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탐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탐가는 튀르크어, 몽골어 등에서 인쇄, 도장, 상징 등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킵차크 칸국 시기 중앙아시아, 동유럽 등에서 관세, 세금 등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몽골 제국에서는 세금이 부과된 물품에 찍는 도장을 의미했다. 튀르크 민족들은 씨족을 나타내는 문양으로 사용했고, 카자흐스탄에서는 각 부족과 씨족의 탐가를 사용한다. 류리크 왕조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심볼로 사용했으며, 이슬람 제국에서는 공식 도장이나 훈장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어 낱말 - 쿠릴타이
    쿠릴타이는 몽골 제국 시대에 칸을 선출하고 법을 제정하며 군사적 행동을 논의하는 최고 정치 회의였으며, 몽골 및 튀르크 계열 민족들이 현대에도 정치적 의미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 몽골어 낱말 - 노얀
    노얀은 몽골 유목 사회에서 족장, 몽골 제국 시대의 군사 지휘관 및 귀족을 지칭하는 칭호로, 시대에 따라 칭기즈 칸의 후손, 귀족, 존칭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 유물 형태 - 화살
    화살은 활과 함께 사용되는 발사체로, 살대, 살촉, 깃, 오늬 등으로 구성되며 전쟁, 사냥,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기도 한다.
  • 유물 형태 - 곡옥
    곡옥은 동물의 이빨이나 태아 모양을 본뜬 장신구로, 일본에서 유래하여 권력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부적이나 장식품으로 쓰인다.
  • 인장 - 국새
    국새는 국가 중요 문서의 진정성과 법적 효력을 보장하는 인장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헌법 공포문 등에 사용되며, 시대에 따라 디자인과 재료가 변화하고 위조 및 남용은 엄중히 처벌된다.
  • 인장 - 대한민국의 국새
    대한민국의 국새는 헌법 공포, 고위 공무원 임명장, 훈장 수여, 중요 외교 문서 등에 사용되는 공식 인장으로, 고조선부터 이어져 온 역사를 가지며 다섯 차례 디자인 변경을 거쳐 현재 다섯 번째 국새가 사용되고 있고, 훈민정음으로 "대한민국" 글씨와 봉황, 무궁화 장식이 새겨져 행정안전부 장관이 관리하며 이전 국새들은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다.
탐가
개요
언어별 명칭otk: 𐱃𐰢𐰍𐰀 (tamga, "도장, 인장")
tr: damga
mn: tamga
ady: тамыгъэ (tamığə)
kbd: дамыгъэ (damığə)
어원
어원튀르크어족의 "도장, 인장"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
다른 언어 표기otk: 𐱃𐰢𐰍𐰀 (tamaɣ'a)
mn: (tamaɣ'a)
역사 및 용도
용도유목 민족 집단의 상징
재산 표시
가축 낙인
족장 또는 씨족의 문장
사용 민족튀르크족
몽골족
사르마티아인
기타 유라시아 유목 민족
특징추상적인 기하학적 형태
가문의 상속 및 결속 상징
관련 문화유라시아 유목 문화
현대적 의미
현대적 의미일부 국가 및 지역의 국장 또는 상징에 사용됨
예시크림 타타르족의 국기
우크라이나의 상징

2. 언어

튀르크어로 "탐가"라는 단어는 인쇄를 포함해 몇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킵차크 칸국 통치기에 이 용어는 중앙아시아, 동유럽, 중동, 코카서스, 남캅카스에 있는 국가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관세를 나타내는 단어 역시 "탐가"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다.[25]

몽골어에서도 "탐가"라는 단어는 인쇄 등을 의미한다. 킵차크 칸국 통치기에 이 용어는 한자로 인쇄된 문서, 돈, 세금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스티커, 표지판, 스탬프를 나타내는 말로 인식된다. "중국어나 티베트어에는 그러한 뿌리가 없기 때문에" 몽골어 어휘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며, 튀르크어의 "탐가"라는 단어 역시 몽골어에서 차용된 것이라고 보는 학자들도 존재한다.[26]

퉁구스 만주어에서는 탐가의 어원이 퉁구스 만주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몇 가지 유사한 어휘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고 본다.[27][28]

2. 1. 튀르크어

튀르크어로 "탐가"라는 단어는 인쇄를 포함해 몇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킵차크 칸국 통치기에 이 용어는 중앙아시아, 동유럽, 중동, 코카서스, 남캅카스에 있는 국가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관세를 나타내는 단어 역시 "탐가"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다.[25]

몽골어에서도 "탐가"라는 단어는 인쇄 등을 의미한다. 킵차크 칸국 통치기에 이 용어는 한자로 인쇄된 문서, 돈, 세금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스티커, 표지판, 스탬프를 나타내는 말로 인식된다. "중국어나 티베트어에는 그러한 뿌리가 없기 때문에" 몽골어 어휘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며, 튀르크어의 "탐가"라는 단어 역시 몽골어에서 차용된 것이라고 보는 학자들도 존재한다.[26]

퉁구스 만주어에서는 탐가의 어원이 퉁구스 만주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몇 가지 유사한 어휘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고 본다.[27][28]

2. 2. 몽골어

투르크어로 "탐가"라는 단어는 인쇄를 포함해 몇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킵차크 칸국 통치기에 이 용어는 중앙아시아, 동유럽, 중동, 코카서스, 남캅카스에 있는 국가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관세를 나타내는 단어 역시 "탐가"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다.[25]

몽골어에서도 "탐가"라는 단어는 인쇄 등을 의미한다. 킵차크 칸국 통치기에 이 용어는 한자로 인쇄된 문서, 돈, 세금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스티커, 표지판, 스탬프를 나타내는 말로 인식된다. "중국어나 티베트어에는 그러한 뿌리가 없기 때문에" 몽골어 어휘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며, 투르크어의 "탐가"라는 단어 역시 몽골어에서 차용된 것이라고 보는 학자들도 존재한다.[26]

퉁구스 만주어에서는 탐가의 어원이 퉁구스 만주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몇 가지 유사한 어휘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고 본다.[27][28]

2. 3. 퉁구스어

투르크어와 몽골어에서 "탐가"는 인쇄를 포함한 여러 의미를 지닌다.[25] 킵차크 칸국 통치기에 이 용어는 중앙아시아, 동유럽, 중동, 코카서스, 남캅카스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관세를 나타내는 단어도 "탐가"에서 파생되었다.[25] 몽골어에서 "탐가"는 인쇄 외에도 한자로 인쇄된 문서, 돈, 세금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스티커, 표지판, 스탬프를 의미하기도 한다.[26] "탐가"가 몽골어 어휘이며 투르크어의 "탐가"도 몽골어에서 차용되었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26] 퉁구스어 만주어에서는 탐가의 어원이 퉁구스 만주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몇 가지 유사한 어휘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고 본다.[27][28]

2. 4. 기타 언어

투르크어로 "탐가"라는 단어는 인쇄를 포함해 몇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킵차크 칸국 통치기에 이 용어는 중앙아시아, 동유럽, 중동, 코카서스, 남캅카스에 있는 국가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관세를 나타내는 단어 역시 "탐가"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다.[25]

몽골어에서도 "탐가"라는 단어는 인쇄 등을 의미한다. 킵차크 칸국 통치기에 이 용어는 한자로 인쇄된 문서, 돈, 세금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스티커, 표지판, 스탬프를 나타내는 말로 인식된다. "중국어나 티베트어에는 그러한 뿌리가 없기 때문에" 몽골어 어휘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며, 투르크어의 "탐가"라는 단어 역시 몽골어에서 차용된 것이라고 보는 학자들도 존재한다.[26]

퉁구스 만주어에서는 탐가의 어원이 퉁구스 만주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몇 가지 유사한 어휘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고 본다.[27][28]

3. 역사

3. 1. 고대

두 명의 날개 달린 승리가 왕관을 씌운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유파토르의 탐가를 나타낸 부조는 서기 2세기에 제작되었다.
두 명의 날개 달린 승리가 왕관을 씌운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유파토르의 탐가. 이 부조는 서기 2세기에 제작되었다.
탐가는 선사 시대에 기원했지만, 정확한 사용법과 발전 과정을 시간 순으로 추적할 수는 없다. 그러나 탐가 또는 탐가와 유사한 것으로 언급되는 상징이 암각화에 나타난다.[9] 특정 장소에 개인의 존재를 기록하는 데 사용된다면 중세 탐가와 기능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보스포루스 왕국 후기에는 지배 왕조가 개인 탐가를 사용했는데, 이는 가족을 나타내는 조각과 개별 왕을 나타내는 조각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유목민 전통의 연장선상에 있었고 왕국 내 정착민과 유목민 파벌을 통합하려는 시도로 보인다.[10]

3. 2. 튀르크

불가르인 둘로 족속의 탐가


크림 타타르인의 상징이기도 한 타라크족의 탐가


오구즈 튀르크의 탐가.


동부 아나톨리아와 이란에서 유목을 계속 한 튀르크인들은 그들의 씨족을 나타내기 위해 탐가를 계속 사용했고, 이는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이 강하다는 인상을 심어주는데 기여했다. 아크 코윤루와 카라 코윤루는 유라시아의 다른 왕조들처럼 국기에 탐가를 달고 동전에도 탐가를 박아넣었다.

고향 투르키스탄을 떠난 적이 없는 튀르크인들에게 탐가는 현재까지도 그들의 상징물이자 씨족 식별자로 계속 남아있다. 특히 현대 투르크 민족들 사이에서 특정 투르크 씨족에 속하는 재산이나 소를 식별하기 위한 문양으로도 사용된다.

튀르크 부족들 중 점차 정주민의 삶을 영위하는 족속들이 나타났는데, 탐가는 목가적인 삶의 방식이 잊혀지면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는 만지케르트 전투 이후 아나톨리아 서부와 동부를 점령한 튀르크 부족들에게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서부 아나톨리아를 점령한 튀르크인들은 룸 술탄국을 세우고 로마식 귀족이 되었다. 룸 술탄국이 여러 국가로 분열된 후 그들 대부분은 당시 무슬림이었던의 상징이었던 솔로몬의 인장을 상징물로 채택했다. 그들 중 나중에 오스만 제국이 된 오스만 가지(ghazi)만이 탐가를 유지했는데, 점차 간결해지고 양식화되어 결국 초승달 문양이 되었다.

오구즈 튀르크의 21개 탐가가 마흐무드 알카슈가리의 기록에 남아 현대까지 전해진다.[32]

아시나 부족의 탐가, 돌궐 제1 제국


Clauson(1972, p.504f.)에 따르면, 공통 투르크어 ''tamga''는 "원래 말, 소, 기타 가축에 찍는 '낙인' 또는 소유 표시였으며, 아주 초기에 유럽의 문장이나 가문의 휘장과 같은 것으로 발전했고, 그와 같이 여러 투르크와 많은 옛 키르기스 장례 기념비의 머리 부분에 나타난다."[13]

현대 튀르크 민족에서 탐가는 특정 튀르크 씨족에 속한 재산이나 가축을 식별하는 디자인으로, 일반적으로 가축 낙인이나 도장으로 사용된다.[11] 투르키스탄에서 탐가는 원래의 모습, 즉 가축 낙인과 씨족 식별자로 남아 있다. 동부 아나톨리아와 이란에 목축 유목 왕국으로 남은 투르크인들은 씨족 탐가를 계속 사용했고, 실제로 이는 고조된 민족주의적 이미지로 자리 잡았다. 아크 코윤루와 카라 코윤루는 유라시아의 다른 많은 왕조들과 마찬가지로 탐가를 깃발에 넣었고, 그들의 주화에 이를 새겼다.

튀르크 씨족이 더 많은 도시 지역이나 농촌 지역을 장악하면서 탐가는 유목 생활 방식이 잊혀짐에 따라 사용에서 사라졌다. 이는 만지케르트 전투 이후 서부 및 동부 아나톨리아를 장악한 투르크 씨족에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다. 서부 아나톨리아를 장악한 투르크인들은 룸 술탄국을 건국했고 로마식 귀족이 되었다. 그들 대부분은 술탄국이 대규모의 분쟁하는 가즈 국가로 분열된 후 당시 무슬림의 상징인 솔로몬의 인장을 채택했다(이스펜디야르 왕조, 카라만 왕조 참조). 오직 오스만 가즈 국가(후에 오스만 제국이 됨)만이 탐가를 유지했는데, 이는 매우 양식화되어 활이 결국 초승달 모양으로 단순화되었다.

마흐무드 카슈가리가 그의 저서 ''디반 루가트 앗-투르크''에 기록한 21개의 오구즈 부족의 탐가(차룩루그는 없음):[12]

바얀두르


살르


우레기르 (''유레기르'')


3. 2. 1. 오구즈 튀르크



동부 아나톨리아와 이란에서 유목 생활을 계속 한 튀르크인들은 그들의 씨족을 나타내기 위해 탐가를 계속 사용했고, 이는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이 강하다는 인상을 심어주는데 기여했다. 아크 코윤루와 카라 코윤루는 유라시아의 다른 왕조들처럼 국기에 탐가를 달고 동전에도 탐가를 박아넣었다.

고향 투르키스탄을 떠난 적이 없는 튀르크인들에게 탐가는 현재까지도 그들의 상징물이자 씨족 식별자로 계속 남아있다. 특히 현대 투르크 민족들 사이에서 특정 투르크 씨족에 속하는 재산이나 소를 식별하기 위한 문양으로도 사용된다.

튀르크 부족들 중 점차 정주민의 삶을 영위하는 족속들이 나타났는데, 탐가는 목가적인 삶의 방식이 잊혀지면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는 만지케르트 전투 이후 아나톨리아 서부와 동부를 점령한 튀르크 부족들에게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서부 아나톨리아를 점령한 튀르크인들은 룸 술탄국을 세우고 로마식 귀족이 되었다. 룸 술탄국이 여러 국가로 분열된 후 그들 대부분은 당시 무슬림이었던의 상징이었던 솔로몬의 인장을 상징물로 채택했다. 그들 중 나중에 오스만 제국이 된 오스만 가지(ghazi)만이 탐가를 유지했는데, 점차 간결해지고 양식화되어 결국 초승달 문양이 되었다.

오구즈 튀르크의 21개 탐가가 마흐무드 알카슈가리의 기록에 남아 현대까지 전해진다.[32]

3. 2. 2. 오스만 제국

요약(summary)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source) 또한 비어있으므로, 주어진 정보가 없습니다. 따라서 '탐가' 문서의 '오스만 제국'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3. 몽골 제국

몽골 제국에서 탐가는 세금이 부과된 물품에 붙이는 도장을 의미했으며, 더 나아가 상업에 부과된 세금을 의미하기도 했다.[29] "탐가(Tamga)" 또는 "타마가(tamag'a)"는 문자 그대로 몽골어로 "도장" 또는 "인장"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중앙 아시아의 다양한 몽골 부족 또는 씨족이 사용했던 상징적인 기호를 지칭한다.[14]

몽골에서 사용된 탐가만 100개가 넘게 알려져 있다.[30][31] 이들 중 중세 몽골과 튀르크 통치자들이 사용한 것들이 주로 알려져있는데, 이는 이들이 발행한 동전과 인장에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탐가는 13세기와 14세기 동안 칭기즈칸의 후손들이 중앙아시아의 여러 칸국, 특히 차가타이 칸국에서 발행한 이슬람 동전들을 통해 가장 잘 알려져있다. 니아마 박사는 동전에 사용되는 거의 100개의 탐가를 식별하였지만 그 중 약 절반만을 특정 칸에게 할당할 수 있었는데, 그 중 일부는 변형된 형태이거나 같은 표시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고 보고했다.[15][16]

몽골 국새 기념비는 울란바토르의 몽골 국새 기념비에 168개의 탐가를 보여준다.


탐가는 현재의 몽골과 같은 지역에서 가축이 낮 동안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기 때문에 특정 가족의 소유임을 식별하기 위해 말과 같은 가축에 낙인을 찍는 데 사용된다. 각 가족은 더 쉬운 식별을 위해 자체적인 탐가 표시를 가지고 있다.

''타마가(tamag'a)''는 또한 몽골 대통령이 새로운 대통령에게 인수인계하는 과정의 일부로 넘겨지는 몽골의 "국새"로도 사용된다.

3. 4.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에는 여러 부족과 씨족이 존재하며, 각자의 탐가를 가지고 있다.

주즈씨족탐가
대 씨족캉글리
30px
,
30px
잘라일
30px
둘라트
30px
,
30px
둘라트시킴,
30px
,
30px
자니스
30px
보트바이
시미르
30px
알반
수완
30px
사리-위신
30px
샤피라스티
30px
,
30px
,
|30px]]
오샤크티
30px
이스티,
오이이,
30px
틸리크
30px
시르겔리
30px
,
30px
,
30px
,
|30px]]
샤니시킬리
30px
,
|30px]]
중 씨족아르긴
아르긴타라트키,
|30px]]
조가리 셰크티
|30px]]
토멘기 셰크티
|30px]]
나이만
|30px]],
|30px]]
발탈리
|30px]]
바가날리
|30px]],
|30px]],
|30px]]
부와라
|30px]]
카라케레이
|30px]]
마타이
|30px]]
킵차크
|30px]]
코니라트
상길
와크
|30px]], ,
|30px]]
에르게네크티 와크,
|30px]]
케레이트
|30px]]
아샤마일
아바크
|30px]]
소 씨족바율리
|30px]],
|30px]]
베리시
|30px]],
|30px]],
|30px]],
|30px]]
알틴
|30px]],
|30px]]
자파스
|30px]], , ,
|30px]]
에센테미르
|30px]],
|30px]]
타즈
|30px]],
|30px]]
바이브아크티
|30px]], ,
|30px]],
타나
마스카르
알티바스 (알라샤)
|30px]], ,
|30px]]
키질쿠리트,
|30px]], ,
|30px]]
셰르케시, |30px]],
|30px]]
알리물리|30px]],
|30px]],
|30px]]
카라케세크,
토르트카라
셰크티
|30px]], ,
제티루우
|30px]],
|30px]],
|30px]]
타마,
|30px]],
자가바율
|30px]]
텔레우
|30px]],
라마단
주즈 시스템 밖rowspan="4"|토레,
|30px]]
코자,
|30px]]
톨렌기트
노가이-카자흐


3. 5. 동유럽

류리크 왕조 귀족들의 개인 심볼


중세 초기에 키예프 루스의 류리크 왕조(Rurikid) 귀족들은 다양한 품목에 대한 소유권을 나타내기 위해 탐가와 유사한 심볼을 사용했다(류리크 왕조 심볼).[18] 이는 하자르 (튀르크) 기원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19] 루스가 초원 지역으로 확장되면서 함께 채택되었을 것이다.[20] 제2 불가리아 제국(1185–1396)에서도 초원 요소가 유사하게 동화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불가리아 국기가 삼지창 형태를 띠면서 류리크 왕조의 심볼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의 문장, 류리크 왕조 삼지창의 예.


동슬라브어에서 "탐가"라는 용어(러시아어 тамга)는 국경 세관의 국가 기관에서 살아남아 관련 용어들과 함께 사용되었다: "rastamozhit"(러시아어 растаможить, 벨라루스어 растаможыць, 관세 납부), "tamozhnya"(러시아어 таможня, 세관), "tamozhennik"(러시아어 таможенник, 세관원). 이는 탐가가 국가의 증명서로 사용된 데서 유래했다. 동슬라브어에서는 초원 용어가 게르만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형태와 경쟁한다(고대 교회 슬라브어 мꙑто, 러시아어(역사) мы́то "관세", 우크라이나어 мито "통행료, 관세", 벨라루스어 мытня, 우크라이나어 митниця "세관"; 독일어 ''Maut'' "도로 통행료" 및 중세 라틴어 ''mūta'' "통행료" 참조).

20세기에는 류리크 왕조의 삼지창이 구어체로 "트리주브(tryzub)"(тризуб)라고 불리며 국가 상징 및 우크라이나의 문장으로 채택되었다. 현대 버전은 바실 크리체프스키(1918)와 안드리 그레칠로, 올렉시 코칸, 이반 투레츠키(1992)에 의해 디자인되었다.

3. 6. 이슬람 제국

후기 중세 투르크-몽골 국가에서 "탐가"라는 용어는 모든 종류의 공식 도장이나 인장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용법은 초기 근대 이슬람 제국 (오스만 제국, 무굴 제국)과 일부 현대 후계 국가에서도 지속되었다.

무굴 제국의 탐가가 타지마할 꼭대기에 있다.


우르두어에서 "탐가"는 훈장으로 사용된다. 탐가-이-주라트는 파키스탄에서 네 번째로 높은 군사 훈장이다. 이는 전투에서 용맹함과 뛰어난 공로를 인정받아 모든 계급에게 수여된다. 탐가-이-임티아즈(탐가-에-임티아즈/تمغہ امتیازur)는 "우수 훈장"으로 번역되며, 파키스탄 정부가 군인과 민간인 모두에게 수여하는 네 번째로 높은 훈장이다. 탐가-이-키드마트(تمغۂ خدمتur)는 "공로 훈장"으로 번역되며, 파키스탄 정부가 군인과 민간인 모두에게 수여하는 일곱 번째로 높은 훈장이다. 이는 장기적인 공로 또는 비작전적 성격의 뛰어난 공로를 인정받아 부사관 및 기타 계급에게 수여된다.

이집트에서 "담가"() 또는 "탐가"(تمغةar)라는 용어는 여전히 두 가지 맥락에서 사용된다. 하나는 정부와 거래할 때 부과되는 세금 또는 수수료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운전 면허증 또는 계약 등록증과 같은 정부 양식에 부착해야 하는 우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용어는 오스만 담가 레스미에서 유래되었다. 다른 하나는 금이나 은으로 만든 모든 보석에 진품임을 나타내기 위해 찍는 도장으로, 저급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4. 현대적 사용

참조

[1] 논문 About To the Question of the Main Origin of Sogdian Rulers https://oaji.net/art[...] 2016
[2] 논문 Historical significance of tribal Tamgas and its relation to the runic script https://dialnet.unir[...] 2020
[3] 서적 Heraldik Orbis
[4] 서적 The Jews of Khazaria Rowman and Littlefield
[5] 서적 The Emergence of Rus 750–1200 Longman
[6] 서적 The Origins of the Old Rus' Weights and Monetary Systems Harvard Ukrainian Research Institute
[7] 간행물 Notes on Ethnic Composition of Turkic Tribes and People and Population Record 1896
[8] 논문 A Grammar of Orkhon Turkic https://www.proquest[...] 1965
[9] 간행물 Rock art sites in Kazakhstan 2011
[10] 서적 Die Krim goldene Insel im Schwarzen Meer; Griechen, Skythen, Goten http://d-nb.info/103[...] Primus-Verl., LVR-LandesMuseum Bonn (Begleitbuch zur Ausstellung; LVR-LandesMuseum Bonn: 4. Juli 2013 - 19. Januar 2014) 2013
[11] 간행물 Horse branding tradition among the Turks 2021
[12] 서적 Divânü Lugâti't-Türk Kabalcı Yayınevi
[13]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e-thirteenth-century Turkish http://archive.org/d[...] Oxford, Clarendon Press 1972
[14] 서적 A History of Russia, Mongolia and Central Asia Blackwell
[15] 서적 The Coins of Mongol Empire and Clan Tamgha of Khans (XIII–XIV)
[16] 저널 West, Andrew and Viacheslav Zaytsev 2019. Preliminary proposal to encode a set of 30 Tamga symbols. [Document No. JTC1/SC2/WG2 N5092 = L2/19-216], "The Unicode Consortium: [official site]". 90 pp. https://www.academia[...] 2019-01-01
[17] 문서 Адыгэ лъэкъуацIэхэмрэ тамыгъэхэмрэ
[18] 서적 Khazaria in the Ninth and Tenth Centuries Brill
[19] 서적 The Origins of the Old Rus' Weights and Monetary Systems: Two Studies in Western Eurasian Metrology and Numismatics in the Seventh to Elev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20] 논문 The Khazar qaghanate and its impact on the early Rus’ state: The translatio imperii from Itil to Kiev https://books.google[...]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2001
[21] 서적 Heraldik Orbis
[22] 서적 The Jews of Khazaria Rowman and Littlefield
[23] 서적 The Emergence of Rus 750–1200 https://archive.org/[...] Longman
[24] 서적 The Origins of the Old Rus' Weights and Monetary Systems Harvard Ukrainian Research Institute
[25] 문서 К вопросу об изучении родовых тамг у тувинцев https://cyberleninka[...]
[26] 문서 Тамга как константа в культуре и искусстве Монголии https://www.academia[...]
[27] 문서 Малым им, тамганы тухай
[28] 서적 Заметки о знаках и тамгах Монголии // История и культура народов Средней Азии (древность и средние века) http://kronk.spb.ru/[...]
[2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kronk.spb.ru/[...] 2022-11-01
[29] 서적 A History of Russia, Mongolia and Central Asia Blackwell
[30] 서적 The Coins of Mongol Empire and Clan Tamgha of Khans (XIII–XIV)
[31] 저널 West, Andrew and Viacheslav Zaytsev 2019. Preliminary proposal to encode a set of 30 Tamga symbols. [Document No. JTC1/SC2/WG2 N5092 = L2/19-216], “The Unicode Consortium: [official site]”. 90 pp. https://www.academia[...] 2019-01-01
[32] 서적 Divânü Lugâti't-Türk Kabalcı Yayınev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