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잉글랜드의 헨리에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잉글랜드의 헨리에타는 잉글랜드 국왕 찰스 1세와 프랑스의 앙리에타 마리 사이에서 태어난 공주이다. 잉글랜드 내전 중 프랑스로 망명하여 가톨릭으로 성장했으며, 1661년 프랑스 왕 루이 14세의 동생인 오를레앙 공 필리프와 결혼했다. 잉글랜드와 프랑스 간의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670년 도버 밀약 체결에 기여했다. 같은 해 26세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사망했으며, 부검 결과 위장염으로 인한 사망으로 결론났으나 독살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70년 사망 -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는 독일의 약사이자 화학자, 초기 화학 공학자로서 황산나트륨을 발견하고 염산 등을 합성했으며, 케미컬 가든을 최초로 관찰, 기록하고 40권의 책을 저술했다.
  • 1670년 사망 -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는 1621년부터 1670년까지 토스카나 대공으로 재위했으며, 과학과 예술을 후원하고 과학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뇌졸중과 수종으로 사망하여 산 로렌초 성당에 안치되었다.
  • 엑서터 출신 - 윌리엄 템플
    윌리엄 템플은 사회 정의, 교회 일치 운동, 교육 개혁에 헌신한 영국 성공회의 성직자이자 신학자로서, 캔터베리 대주교를 지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교회들을 이끌고 전후 사회 재건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여 복지 국가 설계에 영향을 미쳤다.
  • 엑서터 출신 - 매슈 구드
    매슈 구드는 1978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배우로, 2003년 영화 데뷔 이후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소피 다이모크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고 있다.
잉글랜드의 헨리에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오를레앙 공작 부인
피터 렐리 - 오를레앙 공작 부인 헨리에타 (굿우드 하우스)
피터 렐리, 1669년 작
본명헨리에타 앤 스튜어트
출생일1644년 6월 16일
출생지잉글랜드, 엑서터, 베드퍼드 하우스
사망일1670년 6월 30일
사망지프랑스, 생클루 성
매장일1670년 7월 4일
매장지프랑스, 생드니 대성당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이전: 잉글랜드 국교회)
가문
가문스튜어트 가문
아버지찰스 1세
어머니앙리에타 마리아 오브 프랑스
혼인
배우자필리프 1세
결혼1661년
자녀
자녀마리 루이즈, 스페인 왕비

2. 생애

헨리에타 앤은 잉글랜드 내전 중인 1644년 6월 26일 엑서터의 베드포드 하우스에서 찰스 1세와 왕비 앙리에타 마리 사이에서 태어났다.[17] 헨리에타의 어머니는 앙리 4세와 마리 드 메디시스의 딸로, 루이 13세의 누이였기 때문에 헨리에타 앤에게도 프랑스 왕실의 피가 흐르고 있었다.

청교도 혁명으로 앙리에타 마리는 옥스퍼드를 떠나 엑서터에서 헨리에타를 출산했다.[17] 출산 직후, 앙리에타 마리는 헨리에타 앤을 모턴 부인에게 맡긴 후[18] 1644년 7월에 프랑스로 건너갔다. 프랑스 왕실로부터 내전 진압을 위한 도움을 얻기 위해서였다.[19] 찰스 1세는 잉글랜드 교회 의식에 따라 1644년 7월 21일 엑서터 대성당에서 헨리에타에게 세례를 받게 했다.[19] 1644년 7월 26일, 찰스 1세는 헨리에타 앤을 보기 위해 찾아왔고, 이후 헨리에타는 런던 외곽의 오틀랜즈 궁전으로 옮겨졌다.[20]

1646년 영국 의회는 모턴 부인에게 어린 공주를 출두시키라는 명을 내렸으나, 모턴 부인은 이를 거부하고 프랑스로 도망쳤다.[20] 헨리에타는 루브르 궁전에서 어머니 앙리에타 마리를 만났고,[20] 1649년 2월, 아버지 찰스 1세가 처형되었다는[21] 소식을 접했다.

1646년 헨리에타는 루브르 궁에서 어머니와 함께 살게 되었고, 3만 리브르의 연금과 생제르맹앙레의 성이 주어졌지만, 이 돈은 찰스 1세 및 영국에서 프랑스로 망명 온 귀족들에게 돌아갔다.[21] 1649년 프롱드의 난을 피해 팔레 루아얄에 있었다.

1660년, 잉글랜드 왕정복고로 오빠 찰스 2세가 국왕으로 추대되자,[22] 루이 14세의 동생이자 이종사촌 오빠인 필리프 1세가 헨리에타에게 구혼했다. 11월 22일 프랑스 왕실은 정식으로 결혼 신청을 했고, 찰스 2세는 여동생을 위해 지참금과 몽타르지 성을 주었다.

1661년 3월 31일 루브르 궁전에서 필리프와 결혼했으나, 남색(동성애)자인 필리프와의 결혼 생활은 쉽지 않았고, 헨리에타는 시아주버니인 루이 14세와 가까워졌다.[20] 필리프와의 사이에서 마리 루이즈, 필리프 샤를, 안나 마리아 등 아이들이 태어났지만, 남편과의 사이는 좋아지지 않았다. 루이 14세는 필리프의 동성 애인 로렌 공을 마르세유의 외딴 섬에 가두고 서신 교환을 금지시켰다.

1668년 루이 14세는 헨리에타에게 프랑스와 영국 간의 동맹을 위한 협력을 부탁했다. 헨리에타는 찰스 2세를 만나 도버 밀약을 맺는 데 성공했다.[20] 찰스 2세는 루이 14세가 네덜란드 공화국을 정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스웨덴네덜란드 공화국과의 삼국 동맹을 포기했다. 이 조약은 1830년까지 공개되지 않았다.[20]

1670년 6월 29일 오후, 헨리에타는 치커리 물을 마시고 갑자기 쓰러져 몹시 괴로워하다가 이튿날 새벽 의문의 죽음을 맞았다.[20] 26살이었다. 필리프의 애인 로렌 공이 헨리에타의 찻잔에 독을 탔다는 소문이 돌았고, 헨리에타의 시신을 부검하였으나 독살의 흔적을 확인할 수 없었다. 공식적으로는 콜레라라고 발표되었으나 실제로는 복막염이었다고 여겨지고 있다.[20]

2. 1. 잉글랜드에서의 유년기

헨리에타 앤은 잉글랜드 내전 중인 1644년 6월 26일, 엑서터의 베드포드 하우스에서 찰스 1세와 왕비 앙리에타 마리 사이에서 태어났다.[17] 그녀의 어머니 앙리에타 마리는 앙리 4세와 마리 드 메디시스의 딸로, 루이 13세의 누이였기 때문에 그 딸인 헨리에타 앤에게도 프랑스 왕실의 피가 흐르고 있었다.

헨리에타가 태어날 당시 청교도 혁명이 벌어져, 어머니 앙리에타 마리는 남편과 함께 있던 옥스퍼드를 떠나 출산을 위해 엑서터로 온 상태였다.[17] 출산 직후, 앙리에타 마리는 헨리에타 앤을 가정교사인 모턴 부인에게 맡긴 후[18] 1644년 7월에 프랑스로 건너갔다. 친정인 프랑스 왕실로부터 내전 진압을 위한 도움을 얻어내기 위해서였다.[19]

찰스 1세는 잉글랜드 교회 의식에 따라 어린 공주의 세례식을 거행하도록 명을 내렸다. 이에 따라 1644년 7월 21일 엑서터 대성당에서 헨리에타에게 세례를 받았다.[19] 찰스 1세1644년 7월 26일에 헨리에타 앤을 보기 위해 찾아왔고, 헨리에타는 런던 외곽의 오틀랜즈 궁전으로 옮겨졌다.[20]

1646년에 청교도의 내란이 왕의 적들에게 유리하게 돌아가자, 영국 의회는 모턴 부인에게 어린 공주를 출두시키라는 명을 내렸다. 그러나 모턴 부인은 이를 거부한 채 농가의 아낙네로 변장한 다음, 아기를 데리고 프랑스로 도망쳤다.[20] 1646년에 헨리에타는 어머니 앙리에타 마리를 만나 루브르 궁전에서 거처하게 되었다.[20]

1649년 2월, 아버지 찰스 1세가 처형되었다는[21] 소식이 전해졌다.

2. 2. 프랑스에서의 생활과 결혼

1646년 어머니 앙리에타 마리아 드 프랑스를 만나 루브르 궁에서 살게 되었다. 3만 리브르의 연금과 생제르맹앙레의 성이 주어졌지만, 이 막대한 돈은 영국의 찰스 1세 및 영국에서 프랑스로 도망쳐 온 망명 귀족들에게 돌아갔다.[21] 1649년 2월, 아버지 찰스 1세가 처형되었다는[21] 소식이 전해졌을 무렵 헨리에타 앤과 가족들은 루이 14세 형제들을 비롯한 왕실 식구들과 함께 프롱드의 난을 피해 팔레 루아얄에 있었다.

1660년, 잉글랜드 왕정복고로 헨리에타 앤의 오빠 찰스 2세가 국왕으로 추대되었다.[22] 그녀가 영국의 공주 지위를 되찾자 루이 14세의 동생이자 자신의 이종사촌 오빠인 오를레앙 공 필리프 1세는 헨리에타에게 구혼했지만, 그녀는 어머니와 함께 일단 영국으로 돌아갔다. 그 해 11월 22일 프랑스 왕실은 정식으로 결혼 신청을 했고, 찰스 2세는 여동생을 위해 지참금과 몽타르지 성을 주었다.

프랑스로 돌아온 헨리에타는 1661년 3월 31일 필리프와 루브르 궁전에서 결혼했다. 그러나 남색(동성애)자인 필리프와의 결혼 생활은 쉽지 않았고, 헨리에타는 시아주버니인 프랑스 왕 루이 14세와 가까워졌다.[20] 두 사람의 밀회를 들키지 않기 위한 위장에 나선 것은 헨리에타의 시녀 루이즈 드 라 발리에르였다. 그녀는 어느 샌가 루이 14세의 애첩이 되었고, 이를 알고 있었던 헨리에타 앤은 루이 14세에 대한 마음을 접었다.

필리프와의 사이에서는 마리 루이즈, 필리프 샤를, 안나 마리아 등 아이들이 차례로 태어났지만, 남편과의 사이는 좋아지지 않았다. 필리프가 부부가 거처하는 생클루 성에까지 애인을 끌어들이자 헨리에타 앤은 견디다 못해 루이 14세에게 고통을 호소했다. 영국의 공주인 헨리에타의 심기를 거스르는 것은 양국의 외교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한 루이 14세는 필리프의 동성 애인 로렌 공을 마르세유의 외딴 섬에 가두고 서신 교환을 금지시켰다.

2. 3. 도버 밀약과 죽음

1668년 루이 14세는 헨리에타에게 프랑스와 영국 간의 동맹을 위한 협력을 부탁했다. 왕의 요청을 받고 영국으로 간 헨리에타는 평소 사이가 좋았던 오빠 찰스 2세를 만나 도버 밀약을 맺는 데 성공했다.[20] 찰스 2세는 루이 14세가 네덜란드 공화국을 정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스웨덴네덜란드 공화국과의 삼국 동맹을 포기했다. 이 조약은 1830년까지 공개되지 않았다.[20]

1670년 6월 29일 오후, 헨리에타는 치커리 물을 마시고 갑자기 쓰러져 몹시 괴로워하다가 이튿날 새벽 의문의 죽음을 맞았다.[20] 이때 그녀의 나이는 26살이었다. 필리프의 애인 로렌 공이 헨리에타의 찻잔에 독을 탔다는 소문이 돌았고, 헨리에타의 시신을 부검하였으나 의사들은 독살의 흔적을 확인할 수 없다는 데 의견을 일치시켰다. 그녀의 사인에 대해서는 의사들도 의견이 분분했고 공식적으로는 콜레라라고 발표되었으나 실제로는 복막염이었다고 여겨지고 있다.[20]

3. 자녀

헨리에타는 8년간의 결혼 생활 동안 여러 번 임신했으나 무사히 태어나서 성장한 것은 두 명뿐이었다.

사진이름생일사망기타
마리 루이즈1662년 3월 26일1689년 2월 12일(26세)스페인 왕비(카를로스 2세와 결혼)
유산아1663년1663년유산
필리프 샤를1664년 7월 16일1666년 12월 8일요절
사산된 딸1665년 7월 9일1665년 7월 9일요절
유산아1668년1668년유산
안마리 도를레앙1669년 8월 27일1728년 8월 26일(58세)사르데냐 왕비(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와 결혼)

4. 가계도

Henrietta Anne Stuart|헨리에타 앤 스튜어트영어는 잉글랜드의 찰스 1세와 프랑스의 앙리에트 마리의 막내딸로, 프랑스루이 14세의 동생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의 첫 번째 부인이었다.

관계이름비고
잉글랜드의 찰스 1세
프랑스의 앙리에트 마리
조부 (부)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
조모 (부)덴마크의 앤
조부 (모)프랑스의 앙리 4세
조모 (모)메디치 가문의 마리
증조부 (부)헨리 스튜어트, 던리 경[8]
증조모 (부)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9]
증조부 (모)방돔 공작 앙투안[10]
증조모 (모)나바르의 잔 3세[11]
형제자매찰스 2세, 제임스 2세, 글로스터 공작헨리, 메리 헨리에타 스튜어트 (오라녜 공 빌럼 2세의 부인), 엘리자베스
사촌루이 14세,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
조카윌리엄 3세
배우자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
자녀마리 루이즈 도를레앙 (스페인 왕 카를로스 2세의 왕비), 안 마리 도를레앙 (사르데냐 국왕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의 왕비), 필립 샤를 (1664년 출생, 1666년 사망), 1663년, 1666년, 1667년, 1668년 유산


5. 문화적 영향

앙리에트는 장 라신을 포함한 젊고 재능 있는 예술가들의 육성과 보호에 힘썼다. 그녀의 자택에서 열린 살롱에는 철학자, 화가, 문학가, 음악가가 모여 예술론에 대해 이야기했다. 비극 작가 장 라신도 앙리에트의 살롱에 들어가기를 바라며, 그녀에게 헌사를 보낸 『안드로마크』로 성공을 거두어 눈에 띄게 되었고, 1670년 그녀의 요청으로 완성한 『베레니스』도 호평을 받아 작가로서의 지위를 굳건히 했다(다만 상연은 앙리에트의 사후).[11]

참조

[1] 서적 Henrietta Maria and the English Civil Wars Ashgate Publishing
[2] 논문 Paintress, princess and physician's paramour: poison or perforation? 1998-04
[3] 간행물 Elisabeth Charlottens Briefe an Karoline von Wales
[4] 서적 The Memoirs of the Duke de Saint-Simon on the Reign of Louis XIV. and the Regency https://books.google[...] Swan, Sonnenschein, Lowrey
[5] 서적 The Royal Secret Harper Collins
[6] 문서 森
[7] 문서 戸張
[8] 문서 友清
[9] 문서 戸張、友清
[10] 문서 戸張
[11] 문서 戸張
[12] 문서 宮本
[13] 문서 宮本
[14] 문서 友清
[15] 문서 戸張
[16] 문서 戸張、宮本、友清
[17] 서적 Madame: A life of Henrietta, daughter of Charles I and Duchess of Orléans Seeley and Co.Ltd
[18] 서적 Madame: A life of Henrietta, daughter of Charles I and Duchess of Orléans https://archive.org/[...] Seeley and Co.Ltd
[19] 서적 Love and Louis XIV; The Women in the Life of the Sun King Anchor Books
[20] 웹사이트 앙리에트-안 당글테르 https://terms.naver.[...] 2006-08-10
[21] 서적 이야기 영국사 청아출판사 2006-01-05
[22] 서적 이야기 영국사 청아출판사 2006-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