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희왕후는 조선 세조의 왕비이자, 조선 성종 대의 수렴청정을 통해 정치적 안정을 이끈 인물이다. 1418년에 태어나 수양대군(세조)과 혼인하여 의경세자, 예종, 의숙공주를 낳았다. 계유정난 당시 남편 세조에게 갑옷을 입혀 거사를 독려했고, 세조가 왕위에 오른 후 왕비가 되었다. 예종 사후 손자 성종이 즉위하자 섭정을 시작하여 명나라와의 외교, 무역의 번창, 법전 완성 등 업적을 남겼다. 1476년 성종의 친정 시작과 함께 섭정을 종료하고 1483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8년 출생 - 안평대군
안평대군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서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며 안견, 박팽년 등과 교류하며 몽유도원도와 같은 서화 작품을 남겼으나, 계유정난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고 후에 복권되었다. - 1418년 출생 - 현덕왕후
현덕왕후 권씨는 문종의 후궁이자 단종의 어머니로,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나 단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사망 후 왕후로 추존, 세조 즉위 후 폐위되었다가 중종 때 복위되어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 1483년 사망 - 에드워드 5세
에드워드 5세는 1483년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4세의 아들로 왕위에 올랐으나, 외삼촌 리처드에 의해 런던 탑에 유폐된 후 실종되었으며, 리처드 3세가 왕위를 찬탈했다. - 1483년 사망 - 강희맹
강희맹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서화가로, 문과 급제 후 예조, 형조, 이조 판서를 역임하고 예종 때 공신이 되었으며, 서화와 문장에 능하여 도화서 제조를 지냈다. - 조선의 대왕대비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자 명종의 어머니로서, 정치적 숙청과 불교 중흥 정책을 펼치며 조선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인종의 죽음 관련 의혹이 있으며, 그녀의 능은 태릉이다. - 조선의 대왕대비 - 인목왕후
인목왕후는 선조의 계비로 책봉되어 정명공주와 영창대군을 낳았지만, 광해군 즉위 후 폐위되어 서궁에 유폐되는 비극을 겪었으며, 인조반정으로 복권되었으나 붕어하여 목릉에 합장된 조선 중기의 왕비이다.
정희왕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희왕후 |
한글 | 정희왕후 |
한자 | 貞熹王后 |
로마자 표기 | Jeonghui Wanghu |
시호 | 자성흠인경덕선열명순원숙휘신혜의신헌정희왕후 |
별칭 | 자성왕태비, 자성대왕대비, 정희성모 |
출생일 | 1418년 12월 8일 |
출생지 | 강원도 홍천 공아 |
사망일 | 1483년 5월 6일 |
사망지 | 충청도 아산현 온양 행궁 |
매장지 | 광릉 |
혼인 정보 | |
배우자 | 세조 |
혼인일 | 1428년 |
혼인 종료일 | 1468년 |
자녀 | |
자녀 | 이장, 의경세자 이세선, 의숙공주 이황, 예종 이세희, 의령공주 |
가계 | |
아버지 | 윤번 |
어머니 | 흥녕부대부인 인천 이씨 |
가문 | 파평 윤씨 |
왕비 정보 | |
왕비 즉위 | 1455년 |
왕비 퇴위 | 1468년 9월 23일 |
왕비 전임자 | 정순왕후 |
왕비 후임자 | 안순왕후 |
왕대비 정보 | |
왕대비 즉위 | 1468년 9월 23일 |
왕대비 퇴위 | 1469년 12월 31일 |
왕대비 전임자 | 의덕왕대비 |
왕대비 후임자 | 인혜왕대비 인수왕대비 |
대왕대비 정보 | |
대왕대비 즉위 | 1469년 12월 31일 |
대왕대비 퇴위 | 1483년 5월 6일 |
대왕대비 전임자 | 왕조 설립 (덕녕궁주가 고려의 마지막 왕대비) |
대왕대비 후임자 | 인혜대왕대비 인수대왕대비 |
수렴청정 정보 | |
수렴청정 즉위 | 1469년 12월 31일 |
수렴청정 퇴위 | 1476년 |
수렴청정 전임자 | 수렴청정 직책 생성 |
수렴청정 후임자 | 문정왕후 |
기타 정보 | |
작호 | 낙랑부대부인, 삼한국대부인 |
전호 | 태경전 |
능묘 | 광릉(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246-3) |
로마자 표기(시호) | Jaseongheumin Gyeongdeokseonryeol Myeongsundwonsuk Hwisinhyeeui Sinheon Jeonghui Wanghu |
추가 정보 | 음력으로 1418년 11월 11일에 태어나 1483년 3월 30일에 사망함 |
2. 생애
1418년 윤번의 딸로 강원도에서 태어났다. 훗날 정희왕후가 된 윤씨는 태종 18년(1418년 12월 8일) 열 자녀 중 아홉째였다. 아버지는 후일 영의정이 된 윤번이고, 어머니는 인천 이씨(仁川李氏)였다.
증조부 윤안석(尹安叔)을 통해 정희왕후는 고려 충혜왕의 후비였던 파평 윤씨 회비(懷妃)와 5촌 당숙녀 관계였다. 회비의 어머니 여흥 민씨(驪興閔氏)는 정경왕후의 조부의 여동생이었기에, 회비는 정경왕후와는 4촌 당숙녀 관계였다. 정희왕후의 형제들을 통해 정희왕후는 장경왕후, 윤임, 문정왕후, 윤원형의 고조모이자, 정현왕후와는 5촌 당숙녀 관계였다. 외조부를 통해서는 고려 우왕의 후비였던 고성 이씨 근비(謹妃)의 고종질녀였다.
세종의 차남인 수양대군(훗날의 세조)과 혼인하기 위해 궁정 사자가 방문했을 때, 처음에는 윤씨의 언니가 정실 후보였으나, 어머니 뒤에 숨어 있던 윤씨가 사자의 눈에 띄어 결정되었다. 윤씨는 자신보다 한 살 위인 수양대군과 결혼하여 2남 1녀를 두었다.
1452년, 수양대군이 한명회 등과 손을 잡고 계유정난을 일으켜 조정을 장악할 때, 망설이는 남편에게 갑옷을 입혀 결심을 촉구하여 성공으로 이끌었다. 이는 그녀를 국정에 참여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1455년, 수양대군은 조카 단종에게서 왕위를 빼앗고 즉위하여 윤씨는 왕비가 되었다. 그러나 1457년에 장남 의경세자가 병으로 죽었다. 1468년, 세조가 피부병으로 승하하였고, 같은 해 차남 예종이 즉위하였으나 이듬해 승하하였다.
1469년, 예종이 승하하자, 한명회와 협력하여 도원군의 차남이자 열세 살인 자을산군을 국왕에 즉위시켰다(성종). 그리고 도원군의 비이자 새 국왕 성종의 생모인 인수대비와 함께 섭정으로서 국정을 총괄하였다. 유교 중심의 조정에서 여성이 직접 앞장서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옥좌 뒤에 발을 치고 조선 최초로 "'''수렴청정'''"을 실시하였다. 한편, 인수대비는 도원군과 자신의 장남 월산대군, 예종의 차남 균안대군에게 요직을 주어 그들을 달랬다.
1476년, 성종의 친정이 시작되면서 섭정에서 물러났고, 1483년 승하하였다. 정희왕후는 섭정에서 물러난 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며 일부 공적인 문제에 대해 자문했지만, 궁궐 내부의 일에만 관여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녀가 왕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한 마지막 사례는 신하들과 짜고 성종의 계비 폐비 윤씨를 폐위시키고, 결국 독약으로 자살하도록 명령한 것이다(1482년).
1483년 5월 6일, 성종 14년에 65세의 나이로 남편보다 15년 더 오래 살다가 평온하게 사망했다. 사후 정희왕후로 추존되었으며, 모든 정치적 권력은 인수대비와 청주 한씨 가문의 손으로 넘어갔다.
2. 1. 왕비 이전
1418년 윤번의 딸로 강원도 홍천현에서 태어났으며, 1428년 세종의 차남인 수양대군(훗날의 세조)과 혼인하여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다.[2] 의경세자(훗날 덕종으로 추존), 예종, 의숙공주를 낳았다.수양대군은 형인 문종에게 정치적 위협으로 여겨졌기에, 세종은 수양대군의 야망을 억제하기 위해 덜 유명하지만 존경받는 가문 출신인 윤씨를 며느리로 선택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윤씨는 한자를 거의 읽지 못하는 문맹에 가까운 수준으로 기본적인 교육만 받았다고 전해진다.
1453년 계유정난 당시 정보 누설로 수양대군이 거사를 망설이자, 정희왕후는 손수 갑옷을 입혀 그에게 용병을 결행하게 하였다고 한다.[2]
2. 2. 왕비 시절
1418년 윤번의 딸로 강원도 홍천현에서 태어났으며, 1428년 세종의 차남 수양대군(세조)과 혼인하여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다.[2] 슬하에 훗날 덕종으로 추존된 의경세자, 예종, 의숙공주를 두었다.수양대군은 어릴 적부터 그의 형이자 훗날 문종이 되는 왕세자에게 정치적 위협으로 여겨졌다. 문종이 더 강하고 유능한 지도자로 보였기 때문이다. 이는 아버지인 세종을 걱정하게 했고, 수양대군에게 덜 유명하지만 존경받는 가문의 여자를 아내로 선택하게 했다. 수양대군의 야망을 억제하기 위한 회유책으로 그의 정실부인에게는 기본적인 교육만 시켜 한자를 거의 읽지 못하는 문맹에 가까운 수준으로 만들었다는 이야기까지 있다.
1453년 계유정난 당시 정보 누설로 수양대군이 거사를 망설이자 손수 갑옷을 입혀 그에게 용병을 결행하게 하였다고 한다.[2] 1455년, 남편이 조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자 왕비가 되었다.
왕비는 매우 현명하고 지혜로우며, 궁궐 안팎의 모든 일에 정통했고, 재치 있고 신중하며, 매우 덕이 높고 계산적인 인물이었다. 세조는 그녀가 크고 작은 모든 일에 매우 성실하다고 칭찬했으며, 여러 차례 국모이자 내명부의 수장으로서의 지위를 높이 평가하며 행동했다.
내명부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신의 아들을 왕세자로, 며느리인 인수왕후를 수빈으로 책봉했다. 왕비는 왕실 내에서 일련의 정략결혼을 주도했고, 궁궐 내에 밀정을 포함한 내시와 궁녀들의 강력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남편의 지위를 위한 중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비록 학업 성적이 좋지 않았지만 중국 고전에 대한 교육을 더욱 열심히 받았다. 심지어 며느리의 실력이 그녀보다 뛰어났다. 그녀가 왕비로 있던 시절, 1446년 소헌왕후 사후 붕괴되었던 내명부에 질서가 회복되었다.
1457년 장남 의경세자가 병으로 죽자, 왕비는 깊은 슬픔에 잠겼다. 남편의 왕위가 위태로운 것을 보고 여러 계략을 꾸며 세조를 설득하여 둘째 아들인 예종을 후계자로 삼도록 했다. 당시 손자인 월산대군은 너무 어렸기 때문이다.
2. 3. 최초의 수렴청정과 섭정
예종이 즉위한 지 1년 만에 갑작스럽게 병으로 승하하자, 정희왕후는 당일 한명회와 결탁하여 둘째 손자 자을산군을 왕위에 올렸다. 정희왕후는 왕실 최고 어른인 대왕대비로서 조선 최초로 수렴청정을 하였다.[1] 여기서 수렴청정이란 어린 왕의 뒤에서 발을 치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왕이 신하들과 토론한 내용을 말하면 정희왕후가 적절한 조언을 주는 방식의 정치를 말한다.[1]1469년, 예종이 승하하면서 후계자를 정하지 못해 조정에 격렬한 권력 다툼이 벌어졌다.[1] 예종의 아들인 장군 대군은 당시 4살에 불과하여, 신하들은 어린 왕을 옹립하는 것을 반대했다. 그 이유는 정치권력이 야심 찬 왕족이나 왕의 외척에게 독점될 가능성과 단종의 비극적인 운명이 되풀이될 가능성 때문이었다.[1]
정희왕후는 대왕대비로서 후계자를 선택할 권한을 가지고, 자을산군을 선택했다. 자을산군이 왕위에 오른 공식적인 이유는 장군 대군이 너무 어리고, 월산대군은 병약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자을산군이 세조의 권력 장악을 도왔던 한명회의 딸 공혜왕후와 결혼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1]
성종 즉위 당시 13세의 미성년자였기에, 조정에서는 정희왕후에게 섭정을 요청했다. 정희왕후는 섭정 위원회의 수장이 되어 섭정을 수행했다.[1]
정희왕후의 섭정 기간 동안 조선은 정치적 안정을 누렸다.[1] 명나라와의 외교 관계가 최고조에 달했고 두 나라 간의 무역이 번창했으며, 일반 백성인 농민들이 군사 소유였던 토지를 경작할 권리를 얻는 중요한 조치가 이루어졌다.[1] 1474년에는 세조가 명령했던 법전이 완성되어 시행되었고, 예술과 불교의 후원자였던 정희왕후는 불화와 불경을 제작 의뢰했다.[1]
정희왕후의 섭정은 1476년 성종이 성년이 되자 종료되었다.[1]
2. 4. 생애 후반
예종이 갑작스럽게 죽자, 제안대군이 있었으나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왕위를 넘겨받지 못했다. 의경세자의 큰아들 월산대군이 있었으나, 자을산군이 왕위에 오른 것은 정희왕후의 결단이었다.[2]정희왕후는 섭정 기간 동안 과단성 있는 성격과 뛰어난 정치적 감각으로 조정을 평화롭고 안정적으로 이끌었다. 사극에서는 손주며느리인 폐비 윤씨를 옹호하는 모습으로 그려지지만, 실제로는 윤씨의 불순한 행실 때문에 정희왕후의 눈 밖에 났으며, 이후 성종, 인수대비와 함께 윤씨를 폐출하고 사사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주도했다.
정희왕후는 혼란에 빠질 뻔한 조선을 안정적인 정국으로 이끌었지만, 개인적으로는 세 자식을 먼저 떠나보내는 불행을 겪었다. 1483년(성종 14년) 음력 3월 30일, 온양 행궁에서 세상을 떠났다. 능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위치한 광릉으로, 남편 세조의 능과는 동원이강(同原異岡)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윤번 | 1384년 | 1448년 | 판중추부사, 증 영의정, 파평부원군, 정정공 |
어머니 | 이씨 | 1383년 | 1456년 | 흥녕부대부인 |
형 | 윤사분(尹士昐) | 1401년 | 1471년 | 파성군, 이정공 |
형 | 윤사윤(尹士昀) | 1409년 | 1461년 | 공조판서, 영평군, 성안공, 장경왕후의 증조부 |
남동생 | 윤사흔(尹士昕) | 1422년 | 1485년 | 영돈녕, 파천부원군, 양평공, 문정왕후의 고조부 |
남편 | 세조 | 1417년 | 1468년 | 조선 제7대 국왕 |
장남 | 이장 | 1438년 | 1457년 | 덕종으로 추존, 성종의 생부 |
장녀 | 의숙공주 | 1441년 | 1477년 | 정현조와 혼인 |
차남 | 예종 이황 | 1450년 | 1469년 | 조선 제8대 국왕, 해양대군 |
딸 | 이세휘(李世輝) | ? | ? | 휘령공주(徽寧公主) 또는 휘화공주(徽和公主) |
정희왕후는 윤번의 딸로, 1418년 강원도 홍천현에서 태어났다. 형제로는 6명의 누나, 2명의 형, 1명의 남동생이 있었다. 정희왕후는 증조부 윤안석(尹安叔)을 통해 고려 충혜왕의 후비였던 파평 윤씨 회비(懷妃)와 5촌 당숙녀 관계였다. 외조부를 통해서는 고려 우왕의 후비였던 고성 이씨 근비(謹妃)의 고종질녀였다.
4. 평가 및 영향
정희왕후는 여장부 기질을 가진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세조 사후 대왕대비로서 조선 최초로 수렴청정을 하였다. 섭정 당시 과단성 있는 성격과 훌륭한 정치적 감각 덕분에 조정은 평화로운 안정기를 구가하였다고 한다.[2] 사극에서 폐비 윤씨를 옹호하는 모습과는 달리, 실제로는 윤씨의 불순한 행실 때문에 정희왕후의 눈 밖에 났으며, 이후 성종, 인수대비와 함께 폐출 및 사사를 적극적으로 주도했다.
정희왕후는 혼란에 빠질 수 있었던 조선을 큰 결단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정국으로 이끌었지만, 개인적으로는 세 자식을 먼저 앞세우는 불행을 겪었다. 1483년(성종 14년) 음력 3월 30일 온양행궁에서 승하하였으며, 능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있는 광릉으로, 남편 세조의 능과는 동원이강(同原異岡)의 형태이다.
정희왕후의 통치와 섭정은 국민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정치적 영향력은 대다수의 국민에게 지지를 받았다. 조선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섭정 중 하나로 평가된다. 정희왕후의 남동생 후손인 문정왕후(중종의 세 번째 왕비)는 정희왕후의 많은 특성을 물려받았다고 널리 믿어진다. 원경왕후와 명성황후처럼 정치적으로 능숙하고 관대한 조선의 왕비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4. 1. 긍정적 평가
정희왕후는 여장부 기질을 가진 인물로 평가받는다. 조선 최초로 수렴청정을 한 인물이며, 어린 왕 뒤에서 발을 치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왕이 신하들과 토론한 내용을 듣고 적절한 조언을 주는 방식으로 정치를 했다.[1] 수양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왕비가 되었고, 이는 파평 윤씨 세력의 등극으로 이어졌다.[2]정희왕후는 매우 현명하고 지혜로우며, 궁궐 안팎의 모든 일에 정통했고, 재치 있고 신중하며 덕이 높고 계산적인 인물이었다. 세조는 그녀를 칭찬하며 국모이자 내명부의 수장으로서의 지위를 높이 평가했다.[3]
정희왕후의 섭정 기간 동안 조선은 정치적 안정을 누렸다. 명나라와의 외교 관계가 최고조에 달했고 무역이 번창했으며, 일반 백성인 농민들이 군사 소유였던 토지를 경작할 권리를 얻는 조치가 이루어졌다. 1474년에는 세조가 명령했던 법전이 완성되어 시행되었고, 예술과 불교의 후원자였던 정희왕후는 불화와 불경을 제작 의뢰했다.[4]
정희왕후의 통치와 섭정은 국민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정치적 영향력은 대다수의 국민들에게 지지를 받았다. 조선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섭정 중 하나로 평가된다.
4. 2. 부정적 평가
정희왕후는 뛰어난 정치적 감각과 결단력으로 조선 초기의 혼란을 수습하고 비교적 안정적인 정국을 이끌었지만, 왕위 계승 과정에서 보여준 모습은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예종이 갑작스럽게 사망한 후, 정희왕후는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제안대군 대신 자을산군(성종)을 왕위에 올렸다.[2] 이는 왕실의 전통적인 계승 원칙을 무시한 결정으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개인적인 판단이었다는 비판을 받는다.4. 3. 종합적 평가
정희왕후는 여장부 기질을 가진 인물로 평가받는다. 세조가 승하하고 예종이 즉위한 뒤 왕대비가 되었으며, 예종이 즉위 1년 만에 갑작스럽게 승하하자 한명회와 결탁하여 둘째 손자인 자을산군을 왕위에 올리고 대왕대비로서 조선 최초로 수렴청정을 하였다.[2] 수렴청정은 어린 왕의 뒤에서 발을 치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왕이 신하들과 토론한 내용을 말하면 정희왕후가 적절한 조언을 주는 방식이었다.[2]예종이 갑자기 죽었을 때 그의 아들 제안대군이 있었으나 나이가 너무 어리다는 이유로 왕위를 넘겨주지 않았고, 의경세자의 큰아들인 월산대군이 있었으나 자을산군을 즉위시킨 것은 정희왕후 개인의 결단이었다.[2]
섭정 기간 동안 정희왕후의 과단성 있는 성격과 훌륭한 정치적 감각 덕분에 조정은 평화로운 안정기를 누렸다고 한다. 사극에서 손주며느리인 폐비 윤씨를 옹호하는 모습과는 달리, 실제로는 윤씨의 불순한 행실로 인해 정희왕후의 눈 밖에 났으며, 이후 성종, 인수대비와 함께 폐출 및 사사를 적극적으로 주도했다.
정희왕후는 혼란에 빠질 수 있었던 조선을 큰 결단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정국으로 이끌었지만, 개인적으로는 죽기 전 세 자식을 모두 앞세우는 불행을 겪었다. 1483년(성종 14년) 음력 3월 30일 온양 행궁에서 승하하였으며, 능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위치한 광릉으로, 남편 세조의 능과는 동원이강(同原異岡)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정희왕후의 통치와 섭정은 국민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정치적 영향력은 대다수의 국민들에게 지지를 받았다. 조선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섭정 중 하나로 평가된다. 그녀의 남동생의 후손인 문정왕후(조선 중종의 세 번째 왕비)가 그녀의 많은 특성을 물려받았다고 널리 믿어진다.
5. 대중 매체
- 1984년~1985년 MBC 드라마 《설중매》 (배우: 정혜선)
- 1990년 KBS 드라마 《파천무》 (배우: 최란)
- 1994년 KBS 드라마 《한명회》 (배우: 홍세미)
- 1998년~2000년 KBS 드라마 《왕과 비》 (배우: 한혜숙)
- 2007년~2008년 SBS 드라마 《왕과 나》 (배우: 양미경)
- 2011년 KBS 드라마 《공주의 남자》 (배우: 김서라)
- 2011년~2012년 JTBC 드라마 《인수대비》 (배우: 김미숙)
- 2018년 TV조선 드라마 《대군-사랑을 그리다》 (배우: 류화영)
- 2023년 MBC 드라마 《조선변호사》 (배우: 김애란)
6. 기타
세조의 비 정희왕후의 명으로 성종 13년(1482년)에 승려 학조가 교정 간행한 금강경삼가해 권2는 보물 제772-4호로 지정되었다.[1]
7. 정현왕후, 장경왕후, 문정왕후와의 관계
정현왕후는 윤곤의 후손으로, 정희왕후의 당숙인 윤호와 가깝다. 장경왕후는 정희왕후의 오빠 윤사분의 후손이며, 문정왕후는 정희왕후의 남동생 윤사흔의 후손이다. 장경왕후와 문정왕후는 9촌 숙질 관계이고, 인종의 후궁 숙빈 윤씨는 문정왕후의 친정 조카이자 장경왕후의 10촌 종손녀이다. 정현왕후는 장경왕후의 11촌 조카, 문정왕후의 12촌 손녀뻘, 숙빈 윤씨의 족증손뻘이 된다.
참조
[1]
서적
Creative Women of Korea: The Fifteenth Through the Twentie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2]
서적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들녘
1998
[3]
문서
고려 우왕비 근비 이씨의 언니의 아들로 고려 창왕의 이종 사촌형이다.
[4]
문서
소헌왕후 영릉 지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