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산완충생리식염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산완충생리식염수(PBS)는 생물학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등장성 완충 용액이다. PBS는 다양한 조성으로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나트륨, 인산칼륨을 포함한다. PBS는 물질 희석, 세포 용기 세척, 바이러스 수송 배지 등에 사용되며, EDTA를 포함하여 세포 분리에 활용되기도 한다. PBS의 pH는 약 7.4이며, 이온 세기 및 온도에 따라 pH가 달라질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충 용액 - 링거액
링거액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등의 무기물을 증류수에 녹여 만든 수액으로, 전해질 불균형 교정 및 체액 보충에 사용되며 동물 종에 따라 조성 비율이 다르고, 시드니 링거의 발견과 하트만의 발전을 거쳐 개발되었다. - 완충 용액 - TAE 완충용액
TAE 완충 용액은 DNA 전기영동과 같은 생화학 실험에 사용되는 완충 용액으로, 트리스 염기, 아세트산, EDTA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아가로스 젤 전기영동에 주로 사용된다. - 세포 배양 시약 - 네오마이신
네오마이신은 셀먼 왁스먼과 허버트 레체발리에가 ''Streptomyces fradiae''에서 발견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 항생 물질로, 네오스포린 국소 제제, 경구 투여를 통한 간성 뇌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예방에 사용되며, 그람 음성균과 양성균에 효과가 있지만 신독성 및 알레르기 반응의 부작용과 네오마이신 내성 유전자의 선택 표지 활용에 주의해야 한다. - 세포 배양 시약 - 트리판 블루
트리판 블루는 톨루엔에서 파생된 염료로, 세포 계수, 조직 생존력 평가, 안과 수술, 혈액뇌장벽 연구 등에 활용되며, 괴사 세포와 세포 사멸 세포를 구별하고, 진균 균사 및 스트라메노필 관찰, 혈액뇌장벽 연구에 사용된다. - 생화학 기법 - 크산토프로테인 반응
크산토프로테인 반응은 단백질 내 방향족 아미노산이 진한 질산에 의해 니트로화되어 황색으로 변하고, 알칼리성 조건에서 등황색으로 변하는 단백질 검출 및 정성 분석에 사용되는 반응이다. - 생화학 기법 -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은 단백질 간의 결합을 의미하며, 결합의 지속성, 결합력, 구성 단백질 종류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물 분자에 의해 조절되며, 연구 방법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질병 연구 및 신약 개발에 응용된다.
인산완충생리식염수 | |
---|---|
개요 | |
![]() | |
유형 | 완충 용액 |
용도 | 생물학 연구, 세포 배양 |
구성 성분 | 인산염, 염화 나트륨, 물 (선택적으로 염화 칼륨) |
상세 정보 | |
정의 | 인산염을 기본으로 하는 완충 생리 식염수 |
pH | 7.4 (일반적) |
제조 방법 | 인산염, 염화 나트륨, (선택적으로 염화 칼륨)을 물에 녹여 제조 |
용도 | |
생물학 연구 | 세포 배양, 면역화학, 단백질 정제 등 다양한 생물학 연구에 사용 |
세포 배양 | 세포 생존에 필요한 pH와 삼투압 유지 |
세척액 | 세포 또는 조직 세척 |
주의 사항 | |
오염 방지 | 멸균 상태 유지 |
보관 | 냉장 보관 권장 |
2. 조성
PBS는 둘베코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DPBS)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DPBS는 표준 PBS보다 인산염 농도가 낮다.[8] 일부 제형은 칼륨 및 마그네슘을 함유하지 않지만, 다른 제형은 칼슘 및/또는 마그네슘을 함유한다.[9] PBS는 상업적으로 제조된 PBS 완충제 정제 또는 파우치 형태로도 구매할 수 있다.[11]
일반적인 PBS(1X) 제조법은 다음과 같다. 800 mL의 증류수에 NaCl, KCl, Na2HPO4, KH2PO4를 용해시킨다. 염산으로 pH를 7.4로 조절하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총 부피를 1리터로 맞춘다. 최종 1x PBS는 10mM PO43-, 137mM NaCl, 2.7mM KCl 조성을 가진다.
2. 1. 일반적인 조성
다음은 PBS의 일반적인 조성 예시이다.[6]
PBS의 조성은 다양하며, 칼륨을 포함하지 않거나, 칼슘과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7]
2. 2. 다양한 조성
PBS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둘베코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DPBS)는 표준 PBS보다 인산염 농도가 낮다.[8] 칼슘 및 마그네슘 포함 여부에 따라서도 조성이 달라질 수 있다.[9]염 | 농도 (mmol/L) | 농도 (g/L) |
---|---|---|
Na2HPO4 | 8.1 | 1.15 |
KH2PO4 | 1.5 | 0.2 |
NaCl | 137 | 8.0 |
KCl | 2.7 | 0.2 |
CaCl2 | 0.9 | 0.1 |
MgCl2 | 0.5 | 0.1 |
인산완충생리식염수(PBS)는 다양한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둘베코 인산 완충 식염수(DPBS)는 표준 PBS보다 인산염 농도가 낮은 제형이다.[2] 일부 DPBS 제제에는 칼륨과 마그네슘이 없지만, 다른 제제에는 칼슘 및/또는 마그네슘이 포함되어 있다.[9]
3. 조제
염 농도 (mmol/L) 농도 (g/L) Na2HPO4 8.1 1.15 KH2PO4 1.5 0.2 NaCl 137 8.0 KCl 2.7 0.2 CaCl2 0.9 0.1 MgCl2 0.5 0.1
일반적인 PBS 조제 시, 증류수 800 mL에 염을 녹인 후 증류수를 추가하여 총 부피를 1리터로 맞춘다. 1× PBS의 최종 농도는 157 mM Na+, 140mM Cl−, 4.45mM K+, 10.1 mM HPO42−, 1.76 mM H2PO4−이며 pH는 7.96이다. 이후 염산을 첨가하여 pH를 7.4로 조정한다.
PBS의 pH는 ~7.4이며, pH 미터로 직접 측정하는 것이 좋다. 필요한 경우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조절한다. 상업적으로 제조된 PBS 완충 정제 또는 파우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4]
세포 배양에 사용 시, 오토클레이브 또는 여과로 멸균할 수 있다.
3. 1. 일반적인 조제 방법
PBS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 중 하나는 둘베코 PBS(DPBS)로, 표준 PBS보다 인산염 농도가 낮다.[8] 일부 제형은 칼륨 및 마그네슘을 함유하지 않지만 다른 제형은 칼슘 및(또는) 마그네슘을 함유한다.[9]
800 mL의 증류수로 시작하여 모든 염분을 용해시킨다. HCl로 pH를 7.4로 조절한다. 총 1리터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한다. 최종 1x PBS는 10mM PO43-, 137mM NaCl 및 2.7mM KCl의 염분을 가진다.
'''PBS의 pH는 ~ 7.4이다.''' 완충 용액을 만들 때 항상 pH미터를 사용하여 pH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좋다. 필요한 경우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조정할 수 있다.
PBS는 또한 상업적으로 제조된 PBS 완충제 정제(tablet) 또는 파우치(pouch)를 사용해 제조 할 수 있다.[11]
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경우, 용액은 분액(aliquots)으로 분배되고 고압 증기 멸균 또는 여과에 의해 멸균 할 수 있다.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 멸균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PBS는 실온 또는 냉장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농축액은 저온에 보관할 시 침전할 수 있으므로, 실온에 보관하여 사용전에 완전히 녹여야 한다.
3. 2. 콜드 스프링 하버 프로토콜
'''PBS의 pH는 ~ 7.4이다.''' 완충 용액을 만들 때 pH 미터를 사용하여 pH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좋다. 필요한 경우 염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조절할 수 있다.[10]PBS는 상업적으로 제조된 PBS 완충제 정제(tablet) 또는 파우치(pouch)를 사용해 제조할 수도 있다.[11]
3. 3. 보관
PBS는 실온 또는 냉장 보관할 수 있다.[11] 농축된 PBS 용액은 저온에서 침전될 수 있으므로, 사용 전에 침전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실온에 보관해야 한다.[11]4. 응용
PBS는 대부분의 세포에 대해 등장성 및 무독성이기 때문에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물질 희석 및 세포 용기 세척 등에 사용된다.[1] EDTA을 함유한 PBS는 부착되고 응집된 세포를 분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그러나 아연과 같은 2가 금속은 침전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첨가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굳완충액이 권장된다.[1]
4. 1. 세포 배양
PBS는 대부분의 세포에 대해 등장성이며 무독성이기 때문에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물질 희석, 세포 배양 시 세포 세척 및 세포 재현탁 등에 사용된다.[1] EDTA을 포함한 PBS는 부착되고 응집된 세포를 분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그러나 아연과 같은 2가 금속은 침전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첨가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굿 완충액이 권장된다.[1]4. 2. 바이러스 수송 배지 (VTM)
PBS는 SARS-CoV-2와 같은 RNA 바이러스의 수송 및 보관을 위한 바이러스 수송 배지(VTM)의 주요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1]4. 3. 기타 응용
PBS는 대부분의 세포에 대해 등장성이며 무독성이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물질 희석 및 세포 용기 세척에 사용된다.[1] EDTA을 함유한 PBS는 부착되거나 뭉쳐진 세포를 분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1] 그러나 아연과 같은 이원자 금속은 침전을 유발하므로 첨가할 수 없다.[1] 이러한 경우에는 굿 완충액이 권장된다.[1] PBS는 SARS-CoV-2와 같은 RNA 바이러스의 수송 및 보관과 관련하여 바이러스 수송 배지에 대한 허용 가능한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1]5. pH 의존성
인산 완충액의 p''K''a0는 온도에 약하게 의존한다. Phillips 등[5]은 25 °C에서 ∆H0가 3180 J/mol이고 p''K''a0가 1/''T''에 선형적으로 의존한다고 보고했다(반트호프 방정식). 양의 ∆H0는 ''K''a의 증가, 따라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p''K''a0가 감소함을 뜻한다. pKa0의 변화는 (1/''T'') 변화의 166배이며, 25 °C 부근에서 p''K''a0는 1도당 −0.00187만큼 변화한다. 이는 무한 희석에서 외삽된 열역학적 p''K''a0에 엄격하게 적용되며,
5. 1. 헨더슨-하셀바흐 방정식
용액의 pH는 헨더슨-하셀바흐 방정식을 통해 산-염기 짝의 p''K''a와 관련지을 수 있다.[5] 그러나 p''K''a는 이온 세기 및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p''K''a가 변동하면 해당 산-염기 짝을 기반으로 하는 용액의 pH도 변동한다. 두 배 전하를 띤 [HPO4]2−는 단일 전하를 띤 [H2PO4]−보다 높은 이온 세기에 의해 더 안정화되므로 p''K''a는 이온 세기에 어느 정도 의존한다. 흔히 언급되는 p''K''a ~7.2는 이온 세기가 0으로 외삽된 값이며 생리적 이온 세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Phillips 등[5]은 다양한 이온 세기에서 10, 25, 37 °C에서 p''K''a를 측정했다. 25 °C와 37 °C에서는 데바이-휘켈 방정식을 통해 p''K''a를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μ가 0.5 M까지의 경우).
- 25 °C에서: pKa2 = 7.18 − 1.52 sqrt(μ) + 1.96 μ
- 37 °C에서: pKa2 = 7.15 − 1.56 sqrt(μ) + 1.22 μ
p''K''a0는 온도에 약하게 의존한다. Phillips 등[5]은 25 °C에서 ∆H0가 3180 J/mol이고 p''K''a0가 1/''T''에 선형적으로 의존한다고 보고했다(반트호프 방정식). 양의 ∆H0는 ''K''a의 증가, 따라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p''K''a0의 감소를 초래하며, pKa0의 변화는 (1/''T'')의 변화의 166배이며, 25 °C 부근에서 p''K''a0가 1도당 −0.00187만큼 변화한다. 이는 무한 희석에서 외삽된 열역학적 p''K''a0에 엄격하게 적용되며, 온도 효과는 더 높은 이온 세기에서 훨씬 더 클 수 있다.
5. 2. 이온 세기 및 온도에 따른 변화
헨더슨-하셀바흐 방정식은 용액의 pH를 산-염기 짝의 p*K*a와 관련하여 제공한다. 그러나 p*K*a는 이온 세기 및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p*K*a가 변동하면 해당 산-염기 짝을 기반으로 하는 용액의 pH도 변동한다. 두 배 전하를 띤 [HPO4]2−는 단일 전하를 띤 [H2PO4]−보다 높은 이온 세기에 의해 더 안정화되므로 p*K*a는 이온 세기에 어느 정도 의존한다. 흔히 언급되는 p*K*a ~7.2는 이온 세기가 0으로 외삽된 값이며 생리적 이온 세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5]Phillips 등[5]은 다양한 이온 세기에서 10, 25, 37 °C에서 p*K*a를 측정했다. 후자의 두 온도에 대해 데바이-휘켈 방정식에서 p*K*a를 보고한다(μ가 0.5 M까지의 경우):
- 25 °C에서: pKa2 = 7.18 − 1.52 sqrt(μ) + 1.96 μ
- 37 °C에서: pKa2 = 7.15 − 1.56 sqrt(μ) + 1.22 μ
p*K*a0는 온도에 약하게 의존한다. Phillips 등[5]은 25 °C에서 ∆H0가 3180 J/mol이고 p*K*a0가 1/*T*에 선형적으로 의존한다고 보고했다(반트호프 방정식). 양의 ∆H0는 *K*a의 증가, 따라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p*K*a0의 감소를 초래하며, pKa0의 변화는 (1/*T*)의 변화의 166배이며, 25 °C 부근에서 p*K*a0가 1도당 −0.00187만큼 변화한다. 이는 무한 희석에서 외삽된 열역학적 p*K*a0에 엄격하게 적용되며,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온도 효과는 더 높은 이온 세기에서 훨씬 더 클 수 있다.
참조
[1]
논문
Stability of SARS-CoV-2 RNA in Phosphate-Buffered Saline
[2]
논문
Plaque formation and isolation of pure lines with poliomyelitis viruses
[3]
웹사이트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recipe
http://cshprotocols.[...]
CSH Protocol
[4]
간행물
Phosphate buffered saline specification sheet
http://www.medicago.[...]
Medicago AB
2010
[5]
논문
Potentiometric Studies of the Secondary Phosphate Ionizations of AMP, ADP, and ATP, and Calculations of Thermodynamic Data for the Hydrolysis Reactions
[6]
서적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001
[7]
논문
Plaque formation and isolation of pure lines with poliomyelitis viruses
[8]
Youtube
인산염 완충 식염수 (PBS)와 둘 베코 (Dulbecco) 인산염 완충 식염수 (DPBS)
https://www.youtube.[...]
[9]
저널인용
Plaque formation and isolation of pure lines with poliomyelitis viruses
[10]
웹사이트
CSH 프로토콜 : 인산염 완충 식염수 (PBS) 제법
http://cshprotocols.[...]
[11]
간행물
Medicago AB, (2010) 인산염 완충 식염수 사양서
http://www.medicago.[...]
Medicago AB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