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은 이지스 어쇼어 대체 계획 무산 이후 도입이 결정된, 일본 해상자위대가 건조할 예정인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이다. 11,000톤급의 만재배수량으로, 전후 일본이 건조하는 가장 큰 전투함이 될 예정이다. 쿼드(Quad)의 합동훈련 참여를 통해 네트워크전을 수행하며, CEC(Cooperative Engagement Capability) 합동교전능력과 BMD(탄도 미사일 방어)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AN/SPY-7 레이더, 128셀의 수직발사기, 대잠헬기 1기를 탑재하며, 해양 영토 분쟁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구축함 - 휴가급 헬리콥터 구축함
휴가급 헬리콥터 구축함은 일본 해상자위대가 운용하는 헬리콥터 탑재 구축함으로, 넓은 비행 갑판과 격납고를 갖춰 헬리콥터 운용에 특화되었으며 대공, 대잠/대수상전 무장과 C4I 시스템, 재해 파견 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 구축함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노후 구축함 대체 및 전력 투사 능력 확보를 위해 설계한 구축함으로, 3척이 건조되어 운용되었으며, 성능 개량 사업을 통해 전투 시스템이 교체되었다. - 구축함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KDX-2 사업으로 개발한 스텔스 설계의 구축함으로, SM-2 미사일 탑재로 함대 방공 능력을 강화했으며 6척이 건조되어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구축함으로 운용되고 있다.
일본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 | |
---|---|
개요 | |
함종 | 이지스 탑재 호위함 |
건조 계획 | 2척 (2028년도 말까지 순차적으로 인도 목표) 2척 추가 검토 |
이전 계획 |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2척 (대체함) 신형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8척 (구축함 추가 건조 계획) |
개발 배경 | |
배경 | 육상자위대 03식 지대공 미사일 개량형 배치 계획 중단 일본 정부의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건조 결정 |
특징 | |
선체 | 기존 마야급 호위함보다 대형화 |
목적 | 승조원 근무 환경 개선 장래적인 임무 확장 가능성 확보 |
이지스 시스템 | 이지스 시스템 최신 버전 탑재 탄도 미사일 방어 능력 강화 |
탑재 미사일 | 12식 지대함 유도탄 능력 향상형 탑재 사거리 연장 복수 목표 동시 공격 능력 부여 |
2. 역사
일본은 이지스 어쇼어 도입 계획 취소로 인한 안보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이지스함 2척을 추가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당초 이지스 어쇼어 체계를 함정에 탑재하는 방안도 검토되었으나, 잠수함, 전투기 등의 공격에 취약하다는 점 때문에 이지스함 추가 도입으로 최종 결정되었다.[2]
쿼드 창설 이후, 회원국들은 중국에 대한 무력 시위 성격의 합동 훈련을 실시했다.[3][4] 일본은 마야급 구축함부터 CEC 합동교전능력을 탑재하여[5] 네트워크전이 가능해졌으며, 이는 쿼드함대로서 활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차세대 이지스함에도 이 기능이 탑재될 예정이며, 본래 목적인 BMD 능력 또한 CEC와 관련이 있다.[6]
2. 1. 배경
일본은 이지스 어쇼어 도입 계획이 취소되면서 안보 공백이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처음에는 이지스 어쇼어 체계를 함정에 탑재하는 방안이 논의되었으나, 곧 이지스함 2척을 추가 도입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전용함은 예산 절감 효과가 있지만, 잠수함, 전투기 등의 공격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지적되었다.[2]쿼드 창설 이후, 회원국들은 중국에 대한 무력 시위 성격의 합동 훈련을 실시했다.[3][4] 일본은 마야급 구축함부터 CEC 합동교전능력을 탑재하여[5] 네트워크전이 가능해졌다. 이는 쿼드함대로서 활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차세대 이지스함에도 이 기능이 탑재될 예정이다. 본래 목적인 BMD 능력 또한 CEC와 관련이 있다.[6]
2. 1. 1. 이지스 어쇼어 대체
이지스 어쇼어 2기를 도입하려던 계획에 차질이 빚어져 구매가 취소됨에 따라 일본 안보에 공백이 생겼다. 남는 예산으로 함정에 이지스 어쇼어 체계를 활용하는 전용함 계획이 나왔으나, 곧 이지스함 2척 추가 도입으로 선회되었다. 전용함 건조는 예산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잠수함이나 전투기 등 외부의 공격에 취약한 것이 문제로 지적되었다.[2] 전용함에는 이지스 어쇼어에 탑재될 예정이었던 미국 록히드마틴사의 최신 레이더 장비인 ‘스파이-7’을 탑재할 예정이다. 이지스함 건조비 및 레이더 탑재 등 관련 비용은 2021 회계연도(2021년 4월~2022년 3월) 예산에 반영한다. 이지스함은 2021년 8척 체제가 될 예정으로, 이지스 어쇼어 대체안으로 이지스함을 도입하기로 최종 결정하면 이지스함 2척이 추가로 늘어난다.2. 1. 2. 안보 환경
쿼드 창설 이후, 쿼드 회원국들은 중국에 대한 무력 시위 성격의 합동 훈련을 실시했다.[3][4] 마야급 구축함부터 일본은 CEC 합동교전능력을 탑재하여[5] 네트워크전이 가능해졌다. 이는 쿼드함대로서 활동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되며, 차세대 이지스함에도 CEC 합동교전능력이 탑재될 예정이다. 본래 목적인 BMD 능력 또한 CEC와 관련이 있다.[6] 마야급은 대한민국 해군이 진수할 세종대왕급 배치-2와 동일한 베이스라인 9를 장착하고 BMD 및 CEC 합동교전시스템을 갖추고 있다.[7]3. 특징
일본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일본은 독자적인 해군용 전투 네트워크 시스템인 '해막'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일본 잠수함은 잠항 중에도 본부로부터 명령을 받을 수 있으며, 해상에서 비행하는 아군 항공기에 작전에 유효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국의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만재배수량이 10000ton을 넘어 순양함으로 오인되기도 하며, 중국의 055형 구축함은 만재배수량 13000ton으로 매우 크다. 일본의 마야급 구축함은 10250ton으로 세종대왕급보다 약간 작지만, 일본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은 만재배수량 11000ton으로 계획되어 전후 일본이 건조하는 가장 큰 전투함이 될 예정이다.
대한민국 해군은 지구 반대편에서 해적 퇴치 및 자국민, 자국 선박 보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을 청해부대에 소속시킨 사례가 있다. 지구 반대편에서 작전하기 위해서는 만재배수량 5000ton이 필수적이며, 해적 소탕보다 더 큰 규모의 작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10000ton 이상의 규모를 가진 군함이 필요하다.
일본은 센카쿠 열도 분쟁, 쿠릴 열도 분쟁, 독도 분쟁 등 주변국과의 해양 영토 분쟁을 겪고 있다. 남중국해에서 무력 시위를 시작한 일본은 앞으로도 자국의 국익이 걸린 영토 분쟁에서 거대한 이지스 구축함을 동원할 가능성이 있다. 쿠릴 열도 분쟁을 겪고 있는 러시아는 일본에게 "러시아 공군이 맘만 먹으면 일본은 20분 만에 소멸한다."고 도발한 적이 있으나, 2020년대 이후 오바마의 경제 제재로 러시아 경제는 기울었고, 2021년에는 한국에 국방비 예산에서 추월당했다. 러시아의 군함과 항공기들은 유지 보수를 받지 못해 노후화가 심각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이 신예 13000ton 군함을 배치하여 무력 시위를 하면, 러시아는 완전히 역전된 상황을 맞게 된다.[8]
3. 1. 네트워크전
일본은 '해막'이라는 독자적인 해군용 전투 네트워크 시스템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일본 잠수함은 잠항 중에도 본부로부터 명령을 받을 수 있고, 해상에서 비행하는 아군 항공기에도 작전에 유효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3. 2. 규모
한국의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만재배수량이 10,000톤을 넘어 순양함으로 오인되기도 하며, 중국의 055형 구축함은 만재배수량 13,000톤으로 매우 크다. 일본의 마야급 구축함은 10,250톤으로 세종대왕급보다 약간 작다. 그러나 일본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은 만재배수량 11,000톤으로 계획되어, 전후 일본이 건조하는 가장 큰 전투함이 될 예정이다.3. 2. 1. 장거리 작전 능력
대한민국 해군은 지구 반대편에서 해적 퇴치 및 자국민, 자국 선박 보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을 청해부대에 소속시킨 사례가 있다. 지구 반대편에서 작전하기 위해서는 만재배수량 5,000t이 필수적이며, 해적 소탕보다 더 큰 규모의 작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10,000t 이상의 규모를 가진 군함이 필요하다.3. 2. 2. 주변국과의 해양 영토 분쟁
일본은 센카쿠 열도 분쟁, 쿠릴 열도 분쟁, 독도 분쟁을 하고 있다. 남중국해에서 무력 시위를 시작한 일본은 앞으로도 자국의 장래 국익이 걸린 영토 분쟁에서 거대한 이지스 구축함을 동원할 가능성이 있다. 쿠릴 열도 분쟁을 겪고 있는 러시아는 일본에게 "러시아 공군이 맘만 먹으면 일본은 20분 만에 소멸한다."고 도발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2020년대 이후, 오바마의 경제 제재로 러시아 경제는 기울었고, 2021년에는 한국에 국방비 예산에서 추월당했다. 러시아의 군함과 항공기들은 유지 보수를 받지 못해 노후화가 심각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이 신예 13000ton 군함을 배치하여 무력 시위를 하면, 러시아는 완전히 역전된 상황을 맞게 된다.[8]3. 3. 제원
항목 | 내용 |
---|---|
만재배수량 | 13000ton |
기준배수량 | 9000ton |
이지스 전투 시스템 | 베이스라인 9.1 이상의 시스템 |
대공 레이더 | AN/SPY-7 |
수직발사기 | 128셀 |
항공기 | 대잠헬기 1기 |
전략 능력 | BMD 탑재 |
참조
[1]
웹인용
イージス代替艦「大型化」検討 政府、乗組員負担を軽減 | 共同通信
https://this.kiji.is[...]
2020-10-31
[2]
뉴스
日, 이지스어쇼어 대안으로 이지스함 2척 건조
https://www.donga.co[...]
""
[3]
웹인용
"미·일·인도·호주 내달 해상합동훈련, 중국에 악몽 될 것"
https://www.yna.co.k[...]
2020-11-15
[4]
웹인용
中 보란 듯…쿼드 4개국, 합동 해상훈련
https://www.hankyung[...]
2020-11-15
[5]
웹인용
일본 최신예 『MAYA』급 이지스 구축함 취역
http://kima.re.kr/da[...]
[6]
웹인용
日, 자위대기에 ‘합동 교전능력’ 탑재..."美와 北미사일 요격 공조"
https://www.joongang[...]
2020-11-15
[7]
웹인용
일본, BMD방어용 전용 이지스함 건조 예정
http://www.defenseto[...]
2020-11-15
[8]
웹인용
"러시아 공군이 맘만 먹으면, 일본은 20분만에 소멸"
https://www.chosun.c[...]
2020-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