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원재 (경제평론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원재는 대한민국의 경제평론가이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MBA 과정을 마쳤다. 한겨레신문 경제부 기자,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을 거쳐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시민단체 희망제작소 소장, 싱크탱크 여시재 기획이사, LAB2050 대표를 지냈다. MBC, 연합뉴스TV 등 방송에 출연하여 경제 평론을 하고, 신문에 경제 칼럼을 기고하며, 팟캐스트와 토론 프로그램에도 참여했다. 저서로는 《주식회사 대한민국 희망보고서》, 《이상한 나라의 경제학》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동문 - 윤기중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통계학자인 윤기중은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통계학회 및 한국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활동하며 학문적 업적을 쌓았고, 한양대학교와 연세대학교에서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윤석열 대통령의 아버지이다.
  •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동문 - 정갑영
    정갑영은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자 제17대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로, 산업조직론과 국제경제학을 전공했으며 자유기업원 이사장과 동아일보 객원 논설위원을 맡고 경제학 관련 저술 및 방송 활동을 통해 대중에게 경제학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경제 평론가 - 박경철
    박경철은 '시골의사'라는 필명으로 알려진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작가, 투자 전문가, 방송인으로, 안동신세계연합클리닉 원장이며 경제, 사회 문제에 대한 소신 발언과 강연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경제 평론가 - 염홍철
    염홍철은 경남대학교 교수, 청와대 정무비서관, 대전광역시장 3선, 한국공항공단 이사장, 한밭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수, 시인이며, 대전시장 재임 시절 대덕연구단지 발전에 기여했으나 정책의 불균형성과 을지의과대학교 설립 청탁 관련 자금 수수 사건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기자 - 오연호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하여 시민 참여 저널리즘을 구현했으며 덴마크의 행복 사회 모델을 연구하여 행복한 삶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 및 사단법인 꿈틀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기자 - 맹형규
    맹형규는 1946년 서울 출생으로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언론인, 국회의원, 대통령실 정무수석비서관, 행정안전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원재 (경제평론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원재
국적대한민국
경력싱크탱크 여시재 기획이사, 희망제작소 소장,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직업경제평론가
활동 기간2018년 ~ 현재
소속다음세대 정책실험실 대표

2. 학력

3. 경력

이원재는 한겨레신문 경제부 기자,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 희망제작소 소장, 여시재 기획이사, 랩2050 대표이사, 안철수 '진심캠프' 정책기획팀장[18] 등을 역임하며 경제 전문가로 활동했다.

기관직책
한겨레신문경제부 기자
삼성경제연구소수석연구원
한겨레경제연구소소장
희망제작소소장
여시재기획이사
랩2050대표이사
안철수 '진심캠프'정책기획팀장[18]


3. 1. 언론 및 연구 분야

그는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한겨레 경제부 기자를 지냈다. 이후 미국 MIT에서 MBA 과정을 밟았고 귀국 후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을 거쳐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으로 5년 반 정도 활동하였다.[3][4] 2014년부터 시민단체 희망제작소 부소장으로 일하다가 2015년 1월 희망제작소 소장이 되었다.[5] 2016년에는 싱크탱크 여시재에 합류해 기획이사를 맡았고, 2018년에는 새로운 싱크탱크 LAB2050을 설립하고 대표를 맡았다. 경제 관련 강연을 하고 토론회에도 참여하였다.[6][7] 신문에 경제 칼럼을 기고하였으며 MBC, 연합뉴스TV 등에 출연하여 경제 상황에 대해 평론을 하였다.[8][9][10]

《한국경제 하이에나를 죽여라》, 《이원재의 5분 경영학》, 《이상한 나라의 경제학》 등을 쓴 저술가이기도 하다. 2005년에 출판한 《주식회사 대한민국 희망보고서》는 당시 노무현 대통령에게 요약 보고되고 해당 보고서가 대통령 지시로 청와대 홈페이지에 공개되었다.[11] 또 2013년 10월에 실시된 경향신문의 '뉴 파워라이터 20' 기획에서 '뉴 파워라이터 20인'에 선정되기도 하였다.[12][13] CEPR(Center for Economic Policy and Reaserch)에서 일한 경험도 있다.

2013년부터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에서 〈오감경제/경제칼럼〉 코너를 진행하였다.[14] 언론인 김종배가 진행하는 팟캐스트 '이슈 털어주는 남자', '시사통 김종배입니다'에 출연한 바 있고, 김종배가 2016년부터 TBS '색다른 시선, 김종배입니다'를 진행하게 되자 '10분 경제' 코너에 참여하였다.[15][16] 또한 'KBS 공감토론'에 패널로 참여해 매주 목요일 토론을 벌였다.[17]

3. 2. 시민사회 및 싱크탱크 분야

MIT에서 MBA 과정을 밟고 귀국한 후,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을 거쳐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으로 5년 반 정도 활동하였다.[3][4] 2014년부터 시민단체 희망제작소 부소장으로 일하다가 2015년 1월 소장이 되었다.[5] 2016년에는 싱크탱크 여시재에 합류해 기획이사를 맡았고, 2018년에는 새로운 싱크탱크 LAB2050을 설립하고 대표를 맡았다.[6][7] CEPR(Center for Economic Policy and Reaserch)에서 일한 경험도 있다.

3. 3. 정치 분야

2012년 안철수 '진심캠프' 정책기획팀장을 맡았다.[18]

4. 저서


  • 《주식회사 대한민국 희망보고서》 (원앤원북스, 2005년)
  • 《한국경제 하이에나를 죽여라》 (더난출판사, 2007년)
  • 《이원재의 5분 경영학》 (한겨레출판사, 2009년)
  • 《이상한 나라의 경제학》 (어크로스, 2012년)
  • 《이상한 나라의 정치학》 (한겨레출판사, 2013년)
  • 《아버지의 나라 아들의 나라》 (어크로스, 2016년)

5. 방송 출연 및 칼럼

이원재는 경제 관련 강연을 하고 토론회에도 참여했으며, 신문에 경제 칼럼을 기고하였다.[6][7][8][9][10]

5. 1. 방송 출연

MBC, 연합뉴스TV 등에서 경제 상황에 대한 평론을 하였다.[8][9][10] 2013년부터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에서 〈오감경제/경제칼럼〉 코너를 진행하였다.[14] 언론인 김종배가 진행하는 팟캐스트 '이슈 털어주는 남자', '시사통 김종배입니다'에 출연하였고, 김종배가 2016년부터 TBS '색다른 시선, 김종배입니다'를 진행하게 되자 '10분 경제' 코너에 참여하였다.[15][16] 'KBS 공감토론'에 패널로 참여해 매주 목요일 토론을 벌였다.[17]

5. 2. 팟캐스트 출연

언론인 김종배가 진행하는 팟캐스트 '이슈 털어주는 남자', '시사통 김종배입니다'에 출연하였고,[15] 김종배가 2016년부터 TBS '색다른 시선, 김종배입니다'를 진행하게 되자 '10분 경제' 코너에 참여하였다.[16]

5. 3. 칼럼 기고

MBC, 연합뉴스TV 등에서 경제 상황에 대한 평론을 하였고, 신문에 경제 칼럼을 기고하였다.[8][9][10]

참조

[1] 뉴스 민간 싱크탱크 ‘여시재’ 한국의 브루킹스? http://news.naver.co[...] 주간경향 2016-08-31
[2] 뉴스 여시재(與時齋) 실체와 50대 잠룡들 http://www.ilyoseoul[...] 일요서울 2017-02-03
[3] 뉴스 安캠프 “與, 경제민주화 지금하지 왜 대통령되면 한다고 하나” http://news.naver.co[...] 노컷뉴스 2012-09-28
[4] 뉴스 "답이 안 나온다고? 30년 뒤를 먼저 보자" http://news.naver.co[...] 미디어오늘 2013-11-12
[5] 뉴스 희망제작소 이원재 신임소장 "유연한 사회 만들어야"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5-01-11
[6] 뉴스 "윤리소비, 공유경제로 자본주의 난제 해결" http://news.naver.co[...] 조선비즈 2013-08-02
[7] 뉴스 "`싼것보다 가치있는 제품 구매` 정부 조달방식 바꿔야" http://news.naver.co[...] 매일경제 2013-06-26
[8] 뉴스 우리 아이는 얼마의 가치를 갖는가 http://news.naver.co[...] 한겨레신문 2013-11-12
[9] 뉴스 경제민주화 정책방향은?‥현실 고려한 '개혁' http://news.naver.co[...] MBC 2012-12-21
[10] 뉴스 '버냉키 쇼크'...한국경제 영향은? http://news.naver.co[...] 뉴스와이 2013-06-22
[11] 뉴스 "주식회사 대한민국, 희망의 근거 있다"...대통령 보고서 http://news.naver.co[...] 아이뉴스24 2005-04-12
[12] 뉴스 (뉴 파워라이터)(1) 문화학자 엄기호 http://news.naver.co[...] 경향신문 2013-10-11
[13] 뉴스 삼성이 ‘표준’인 대한민국의 초상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13-10-14
[14] 뉴스 손석희 떠난 ‘시선집중’ 성적표 어떨까 http://www.newsen.co[...] 뉴스엔 2013-08-07
[15] 뉴스 "경제민주화 진심이라면 왜 지금 합의 못 하나?" http://news.naver.co[...] 오마이뉴스 2012-10-08
[16] 뉴스 "줄어드는 파이를 쪼개면? 남는 건 아귀다툼" http://news.naver.co[...] 프레시안 2015-09-04
[17] 웹인용 KBS 공감토론 패널 http://www.kbs.co.kr[...] 2016-03-06
[18] 뉴스 안캠프, 금태섭 상황실장·이원재 정책기획팀장 http://news.naver.co[...] 내일신문 2012-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