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라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라풀은 동아시아 원산의 수생식물로, 중국, 한반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물속줄기에서 부수엽이 나오고, 잎은 심장 모양이며, 뒷면에 공기 주머니가 있어 물에 뜬다. 흰색의 단성화가 피며, 암수딴그루이고, 개화기는 8~10월이다. 일본에서는 준위협종으로, 한국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라풀과 - 검정말
    검정말은 수생 식물로, 가늘고 긴 잎을 가지며, 미국 등지에서 귀화 및 침입종으로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제초제 및 생물학적 방제로 관리된다.
  • 자라풀과 - 나사말
    나사말은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하는 수생식물로, 땅속줄기를 통해 번식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어항이나 약재로도 사용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자라풀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택사목
자라풀과
자라풀속
자라풀 (H. dubia)
학명
학명Hydrocharis dubia
이명Pontederia dubia Blume
Monochoria dubia (Blume) Miq.
Limnobium dubium (Blume) Shäffer-Fehre
Hydrocharis parvula Hallier f.
Hydrocharis parnassiifolia Hallier f.
Hydrocharis morsus-ranae var. asiatica
Hydrocharis cellulosa Buch.-Ham. ex Prain
Hydrocharis asiatica Miq.
Boottia renifolia Merr.
보전 상태
IUCN 적색 목록LC - Least Concern (최소 관심)
참고IUCN 적색 목록

2. 분포

동아시아 원산으로, 중국, 한국,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일본에 분포한다.[1]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의 저수지나 늪에서 흔히 발견된다.[1] 일본에서는 혼슈에서 남서 제도에 걸쳐 분포한다.[1]

3. 특징

물속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여러 개의 부수엽(물에 뜨는 잎)이 나온다. 잎은 심장 모양으로 긴 잎자루를 가지고 있으며, 뒷면 중심부에 공기 주머니가 있어 물에 잘 뜬다. 꽃은 흰색의 단성화이며, 3개의 꽃받침조각과 꽃잎을 가지고 있다. 수꽃은 잎겨드랑이에 2-3개가 달리는데, 꽃자루가 가늘고 6-9개의 수술을 가지며, 그 중 3-6개는 헛수술이다. 암꽃은 심피 끝이 갈라진 암술이 6개이다.[2]

3. 1. 생태

연못, , 하천, 용수로, 드물게는 에서 자라는 부엽식물이다.[2] 물속에 뻗은 포복경의 마디에서 뿌리, 잎, 꽃이 형성된다. 잎은 먼저 2장의 탁엽이 형성되고, 그 겨드랑이에서 부엽이 나온다.[2] 부엽에는 3~15cm의 긴 자루가 있으며, 끝의 잎몸은 수련의 각을 둥글게 한 듯한 형태이다. 잎 뒷면 중앙에는 솟아오른 부분이 있으며, 이 부풀어 오른 부분이 공기 주머니가 되어 수면에 뜬다.

개화기는 8~10월이며, 꽃잎은 순백색으로 3장이다. 은 하루 만에 시든다. 암수딴그루로, 암꽃은 심이 끝이 갈라진 암술이 6개, 수꽃도 6개의 수술이 있다.

4. 보전 상황

일본 환경성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NT)으로 평가되었다.[1] 한국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자라풀 서식지 보전을 위한 정책 마련에 노력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Hydrocharis dubia www.iucnredlist.org IUCN 2011
[2] 서적 世界の雑草〈3〉単子葉類 全国農村教育協会 1997
[3] 웹인용 Species 2000 & ITIS Catalogue of Life: 2014 Annual Checklist. http://www.catalogue[...] Species 2000: Reading, UK. 2019-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