. 8. 최후
《삼국사기》에는 413년 10월에 사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광개토대왕릉비〉의 기록을 통해 역산하면 412년이 되어 1년의 차이가 발생한다.광개토대왕은 412년 또는 413년에 39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사망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49] 왕위는 맏아들 장수왕이 계승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시호는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이다. 매장지는 정확히 전해지지 않지만, 광개토대왕릉비가 세워진 지안시(集安市)의 장군총 또는 태왕릉이 광개토대왕의 능으로 추정된다.
3. 사후
장수왕은 414년 갑인년 음력 9월 29일 을유일에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광개토대왕릉비를 세웠다. 또한 광개토대왕의 유언에 따라 수묘인을 두어 태왕릉을 관리하게 하였다.
이 능비는 1880년 중국 지린성 지안 현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도 같은 자리에 남아 있다. 능비에는 광개토대왕의 활발한 정복 사업이 기록되어 있는데, 평생에 걸쳐 64개의 성과 1,400개의 촌을 공취했다고 전한다. 약 1,800자의 순수한 한문으로 기록된 비문은 4세기 말부터 5세기 초의 한반도 역사뿐만 아니라, 왜의 활동 기록이 포함되어 있어 고대 한일 관계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광개토대왕의 능 위치에 대해서는 장군총이라는 설과 태왕릉이라는 설이 있다.
4. 가족 관계
374년 소수림왕의 동생인 고국양왕의 아들로 태어났다. 386년 1월, 태자로 책봉되었다.[68] 광개토대왕릉비에는 시조 동명성왕의 17세손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 '세손'의 의미에 대해서는 왕위 계승 순서 또는 혈연상 세대수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여러 해석이 있다.[88]
구분 | 이름 | 비고 |
---|---|---|
할아버지 | 고국원왕 | 제16대 국왕 |
아버지 | 고국양왕 | 제18대 국왕 |
어머니 | 미상 | |
왕비 | 미상 | |
아들 | 장수왕 (고련) | 제20대 국왕 |
손자 | 고조다 | 장수왕의 아들 |
아들 | 미상[101] | |
손자 | 고승천 | 이름 미상 아들의 아들 |
5. 연호
재위 중에 영락이라는 연호를 사용했기에 '''영락대왕'''이라고도 불린다.
영락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
서력 | 391년 | 392년 | 393년 | 394년 | 395년 | 396년 | 397년 | 398년 | 399년 | 400년 | 401년 | 402년 | 403년 | 404년 | 405년 |
단기 | 2724년 | 2725년 | 2726년 | 2727년 | 2728년 | 2729년 | 2730년 | 2731년 | 2732년 | 2733년 | 2734년 | 2735년 | 2736년 | 2737년 | 2738년 |
간지 | 신묘 | 임진 | 계사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 경자 | 신축 | 임인 | 계묘 | 갑진 | 을사 |
영락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
서력 | 406년 | 407년 | 408년 | 409년 | 410년 | 411년 | 412년 | 413년 | |||||||
단기 | 2739년 | 2740년 | 2741년 | 2742년 | 2743년 | 2744년 | 2745년 | 2746년 | |||||||
간지 | 병오 | 정미 | 무신 | 기유 | 경술 | 신해 | 임자 | 계축 |
6. 대중 문화 속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은 대한민국에서 소설, 만화,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59][60][61]
=== 드라마 및 공연 ===
작품명 | 제작/방송사 | 연도 | 주요 배우 |
---|---|---|---|
태왕사신기 | MBC | 2007년 | 배용준, 유승호 (아역) |
태왕사신기 -주신의 별 아래서- | 다카라즈카 가극단 하나구미 | 2009년 | 마토부 세이 |
태왕사신기 Ver.II -새로운 왕의 여행- | 다카라즈카 가극단 호시구미 | 2009년 | 유즈키 레온 |
광개토태왕 | KBS | 2011년~2012년 | 이태곤[58] |
한국사기 | KBS | 2017년 | 이도엽, 이준서 (아역) |
- 2010년에는 다카라즈카 가극단 호시구미의 '태왕사신기 Ver.II' 공연이 '다카라즈카 리뷰 시네마'를 통해 일본 전국 25개관에서 개봉되었다.
=== 게임 ===
- 인기 모바일 게임 ''영웅 for Kakao''에서 광개토대왕을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시킨다.[64]
-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하여 제작된 모바일 게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월드 도미네이션''에는 광개토대왕이 한국 문명의 선택 가능한 영웅으로 등장한다.[66]
7. 평가 및 의의
광개토대왕의 정복 활동은 한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의 치세 동안 고구려는 동북아시아에서 강력한 제국을 건설하고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이는 이후 삼국 시대 통일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4][18] 광개토대왕은 총 64개의 성과 1,400개의 마을을 정복하는 등 눈부신 군사적 성과를 거두었다.[1][4] 그의 아들 장수왕은 광개토대왕이 확장한 영토를 바탕으로 고구려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이후 발해 시대를 제외하고는 한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했다. 몽골 지역에서 발견된 고구려 성 유적은 고구려의 영토가 현재의 몽골 서부까지 이르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50][51][52] 또한, 광개토대왕은 '영락(永樂)'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여 고구려가 중국 왕조와 대등한 국가임을 선포하였다.[1][3][4]
광개토대왕은 조선의 세종대왕과 더불어 한국 역사상 '대왕'이라는 칭호를 받는 두 군주 중 한 명이다. 세종대왕이 백성을 위해 한글을 창제하고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면, 광개토대왕은 강력한 군사력으로 국가의 위상을 높였다.[53][54][55] 이러한 업적으로 광개토대왕은 오늘날 한국인들에게 한국사의 가장 위대한 영웅 중 한 명으로 존경받으며, 한국 민족주의의 강력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아들 장수왕은 414년 광개토대왕비를 세웠다.[20] 높이 6.39m에 달하는 이 비석은 19세기 말에 재발견되었으며, 비문에는 광개토대왕의 치세와 업적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 한반도 및 동아시아 역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다만, 비문의 일부 글자가 마모되어 판독이 어려운 부분이 있으며, 특히 왜 관련 구절의 해석을 두고 한국과 일본 학계 간에 지속적인 논쟁이 있다.
현대에 이르러서도 광개토대왕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대한민국 해군은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한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에 그의 이름을 붙여 운용하고 있으며, 경기도 구리시에는 광개토대왕의 흉상과 광개토대왕비 복제품이 세워져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56][57]
참조
[1]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10-11
[2]
서적
https://books.google[...]
상상출판
2011-10-19
[3]
서적
The History of Korea,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5-30
[4]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2-11-05
[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7-29
[6]
서적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Jimoondang
2016-07-29
[7]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Scribner
2016-07-29
[8]
서적
The History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7-15
[9]
서적
Averting Global War: Regional Challenges, Overextension, and Options for American Strategy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7-11-27
[10]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to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2016-10-10
[11]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2-11-20
[12]
서적
Korea: The Impossible Country: The Impossible Country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2-11-10
[13]
서적
Rediscovering Russia in Asia: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3-04
[14]
서적
https://books.google[...]
ebookspub(이북스펍)
2014-03-07
[15]
서적
Black Belt Tae Kwon Do: The Ultimate Reference Guide to the World's Most Popular Black Belt Martial Art
https://books.google[...]
Skyhorse Publishing Inc.
2016-10-11
[16]
서적
Pre-Modern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Volume I: To 1800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3-01-01
[17]
서적
New History of Korea
Jimoondang
[18]
웹사이트
King Gwanggaeto the Great (1)
http://world.kbs.co.[...]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6-10-07
[19]
서적
https://books.google[...]
Dasan Books
2010-03-22
[20]
서적
Korean History in Map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0-11
[21]
서적
https://books.google[...]
뜨인돌출판
2016-10-11
[22]
웹사이트
http://www.ohmynews.[...]
2014-02-09
[23]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10-11
[24]
서적
Korean History in Map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2-15
[25]
서적
A Brief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16-10-11
[26]
서적
Encyclopedia of Buddhism: A - L.
https://archive.org/[...]
Macmillan Reference USA, Thomson Gale
2004-01-01
[27]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10-11
[28]
서적
World Monarchies and Dynas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10-11
[29]
서적
The Land of Scholars: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Confucianism
https://books.google[...]
Homa & Sekey Books
2016-10-11
[30]
웹사이트
http://www.cultureco[...]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6-10-11
[31]
웹사이트
King Gogukyang
http://world.kbs.co.[...]
2016-10-11
[32]
학술지
Goguryeo's Worldview and Three Kingdoms
https://books.google[...]
2016-12-31
[33]
서적
https://books.google[...]
ebookspub (이북스펍)
2016-10-11
[3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7-29
[35]
서적
Samguk sagi: Volume 18
https://ko.wikisourc[...]
2016-07-07
[36]
서적
New History of Korea
Jimoondang
2005
[37]
서적
Koguryo, the origin of Korean power & pride
Dongbuka History Foundation
2007
[38]
학술지
Korean studies
2004
[39]
백과사전
Kwanggaet'o
Gale Research
[40]
서적
The Genesis of East Asia : 221 B.C. - A.D. 907
https://books.google[...]
Associate for Asian Studies [u.a.]
2016-06-17
[41]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2-11-01
[42]
서적
광개토대왕과 장수왕
https://books.google[...]
ebookspub(이북스펍)
2014-03-07
[43]
웹사이트
King Gwanggaeto the Great (2)
https://web.archiv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6-10-11
[44]
서적
역사의터닝포인트14_삼국의전성기
https://books.google[...]
Book21 Publishing Group
2012-12-06
[45]
서적
Sources of Korean Tradition: Volume One: From Early Times Through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11-21
[46]
학술지
Koguryo
2007
[47]
서적
Encounter Or Syncretism: The Initial Growth of Japanese Buddhism
[48]
서적
Gateway to Japan: Hakata in War And Peace, 500-1300
[49]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2-11-01
[50]
웹사이트
한국과 몽골, 그 천년의 비밀을 찾아서
http://www.pressian.[...]
Korea Press Foundation
2016-10-11
[51]
웹사이트
고고학자 손보기 교수
https://web.archive.[...]
2016-10-11
[52]
웹사이트
[초원 실크로드를 가다](14)초원로가 한반도까지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16-10-11
[53]
서적
Concise History of the Language Sciences: From the Sumerians to the Cognitivist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4-06-28
[54]
서적
Fonts & Encodings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2007-09-26
[55]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1-11
[56]
웹사이트
대한민국 구석구석
http://korean.visitk[...]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6-07-07
[57]
웹사이트
광개토태왕비/동상
http://www.guri.go.k[...]
2016-07-07
[58]
웹사이트
Gwanggaeto, The Great Conqueror
https://web.archive.[...]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6-15
[59]
서적
광개토대제(전10권)
https://books.google[...]
아이디어북
2003-02-11
[60]
웹사이트
태왕북벌기
https://web.archive.[...]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6-10-24
[61]
웹사이트
[★★리뷰] 광개토태왕, 모바일 전략시뮬레이션 '새역사'를 쓰다… 4.0 ★★★★
http://www.gamechosu[...]
2016-10-24
[62]
웹사이트
영웅 for Kakao
https://play.google.[...]
2016-06-16
[63]
웹사이트
4:33 Creative Lab
https://web.archive.[...]
2016-06-16
[64]
웹사이트
Hero for Kakao
https://web.archive.[...]
2016-06-16
[65]
웹사이트
Age of Empires: World Domination Launched for Android and iOS
http://gadgets.ndtv.[...]
2016-06-16
[66]
웹사이트
Age of Empires: World Domination
https://web.archive.[...]
2016-06-16
[67]
웹사이트
Kwang-Gae
http://www.itatkd.co[...]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2016-06-15
[68]
위키문헌
三國史記/卷18
[69]
위키문헌
三國遺事
[70]
뉴스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동아시아문화교류학회
2014-01-01
[71]
뉴스
三國史記 卷第二十八 百濟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국史編纂委員会
[72]
뉴스
三國史記 卷第十八 髙句麗本紀 第六
http://db.history.go[...]
국史編纂委員会
[73]
뉴스
의자왕 義慈王
http://terms.naver.c[...]
한국人文古典研究所
[74]
뉴스
광개토왕 廣開土王
https://terms.naver.[...]
한국人文古典研究所
[75]
문서
好太王碑文에서 閣彌城으로 기록된 지역에 대한 두 가지 비정설
[76]
뉴스
5世紀の日韓関係 - 倭の五王と高句麗・百済 -
http://www.jkcf.or.j[...]
日韓歴史共同研究
2005-06
[77]
서적
삼국사기
[78]
서적
진서, 북사
[79]
서적
해동고승전
[80]
서적
삼국유사
[81]
문서
중국, 일본
[82]
웹사이트
삼국사기
https://db.history.g[...]
[83]
문서
광개토대왕릉비
[84]
문서
모두루 묘지명
[85]
문서
삼국사기와 광개토대왕릉비에 기록된 광개토대왕 사망 연도의 차이
[86]
문서
삼국사기와 광개토대왕릉비에 기록된 광개토대왕 즉위 연도의 차이
[87]
웹사이트
우리역사넷 - 영토를 크게 넓힌 고구려의 정복 군주
http://contents.hist[...]
[88]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고대금석문, 광개토대왕릉비 국역문 주석 16번
https://db.history.g[...]
[89]
서적
삼국사기
[90]
서적
삼국사기
[91]
서적
삼국사기
[92]
문서
삼국사기의 백제 원정 기록에 대한 설명
[93]
서적
삼국사기
[94]
문서
삼국사기와 광개토대왕릉비의 기년 차이에 대한 학계의 견해
[95]
서적
삼국사기
[96]
문서
염수의 위치에 대한 다양한 학설과 일반적인 견해
[97]
논문
廣開土王碑文의 征服記事 再檢討, 고구려의 北方進出과 廣開土王碑文
[98]
문서
삼국사기의 후연 원정 기록에 대한 설명
[99]
문서
동부여 정벌에 대한 다양한 해석
[100]
서적
삼국사기
[101]
문서
삼국사기 기록을 통해 본 광개토대왕의 왕자 존재 여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3월 14일 문학 새 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