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릴타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릴타이는 몽골 제국 시대에 칸을 선출하고, 법을 제정하며, 군사적 행동을 논의하는 최고 정치 회의였다. 어원은 '모으다, 수집하다'를 뜻하는 몽골어에서 유래했으며, 칭기즈 칸과 오고타이 칸을 비롯한 몽골 제국의 주요 칸들은 쿠릴타이를 통해 선출되었다. 쿠릴타이는 칸 선출 외에도 군사 작전 결정, 지도자 직책 부여 등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몽골의 전통 축제와도 관련이 있다. 현대에는 몽골 및 튀르크 계열 민족들이 의회, 국회 등 정치적 의미로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몽골어와 튀르크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어 낱말 - 탐가
    탐가는 중앙아시아 몽골 및 튀르크 부족들이 사용한 상징 기호로, 몽골 제국에서는 과세 품목 인장, 튀르크족은 씨족 표식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국새나 가축 낙인 등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기능한다.
  • 몽골어 낱말 - 노얀
    노얀은 몽골 유목 사회에서 족장, 몽골 제국 시대의 군사 지휘관 및 귀족을 지칭하는 칭호로, 시대에 따라 칭기즈 칸의 후손, 귀족, 존칭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 폐지된 입법부 - 대한제국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은 갑오개혁으로 설립되어 의회적 성격을 갖추었으나, 공화정 수립 루머로 황제의 견제를 받았으며, 독립협회 폐지 이후 자문기관으로 역할이 축소되다가 1907년 기능이 종식되었다.
  • 폐지된 입법부 - 소련 인민대표대회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개혁으로 1989년 설립된 소련 인민대표대회는 다양한 사회 단체와 지역을 대표하는 2,250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 소련의 최고 입법 기구였으며, 자유 선거를 통해 선출된 대표들이 공산당 일당 독재 체제를 넘어 정치적 다양성을 가져왔으나 소련 붕괴를 촉진했고, 1991년 소련 해체와 함께 해산되었다.
  • 몽골 제국 - 카라코룸
    카라코룸은 칭기즈칸이 건설하고 오고타이 칸 시대에 완공된 몽골 제국의 수도로, 동서양 무역 중심지이자 다양한 종교가 공존했던 국제적인 도시였으나, 쿠빌라이 칸이 수도를 옮긴 후 쇠퇴, 이후 유적 발굴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그리고 재건 계획을 통해 역사적 중요성을 재조명받고 있다.
  • 몽골 제국 - 모굴리스탄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은 14세기 차가타이 칸국에서 분리되어 건국된 몽골계 국가이며, 티무르 제국과의 관계 속에서 흥망성쇠를 겪다가 17세기 말 준가르 칸국의 침략으로 멸망했다.
쿠릴타이
지도 정보
개요
유형정치 및 군사 회의
기원몽골 제국
관련 민족몽골족, 튀르크족
주요 기능지도자 선출
주요 정책 결정
군사 전략 논의
역사
기원12세기 몽골 부족 연합
몽골 제국 시대칭기즈 칸 추대 (1206년)
후계자 결정
제국 확장 전략 수립
금나라 공격 결정1211년
오고데이 칸 선출1229년
뭉케 칸 선출1251년
쿠빌라이 칸 선출1260년
몽골 제국 분열 이후각 칸국에서 지속
특징
권한최고 의사 결정 기구
구성원부족장
군 사령관
주요 귀족
절차공개 토론
만장일치제 (원칙)
중요성지도력 승계의 정당성 확보
부족 간 합의 도출
현대의 쿠릴타이
몽골대통령 선거 후보 지명
카자흐스탄대통령 자문 기구
키르기스스탄국민 통합 자문 회의
바시키르바시키르 민족의회
크림 타타르크림 타타르족 의회

2. 어원

한자로는 忽里勒台, 또는 『원조비사』에는 忽鄰塔로 표기되었고, 라시드 앗 딘의 『집사』(集史)를 비롯한 페르시아어 자료에는 قوريلتاى (Qūrīltāī)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2] 『원조비사』 등 중세 몽골어에는 qurilta로 발음했으나, 이는 「(가족 및 혈연관계자) 모임」을 의미하는 몽골어간 quri-에 동사에서 실사를 형성하는 접미사 –lta〜lte가 붙어 형성된 것으로, 동사 quri-의 명사형으로써 「모이기」라는 의미가 된다. 다만 이 qurilta는 단순한 「모이기」가 아니라 「혈족 연척 모이기」이다.[3]

용어의 어원은 가상의 원몽골어 동사 *''kura-'', *''kurija-'' '모으다, 수집하다'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몽골어족에서 '회의, 집회'를 뜻하는 ''khural''이 되었다. 이와 같은 어근에서 유래한 몽골어 단어 는 '축제'를 의미하며, 원래는 초원에서 열리는 대규모 축제 모임을 가리켰지만, 현재는 주로 '결혼식'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러나, 디완 루가트 알 투르크|lt=디완 루가트 알 투르크tr에 따르면, 칭기즈 칸 이전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Qur" 어근 단어는 '모으다, 형성하다, 건설하다'를 의미하는 동사로 사용되었다.

3. 몽골 제국 시대

쿠릴타이는 몽골어로 '모임'을 뜻하며, 특히 혈족 연척의 모임을 의미한다. 몽골 제국은 쿠릴타이를 통해 선출되었으며, 킵차크 칸국 등에서도 이와 유사한 정치 회의를 통해 칸을 선출했다.[4]

쿠릴타이는 칸의 명으로 소집되는 왕공, 유력 부족의 수장, 중신 등으로 구성된 유목 국가의 최고 정치 회의였다. 이 회의에서는 황제(칸) 후보자 선정 및 즉위, 세계 각국으로의 원정 계획 수립, 법령 제정 등 중요한 사안이 논의되었다. 주로 봄이나 여름에 개최되었으며, 큰 강의 수원지 등 목초지와 물이 있는 곳이 개최 장소로 선호되었다. 한 명의 칸 아래서 두세 번 정도 개최되었고, 황제의 오르도 근처에서 열렸으며, 국정에 대한 토의 후에는 토이라는 연회가 뒤따랐다.[4]

몽골 황제나 황족들이 울르스(국가)의 방침을 결정하고자 주최하는 쿠릴타이는 특별히 '예케 쿠릴타이'(대 쿠릴타이)라 불렸다. 그 밖의 집회는 제르게(jerge)라 불렸는데, 이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국회에 상당하는 로야 지르가의 '지르가'라는 말의 유래가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14세기 몽골 칸의 즉위식


쿠릴타이에서는 몽골 귀족들이 모여 다음 대칸을 선출하였고, 모든 중요한 지도자 직책을 배정하고 새 칸과 새 지도자 체제하에서 시행될 군사적 방향을 결정했다.[4] 새로운 칸이 선출된 후에는 정교한 즉위식이 이어졌다.

쿠릴타이는 군사 작전을 결정, 전략화, 분석하고 개인에게 지도자 직책과 칭호를 부여하기 위해 소집된 제국 및 부족 회의였다. 그러나 쿠릴타이에는 군 지도자이기도 한 부족의 고위 구성원들의 참석이 필요했다. 따라서 1241년과 1259년에 오고타이 칸몽케 칸이 사망함에 따라 몽골 지도자들과 군대는 비엔나와 베네치아(1241년), 시리아(1259년) 외곽에서 철수해야 했고, 이는 오스트리아인과 맘루크에 대한 군사 작전을 방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4]

쿠릴타이는 몽골 세계에서 중대한 정치적 사건이었지만, 웅장한 연회와 다양한 전통 놀이를 포함한 일종의 축제이기도 했다. 이러한 많은 전통들은 현대 몽골 행사인 나담에서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 몽골식 레슬링, 경마, 궁술 경기가 포함된다.[7]

3. 1. 주요 쿠릴타이


  • 1206년 초봄, 테무진이 몽골 고원의 통일을 완수하고 칭기즈 칸의 존호를 얻은 오논강 수원에서의 쿠릴타이[4]
  • 1227년 8월, 우구데이가 칭기즈 칸의 뒤를 이어 즉위한 케룰렌강과 센구르 강의 두물머리 지점인 코데 아라르에서의 쿠릴타이[4]
  • 1246년 8월 26일, 섭정감국(摂政監国)을 맡은 황후 퇴레게네[13]의 초청으로 개최되고 구유크가 즉위하게 되는 코코 나우르의 쿠릴타이[4]
  • 1249년, 대칸 구유크의 죽음으로 그 직후에 바투에 의해 툴루이와 주치의 두 집안을 중심으로 개최된, 이리 강 상류의 준가르 아라타우 산맥 방면에 있던 아라 카마크에서의 쿠릴타이[4]
  • 1251년 7월 1일, 바투의 주도로 몽케가 즉위하게 된 코테 아라르의 쿠릴타이[4]
  • 1260년 4월, 쿠빌라이가 금련천(金蓮川)의 개평부(開平府)에서 자신의 지지 세력만으로 개최하고 즉위[4]

4. 현대적 사용

2020년 키르기스 반정부 운동에서 실권을 장악한 사디르 자파로프는 각 민족, 종교, 지역, 정치, 사회 세력의 대표자들을 모아 자문·조정 기관으로서 쿠룰타이(Кыргызстандын Элдик Курултайы|키르기스스탄 인민 쿠루르타이ky) (국민회의)를 2021년에 설립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12]

현재 아프가니스탄에서 의회(국회)에 해당하는 로야 지르가의 "지르가"는 몽골어의 "젤게"에서 유래한다.

4. 1. 정치

몽골 제국은 쿠릴타이를 통해서 선출되었다. 킵차크 칸국 등에서도 쿠릴타이와 유사한 정치 회의를 통해 칸이 선출되었다.

쿠릴타이는 몽골의 왕족과 족장이 다음 칸을 선출하기 위해 소집된 회의였다. 쿠릴타이는 새로운 칸 선출 뿐만 아니라 법 제정, 군사적 행동에 대한 논의 등 중요한 사안에 대해서 논의하는 정치 회의였다.

쿠릴타이는 칸의 명으로 소집되는 왕공(王公) 및 유력 부족의 수장, 중신으로 구성된 유목 국가의 최고 정치 회의였다. 그 역할은 황제(칸) 후보자 선정이나 즉위, 세계 각국으로의 원정 계획 수립, 법령 제정 등이었다. 주로 봄이나 여름에 개최되었고, 큰 강의 수원지 등 목초지와 물이 있는 곳이 개최 장소였다. 한 명의 칸(황제) 아래서 두세 번 정도 개최되었고, 황제의 오르도 근처에서 행해졌으며 국정에 대한 토의를 거친 뒤에는 이를 경축하는 토이라는 연회가 뒤따랐다.

몽골 황제나 황족들이 울르스(국가)의 방침을 결정하고자 주최하는 쿠릴타이는 특히 '''예케 쿠릴타이'''(Yeke Qurilta, 페르시아어로는 Qūrīltāī-yi Buzurg로 번역하면 대大쿠릴타이)라 불렸다. 그 밖의 집회는 제르게(jerge)라 불렀는데 이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국회에 상당하는 로야 지르가의 「지르가」라는 말의 유래가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헝가리의 쿠루르타이


현대의 여러 몽골 및 투르크계 민족들은 의회, 국회, 회의, 지방 의회, 의회, 협의회, 집회 등의 정치적 또는 행정적 의미로 쿠루르타이(Kurultai)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예시로는 바시키르 세계 쿠루르타이, 크림 타타르인 쿠루르타이, 카자흐스탄 국가 쿠루르타이[8][9], 키르기스스탄 인민 쿠루르타이[10], 몽골 국가 대 쿠를,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주 의회 쿠루르타이, 부랴트 공화국 인민 쿠를, 알타이 공화국 엘 쿠루르타이, 헝가리에서 개최되는 쿠루르타이 등이 있다.

2020년 키르기스 반정부 운동에서 실권을 장악한 사디르 자파로프는 각 민족과 종교, 지역, 정치, 사회 세력의 대표자들을 모아 자문·조정 기관으로서 쿠룰타이(쿠르타이, Кыргызстандын Элдик Курултайы)(국민회의)를 2021년에 설립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12]

아프가니스탄에서 의회(국회)에 해당하는 로야 지르가의 "지르가"는 위에서 언급한 몽골어의 "젤게"에서 유래한다.

4. 2. 언어

한자 표기로는 忽里勒台, 또는 『원조비사』에는 忽鄰塔로 되어 있고, 라시드 앗 딘의 『집사』를 비롯한 페르시아어 자료에는 قوريلتاى (Qūrīltāī)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원조비사』 등 중세 몽골어에는 qurilta로 발음했으나, 이는 「(가족 및 혈연관계자) 모임」을 의미하는 몽골어간 quri-에 동사에서 실사를 형성하는 접미사 –lta〜lte가 붙어 형성된 것으로, 동사 quri-의 명사형으로써 「모이기」라는 의미가 된다. 다만 이 qurilta는 단순한 「모이기」가 아니라 「혈족 연척 모이기」이다.[2]

용어의 어원은 가상의 원몽골어 동사 *''kura-'', *''kurija-'' '모으다, 수집하다'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몽골어족에서 '회의, 집회'를 뜻하는 ''khural''이 되었다. 이와 같은 어근에서 유래한 몽골어 단어 хурим|khurimmn는 '축제'를 의미하며, 원래는 초원에서 열리는 대규모 축제 모임을 가리켰지만, 현재는 주로 '결혼식'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러나, 디완 루가트 알 투르크|tr에 따르면, 칭기즈 칸 이전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Qur" 어근 단어는 '모으다, 형성하다, 건설하다'를 의미하는 동사로 사용되었다.[3]

몽골어에서는 ''khuraldai'', ''khuraldaan'', ''khural''과 같은 형태가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Ulsin Deed Shuukhiin Khuraldaan''은 "국가 최고 법원 회의"를 의미한다.

다른 철자로는 ''kurultay'', ''qurultay'', ''qurıltai'', ''qorıltay'', ''qoroltay'' 등이 있다.

이 단어는 현대 튀르크어에서도 여러 가지 현대적인 용례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Yükseköğretim Kurulu''는 "고등교육평의회", ''genel kurul toplantısı''는 "총회 회의"를 의미한다. ''Kurultay''는 조직, 위원회 등의 "총회"를 의미하는 현대 튀르크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단어이기도 하다. ''Kurmak''[11]은 "설립하다, 조립하다, 합치다"를 의미하는 튀르크어 동사이다. 정당의 "임시 총회"(Olağanüstü Kurultay|올라아뉘스튀 쿠룰타이tr)에도 사용된다.

참조

[1] 문서 쿠릴타이 어원
[2]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ltaic Languages 2003
[3] 서적 Древнетюркский словарь Наука Ленинградское отделение 1969
[4] 서적 Dynastic China : an elementary history 2014-08-15
[5] 서적 The Bondage and Travels of Johann Schiltberger Hakluyt Society 1879
[6] 서적 The Mongols and Russia Yale University Press 1953
[7] 서적 Empire of the Mongols Chelsea House 2009
[8] 뉴스 First National Kurultai Outlines Priorities, Seeks to Strengthen National Unity and Encourage Broader Public Involvement in Decision-Making https://astanatimes.[...] 2022-06-16
[9] 웹사이트 National Kurultai established in Kazakhstan - Kazakh culture and traditions, Nature, Kazakh food, Nomads, Kazakhstan, Qazaqstan | Jibek Joly https://jjtv.kz/en/n[...] 2022-06-15
[10]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ОННЫЙ ЗАКОН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О Народном Курултае -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Президента Кыргыз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https://www.presiden[...]
[11] 웹사이트 Turkish Dictionary for Language Learners and Travelers to Turkey https://www.turkishd[...]
[12] 뉴스 旧ソ連諸国の指導者 強権維持へ「全国会議」憲法で制度化 議会のチェック回避も https://www.nikkei.c[...] 2020-12-29
[13] 문서 몽골법과 쿠릴타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