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효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효숙은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 선수로, 2000년 한국담배인삼공사 배구단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여자 배구 예선전에 국가대표로 발탁되었으며, 2011-2012 시즌 후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정은'으로 개명하고 한국도로공사에서 정직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선수 시절에는 공격수로 활약했으며, 한국도로공사에서 주장을 맡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성여자고등학교 동문 - 김세영 (배구 선수)
 김세영은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 선수로, 2000년 프로 데뷔 후 뛰어난 블로킹 능력과 국가대표 활약을 바탕으로 V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개인적으로도 공격상과 블로킹상을 수상하고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은메달을 획득했다.
- 남성여자고등학교 동문 - 임은지
 임은지는 대한민국 장대높이뛰기 선수로, 한국 신기록 수립,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출전, 동아시아 경기 대회 금메달, 인천 아시안 게임 동메달 획득 등의 업적을 이루었다.
- 2012년 스포츠 - 이재우 (핸드볼 선수)
- 2012년 스포츠 - 문영희
 문영희는 한국체육대학교를 졸업하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은메달 획득),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여자 하키 국가대표로 참가한 대한민국의 하키 선수이다.
- 올림픽 배구에 관한 - 하종화
 하종화는 한양대학교 시절 대통령배 우승, 현대캐피탈 선수 시절 실업팀 우승을 경험한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이자 현대캐피탈 감독, 진주동명고등학교 배구부 감독을 역임하며 전광인 등 유명 선수들을 육성한 지도자이며, 입시 비리 사건 이후에도 진주동명고등학교 감독으로 복귀하여 우승을 이끌었고 현재는 한국배구연맹 경기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 올림픽 배구에 관한 - 조혜정 (배구인)
 조혜정은 숭의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배구 선수, 지도자로 활동하며,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1973년 FIVB 월드컵 MVP를 수상했으며, GS칼텍스 감독을 역임했으나 2024년 사망했다.
| 임효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임효숙 | 
| 로마자 표기 | Im Hyo-suk | 
| 출생일 | 1982년 4월 26일 | 
| 출생지 | 부산광역시 | 
| 국적 | 대한민국 | 
| 신장 | 177cm | 
| 체중 | 75kg | 
| 포지션 | 윙스파이커 | 
| 별명 | 임감독 | 
| 등번호 | 7 (국가대표팀) | 
| 선수 경력 | |
| 출신 학교 | 부산 남성여자중학교, 부산 남성여자고등학교 | 
| 소속 팀 | 대전 KT&G, 성남 도로공사 | 
| 입단 년도 | 2007년 | 
| 국가대표 경력 | |
|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 
| 국가대표팀 연도 | 2008년-2012년 | 
| 주요 대회 참가 | 베이징 올림픽 예선, 런던 올림픽 본선 | 
| 신체 능력 | |
| 스파이크 높이 | 278cm | 
| 블로킹 높이 | 270cm | 
2. 선수 경력
임효숙은 부산 남성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0년 한국담배인삼공사 배구단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KGC인삼공사와 한국도로공사에서 선수 생활을 하였다.
베이징 올림픽 여자 배구 예선전에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2008년 5월 17일부터 일본에서 경기를 치렀다. 태극 마크를 단 것은 이 때가 처음이다. 2011-2012 시즌 후 V-리그 은퇴를 선언했고, 런던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코트를 떠난 후 '효숙'에서 '정은'으로 개명하였다.
2. 1. KGC인삼공사 시절 (2000-2007)
임효숙은 부산 남성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0년 한국담배인삼공사 배구단에 입단했다. 소속 팀에서 힘있는 공격을 보이며 주전으로 경기를 치렀다. 그러나 2005년 시즌 종료 후 왼쪽 무릎 연골 수술을 받았고, 2005~2006 시즌을 치르던 2006년 2월에는 경기 도중 아킬레스건이 끊어지는 큰 부상을 당해 시즌을 접어야 했다.[6] 2005~2006 시즌 동안 스테로이드 처방 주사(일명 데포메드롤이라고 불리는 금지약물이 포함된 대포 주사)를 8차례 투여한 것을 고백하여,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소속 팀 KT&G의 선수 관리 문제점을 드러내기도 했다.[7]아킬레스건 부상으로 선수 생활의 기로에 섰으나, 10개월 간의 오랜 재활 끝에 2006~2007 시즌에 다시 경기에 투입되며 재기에 성공했다. 2006~2007 시즌 후 한국배구연맹에서 처음 시행한 자유계약선수(FA) 제도가 시작되자 FA를 선언하고 KT&G에 잔류했다가, 곧바로 한국도로공사에서 FA를 선언하여 KT&G로 이적한 세터 김사니의 보상 선수로 한국도로공사로 이적했다.
2. 2. 한국도로공사 시절 (2007-2012)
임효숙은 FA를 선언한 후 KT&G에 잔류했지만, 한국도로공사에서 FA를 선언하여 KT&G로 이적한 세터 김사니의 보상 선수로 한국도로공사로 이적했다.[6] 한국도로공사에서는 2007~2008 시즌부터 은퇴할 때까지 주장을 맡았다. 주장 재임 시, 경기 중 타임 아웃 때 감독 이상으로 선수들에게 여러 지시를 하여 "임 감독"이라는 별명이 붙었다.2. 3. 국가대표 경력
임효숙은 2008년 하계 올림픽 여자 배구 예선전에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2008년 5월 17일부터 일본에서 경기를 치렀다. 태극 마크를 단 것은 2008년 하계 올림픽 예선전이 처음이었다.2012년 런던 올림픽에 참가하여 4위를 기록했고[5],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국가대표 경력을 마감했다.
- 올림픽
- * 2012년 (4위)[5]
3. 은퇴 이후
런던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코트를 완전히 떠난 후, '효숙'에서 '정은'으로 개명하였다.
현역 은퇴 후에는 한국도로공사의 정직원으로 재직 중이다.[6][7]
4. 수상 경력
| 연도 | 수상 내역 | 
|---|---|
| 2009년 | NH농협 2008~2009 V-리그 페어플레이상 | 
| 2011년 | NH농협 2010~2011 V-리그 1월 여자부 최우수선수(MVP) | 
5. V-리그 개인 기록
플레이오프
챔피언결정전
2
4
7
16
34(86)
80(200)
0
0
0
3
3
4
37
87
39.53%
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