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터넷 팩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터넷 팩스는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전통적인 팩스와 달리 팩스 기기 없이 팩스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인터넷 팩스는 통신 비용 절감, 언제 어디서든 사용 가능, 보안성, 동시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팩스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메일로 변환되어 송수신되거나, IP 팩스, VoIP, iFax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한국에서도 여러 인터넷 팩스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기업과 개인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팩시밀리 - 팩스 모뎀
    팩스 모뎀은 컴퓨터를 팩스 기기처럼 활용하여 팩스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로, 특정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인터넷 보급으로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팩시밀리 - 로어 (도시전설)
    로어는 익명의 체험담이나 소문을 기반으로 제3자의 관점에서 사실처럼 묘사되는 도시전설의 한 유형이며, 팩스로 유통되던 자료는 그래픽 품질 저하와 직장 관련 내용이 특징이고, 인터넷의 등장으로 정보 확산 방식이 변화했다.
인터넷 팩스
인터넷 팩스 개요
유형컴퓨터 팩스
팩스 서버
팩스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다른 이름온라인 팩스, 전자 팩스, 데스크톱 팩스, 인터넷 팩스
사용 기술T.38
G.711 팩스 릴레이
PDF 생성
이메일 또는 웹 인터페이스
OCR
관련 기술팩스
이메일
VoIP
컴퓨터 전화 통합 (CTI)
인터넷 팩스의 작동 방식
작동 방식인터넷 팩스는 팩스 기계 없이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보내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문서를 업로드하거나 작성하여 팩스를 보낼 수 있으며, 수신된 팩스는 이메일이나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장점
장점편리성: 언제 어디서든 팩스를 보낼 수 있다.
비용 절감: 팩스 용지, 토너, 팩스 기계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효율성: 문서 관리 및 검색이 용이하며, 자동화된 팩스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하다.
보안성: 암호화된 전송을 통해 팩스 내용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단점
단점인터넷 연결 필요: 인터넷 연결이 없으면 팩스를 보낼 수 없다.
보안 문제: 팩스 서비스 제공 업체의 보안 수준에 따라 개인 정보 유출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호환성 문제: 일부 팩스 기계와 호환되지 않을 수 있다.
기술적인 세부 사항
프로토콜인터넷 팩스는 T.38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팩스 이미지를 전송한다. T.38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팩스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미지 형식팩스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TIFF 또는 PDF 형식으로 저장된다.
보안
보안인터넷 팩스는 팩스 내용을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한다. 또한, 팩스 서비스 제공 업체는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준수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해야 한다.
역사
역사인터넷 팩스는 1990년대 후반에 등장하여 꾸준히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팩스 서버를 구축하여 팩스를 주고받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으나, 현재는 클라우드 기반의 팩스 서비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2. 팩스의 작동 원리 및 종류

wikitext

전통적인 팩스 방식은 전화 회선(PSTN)을 이용하여 팩스 기기 간에 문서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팩스 기기는 스캐너, 모뎀, 프린터로 구성된 전자 장치로, 문서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전화 신호로 전송하고, 수신된 신호를 다시 이미지로 변환하여 인쇄한다.

팩스 기기 → 전화 회선 → 팩스 기기

이 방식은 전화선 연결이 필요하며, 한 번에 하나의 팩스만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화 연결은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 패킷 기반 시스템이 아니어야 한다.

모뎀이 PC로 보급되면서, 컴퓨터들은 팩스를 서로 직접적으로 전송하기 시작했다. 문서를 출력하지 않고 직접 FAX 소프트웨어에 의해 전송하는 방법이다.


  • 컴퓨터 → 전화선 → 팩스 기기
  • 팩스 기기 → 전화선 → 컴퓨터

이 방법의 단점은, 팩스를 받기위해서는 컴퓨터와 해당 소프트웨어는 항상 실행된 채로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팩스 이미지를 읽기 위해 광학 문자 인식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한, 더 이상 문서를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에서 읽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정보를 인터넷이 아닌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전송하기 때문에 인터넷 팩스와는 다르다. 이것은 원격지에서 팩스 기기의 위치로 통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인터넷 팩스는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복사된 문서는 TIFFPDF 형태로 변환되어 이메일에 첨부되거나, TCP/IP를 통해 전송된다. 인터넷 팩스 서버 및 게이트웨이를 통해 팩스를 이메일로 변환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3]

인터넷 팩스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 팩스 기기 불필요: 팩스 기계 유지 비용, 종이, 토너, 기기 수리 등이 필요 없다.
  •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 인터넷 연결된 컴퓨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팩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보안성: 계정 로그인한 사용자만 팩스를 확인할 수 있어 타인 노출 위험이 적다.
  • 설치 불필요: 인터넷 연결된 컴퓨터와 브라우저만 있으면 된다.
  • 전화선 불필요: 팩스 전송을 위해 전화국에 등록할 필요가 없다.
  • 동시성: 수많은 팩스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컴퓨터가 꺼져 있어도 팩스 수신이 가능하다.


인터넷 팩스는 특히 해외 또는 원거리에 있는 사무실과 팩스를 자주 주고받을 때 통신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보낼 때는 전화 연결 요금이 없기 때문에, 팩스 전송 비용은 고정 회선 인터넷 연결 요금으로 완전히 충당된다.

일반적인 인터넷 팩스 송수신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수신: 팩스 기기 → 전화선 → 팩스 게이트웨이 → 이메일 메시지 (인터넷) → 컴퓨터 이메일 계정
  • : 팩스는 공중 전화망(PSTN)을 통해 팩스 서버로 전송되며, 팩스 서버는 팩스를 수신하여 PDF 또는 TIFF 형식으로 변환한다. 처리된 파일은 웹 서버로 전송되어 팩스를 첨부 파일로 포함하는 이메일로 전송되며, 때로는 휴대폰으로 전송 보고서를 보낸다.

  • 송신: 컴퓨터 → 인터넷 → 팩스 게이트웨이 → 전화선 → 팩스 기기
  • : 사용자는 공급업체의 웹 사이트에 연결하여 수신 팩스 번호를 지정하고 보낼 문서를 업로드한다. 문서는 일반적으로 PDF 또는 TIFF 형식으로 변환되어 웹 서버에 의해 팩스 서버로 전송된 다음 전화망을 통해 수신 팩스 기기로 전송된다. 발신자는 일반적으로 웹 인터페이스 또는 이메일을 통해 전송이 성공했음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받는다.


1990년대 중반에 The Phone Company 및 Digital Chicken과 같은 초기 이메일-팩스 서비스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오픈 소스 IP PBX 시스템이 개발된 후, Asterisk (PBX) 및 ICTFax와 같은 완전한 소프트웨어 기반 이메일-팩스 또는 웹-팩스 게이트웨이를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6]

IP 팩스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기능 장치에서 다른 장치의 IP 주소로 데이터를 사무실 인트라넷을 통해 전송한다. 기존의 LAN/WAN 인프라를 활용하여 IP 팩스는 비용이 많이 드는 연결 및 전송 요금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T.38은 IP 팩스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권장되는 전송 표준이다.[4]

또한 IP 팩스는 전용 서버가 필요하지 않으며 사무실 메일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다. IP 주소 중계는 로컬 G3 팩스 머신으로 중계하기 위해 다기능 장치로 전달한다.[5]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 전화)를 통해 팩스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팩스 신호 압축은 음성 신호 압축과 다르기 때문에 VoIP로 팩스를 보내는 새로운 표준(T.38)이 만들어졌다.[7] T.38을 준수하는 (송신) VoIP 어댑터와 (수신)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팩스 기기를 일반 전화 회선과 동일한 방식으로 VoIP 어댑터에 연결할 수 있다.[7]

팩스 기기에서 VoIP 어댑터와 VoIP 게이트웨이를 거쳐 전화선으로 연결된 팩스 기기로 팩스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도 가능하다. 이 방식은 한 번에 하나의 팩스만 송수신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7]

전화망에서 팩스 발신을 VoIP 게이트웨이를 통해 음성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 프로토콜(IP)로 중계한다. IP 전화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하다.

: 팩스 장치 - VoIP 게이트웨이 - 인터넷 프로토콜 - VoIP 게이트웨이 - 팩스 장치

T.38은 이미지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실시간 전송하는 기술로, ITU-T에서 1998년 6월에 권고되었다. G3 팩시밀리 모뎀 신호를 게이트웨이에서 변환하는 방식으로, 사설 교환기의 IP망에 사용된다.

VoIP를 통한 팩스 전송은 9600b/s 이상으로 전송이 가능하며, 데이터만 전송하므로 좁은 대역폭으로 송수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화망과 연결하는 경우 팩스 전용 게이트웨이가 인터넷 망 쪽에 필요하고, 전화망 팩스 단말기의 신호 방식에 따라 통신이 불가능할 수 있으며, 신호 전송 지연 등으로 인해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인터넷 팩스 게이트웨이는 전화망에 연결된 팩시밀리 단말기의 신호를 IP로 변환(온 램프)하고, IP 신호를 팩시밀리 단말기 신호로 변환(오프 램프)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이다. G3와 Super G3에만 대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FAX 모뎀·이더넷을 인터페이스로 구현하고 있다.

iFax(T.37)는 팩스 장치가 바로 전자 우편을 통해서 팩스를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 팩스들은 TIFF-F 형태로 E-mail에 첨부되어 전송된다.

  • iFax 기기 → 전자 우편 메시지 (인터넷) → 컴퓨터 전자 우편 계정
  • iFax 기기 → 전자 우편 메시지 (인터넷) → iFax 계정 (전자 우편 주소 사용)


iFax(T.37)를 지원하는 새로운 팩스 장치가 필요하며, 송수신하는 Fax 장비의 E-mail주소도 필요하다. 특정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E-mail주소를 검색하여 팩스를 전송하는 시스템은 현재 개발 중에 있다.

기존의 팩스 기기와 함께 동작하게 하기 위해, 모든 iFax 기기는 표준 팩스 방식을 지원한다. iFax는 Fax Gateway와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 iFax 기기 → 전자 우편 메시지 (인터넷) → 팩스 게이트웨이 → 전화선 → 전통 팩스 기기

2. 1. 전통적인 팩스

전통적인 팩스 방식은 전화 회선(PSTN)을 이용하여 팩스 기기 간에 문서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팩스 기기는 스캐너, 모뎀, 프린터로 구성된 전자 장치로, 문서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전화 신호로 전송하고, 수신된 신호를 다시 이미지로 변환하여 인쇄한다.

팩스 기기 → 전화 회선 → 팩스 기기

이 방식은 전화선 연결이 필요하며, 한 번에 하나의 팩스만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화 연결은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 패킷 기반 시스템이 아니어야 한다.

2. 2. 컴퓨터 기반 팩스

모뎀이 PC로 보급되면서, 컴퓨터들은 팩스를 서로 직접적으로 전송하기 시작했다. 문서를 출력하지 않고 직접 FAX 소프트웨어에 의해 전송하는 방법이다.

  • 컴퓨터 → 전화선 → 팩스 기기
  • 팩스 기기 → 전화선 → 컴퓨터

이 방법의 단점은, 팩스를 받기위해서는 컴퓨터와 해당 소프트웨어는 항상 실행된 채로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팩스 이미지를 읽기 위해 광학 문자 인식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한, 더 이상 문서를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에서 읽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정보를 인터넷이 아닌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전송하기 때문에 인터넷 팩스와는 다르다. 이것은 원격지에서 팩스 기기의 위치로 통신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3. 인터넷 팩스

인터넷 팩스는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복사된 문서는 TIFFPDF 형태로 변환되어 이메일에 첨부되거나, TCP/IP를 통해 전송된다. 인터넷 팩스 서버 및 게이트웨이를 통해 팩스를 이메일로 변환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3]

인터넷 팩스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 팩스 기기 불필요: 팩스 기계 유지 비용, 종이, 토너, 기기 수리 등이 필요 없다.
  •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 인터넷 연결된 컴퓨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팩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보안성: 계정 로그인한 사용자만 팩스를 확인할 수 있어 타인 노출 위험이 적다.
  • 설치 불필요: 인터넷 연결된 컴퓨터와 브라우저만 있으면 된다.
  • 전화선 불필요: 팩스 전송을 위해 전화국에 등록할 필요가 없다.
  • 동시성: 수많은 팩스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컴퓨터가 꺼져 있어도 팩스 수신이 가능하다.


인터넷 팩스는 특히 해외 또는 원거리에 있는 사무실과 팩스를 자주 주고받을 때 통신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보낼 때는 전화 연결 요금이 없기 때문에, 팩스 전송 비용은 고정 회선 인터넷 연결 요금으로 완전히 충당된다.

일반적인 인터넷 팩스 송수신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수신: 팩스 기기 → 전화선 → 팩스 게이트웨이 → 이메일 메시지 (인터넷) → 컴퓨터 이메일 계정
  • : 팩스는 공중 전화망(PSTN)을 통해 팩스 서버로 전송되며, 팩스 서버는 팩스를 수신하여 PDF 또는 TIFF 형식으로 변환한다. 처리된 파일은 웹 서버로 전송되어 팩스를 첨부 파일로 포함하는 이메일로 전송되며, 때로는 휴대폰으로 전송 보고서를 보낸다.

  • 송신: 컴퓨터 → 인터넷 → 팩스 게이트웨이 → 전화선 → 팩스 기기
  • : 사용자는 공급업체의 웹 사이트에 연결하여 수신 팩스 번호를 지정하고 보낼 문서를 업로드한다. 문서는 일반적으로 PDF 또는 TIFF 형식으로 변환되어 웹 서버에 의해 팩스 서버로 전송된 다음 전화망을 통해 수신 팩스 기기로 전송된다. 발신자는 일반적으로 웹 인터페이스 또는 이메일을 통해 전송이 성공했음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받는다.


1990년대 중반에 The Phone Company 및 Digital Chicken과 같은 초기 이메일-팩스 서비스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오픈 소스 IP PBX 시스템이 개발된 후, Asterisk (PBX) 및 ICTFax와 같은 완전한 소프트웨어 기반 이메일-팩스 또는 웹-팩스 게이트웨이를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6]

2. 3. 1. IP 팩스 및 IP 주소 중계

IP 팩스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기능 장치에서 다른 장치의 IP 주소로 데이터를 사무실 인트라넷을 통해 전송한다. 기존의 LAN/WAN 인프라를 활용하여 IP 팩스는 비용이 많이 드는 연결 및 전송 요금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T.38은 IP 팩스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권장되는 전송 표준이다.[4]

또한 IP 팩스는 전용 서버가 필요하지 않으며 사무실 메일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다. IP 주소 중계는 로컬 G3 팩스 머신으로 중계하기 위해 다기능 장치로 전달한다.[5]

2. 4. VoIP를 통한 팩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인터넷 전화)를 통해 팩스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팩스 신호 압축은 음성 신호 압축과 다르기 때문에 VoIP로 팩스를 보내는 새로운 표준(T.38)이 만들어졌다.[7] T.38을 준수하는 (송신) VoIP 어댑터와 (수신)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팩스 기기를 일반 전화 회선과 동일한 방식으로 VoIP 어댑터에 연결할 수 있다.[7]

팩스 기기에서 VoIP 어댑터와 VoIP 게이트웨이를 거쳐 전화선으로 연결된 팩스 기기로 팩스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도 가능하다. 이 방식은 한 번에 하나의 팩스만 송수신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7]

전화망에서 팩스 발신을 VoIP 게이트웨이를 통해 음성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 프로토콜(IP)로 중계한다. IP 전화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하다.

: 팩스 장치 - VoIP 게이트웨이 - 인터넷 프로토콜 - VoIP 게이트웨이 - 팩스 장치

T.38은 이미지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실시간 전송하는 기술로, ITU-T에서 1998년 6월에 권고되었다. G3 팩시밀리 모뎀 신호를 게이트웨이에서 변환하는 방식으로, 사설 교환기의 IP망에 사용된다.

VoIP를 통한 팩스 전송은 9600b/s 이상으로 전송이 가능하며, 데이터만 전송하므로 좁은 대역폭으로 송수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화망과 연결하는 경우 팩스 전용 게이트웨이가 인터넷 망 쪽에 필요하고, 전화망 팩스 단말기의 신호 방식에 따라 통신이 불가능할 수 있으며, 신호 전송 지연 등으로 인해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인터넷 팩스 게이트웨이는 전화망에 연결된 팩시밀리 단말기의 신호를 IP로 변환(온 램프)하고, IP 신호를 팩시밀리 단말기 신호로 변환(오프 램프)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이다. G3와 Super G3에만 대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FAX 모뎀·이더넷을 인터페이스로 구현하고 있다.

2. 5. 전자 우편을 통한 팩스

iFax(T.37)는 팩스 장치가 바로 전자 우편을 통해서 팩스를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 팩스들은 TIFF-F 형태로 E-mail에 첨부되어 전송된다.

  • iFax 기기 → 전자 우편 메시지 (인터넷) → 컴퓨터 전자 우편 계정
  • iFax 기기 → 전자 우편 메시지 (인터넷) → iFax 계정 (전자 우편 주소 사용)


iFax(T.37)를 지원하는 새로운 팩스 장치가 필요하며, 송수신하는 Fax 장비의 E-mail주소도 필요하다. 특정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E-mail주소를 검색하여 팩스를 전송하는 시스템은 현재 개발 중에 있다.

기존의 팩스 기기와 함께 동작하게 하기 위해, 모든 iFax 기기는 표준 팩스 방식을 지원한다. iFax는 Fax Gateway와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다.

  • iFax 기기 → 전자 우편 메시지 (인터넷) → 팩스 게이트웨이 → 전화선 → 전통 팩스 기기

3. 모바일 기반 팩싱

모바일 기반 팩싱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팩스를 보내고 받을 수 있게 한다. 유선 전화나 추가 하드웨어는 필요없다. 안드로이드 및 iOS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팩스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에 앱을 설치하고 온라인 팩스 서비스 제공업체에 가입해야 한다. 휴대폰 카메라를 스캐너로 사용하여 문서를 스캔하거나, 장치에서 서비스를 통해 문서를 업로드하면 서비스에서 팩스로 전송한다. 일부 제공업체는 전용 팩스 번호를 제공하여 팩스를 수신하는 옵션도 제공한다.

4. 인터넷 팩스 방식 비교 (일본)



역통신 속도안정성실시간전화망게이트웨이용도통신처 지정특징G.711
인밴드간주
음성
방식대9.6
kb/s
이하보장되지 않음○VoIPIP 전화전화 번호FAX 단말을 가리지 않음T.37
Simple Mode메일
방식소고속보장됨지연이 큰 경우가 있음FAX
전용ASP전화 번호
메일 주소기본적인 전송 기능만T.37
Full Mode송달 확인, 기능 교환 등 양방향 기능
고해상도, 컬러 전송 등 부가 기능T.37
다이렉트 SMTPIP 주소
방식○통신 불가인트라넷IP 주소
도메인동일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
메일 서버 불필요한 직접 통신T.38FoIP전화망 FAX에 따라 통신 불가○FAX
전용내선 전화
차세대 네트워크 (NGN)전화 번호internet facsimile protocol 패킷으로 전송


4. 1. 실시간 전송 방식 (일본)

팩스 단말기 간을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실시간 전송이므로 전송 결과 확인이 용이하다.

==== G.711 인밴드 방식 ====

G3 팩시밀리 모뎀 신호를 가상 음성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많은 IP 전화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하지만 전송은 보장되지 않는다.

정보통신네트워크산업협회에서 『IP-PBX에 VoIP-TA를 경유하여 팩시밀리 단말을 수용할 때의 VoIP-TA/팩시밀리 단말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여 2007년 10월 19일에 제정되었다.

==== T.38 ====

T.38은 이미지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실시간 전송하는 기술로, ITU-T에서 1998년 6월에 권고되었다.

G3 팩시밀리 모뎀 신호를 게이트웨이에서 변환하는 방식으로, 사설 교환기의 IP망에 사용된다. 개인용 컴퓨터(PC)의 팩스 전송 소프트웨어나 업무용 복합기에서 SIP를 통해 사설 전화 번호나 IP 주소로 전송이 가능하다. 2010년 2월 1일, 소프트프론트가 NGN망의 전화 번호로 팩스 서비스 구현 사양을 발표했다[8].

4. 1. 1. G.711 인밴드 방식

G3 팩시밀리 모뎀 신호를 가상 음성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많은 IP 전화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하지만 전송은 보장되지 않는다.

정보통신네트워크산업협회에서 『IP-PBX에 VoIP-TA를 경유하여 팩시밀리 단말을 수용할 때의 VoIP-TA/팩시밀리 단말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여 2007년 10월 19일에 제정되었다.

4. 1. 2. T.38

T.38은 이미지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실시간 전송하는 기술로, ITU-T에서 1998년 6월에 권고되었다.

G3 팩시밀리 모뎀 신호를 게이트웨이에서 변환하는 방식으로, 사설 교환기의 IP망에 사용된다. 개인용 컴퓨터(PC)의 팩스 전송 소프트웨어나 업무용 복합기에서 SIP를 통해 사설 전화 번호나 IP 주소로 전송이 가능하다. 2010년 2월 1일, 소프트프론트가 NGN망의 전화 번호로 팩스 서비스 구현 사양을 발표했다[8].

4. 2. 축적 교환 방식 (일본)

축적 교환 방식은 팩스 이미지 데이터를 이메일 첨부 파일로 변환하여 이메일 주소를 지정하고 SMTP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T.37 게이트웨이·메일 서버와 온라인 스토리지를 조합한 ASP가 제공되고 있다. DNS·다이렉트 SMTP를 통해 도메인 네임으로 동적 글로벌 IP 주소를 직접 지정하여 실시간 T.37 Full Mode 통신이 가능한 장비가 있다.

장점은 다음과 같다.

단점은 다음과 같다.

5. 한국의 인터넷 팩스 서비스

한국에서는 다양한 인터넷 팩스 서비스가 제공되며, 전화망과 인터넷망 간의 송수신 기능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부여되는 전화번호, 지원하는 파일 형식(TIFF, PDF, JPEG 등), 저장 용량, 그리고 음성 메일, 웹 메일 기능 유무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일부 서비스는 전화망에서 인터넷망으로의 수신만 지원하는 반면, 다른 서비스들은 인터넷망에서 국내외 전화망으로의 발신 기능까지 제공한다. 예를 들어, KDDI 페이퍼리스 FAX는 050 번호를 부여받아 수신 파일 형식으로 PDF를, 송신 파일 형식으로는 PDF,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텍스트 파일을 지원하며, 100MB의 저장 용량을 제공한다. NTT 커뮤니케이션즈의 BizFAX 스마트 캐스트는 26자리 전용 번호를 사용하며, 다양한 파일 형식을 지원하고 NTT 동일본 및 서일본과의 전화 요금 합산 지불이 가능하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인터넷 팩스 서비스가 국민 편익 증진에 기여한다고 평가하며, 관련 기술 및 서비스 발전을 위한 정책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6. 결론

팩스는 이메일, 스캐너, 그래픽 파일 형식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수단에 비해 기술적인 이점이 없지만, 사용 편의성이 뛰어나다.[1] 팩스할 문서를 호퍼에 넣고, 전화 번호를 누르고, 버튼을 누르면 된다.[1] 팩스는 컴퓨터 및 인터넷 시설이 없는 곳에서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계속 사용되고 있으며, 때로는 사람의 손으로 쓴 서명이 있는 문서의 팩스가 법적 이유로 필요하기도 하다.[1]

전자 장치에서 보낼 수 있는 온라인 팩스는 실제 팩스 기기 없이 팩스를 보내고 받을 수 있게 해준다.[2] 온라인 팩스 서비스는 종단 간 암호화를 사용하여 문서를 해킹으로부터 보호하므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문서를 주고받을 수 있어 여전히 인기가 있다.[2] 팩스 기기는 팩스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팩스 앱 또는 웹 사이트로 변환되었지만, 그 기능은 여전히 비즈니스 거래의 중요한 부분이다.[2]

한국에서는 인터넷 팩스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기업과 개인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It's 2015. Why are people still using fax? - Crosby Fax https://www.crosbyfa[...] 2015-04-07
[2] 논문 Chapter 1 - Decision to Travel vs. Digital Alternatives https://www.scienced[...] Butterworth-Heinemann 2014-01-01
[3] 뉴스 Best Online Fax Service? Top 6 Internet Faxing Services (March 2018) https://thetechrevie[...] 2018-02-07
[4] 웹사이트 Online Fax Guide & Internet Fax Reviews http://faxauthority.[...] Fax Authority
[5] 웹사이트 Lesson 12 – Bijili Indinfo https://hecm.in/comm[...]
[6] 웹사이트 Asterisk for Fax https://www.voip-inf[...] 2005-09-25
[7] 웹사이트 Faxing over IP networks http://www.soft-swit[...] Soft-Switch.org
[8] 문서 NGN を利用する T.38 ベースの IP 化 FAX 接続 http://www.softfro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