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현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현세는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1954년 강원도 울진에서 태어나 경주에서 성장했으며, 1979년 《저 강은 알고 있다》로 데뷔했다. 주요 작품으로 《공포의 외인구단》, 《천국의 신화》, 《지옥의 링》, 《남벌》 등이 있으며, 1999년에는 경찰청 캐릭터 포돌이를 제작했다. 1994년 한국만화문화상 공로상을 수상했으며, 2007년 대한민국만화대상 만화부문 대통령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여자대학교 교수 - 이매리 (배우)
    이매리는 1994년 MBC 공채 MC 3기로 데뷔하여 MC, 연기자 등으로 활동하며 사회적 발언과 행동으로 논란이 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다 2010년 자랑스런외대인상을 수상했다.
  • 수원여자대학교 교수 - 장지원 (태권도 선수)
    장지원은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로,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국가대표 출전, 삼성 에스원 태권도단 코치, 수원여자대학교 겸임교수, 대한민국 체육상 맹호장 수상 등의 활동을 했다.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교수 - 김청기
    김청기는 1976년 《로보트 태권브이》로 데뷔하여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한국 애니메이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로보트 태권브이》와 《외계에서 온 우뢰매》 시리즈 등 다수 작품을 감독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1990년대 흥행 실패 후 연출을 중단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표절 논란에도 불구하고 한국 애니메이션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교수 - 김수정
    김수정은 《아기공룡 둘리》 등을 그린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며, 1975년 데뷔하여 대한민국 만화문화 대상을 수상했다.
  • 월성초등학교 (경북) 동문 - 이원등
    이원등은 1966년 고공강하 훈련 중 동료를 구하려다 순직한 육군 상사로,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려 1계급 특진과 동상 건립, 명예 졸업장 수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 등의 예우를 받았으며 대한민국 군인정신의 귀감으로 여겨진다.
  • 월성초등학교 (경북) 동문 - 김민호 (1969년)
    김민호는 1969년생으로 OB 베어스와 두산 베어스에서 유격수로 활약했으며, 1995년 골든 글러브를 수상하고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한 후, 코치로 활동하며 후배 양성에 힘썼다.
이현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4년의 이현세
2014년의 이현세
로마자 표기I Hyeon-se
출생일1956년 6월 13일
출생지경상북도 울진군
국적대한민국
직업만화가
학력
고등학교경주고등학교 졸업
대학교서라벌예술대학
가족
배우자안영순
자녀1남 2녀
경력
현재 직책세종대학교 교수
이전 직책한국만화가협회 회장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이사장
주요 작품
활동 정보
활동 기간1979년 ~

2. 생애

이현세는 1954년 강원도 울진(지금의 경상북도 울진)에서 출생하였다.[8] 이후 경주에서 성장하였으며, 경주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그는 월성초등학교, 경주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75년 6월부터 1978년 6월까지 대한민국 육군 사병 복무를 이행한 그는 1979년 월남전을 다룬 《저 강은 알고 있다》로 만화가 등단하였다.

그의 주요작으로는 《공포의 외인구단》, 《천국의 신화》, 《지옥의 링》, 《남벌》, 《아마게돈》, 《폴리스》, 《버디》 등이 있다.

배우 조상구와는 죽마고우이기도 하다.

3. 학력

이현세는 울진군에서 태어나 경주에서 성장했으며, 월성국민학교, 경주중학교, 경주고등학교를 졸업했다.

4. 작품 활동


  • 1978년 데뷔작《저 강은 알고있다》[6]
  • 1979년 《시모노세키의 까치》
  • 1980년 최초의 야구만화《그라운드에 부는 바람》, 최초의 SF만화《지하동굴의 비밀》
  • 1981년 《시모노세끼의 마지막불빛》, 《까치의 제5계절》
  • 1982년 《까치의 푸른능금》, 《국경의 갈가마귀》, 《공포의 외인구단》, 월간 보물섬 창간호 표지 제작
  • 1983년 《야성의 링》, 《까치의 유리턱》, 《지옥의 링
  • 1984년 《떠돌이 까치》, 《까치의 양지》, 《불새의 투혼》
  • 1985년 《고교 외인부대》, 《해빙》
  • 1986년 《활》(일본어 판), 《뛰어!》, 《제왕》
  • 1987년 《사자여 새벽을 노래하라》, 《격정의 까치머리》, 《겨울에 피는 코스모스》, 《철부지 까치》, 《억세게 재수없는 녀석들》
  • 1988년 《며느리 밥풀에 대한 보고서》, 《두목》, 아이큐점프에 《아마게돈》, 《블루엔젤》, 《카론의 새벽》, 월간 아이큐점프 창간호 표지 제작
  • 1989년 《춤추는 애벌래》
  • 1990년 《병아리 광시곡》
  • 1993년 《남벌: 전쟁과 폭력》, 《폴리스》
  • 1994년 《초애》
  • 1995년 《아마게돈》(애니메이션), 《황금의 꽃》, 경향신문에서 《러브콜렉션》 연재
  • 1997년 《천국의 신화》
  • 1999년 스포츠서울에 《다크드래곤》 연재, 경찰청 ‘포돌이’ 캐릭터 제작
  • 2001년 《천국의 신화》 연재
  • 2004년 《동물드로잉》
  • 2005년 《늑대의 피》 연재, 《한국사》 제작
  • 2007년 《버디》 연재
  • 2009년 《비정시공》, 《창천수호위》 연재
  • 2010년 《레드파탈》 연재
  • 2012년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이현세 만화 세계사 넓게보기》
  • 2014년 《굿바이 썬더》(레진코믹스), 《코리안 조》(코오롱) 연재
  • 2015년 《천국의 신화》 (네이버 웹툰 연재 시작)

4. 1. 주요 작품


  • 1978년 데뷔작《저 강은 알고있다》[6]
  • 1979년 《시모노세키의 까치》
  • 1980년 최초의 야구만화《그라운드에 부는 바람》, 최초의 SF만화《지하동굴의 비밀》
  • 1981년 《시모노세끼의 마지막불빛》, 《까치의 제5계절》
  • 1982년 《까치의 푸른능금》, 《국경의 갈가마귀》, 《공포의 외인구단》, 월간 보물섬 창간호 표지 제작
  • 1983년 《야성의 링》, 《까치의 유리턱》, 《지옥의 링
  • 1984년 《떠돌이 까치》, 《까치의 양지》, 《불새의 투혼》
  • 1985년 《고교 외인부대》, 《해빙》
  • 1986년 《활》(일본어 판), 《뛰어!》, 《제왕》
  • 1987년 《사자여 새벽을 노래하라》, 《격정의 까치머리》, 《겨울에 피는 코스모스》, 《철부지 까치》, 《억세게 재수없는 녀석들》
  • 1988년 《며느리 밥풀에 대한 보고서》, 《두목》, 아이큐점프에 《아마게돈》, 《블루엔젤》, 《카론의 새벽》, 월간 아이큐점프 창간호 표지 제작
  • 1989년 《춤추는 애벌래》
  • 1990년 《병아리 광시곡》
  • 1993년 《남벌: 전쟁과 폭력》, 《폴리스》
  • 1994년 《초애》
  • 1995년 《아마게돈》(애니메이션), 《황금의 꽃》, 경향신문에서 《러브콜렉션》 연재
  • 1997년 《천국의 신화》
  • 1999년 스포츠서울에 《다크드래곤》 연재, 경찰청 ‘포돌이’ 캐릭터 제작
  • 2001년 《천국의 신화》 연재
  • 2004년 《동물드로잉》
  • 2005년 《늑대의 피》 연재, 《한국사》 제작
  • 2007년 《버디》 연재
  • 2009년 《비정시공》, 《창천수호위》 연재
  • 2010년 《레드파탈》 연재
  • 2012년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이현세 만화 세계사 넓게보기》
  • 2014년 《굿바이 썬더》(레진코믹스), 《코리안 조》(코오롱) 연재
  • 2015년 《천국의 신화》 (네이버 웹툰 연재 시작)

4. 2. 작품 목록

이현세는 1979년 《저 강은 알고있다》[6]로 데뷔한 이후,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1980년에는 최초의 야구만화 《그라운드에 부는바람》과 최초의 SF만화 《지하동굴의 비밀》을 발표했다. 1982년에는 《공포의 외인구단》을 발표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월간 보물섬 창간호 표지 제작을 맡았다.[6] 1988년에는 아이큐점프에 《아마게돈》을 연재하고, 월간 아이큐점프 창간호 표지 제작을 맡았다.

1990년대에도 《남벌: 전쟁과 폭력》(1993년), 《천국의 신화》(1997년) 등 사회 비판적인 작품을 발표했다. 1995년에는 애니메이션 《아마게돈》이 제작되었고, 1999년에는 경찰청 캐릭터 포돌이를 제작했다. 2000년대에는 역사 만화 《한국사》 제작(2005)과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2012), 《이현세 만화 세계사 넓게보기》(2012) 를 출간했다.

5. 기타 활동

1999년, 경찰청 캐릭터 포돌이를 제작하였다.

이현세는 1989년 OB맥주 슈퍼드라이 광고에 故 정성조와 함께 출연했다. 1990년에는 아남전자 델타 광고에 출연했다. 1994년에는 HP 데스크젯, HP 백트라PC, 손해보험협회 개인연금 광고에 출연했다. 2010년에는 한국투자증권 아임유 광고에 딸 이엄지와 함께 출연했고, 2011년에는 유니클로 광고에 이나영, 이적, 류승완, 전지수와 함께 출연했다. 2014년에는 MFS코리아 이루다드래곤 광고에 길용우와 함께 출연했다.

1995년 KBS 단막극 《인간극장》에서 이현세 작가의 삶을 다룬 5부작 드라마 《고등어와 크레파스》가 만들어졌으며, 영화배우 박세준이 주인공 이현세 역을 맡았다.[9]

5. 1. 광고 출연

이현세는 1989년 OB맥주 슈퍼드라이 광고에 故 정성조와 함께 출연했다. 1990년에는 아남전자 델타 광고에 출연했다. 1994년에는 HP 데스크젯, HP 백트라PC, 손해보험협회 개인연금 광고에 출연했다. 2010년에는 한국투자증권 아임유 광고에 딸 이엄지와 함께 출연했고, 2011년에는 유니클로 광고에 이나영, 이적, 류승완, 전지수와 함께 출연했다. 2014년에는 MFS코리아 이루다드래곤 광고에 길용우와 함께 출연했다.

5. 2. 드라마 제작

1995년 KBS 단막극 《인간극장》에서 이현세 작가의 삶을 다룬 5부작 드라마 《고등어와 크레파스》가 만들어졌으며, 영화배우 박세준이 주인공 이현세 역을 맡았다.[9]

6. 수상

이현세는 1994년 제4회 한국만화문화상 공로상을 수상했다.[10] 1999년에는 제3회 아시아 만화대회(홍콩) 공로상을 받았다. 2001년 제1회 SICAF 어워드 만화부문 특별상을 받았고,[11] 2002년에는 제2회 고바우만화상과 대한민국출판만화대상 공로상을 수상했다.[12] 2006년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수상했으며, 2007년 대한민국만화대상 만화부문 대통령상을 받았다. 2015년에는 제14회 SICAF 코믹 어워드를 수상하였고, 2016년 제7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Lee Hyun-se https://web.archive.[...] The Korea Cartoonist Association 2011-10-29
[2] 웹사이트 Focus : Lee Hyun-se http://focus.chosun.[...] The Chosun Ilbo
[3] 웹사이트 Korea's leading comic artist Lee Hyeon-se http://www.hancinema[...] 2016-04-19
[4] 문서 출생 당시 행정구역을 따름. 울진이 경상북도로 편입된 시기는 1963년이다.
[5] 웹인용 자료 리스트 https://web.archive.[...] 2014-02-22
[6] 웹사이트 이현세(李賢世) LeeHyunSe http://www.cartoon.o[...] 2012-04-01
[7] 웹사이트 이현세 李賢世 LEE HYUN SE http://focus.chosun.[...]
[8] 웹인용 Kbs World https://web.archive.[...] 2009-10-18
[9] 뉴스 "<방송> 만화가 이현세씨 스토리 TV드라마로 제작"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5-11-27
[10] 뉴스 한국만화문화상 수상자 李珍珠 李賢世씨등 선정 동아일보 1994-10-25
[11] 뉴스 고우영 씨 등 'SICAF 어워드' 수상 http://www.kihoilbo.[...] 기호일보 2003-08-08
[12] 뉴스 출판만화대상 선정 http://www.hani.co.k[...] 한겨레 2002-10-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