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사그는 왕자 칭호를 가진 몽골, 내몽골, 외몽골, 신장 지역의 주요 통치자들을 의미한다. 내몽골 자사그는 아오한, 오르도스, 하르친, 코르친 부족 등으로 구성되며, 각 부족의 지도자는 다양한 칭호를 받았다. 외몽골 자사그는 할하 부족과 사인 노얀 부족으로 나뉘며, 신장 자사그는 알티샤르 지역의 쿠물 칸국과 투르판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어 낱말 - 쿠릴타이
쿠릴타이는 몽골 제국 시대에 칸을 선출하고 법을 제정하며 군사적 행동을 논의하는 최고 정치 회의였으며, 몽골 및 튀르크 계열 민족들이 현대에도 정치적 의미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 몽골어 낱말 - 탐가
탐가는 중앙아시아 몽골 및 튀르크 부족들이 사용한 상징 기호로, 몽골 제국에서는 과세 품목 인장, 튀르크족은 씨족 표식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국새나 가축 낙인 등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기능한다. - 몽골의 역사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몽골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자사그 | |
---|---|
자사그 | |
언어 | 몽골어: 자사그, 또는 засаг ноён (자사그 노용) 중국어: 札薩克 (찰살극) |
어원 | 권력, 권위 |
참고 자료 | https://blogs.cuit.columbia.edu/ajw2203/2018/11/09/jasagh-lama/%7CJasagh Lama – Columbia tibetan studies |
관련 용어 | 러시아어: сул (술) 러시아어: хохь тайж (호흐 타이즈) |
몽골어(만주 문자) | (자사그) |
2. 내몽골 자사그
내몽골의 자사그는 청나라 시기 내몽골 지역의 몽골 귀족들에게 주어진 작위였다. 이들은 각 부족 또는 기(旗)를 다스리는 세습 통치자였다. 대표적인 부족으로는 아오한, 하르친, 코르친 부족 등이 있다.
- 아오한 부족: 아오한 몽골 동맹 지도자들은 정이품 친왕 칭호를 받았으며, 마지막 자사그는 종친왕으로 승진했다.
- 하르친 부족: 하르친 부족의 자사그에 대한 정보는 현재 부족하다.
- 코르친 부족: 코르친 기의 자사그들은 다양한 작위를 받았으며, 청나라 황실과의 혼인을 통해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2. 1. 아오한 부족
아오한 몽골 동맹 지도자들은 정이품 친왕의 칭호를 받았다. 마지막 자사흐만이 종친왕으로 승진했다.날짜 | 자사흐 | 씨족 | 배경 |
---|---|---|---|
1644 | 소드놈 듀그렝(索諾木杜棱/索诺木杜棱|숴눠무두렁중국어) | 보르지긴 | 누르하치의 셋째 딸(망구지)의 남편 |
1644-1668 | 마지케(玛济克|마지커중국어; d. 1647) | 소드놈 듀그렝의 아들 | |
1668-1674 | 부다(布达|부다중국어) | 마지케의 형제 | |
1674-1689 | 사무필레(萨木丕勒) | 부다의 아들 | |
1689-1690 | 아민 달라이(阿敏达赉|아민다라이중국어) | 사무필레의 아들 | |
1690-1691 | 어세 몽케(额色蒙克|어써멍커중국어) | 아민 달라이의 아들 | |
1691-1704 | 다선다자얼(达什达札尔|다스다자얼중국어) | 어세 몽케의 남동생 | |
1704-1705 | 와레다(瓦勒达|와러다중국어) | 다선다자얼의 아들 | |
1705-1748 | 얼러자이(鄂勒斋) | 와레다의 형제 | |
1748-1779 | 라션 라부단(喇什剌布但) | 얼러자이의 아들 | |
1779-1805 | 치모테 루와(齐默特噜瓦) | 라션 라부단의 아들 | |
1805-1843 | 간사바라(甘萨巴拉) | 치모테 루와의 아들 | |
1843-1870 | 부얀 데겔레리 구루케치(布彦徳格勒哷固鲁克齐) | 간사바라의 아들 | |
1870-1906 | 차케다얼자부(察克达尔札布) | 부얀 데겔레리 구루케지의 양자 | |
1906-1933 | 체링 두안루부(色凌端鲁布) | 차케다얼자부의 장남 |
2. 2. 하르친 부족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하르친 부족에 대한 표가 제시되어 있지만, 연도, 자사그, 씨족, 가문 배경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비어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이 섹션에 추가할 내용이 없습니다.2. 3. 코르친 부족
자사그는 코르친 기의 구성원에게 수여된 작위로, 일등 공친 바돌고토(Bodlogtoi) 등의 작위를 받은 자들이 있었다. 일부 자사그들은 군공을 세워 청나라에 크게 기여했으며, 코르친 연맹의 지도자들은 코르친 몽골족과 만주족 간의 외교적 결혼 전통에 따라 부마가 되기도 했다.코르친 기의 자사그 중 둥골얼(栋果儿尔|둥궈얼중국어) 가문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자사그 | 씨족 | 가족 배경 |
---|---|---|---|
1636-1643 | 둥골얼 | 보르지긴 | |
1643-1664 | 장지룬(Zhangjilun) | 아버지: 둥골얼 | |
1664-1684 | 부달리(Budali) | 아버지: 장지룬 | |
1684-1685 | 자가얼(Zhaga'er) | 아버지: 부달리 | |
1685-1710 | 다이부(Daibu) | 아버지: 자가얼 | |
1710-1716 | 알라브단(Alabdan) | 아버지: 다이부 | |
1716-1738 | 뤄부장 라센(Luobozang Lashen) | 형제: 알라브단 | |
1738-1782 | 치메드 도르지(Chimed Dorji) | 아버지: 뤄부장 라센 | 배우자: 윤루의 장녀이자 고로로 부인의 차녀인 이등 단유 공주 |
1782-1783 | 발주르(Baljur) | 형제: 치메드 도르지 | |
1783-1825 | 소드남우도르지(Sodnamudorji) | 아버지: 발주르 | 배우자: 가경제의 셋째 딸이자 희귀태비 소생의 이등 장경 공주 |
1825-1865 | 승격린친 | 아버지: 부헤겔리게르 | 양아버지: 소드남우도르지 |
1865-1891 | 부얀네메쿠(Buyannemekü) | 아버지: 승격린친 | 배우자: 정실 부인(나라 씨족)의 딸이자 재원의 장녀인 삼등 공주 |
1891-1917 | 아무르링쿠이 | 아버지: 나르수 | 할아버지: 부얀네메쿠 |
코르친 기의 자사그가 보유한 또 다른 작위는 일등 달한 친왕이었다. 이 가문은 이전 가문보다 더 명망이 높았으며, 이 작위를 가진 대부분의 인물들은 청나라의 가장 저명한 황실 후궁들의 부마이자 친척이었다.
연도 | 자사그 | 씨족 | 가족 배경 | ||
---|---|---|---|---|---|
1652-1665 | 만주실리(Manzhuxili) | 보르지긴 | 아버지: 자이상 | 어머니: 볼리 | 자매: 효장문황후 |
1665-1669 | 헤타(Heta) | 아버지: 만주실리 | |||
1671-1710 | 반디(Bandi) | 아버지: 헤타 | 배우자: 기도의 둘째 딸인 구륜 단민 공주 | ||
1710-1752 | 뤄부장건부(Luobozanggunbu) | 아버지: 반디 | 어머니: 구륜 단민 공주 | 배우자: 유왕 부권의 다섯째 딸인 삼등 공주 | |
1752-1755 | 셉텡 발주르(Septeng Baljur) | 아버지: 뤄부장건부 | 배우자: 일등 화경 공주 (건륭제의 셋째 딸) | ||
1755-1773 | 체왕 노르부(Tsewang Norbu) | 형제: 셉텡 발주르 | 배우자: 윤루의 여섯째 딸인 사등 공주 | ||
1773-1798 | 왕잘 도르지(Wangjal Dorji) | 아버지: 체왕 노르부 | |||
1798-1808 | 단쳉왕부(Dancengwangbu) | 아버지: 왕잘 도르지 | |||
1808-1838 | 부얀원두르후(Buyanwen Durhu) | 아버지: 단쳉왕부 | |||
1838-1874 | 소드남 펑수케(Sodnam Pengsuke) | 아버지: 부얀원두르후 | |||
1874-1884 | 쿤부 왕질레(Kunbu Wangjile) | 아버지: 소드남 펑수케 | |||
1884-1947 | 남질셀렝(Namjilseleng) | 아버지: 쿤부 왕질레 |
일등 줘리케투 친왕은 코르친 연맹의 자사그를 위해 배정된 작위 중 하나였다.
연도 | 자사그 | 씨족 | 가족 배경 | |
---|---|---|---|---|
1636-1665 | 우커산(Wukeshan) | 보르지긴 | 아버지: 자이상 | 자매: 효장문황후, 하르졸 |
1665-1667 | 비르타카르(Birtakhar) | 아버지: 우커산 | 배우자: 일등 옹목 공주(야투) | |
1667-1682 | 에키르(Eqir) | 아버지: 비르타카르 | 배우자: 예도 친왕 도도의 여덟째 딸 | |
1682-1688 | 둘레바(Duleba) | 아버지: 우커산 | ||
1688-1725 | 바테마(Batema) | 아버지: 둘레바 | ||
1725-1737 | 알라탄 게후르(Alatan Gehur) | 아버지: 바테마 | ||
1727-1761 | 자무바르 자무수(Zhamubale Zhamusu) | 아버지: 알라탄 게후르 | ||
1761-1795 | 공게 랍단(Gongge Labdan) | 아버지: 자무바르 자무수 | ||
1795-1804 | 라왕(Lhawang) | 아버지: 공게 랍단 | ||
1804-1826 | 가르상들롱롭(Garsangdlonglob) | 아버지: 라왕 | ||
1826-1861 | 바투(Batu) | 아버지: 가르상들롱롭 | ||
1861-1891 | 지크뎅 왕쿠르(Jikdeng Wangkur) | 아버지: 바투 | ||
1891-1894 | 단셀리트 왕주르(Danselit Wangjur) | 아버지: 지크뎅 왕쿠르 | ||
1894-1906 | 에르뎀 빌레크투(Erdem Bilektu) | 아버지: 단셀리트 왕주르 | ||
1906-1919 | 체왕 두안루브(Tsewang Duanlub) | 아버지: 에르뎀 빌레크투 | ||
1919-1954 | 헤시예레투 모르겐(Hexiyeletu Morgen) | 아버지: 체왕 두안루브 |
외몽골은 여러 부족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부족의 지도자인 자사그는 다양한 칭호를 받았다. 주요 부족으로는 할하 부족과 사인 노얀 부족이 있었다. 할하 부족의 지도자는 1등 공 칭호를, 사인 노얀 부족의 자사그는 1등급 공작 칭호를 받았다. 사인 노얀의 자사그는 할하 동맹의 지도자처럼 대우받았다.
3. 외몽골 자사그
3. 1. 할하 부족
할하 연맹의 지도자들은 1등 공(Prince of the First Rank)의 칭호를 가졌다. 1등 다르한 공(Prince Darhan of the First Rank)의 칭호는 3등 공(Prince of the Third Rank)으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회복되었다.
연도 | 자사그 | 씨족 | 가계 배경 |
---|---|---|---|
1653-1669 | 바타르 |
3. 2. 사인 노얀 부족
사인 노얀은 할하 계곡의 일부였다. 사인 노얀 동맹의 자사그는 1등급 공작의 칭호를 받았다. 사인 노얀의 자사그는 할하 동맹의 지도자처럼 대우받았다.4. 신장 자사그
신장 지역은 자사그 통치자가 다스렸으며, 6명 중 2명이 "왕" 칭호를 받았다. 이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알티샤르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투르크계 무슬림 주요 지역인 알티샤르는 자사그 통치자가 다스렸으며, 이들 중 6명 가운데 2명은 "왕" 칭호를 받았다.지역 | 칭호 |
---|---|
쿠물 칸국 | 무슬림 깃발, 정1품 공작 |
투르판 | 무슬림 깃발, 정2품 공작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