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성대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성대군은 조선 예종의 장자이며, 장순왕후의 아들이다. 1461년에 태어나 1463년에 사망했으며, 효소의 시호를 받았다. 인성군으로 추봉된 후, 인성대군으로 추증되었다. 광평대군의 14대손 이백연이 봉사손으로 정해져 제사를 지냈다. 가족 관계로는 세조가 조부, 정희왕후가 조모이며, 예종이 아버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예종의 자녀 - 제안대군
    조선 예종의 서장남이자 성종의 이복 동생인 제안대군은 기행을 일삼고 파란만장한 혼인 생활을 겪었으나, 정치와 거리를 두고 풍류를 즐기며 연산군과 친분이 있었음에도 중종반정 이후 특별한 처벌 없이 종친으로 대우받아 영효라는 시호를 받았다.
  • 조선 예종의 자녀 - 혜순공주
    혜순공주는 조선 제8대 왕 예종과 안순왕후의 딸이자 세조와 정희왕후의 손녀로, 인성대군, 현숙공주, 제안대군과 형제자매이다.
  • 1461년 출생 - 에드워드 4세
    에드워드 4세는 장미 전쟁 중 요크 가문의 지도자로서 헨리 6세를 폐위하고 잉글랜드의 왕이 되었으나, 귀족 반발과 망명, 재정난, 권력 투쟁,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불안정한 통치를 보였으며 르네상스 문화를 후원했다.
  • 1461년 출생 - 야코포 살비아티
    이탈리아 귀족 야코포 살비아티는 루크레치아와의 결혼으로 11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자녀들은 메디치 가문과 혼인하여 피렌체의 지도자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와 교황 레오 11세 탄생에 영향을 미쳤다.
  • 1463년 사망 - 윤사로
    윤사로는 세조의 계유정난 공신으로 의정부 좌찬성 등 요직을 역임하며 세조 정권에 기여하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는 등 권력층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조선왕조실록에 영민함과 청렴함이 기록됨과 동시에 재산 축적에 대한 비판도 함께 제시된 조선 전기의 인물이다.
  • 1463년 사망 - 장 뷔로
    15세기 프랑스의 포병 전문가이자 군사 지도자, 행정가였던 장 뷔로는 샤를 7세 휘하에서 백년전쟁의 프랑스 승리에 기여하고 여러 공성전과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행정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낸 인물이다.
인성대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인성대군
원래 이름仁城大君
이분(李糞)
작위군(君)
대군(大君)
출생지조선 한성부 경복궁
사망지조선 한성부 경복궁 (풍질로 병사)
시호효소(孝昭)
가족 관계
아버지예종
어머니장순왕후
자녀적성군 이석(양장자)세종 서자 밀성군(密城君)의 4남이자, 수춘군(壽春君)의 양자였던 수안군 이상의 3남이다.
서성부정 이옹(양차자)
친인척봉사손 이백연(李白淵),작은할아버지 광평대군의 14대손
사촌형 월산대군
성종
조카 연산군
중종
왕조

2. 생애

인성대군은 전주 이씨이며, 이름은 분(糞)이다. 예종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한명회의 딸 장순왕후이다.

1461년(세조 7) 음력 11월 30일 세조의 손자이자 예종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2. 1. 사망과 추봉

1463년 (세조 9) 음력 10월 23일 풍질을 앓아 다음날인 음력 10월 24일 새벽에 1세의 어린 나이로 졸하였다. 그러자 음력 10월 29일에 영순군 부, 영천부원군 윤사로, 하동부원군 정인지, 영의정 신숙주 등의 대신에게 명하여 상지관(相地官)을 거느리고 정인사(正因寺)에 가서 장지를 상지하게 하였다. 음력 11월 5일에 시호를 효소(孝昭)로 하고 인성군으로 추봉하여 고양현의 의경세자의 무덤 동쪽 가까운 땅에 예장하였다.

2. 2. 사후

1465년(세조 11년) 음력 7월 24일 인성군의 제사를 평원대군의 사당에서 모셨다가 1470년(성종 1년) 어머니 장순왕후 혼궁의 별실로 신주를 옮겼다.[1]

1472년(성종 3년) 음력 2월 23일 인성대군(仁城大君)에 추증되었다.[2] 이후 광평대군 14대손 이백연(李白淵)을 봉사손으로 정하여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2]

3. 가족 관계

구분관계이름출생사망
친조부세조1417년1468년
친조모정희왕후1418년1483년
백부덕종1438년1457년
백모소혜왕후1437년1504년
사촌형월산대군1454년1488년
사촌누나명숙공주1455년1482년
사촌형성종1457년1494년
아버지예종1450년1469년
이복동생현숙공주1464년1502년
이복동생제안대군1466년1525년
이복동생혜순공주1468년1469년
외조부한명회1415년1487년
외조모황려부부인 여흥 민씨?1479년
어머니장순왕후1445년1461년
부인없음
양자적성군 이석1484년1539년
양자서성부정 이옹1487년1510년[3][4]


참조

[1] 문서 세종, 밀성군, 수춘군, 수안군
[2] 문서 광평대군
[3] 문서 광평대군, 회원군
[4] 간행물 선원보략수정의궤 18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