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웃 효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웃 효과는 개인이 이웃과의 관계적 영향을 받아 특정 방향으로 투표하거나, 교육 환경에 영향을 받는 현상을 의미한다. 밀턴 프리드먼은 이 개념을 처음 사용했으며, 이후 케빈 콕스, W.L. 밀러 등의 연구를 통해 투표 패턴과 사회적 상호작용 간의 연관성이 밝혀졌다. 특히, 밀러는 "함께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함께 투표한다"는 가설을 제시하며, 다양한 모델을 통해 이웃 효과를 정량화하려 시도했다. 콕스는 상호작용과 거리의 반비례 관계를 밝히고, 허크펠트와 스프라그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이웃 간의 대화가 투표 성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웃 효과는 투표 행태뿐만 아니라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이웃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교육 자원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지역주의 투표 성향과 강남 8학군과 같은 교육열이 이웃 효과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7년 - 우리 공동의 미래
    《우리 공동의 미래》는 브룬트란트 위원회의 보고서로,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다자주의와 국가 간 상호 의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환경 문제와 개발을 하나의 문제로 다루어 지속 가능한 개발 개념 확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사회 개념 - 비폭력
    비폭력은 폭력에 반대하며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는 사상으로,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기원하며, 항의, 비협조, 개입 등 여러 형태를 띠며 사회 변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 사회 개념 - 카리스마
    카리스마는 특정 개인의 비범한 능력이나 그에 대한 숭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막스 베버는 이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정립하여 지배의 한 유형으로 제시했으며, 종교적, 정신의학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이웃 효과
개요
분야사회학, 경제학, 공공 정책
설명개인의 행동과 결과에 대한 거주 환경의 영향
관련 용어사회적 자본
빈곤의 집중
장소 기반 정책
역사적 맥락
초기 연구로버트 E. 파크와 어니스트 W. 버제스, 로드릭 D. 매켄지의 《도시》(1925)
헨리 메이휴의 《런던 노동자와 런던 빈민》(1851)
주요 개념 및 영향
영향 요인지역 사회의 사회 경제적 특성 (사회적 자본, 빈곤율, 교육 수준)
지역 사회의 물리적 환경 (주택 상태,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 오염)
지역 사회의 사회적 환경 (범죄율, 폭력, 사회적 연결망)
영향 대상아동 발달 (교육 성취도, 행동 문제)
건강 (정신 건강, 만성 질환)
경제적 기회 (고용, 소득)
범죄
사회 이동성
작용 메커니즘사회화: 지역 사회의 규범, 가치관, 행동 양식이 개인에게 내면화됨
사회적 감시: 지역 사회 구성원 간의 상호 감시 및 통제
제도적 자원: 지역 사회 내 학교, 병원, 공공 서비스 등의 접근성 및 질
환경 스트레스: 열악한 환경 조건이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 및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
연구 방법론
주요 연구 방법종단 연구
다층 모형
실험 연구 (무작위 대조 실험)
질적 연구 (인터뷰, 민족지학)
고려 사항자기 선택 편향 (사람들이 특정 지역 사회를 선택하는 이유)
인과 관계 추론의 어려움
맥락 효과의 복잡성
정책적 함의
관련 정책장소 기반 정책 (낙후 지역 지원 정책)
주택 정책 (저소득층 주거 개선, 사회적 혼합)
교육 정책 (지역 사회 학교 지원, 교육 격차 해소)
공공 보건 정책 (건강 불평등 해소, 건강 증진 프로그램)
연구 과제 및 미래 방향
주요 과제누적적 불이익 효과 (장기간에 걸친 부정적 환경 노출의 영향)
생애 과정 관점 통합 (개인의 생애 초기 경험이 미래에 미치는 영향)
지역 사회 효과의 복잡성 규명
다양한 맥락 (문화, 지리적 위치)에서의 효과 검증
미래 연구 방향개입 연구 (지역 사회 개선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빅데이터 및 공간 분석 기법 활용
정책 결정자와의 협력 강화
건강, 복지, 범죄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통합적 접근
추가 정보
관련 연구자로버트 샘슨
윌리엄 윌슨
제프리 캐나다
참고 문헌제공된 모든 참고 문헌 참조

2. 이웃 효과의 역사

밀턴 프리드먼은 1955년 그의 에세이 "교육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에서 '이웃 효과'라는 개념을 사용했다.[17] 프리드먼은 상당한 "이웃 효과"가 존재할 때, 한 개인이 다른 개인에게 상당한 비용을 부과하거나 이익을 가져다주지만, 보상이 불가능하여 자발적인 교환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후 케빈 콕스는 1969년 '공간적 맥락에서의 투표 결정'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고, 론 J. 존스턴, 피터 J. 테일러와 G. 구드진은 각각 '정치 지리학'(1979)과 '선거의 지리학'(1979)에서 이 용어를 더욱 대중화시켰다.[19][20] 이들은 투표 패턴과 공간 데이터 간의 상관 관계 연구에 수학적 모델링을 사용하는 것을 정당화하고자 했다.

2. 1. 밀러의 모델

W.L. 밀러는 1977년에 "함께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함께 투표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웃 효과를 정량화하는 연구를 진행했다.[21] 그는 다수의 입장이 해당 지역 개인의 사회경제적 통계보다 더 지배적이라는 것을 발견하고, 투표 패턴을 설명하는 네 가지 모델을 제시했다.

1) "환경 효과 없음" 모델: 이웃 유형에 따른 투표 행동의 차이가 없다고 가정한다. 즉, 이웃과의 접촉은 사람들의 투표 방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환경 효과 모델": '사람들이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에 의해 짜증, 경계, 적대감을 느낄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계급 정당'의 더 강력한 지지자가 된다고 제안한다. 예를 들어, 중산층 사람들은 노동자 계급 지역보다 노동자 계급 지역에서 더 보수적이며, 노동자 계급 사람들은 강력한 중산층 지역에서 덜 보수적이다.

3) "합의적 환경 효과" 모델: '사람들이 자신의 접촉에 대한 합의 쪽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중산층과 노동자 계급 개인 모두 다른 곳에 살 때보다 노동자 계급과의 접촉은 적고 중산층과의 접촉은 더 많기 때문에 중산층 지역에서 더 보수적이다' - 이는 대부분의 저자들이 이웃 효과와 연관시키는 것이다.[22]

4) "프제보르스키 환경 효과" 모델: 이 모델은 두 계급이 다른 방식으로 작용한다고 제안한다. 중산층은 노동자 계급 지역에서 반응적 모델에 따라 작용하는 반면, 노동자 계급은 중산층 지역에서 합의적 모델에 따라 작용한다.[23]

존스턴은 이러한 사회적 비유를 일반인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 나는 그들과 이야기하고 그들처럼 투표한다. (2) 나는 그들처럼 되고 싶어서 그들과 함께 산다. (3) 나는 그들 사이에 살면서 그들처럼 되고 싶다. (4) 주변에서 관찰하는 것이 그들과 함께 투표하게 만든다. (5) 그들은 내가 여기서 그들을 위해 투표하기를 원한다.[24]

2. 2. 콕스의 연구

콕스는 이웃 효과를 이해하려는 시도로, 사람들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정의하려 했다.[25] 그는 거리와 관계 형성 사이에 반비례 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사람들이 형성하는 관계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일종의 정치적 당파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이러한 관계가 개인의 정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이 개인의 이전 성향보다 더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개인은 가족으로부터 정치적 성향을 물려받는다고 주장해왔기 때문에 직관에 반하는 것이다.[26]

2. 3. 허크펠트와 스프라그의 실험

R. 허크펠트와 J. 스프라그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투표 패턴 간의 실증적 연관성을 찾으려는 시도를 한 첫 번째 연구 그룹이었다.[28] 그들은 인디애나폴리스세인트루이스에서 사람들을 대상으로 누가 어떤 사람인지, 그리고 그들이 정치에 관해 누구와 대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이 그룹은 또한 응답자들이 정치에 관해 가장 대화할 것 같다고 밝힌 사람들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들은 사람들이 실제로 상호작용한 사람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투표한다는 것을 확실하게 밝혀냈다. 이 데이터는 마침내 "함께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함께 투표한다"는 밀러의 생각에 대한 근거를 제공했다. 이 모든 실험은 콕스가 이론화하고 밀러가 형성한 모델에 어느 정도 신빙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3. 이웃 효과의 영향

이웃 효과는 개인의 투표 행태와 교육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웃 효과는 이웃과의 관계에 영향을 받아 특정 방향으로 투표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주로 이웃의 일반적인 경향에 따라 투표하며, 이는 공동체 내에서 맺는 개인적인 관계에 의해 형성된다.[16]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은 대인 관계적 상호 작용의 기회가 많아 정치 참여율이 높다.[16] 투표 패턴은 사회 경제적 상관관계가 있어 투표 행동 예측에도 활용된다.

이웃 효과는 유권자 연구를 개인 수준에서 거주지의 영향까지 고려하도록 확장하여 유권자 행동 연구를 넓혔다.

대한민국지역주의 투표 성향은 이웃 효과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특정 지역 출신 인물이나 진보, 보수 정당에 대한 지지는 한국 정치 지형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해 왔다.

이웃 효과는 이웃의 부에 따라 교육 자원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29] 교사의 질, 학교 프로그램, 동아리 및 캠퍼스 환경 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여러 연구에서 이웃의 빈곤, 열악한 교육 환경, 민족/이주민 집단의 비율, 사회적 혼란이 학생들의 학업적 성공 부족에 기여한다고 밝혀졌다.[30][31]

대한민국의 강남 8학군과 같은 특정 지역의 높은 교육열과 사교육 집중 현상은 이웃 효과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3. 1. 투표 행태에 미치는 영향

이웃 효과는 개인이 이웃과의 관계적 영향을 바탕으로 특정 방향으로 투표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웃의 투표 선호도는 합의에 의해 형성되는 경향이 있는데, 사람들은 이웃의 일반적인 경향에 따라 투표하게 된다. 이러한 합의는 개인이 공동체 내에서 형성하는 개인적인 관계에 의해 형성된다.[16] 다니엘 J. 홉킨스와 타드 윌리엄슨의 연구에 따르면,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은 예상치 못한 대인 관계적 상호 작용의 기회가 더 많기 때문에 분산된 지역 사회보다 정치에 더 많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았다. 상호 작용이 증가하면 정치적 모집의 기회도 더 많아진다.[16] 또한 투표 패턴과 관련하여 일부 사회 경제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투표 행동을 예측하는 데에도 사용되어 왔다.

이웃 효과는 유권자 연구를 개인 수준의 분석에서 유권자의 투표 결정에 거주지가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하는 방향으로 확장했다. 이러한 맥락적 분석에 대한 기여는 유권자 행동 연구를 넓혔다.
한국의 경우: 지역주의 투표 성향은 이웃 효과의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특정 지역 출신 인물에 대한 지지, 혹은 진보/보수 등 특정 정당에 대한 투표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오랫동안 한국 정치 지형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해 왔다.

3. 2. 교육에 미치는 영향

이웃 효과는 이웃의 부에 따라 서로 다른 교육 자원을 받는 것을 말하며, 이는 학생들의 시험 점수, 학점 평균, 전문적인 관계와 같은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29] 교육에 미치는 이웃 효과는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교사의 질, 학교 프로그램, 동아리 및 캠퍼스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이웃의 빈곤, 열악한 교육 환경, 민족/이주민 집단의 비율, 사회적 혼란"[30]이 모두 해당 지역 학생들의 학업적 성공 부족에 기여한다.[31]

대한민국의 경우, 강남 8학군과 같은 특정 지역의 높은 교육열과 사교육 집중 현상은 이웃 효과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 기회의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사회 계층 이동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교육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다.

참조

[1] 서적 The C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서적 London Labor and the London Poor: A Cyclopaedia of the Condition and Earnings of Those that Will Work, Those that Cannot Work, and Those that Will Not Work Harper
[3] 뉴스 The Neighborhood Effect https://www.chronicl[...] 2020-04-22
[4] 서적 Neighbourhood Effects Research: New Perspectives 2012
[5] 간행물 Neighbourhood Effects Research at a Crossroads. Ten Challenges for Future Research Introduction 2012-12-01
[6] 간행물 Local area unemployment, individual health and workforce exit: ONS Longitudinal Study 2016-02-27
[7] 간행물 Linking local labour market conditions across the life course to retirement age: Pathways of health, employment status, occupational clas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using 60 years of the 1946 British Birth Cohort https://discovery.uc[...] 2019-04-01
[8] 간행물 Cumulative exposure to disadvantage and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neighbourhood effects https://academic.oup[...] 2015-01-01
[9] 간행물 The impact of life course exposures to neighbourhood deprivation on health and well-being: a review of the long-term neighbourhood effects literature 2019-10-02
[10] 간행물 Complexity and Uncertainty in Geography of Health Research: Incorporating Life-Course Perspectives https://www.pure.ed.[...] 2018-11-02
[11] 간행물 The stress process in neighborhood context 2000-12-01
[12] 간행물 Neighborhood Disadvantage and Adult Depression 2000
[13] 간행물 Neighborhood context and adjustment in African American youths from single mother homes: The intervening role of hopelessness
[14] 간행물 Neighborhood effects for aging in place: a transdisciplinary framework toward health-promoting settings
[15] 뉴스 The Neighborhood Effect https://www.chronicl[...] 2020-04-22
[16] 간행물 Inactive by Design? Neighborhood Desig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2012-03
[17] 문서 The Role of Government in Education http://la.utexas.edu[...] Rutgers College Press 2019-01-30
[18] 문서 The Voting Decision in a Spatial Context
[19] 문서 Quantitative Geography: A British View
[20] 문서 Political Geography, Geography of Elections
[21] 서적 Electoral Dynamics
[22] 서적 Political Geography
[23] 간행물 Theories in Search of a Curve: A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the Left Vote
[24] 간행물 Neighborhood social capital and neighborhood effects
[25] 문서 The Voting Decision in a Spatial Context
[26] 간행물 People Who Talk Together Vote Together: An Exploration of Contextual Effects in Great Britain
[27] 문서 Is Talking over the Garden Fence of Political Import?
[28] 간행물 Dynamics of Collective Deliberation in the 1996 Election: Campaign Effects on Accessibility, Certainty, and Accuracy
[29] 간행물 The association between neighbourhood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6-01
[30] 간행물 The association between neighbourhood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6-01
[31] 간행물 The association between neighbourhood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6-01
[32] 웹인용 왜 한국인은 '비교 중독증'을 앓게 되었는가? : 사회 비교 이론 https://blog.naver.c[...] 2023-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