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급 구축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1990년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던 노후 구축함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한국형 구축함(KDX) 사업의 첫 번째 결과물이다. 1980년대부터 시작된 연구를 통해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되었으며, 1번함 광개토대왕함을 시작으로 을지문덕함, 양만춘함이 순차적으로 취역했다. 주요 무장으로는 127mm 함포, 골키퍼 CIWS, 하푼 대함 미사일, 시스패로 함대공 미사일 등을 탑재하고 있다. 2016년부터 시작된 성능 개량을 통해 전투 시스템을 교체하고 예인 음향 탐지 시스템을 국산화하는 등 현대화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 광개토-III Batch-II
현대중공업에서 건조 중인 대한민국 해군의 차세대 이지스함인 광개토-III Batch-II는 기존 광개토-III Batch-I에서 탄도탄 대응 능력이 강화되었고 레이더와 음파탐지기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SM-3 도입의 불확실성, 방공 구축함 전력의 열세, SM-6의 요격 고도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 DDH-971 광개토대왕
DDH-971 광개토대왕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3,200톤급 구축함으로, KDX-I 사업에 따라 건조되어 127mm 함포, 골키퍼 CIWS, 하푼 대함 미사일, 시스패로 함대공 미사일 등의 무장을 갖추고 있으며, 2018년에는 일본 초계기 레이더 조사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 구축함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KDX-2 사업으로 개발한 스텔스 설계의 구축함으로, SM-2 미사일 탑재로 함대 방공 능력을 강화했으며 6척이 건조되어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구축함으로 운용되고 있다. - 구축함 - 미사일 구축함
미사일 구축함은 함대공 미사일을 주 무장으로 대공 방어 능력을 갖춘 구축함이며, 이지스 시스템과 같은 첨단 기술을 통해 함대 방공 능력을 강화하고, 개함 방공함, 함대 방공함, 전략 방공함으로 분류된다.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함급 | 구축함 |
| 건조 | 대우 중공업, 거제시 옥포동 |
| 운용 국가 | |
| 건조 기간 | 1994년–2000년 |
| 취역 기간 | 1998년–현재 |
| 계획 함선 수 | 12척 |
| 건조 완료 함선 수 | 3척 |
| 취소 함선 수 | 9척 |
| 활동 함선 수 | 3척 |
| 특징 | |
| 함 종류 | 구축함 |
| 배수량 | 만재 |
| 추진 방식 | 2 ×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30 가스 터빈 2 × 쌍용자동차 20V 956 TB 82 디젤 엔진 2축 |
| 항속 거리 | at |
| 승조원 | 286명 |
| 센서 및 처리 시스템 | |
| 레이더 | AN/SPS-49(V) 2D 대공 탐색 레이다 Signaal MW 08 수상 탐색 레이다 대우 SPS-95k 항해 레이다 2 × Signaal STIR 180 사격 통제 레이다 |
| 소나 | ATLAS DSQS-21BZ 함수 소나 |
| 전자전 및 기만 | |
| 전자전 장비 | SLQ-25 Nixie 예인 어뢰 기만기 ARGOSystems AR 700 및 APECS 2 ECM 4 × CSEE DAGAIE MK 2 채프 발사기 |
| 무장 | |
| 함포 | 1 × OTO 멜라라 127 mm (5 inch)/54 함포 |
| CIWS | 2 × Signaal 30 mm 골키퍼 CIWS |
| 미사일 | 8 × 하푼 미사일 4연장 발사대 1 × Mk 48 Mod 2 VLS, 16 RIM-7P 씨 스패로우 미사일 |
| 어뢰 | 2 × 3연장 어뢰 발사관, Mark 46 어뢰 |
| 항공 | |
| 탑재 항공기 | 2 × Super Lynx 헬리콥터 |
2. 개발
대한민국 해군은 건군 초기, 작전 해역이 연안으로 제한되었고 1951년 기준으로 외양 작전함은 소형의 두만급 프리깃(PF, 구 미 타코마급 프리깃) 2척뿐이었다. 그러나 한국 전쟁 중 미 해군 구축함 승선 경험을 통해 구축함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고, 1958년 '새싹 계획'에 구축함 획득 계획이 포함되었다. 미국의 함정 대여법 개정으로 계획이 지연되어, 첫 플레처급 구축함인 '충무'함(어번함)은 1963년 5월 16일에야 취역할 수 있었다. 이후 알레이 버크 제독 등의 도움으로 1981년까지 총 12척의 구축함을 미국으로부터 도입하여 함대의 주력을 구성했으나, 이 함정들은 모두 1940년대 건조되어 선체 노후화가 심각한 상태였다. 비록 미국 해군에서 FRAM(Fleet Rehabilitation and Modernization) 개수를 통해 장비는 현대화되었지만, 근본적인 선체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한편, 1970년대 박정희 정부의 '자기 완결형 국방력 정비 8개년 계획'에 따라 전투함 국산화가 시작되어, 1980년대에는 울산급 호위함과 동해급 초계함을 자체 건조하는 경험을 쌓았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1980년대 초부터 노후 구축함 대체를 위한 국내 건조 연구가 시작되었고, 이는 제2차 전력 증강 사업(1982년-1986년)에 반영되었다. 1985년, 이 계획은 '한국형 구축함(KDX)'으로 명명되고 정식 추진이 결정되었으며, 1986년 대우조선해양(현재 한화오션)이 제작사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 12월 22일에는 사업 관리를 위한 '한국형 구축함 사업단'이 발족했다.
그러나 호위함이나 초계함과 달리 구축함 건조는 훨씬 높은 기술 수준을 요구했다. 해군은 선체는 국내에서 설계하고 장비는 해외에서 도입하기로 결정했지만, 대형함의 개념 설계와 해외 기술 검토 및 통합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당초 1992년 말 1번함 기공, 1996년 준공 예정이었으나, 예비 설계가 1993년 말까지 지연되면서 전체 일정도 늦춰졌다. 1번함의 건조는 1994년 4월 거제시 옥포의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에서 첫 강재 절단과 함께 시작되었다.[2]
초기 계획명은 KDX-2000이었으나, 이후 이순신급 구축함(KDX-2) 계획이 시작되면서 이 사업은 KDX-1으로 불리게 되었다. 당초 최대 20척 건조도 검토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3척만 건조되었다.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의 건조는 대한민국 해군이 연안 방어 중심에서 벗어나 자국 영토 밖으로 전력 투사 능력을 갖추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이후 대한민국은 해적 퇴치 및 전쟁 이외의 군사 작전에 대한 국제적 참여를 크게 늘릴 수 있었다.
3. 제원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의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구분 내용 길이 135.4m (444 ft) 폭 14.2m (46.5 ft) 배수량 기준 3200ton, 만재 3900ton 추진 방식 CODOG (GE LM2500 가스터빈 2기, MTU 20V 956 TB 82 디젤 2기) 속력 최고 30 노트, 순항 18 노트 항속거리 약 7242.03km (순항 시) 승조원 최대 286명 탑재 헬기 슈퍼링크스 대잠 헬리콥터 2대
주요 무장으로는 Mk-48 mod 2 VLS, 127mm 함포, 골키퍼 CIWS, 하푼 대함 미사일, 시스패로우 함대공 미사일, Mk.46 어뢰 등이 있다.
탐지 및 전자 장비로는 AN/SPS-49 대공 레이더, MW-08 3차원 레이더, STIR-180 사격통제 레이더, DSQS-21 소나 등을 탑재하며, 전투 시스템으로는 SSCS Mk.7 기반의 시스템과 한국형 해군 전술 데이터 시스템(KNTDS)를 운용한다. 상세한 무장 및 전자 장비 구성은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3. 1. 무장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대잠전이며, 이를 위해 함정 탑재 센서와 연동하여 원거리에서 잠수함을 탐지하고 공격할 수 있는 슈퍼링크스 대잠 헬리콥터 2대를 탑재하고 있다. 근접 대잠 무기로는 헬리콥터 격납고 앞쪽 양옆에 위치한 Mk.32 3연장 단어뢰 발사관 2기를 장비하며, 초기에는 미국제 Mk 46 어뢰를 사용했으나, 이후 국산 K745 청상어로 교체될 가능성이 있다.
대함 무장으로는 보잉 사의 하푼 블록 IC 함대함 미사일 4연장 발사관 2기를 연돌(굴뚝) 구조물 바로 뒤 01 갑판 레벨에 탑재하고 있다.
대공 방어 능력은 레이시온 사의 RIM-7P 시스패로우 함대공 미사일을 통해 확보하고 있다. 이 미사일은 함교 구조물 바로 앞 갑판실에 설치된 16셀 Mk.48 mod.2 수직 발사기(VLS)에 탑재된다. Mk.48 VLS를 함선 내부에 매립형으로 설치한 것은 광개토대왕급의 특징 중 하나이다. 미사일 유도는 함교 위와 후방 상부 구조물 위에 각각 1기씩 설치된 STIR-180 사격통제 레이더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 레이더는 주포의 사격 통제 기능도 겸한다.
함포로는 오토 멜라라 사의 127mm 54구경장 컴팩트포 1문을 함수 갑판에 장착했다. 근접 방어용으로는 시그널 사의 골키퍼 30mm CIWS 2문을 함교 구조물 위 04 갑판 레벨과 후부 상부 구조물 위 03 갑판 레벨에 각각 1문씩 탑재하여, 접근하는 대함 미사일이나 항공기에 대한 최종 방어선을 구축한다.
전자전 장비로는 미국의 아르고시스템즈(ARGOSystems)가 개발한 APECS-II/AR-700 전파 탐지 및 방해 장치를 탑재했다. 이는 전자전 지원용 AR-700 전파 탐지 장치와 전자 공격용 APECS-II 전파 방해 장치를 통합한 시스템이다. 또한, 채프 및 플레어 발사기로는 기존의 미국제 Mk 36 SRBOC 대신 프랑스 CSEE 사의 DAGAIE Mk.2 발사기 4기를 장착했다. 수중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어뢰 기만기로는 SLQ-25 닉시를 운용한다.
3. 2. 전자 장비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의 전자 장비는 탐지 장비, 전투 시스템, 전자전 장비 등으로 구성되며, 미국과 유럽의 기술이 혼합되어 적용되었다. 주요 탑재 장비는 다음과 같다.
| 구분 | 장비명 | 제조사 | 비고 | |
|---|---|---|---|---|
| 레이더 | 대공 탐색 레이더 | AN/SPS-49(v)5 | 레이시온 (미국) | 2D, 후방 마스트 탑재 |
| 표적 포착 레이더 | MW-08 | 탈레스 네덜란드 (네덜란드) | 3D, 전방 마스트 탑재 | |
| 항법 레이더 | SPS-95k | 대우 (대한민국) | ||
| 소나 | 선체 고정 소나 | DSQS-21BZ | 아틀라스 일렉트로닉 (독일) | |
| 예인 소나 | SQR-220K 흑룡 | 대한민국 자체 개발 | 미국 기술 도입 추정 | |
| 사격통제시스템 | 함포/미사일 사격통제 | STIR-180 | 시그널 (네덜란드) | 2기 탑재 (함교 위, 후방 구조물 위) |
| 하푼 통제 | SWG-1A(v) | |||
| 시스패로 통제 | MK.91 mod 3 | |||
| 전투 관리 시스템 | 전투지휘시스템 | KDCOM-I | BAE 시스템스 (영국) | 영국 해군 23형 프리깃 탑재 SSCS Mk.7 기반 |
| 데이터 링크 | 전술 데이터 링크 | KNTDS (Link 11) | 노스롭 그루먼 (미국) / 대한민국 | 미국 LNTDS 기반 한국형 개량 |
| 피아식별장치 (IFF) | AN/UPX-27K | |||
| 전자전 장비 (ESM/ECM) | ESM/ECM 통합 시스템 | APECS-II / AR-700 | ARGOSystems (미국) | 전파 탐지(AR-700) 및 방해(APECS-II) |
| 채프/플레어 발사기 | DAGAIE Mk.2 | CSEE (프랑스) | 4기 탑재 | |
| 어뢰 기만기 | SLQ-25 닉시 |
전술 정보 처리 장치로는 영국 해군이 23형 프리깃에 탑재한 SSCS Mk.7을 기반으로 개발된 KDCOM-I이 탑재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해군이 이미 포항급 초계함에서 운용한 영국제 무기 통제 시스템의 경험을 바탕으로 선택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술 데이터 링크로는 미국의 시스템을 한국 실정에 맞게 개량한 한국형 해군 전술 데이터 시스템(KNTDS)를 탑재하여 연합 작전 능력을 확보했다.
센서의 경우, 대공 탐색용으로는 미국의 레이시온사가 제작한 AN/SPS-49(v)5 2차원 레이더를 후방 마스트에, 표적 포착용으로는 네덜란드 탈레스 네덜란드사의 MW-08 3차원 레이더를 전방 마스트에 각각 탑재한다. 소나 시스템은 독일 아틀라스사의 DSQS-21BZ 선체 고정 소나와 더불어, 기술 도입을 통해 국산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SQR-220K 예인 소나를 장비하여 대잠 탐지 능력을 강화했다.
사격 통제는 네덜란드 시그널사의 STIR-180 레이더 2기가 담당하며, 이는 시스패로 함대공 미사일 유도와 127mm 주포의 사격 지휘를 겸한다.
전자전 장비로는 미국의 ARGOSystems사가 개발한 APECS-II/AR-700 통합 시스템을 탑재했다. 이 시스템은 전파 탐지(ESM) 기능과 전자 방해(ECM)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다. 또한, 적의 유도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프랑스 CSEE사의 DAGAIE Mk.2 채프/플레어 발사기 4기와 미국의 SLQ-25 닉시 어뢰 기만기를 장착했다.
한편, 2012년부터 2014년 10월까지 전투 시스템이 예상치 못하게 24차례나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대한민국 해군은 임시방편으로 매일 시스템을 재시작하는 조치를 취했으며,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전투 시스템 성능 개량을 검토하고 있다[7].
3. 3. 추진 방식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CODOG (Combined Diesel or Gas turbines) 추진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는 이전의 울산급에서 사용된 방식을 계승한 것이다.고속 항해 시에는 2기의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 가스터빈 엔진 (총 58,200 hp)을 사용하며, 순항 시에는 2기의 쌍용 20V 956 TB 82 디젤 엔진 (총 8,000 hp)을 사용한다. 이 디젤 엔진은 MTU 20V956 TB92 모델에 해당한다. 이러한 엔진 구성으로 광개토대왕급은 최대 30 노트의 속도를 낼 수 있다.
추진기로는 가변 피치 스크류 프로펠러가 양쪽 현에 총 2축 배치되어 있다. 순항용 디젤 엔진과 고속용 가스터빈 엔진은 각각 감속기를 통해 이 프로펠러 축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함선 운용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위해, 출력 800kW의 디젤 발전기 4기가 탑재되어 있다.
4. 함선 목록
wikitext
| 함번 | 함명 | 진수일 | 취역일 | 건조사 | 상태 |
|---|---|---|---|---|---|
| DDH-971 | 광개토대왕함 | 1996년 10월 28일 | 1998년 7월 24일 | 대우조선해양 | 현역 |
| DDH-972 | 을지문덕함 | 1997년 10월 16일 | 1999년 8월 30일 | 대우조선해양 | 현역 |
| DDH-973 | 양만춘함 | 1998년 9월 30일 | 2000년 6월 29일 | 대우조선해양 | 현역 |
5. 성능 개량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건조된 지 20여 년이 지나면서 탑재된 전투체계 등 일부 장비의 노후화 문제가 제기되었다. 특히 기존에 탑재되었던 외국산 전투관리 시스템(BAeSEMA SSCS Mk-7)은 잦은 셧다운 현상을 일으켜 안정적인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12] 이에 대한민국 해군은 노후 장비를 교체하고 최신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성능 개량 사업을 추진했다.
성능 개량 사업은 2013년 선행연구를 시작으로 사업타당성 조사를 거쳐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016년 9월 전투체계 체계개발 계약이 체결되었고, 2017년 12월에는 성능개량 대상인 예인 음향 탐지 시스템(TASS) 계약이, 2018년 12월에는 함정 개조·개장 및 LINK-16 계약이 이루어졌다. 총 674.0999999999999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었으며,[3] 주요 추진 경과는 아래와 같다.
주요 개량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전투체계 교체: 기존의 외국산 BAeSEMA SSCS Mk-7 전투관리 시스템을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Baseline 2.31 전투 시스템(Naval Shield ICMS로 추정)으로 교체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하고 작전 운용 능력을 향상시켰다.[12][3]
- 예인 음향 탐지 시스템(TASS) 교체: 기존 외국산 TASS를 국산 장비(MteQ 개발 추정)로 교체하여 대잠 탐지 능력을 강화했다.[3]
- 데이터 링크 추가: 전술 데이터 교환을 위한 LINK-16 시스템을 새롭게 탑재했다.[3]
- 기타: 전반적인 장비 정비 및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3]
성능 개량 사업은 1번함인 양만춘함이 2020년 9월 9일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에서 개량을 완료하여 해군에 인도된 것을 시작으로,[11][4] 2번함 광개토대왕함은 2021년 10월, 3번함 을지문덕함은 2021년 12월에 각각 성능 개량을 완료하고 인도되어 마무리되었다.[12]
6. 논란
(내용 없음)
6. 1. 레이더 조사 문제
2018년 12월 20일, DDH-971 광개토대왕함이 노토반도 해역에서 해상자위대 제4항공群의 P-1 초계기에 대해 사격통제 레이더를 여러 차례 조사한 것으로 알려진 대한민국 해군 레이더 조사 사건을 일으켰다.[8]7. 평가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1950년대와 1960년대 미 해군으로부터 넘겨받은 노후 구축함을 대체하기 위해 국내 기술로 건조를 추진한 첫 번째 구축함이다. 이 함급의 도입은 대한민국 해군이 연안 방어의 한계를 넘어 원거리 해역까지 작전 능력을 투사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의 취역 이후, 대한민국은 해적 퇴치 활동이나 전쟁 이외의 군사 작전(MOOTW)과 같은 국제적인 해양 안보 활동에 더욱 활발히 참여하게 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해군의 작전 범위 확대와 국제 사회 기여도 증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비록 건조 과정에서 기술적 어려움과 계획 지연을 겪으며 당초 계획보다 적은 3척만이 건조되었지만,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이후 이순신급 구축함(KDX-2), 세종대왕급 구축함(KDX-3) 등 더욱 향상된 성능의 국산 구축함을 개발하고 건조하는 데 중요한 기술적, 경험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8. 파생형

부미볼 아둔야뎃급 호위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설계를 기반으로 하여 태국 해군의 요구에 맞게 일부 개량된 호위함이다. 기존 광개토대왕급 구축함과 비교했을 때 스텔스 성능이 강화된 점이 주요 특징이다.[5][6]
- HTMS 부미볼 아둔야뎃 (취역)
- HTMS ''프라세'' (건조 연기)
참조
[1]
뉴스
Korea's KDX-III AEGIS Destroyers
http://www.defensein[...]
2008-12-03
[2]
harvnb
[3]
뉴스
Second KDX-I Destroyer Delivered To ROK Navy Following PIP
https://www.navalnew[...]
2022-07-09
[4]
뉴스
South Korea's DSME Delivers First KDX-I To ROK Navy Following PIP
https://www.navalnew[...]
2022-07-09
[5]
뉴스
Navy prepares to receive new ship
https://www.bangkokp[...]
2019-12-18
[6]
뉴스
Thai Navy News – new frigate, another one postponed, submarine keel laying ceremony
https://www.fleetmon[...]
2019-12-18
[7]
뉴스
メモリー不足の駆逐艦、魚雷に無防備な最新イージス艦…
http://www.chosunonl[...]
2014-10-14
[8]
웹사이트
韓国海軍艦艇による火器管制レーダー照射事案について
https://www.mod.go.j[...]
방위성
2018-12-22
[9]
서적
세계의 함선 2020년 12月号(通巻第937集)
해인사
2020-11-15
[10]
뉴스인용
국산전함 시대
https://news.kbs.co.[...]
2000-12-29
[11]
뉴스인용
한국형 구축함 ‘양만춘함’ 성능개량사업 완료…9일 해군에 인도
http://news.heraldco[...]
2020-09-09
[12]
뉴스인용
구축함 '을지문덕함' 성능 개량 마치고 해군 인도
https://www.news1.kr[...]
2021-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