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드 라바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드 라바디는 17세기 프랑스의 종교 개혁가이다. 예수회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으나 건강 문제와 갈등으로 탈퇴한 후, 얀센주의와 칼뱅주의에 심취하여 개혁 교회로 소속을 변경했다. 네덜란드와 독일 등지에서 설교 활동을 펼쳤으며, 라바디스트 공동체를 형성하여 1세기 기독교 교회의 모습을 추구했다. 그의 운동은 유럽과 아메리카에서 이어졌으나 1732년경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수회 수사 - 카를 라너
카를 라너는 독일 예수회 사제이자 신학자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무명의 그리스도인’ 개념을 통해 타 종교 신자들의 구원 가능성을 제시하고 가톨릭 신앙을 현대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 경건주의 - 피에타스
피에타스는 고대 로마에서 가족, 국가, 신에 대한 의무를 다하는 중요한 덕목이자 여신으로, 로마 사회의 안정과 번영에 기여하는 핵심 가치였으며 예술 작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되었다. - 경건주의 - 그리스도 형제 연합교회
그리스도 형제 연합교회는 1767년에 기원을 두고 1800년 "그리스도 안의 연합 형제회"로 출범하여 노예제 폐지 운동과 오터바인 대학교 설립 등 활동을 펼쳤으며, 분열과 합병을 거쳐 현재는 구 헌법 파벌에서 비롯된 교회가 존속하고 있다. -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칼뱅주의로 개종한 사람 - 장 칼뱅
장 칼뱅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 개혁가로, 《기독교 강요》를 저술하여 칼뱅주의를 확립하고 제네바에서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며, 개신교 신학과 서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칼뱅주의로 개종한 사람 - 테오도르 드 베즈
테오도르 드 베즈는 프랑스 개신교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법학을 공부했으나 개혁 신앙에 귀의하여 제네바 아카데미 교수로 활동하며 칼뱅의 후계자가 되어 제네바 교회를 이끌었고, 칼뱅주의 신학 발전에 기여하다가 1605년에 사망했다.
장 드 라바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장 드 라바디 |
출생일 | 1610년 2월 13일 |
사망일 | 1674년 2월 13일 |
상세 정보 | |
국적 | 프랑스 |
직업 | 개신교 성직자, 종교 작가 |
종교 | 개신교 |
신학적 전통 | 경건주의 |
영향 받은 인물 | 얀 얀스, 코르넬리스 얀선, 피에르 이본 |
2. 생애와 사상
장 드 라바디는 얀센주의와 칼뱅주의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신학 사상을 발전시켰다. 존 칼빈의 기독교 강요(1536)를 읽고 개혁교회로 전향했지만, 기존 교회의 권위를 부정하고 자신만의 분리주의적 교회관을 주장했다.[4]
라바디는 성경을 이해하기 위해 성령의 내적 조명이 필요하며, 참된 신자만이 순수한 교회를 구성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라바디스트 공동체의 형성과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 초기 생애와 예수회 활동
장 드 라바디는 장교의 아들로, 1625년 예수회에 입회하여 1635년에 사제 서품을 받았으나,[2] 건강이 좋지 않고 다른 형제들과의 갈등으로 인해 1639년에 떠났다. 그 후 보르도, 파리, 아미앵에서 교구 사제로 일했다.[3] 그는 얀센주의에 몰두하고 성경을 집중적으로 연구했으며, 칼뱅주의에 끌리기 시작했다. 그는 자신을 신의 영감을 받은 존재로 여겼다.[2] 마자랭 추기경은 그를 평화를 어지럽히는 자로 여겨 1646년 남부 프랑스로 보냈다.[2]2. 2. 개혁교회로의 전향과 갈등
존 칼빈의 기독교 강요(1536)를 읽은 후, 1650년 10월 몽토방에서 개혁교회에 대한 공식적인 충성을 선언하고 같은 해 그곳의 신학 교수가 되었다.[2] 1652년부터 1657년까지 몽토방에서 목사이자 신학 교수로 활동했다.[3] 1657년 론 강변의 오렌지에서 사목 활동을 시작했고, 1659년 제네바의 특별 설교자가 되었다.[4]1659년에는 제네바에서 목사로 활동하며 피에르 이본, 피에르 뒬리뇽, 프랑수아 므뉘레, 프리드리히 테오도르 운터아이크 슈판하임 등을 제자로 두었다.[4] 1666년 네덜란드 미델부르크의 프랑스어권 교회로 부름을 받았으나 벨기에 신앙고백서에 서명하거나 개혁 교회의 권위를 인정하는 것을 거부하고 별도의 종파를 설립하여 도시에서 추방당했다.[4] 칼빈의 영향을 받았지만 자신의 교회를 순수한 교회로 보고 분리주의적 교회관을 주장하였다. 1666년에는 네덜란드 미델부르크에서 설교자로 임명되었지만, 1669년 그의 신학적 견해로 인해 해고되었다.[2][4]
2. 3. 라바디스트 공동체의 형성
라바디스트는 참된 신자, 즉 그리스도의 영에 참여한 사람들만이 순수한 교회를 구성한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교회를 1세기 기독교 교회의 원래 모습으로 되돌리려고 시도했으며, 분리주의적 교회관을 가지고 있었다. 라바디스트는 성경을 이해하기 위해 성령의 내적 조명의 필요성을 크게 강조했다. 그들에게 교회는 죄에서 거듭난 거룩한 사람들의 공동체였으며, 이들에게만 성찬을 받을 자격이 주어졌다. 따라서 그들은 유아 세례를 거부하고 성만찬을 거의 거행하지 않았으며, 중생하지 않은 사람과의 결혼은 구속력이 없다고 선언했다. 그들은 원시 교회의 모범에 따라 공통적으로 재산을 소유하고 육체 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했으며, 주일 준수에 대해 매우 느슨한 견해를 가졌다.[2]장 드 라바디는 1659년 제네바에서 목사로 활동하며 피에르 이본, 피에르 뒬리뇽, 프랑수아 므뉘레, 프리드리히 테오도르 운터아이크 슈판하임 등을 제자로 두었다.[4] 1666년에는 네덜란드 미델뷔르흐에서 설교자로 임명되었지만, 1669년 그의 신학적 견해로 인해 해고되었다. 이후 암스테르담에 교회 가정을 설립했는데, 이는 후일의 재단 설립의 모델이 되었지만 박해를 받았다. 1670년, 제자인 안나 마리아 판 쉬르만과 신도들과 함께 헤어포르트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엘리자베트 폰 데어 팔츠가 박해받는 영적주의자들을 위해 제공한 피난처에 머물렀다.[2][4] 엘리자베트는 당시 루터교 수도원의 칼뱅주의 수도원장이었다.
그곳에서도 그는 압박과 괴롭힘을 받았고, 1672년에는 알토나로 향했다.[4]
2. 4. 라바디스트 운동의 확산과 쇠퇴
라바디스트는 성경을 이해하기 위해 성령의 내적 조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교회를 죄에서 거듭난 거룩한 사람들의 공동체로 보았으며, 이들만이 성찬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유아 세례를 거부하고 성만찬을 거의 거행하지 않았으며, 중생하지 않은 사람과의 결혼은 구속력이 없다고 보았다. 이들은 원시 교회의 모범에 따라 재산을 공유하고 육체 노동으로 생계를 유지했으며, 주일 준수에 대해서는 느슨한 견해를 가졌다.[2]장 드 라바디는 1674년 알토나에서 사망했다. 그의 운동은 유럽과 아메리카에서 지속되었지만 1732년경 쇠퇴했다.[4]
3. 주요 저술
라바디의 저술 중 가장 영향력 있는 것은 1667년에 출판된 《목회를 통한 교회의 개혁》이다.
하위 섹션인 "라바디의 저술 목록"에서 방대한 저술 목록들을 이미 연도, 제목, 출판 장소별로 표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하고 넘어가도록 한다.
3. 1. 라바디의 저술 목록
라바디의 저술은 그의 신학적 입장 변화에 따라 가톨릭 시기, 칼뱅주의 시기, 라바디스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은 라바디의 주요 저술 목록이다.
3. 1. 1. 1642-1660: 초기 저술 (가톨릭 시기 및 칼뱅주의 초기)
- 《Introduction à la piété dans les Mystères, Paroles et ceremonies de la Messe|미사의 신비, 말씀, 의식 속 경건에 대한 소개프랑스어》, 아미앵, 1642.
- 《Odes sacrées sur le Très-adorable et auguste Mystère du S. Sacrement de l'Autel|지극히 사랑스럽고 숭고한 제단 성사(S. Sacrement de l'Autel)의 신비에 관한 성스러운 송가프랑스어》, 아미앵, 1642.
- 《Traité de la Solitude chrestienne, ou la vie retirée du siècle|기독교적 고독에 관한 논문, 또는 세상으로부터의 은둔 생활프랑스어》, 파리, 1645.
- 《Déclaration de Jean de Labadie, cy-devant prestre, predicateur et chanoine d'Amiens, contenant les raisons qui l'ont obligé à quitter la communion de l'Eglise Romaine pour se ranger à celle de l'Eglise Réformée|장 드 라바디의 선언, 과거 아미앵의 사제, 설교자, 참사회원으로서, 로마 교회의 교제를 떠나 개혁 교회에 합류하게 된 이유를 담고 있음프랑스어》, 몽토방, 1650.
- 《Lettre de Jean de Labadie à ses amis de la Communion Romaine touchant sa Declaration|장 드 라바디가 로마 교회의 교제를 따르는 친구들에게 보낸 편지, 그의 선언에 관하여프랑스어》, 몽토방, 1651.
- 《Les Elevations d'esprit à Dieu, ou Contemplations fort instruisantes sur les plus grands Mysteres de la Foy|하나님께 드리는 영의 고양, 또는 믿음의 가장 위대한 신비에 대한 매우 교훈적인 묵상프랑스어》, 몽토방, 1651.
- 《Les Entretiens d'esprit durant le jour; ou Reflexions importantes sur la vie humaine, ...sur le Christianisme, ...sur le besoin de la Reformation de ses Moeurs|하루 동안의 영적 대화; 또는 인간의 삶에 대한 중요한 성찰, ... 기독교에 관하여, ... 그의 행동의 개혁의 필요성에 관하여프랑스어》, 몽토방, 1651.
- 《Le Bon Usage de l'Eucharistie|성찬의 올바른 사용프랑스어》, 몽토방, 1656.
- 《Practique des Oraisons, mentale et vocale...|정신적 기도와 구두 기도의 실천...프랑스어》, 몽토방, 1656.
- 《Recueil de quelques Maximes importantes de Doctrine, de Conduite et de Pieté Chrestienne|교리, 행동, 기독교적 경건에 관한 몇 가지 중요한 격언 모음프랑스어》, 몽토방, 1657 (제네바, 1659).
- 《Les Saintes Décades de Quatrains de Pieté Chretienne touchant à la connoissance de Dieu, son honneur, son amour et l'union de l'âme avec lui|하나님의 지식, 그분의 영광, 그분의 사랑, 그리고 영혼의 그분과의 연합에 관한 기독교적 경건의 사구체 10개프랑스어》, 오랑주, 1658 (제네바, 1659, 암스테르담, 1671).
- 《La pratique de l'oraison et meditation Chretienne|기독교 기도와 묵상의 실천프랑스어》, 제네바, 1660.
3. 1. 2. 1665-1685: 후기 저술 (라바디스트 시기)
라바디는 1665년 《종교적 금식 또는 그것을 잘 수행하는 방법》(Le Iûne religieus ou le moyen de le bien faire)을 시작으로, 암스테르담에서 《유대인의 현재 상태에 대한 자비롭고 공정한 판단》(Jugement charitable et juste sur l'état present des Juifs, 1667), 《성찬의 승리, 또는 성사에 대한 참된 교리, 그리고 거기에 참여하는 방법》(Le Triomphe de l'Eucharistie, ou la vraye doctrine du St. Sacrement, avec les moyens d'y bien participer, 1667) 등을 출판했다.특히, 1667년에 미델부르흐에서 출판된 《목회를 통한 교회의 개혁》(La Reformation de l'Eglise par le Pastorat)은 라바디의 가장 영향력 있는 저서로 손꼽힌다. 같은 해 암스테르담에서 출판된 《위대한 왕 예수의 전령》(Le Héraut du Grand Roy Jesus), 《좋은 목사와 좋은 교회의 개념》(L'Idée d'un bon pasteur et d'une bonne Eglise), 《회개의 신성한 전령들》(Les Divins Herauts de la Penitence au Monde...), 《진실한 축귀》(Le Veritable Exorcisme)도 중요한 저작들이다.
이후에도 라바디는 《성경에 따른 진실한 교회의 분별》(Le Discernement d'une Veritable Eglise suivant l'Ecriture Sainte, 1668), 《교회의 권세는 성경에 의해 제한되고, 성경을 통하여...》(La Puissance eclesiastique bornée à l'Ecriture et par Elle..., 1668), 《경건 수첩》(Manuel de Pieté, 1668) 등을 암스테르담에서 저술했다. 1669년에는 라 헤이에서 《하나님의 교회와 예수 그리스도의 여러 구성원들의 기독교적이고 진실한 선언》(Declaration Chrestienne et sincère de plusieurs Membres de l'Eglise de Dieu et de Jésus-Christ...)을 출판했다.
1670년대에도 라바디의 저술 활동은 계속되었다. 《진실로 기독교적 삶의 근본적인 점》(Points fondamentaux de la vie vraimant Chretiene, 1670), 《진실한 기독교의 요약》(Abrégé du Veritable Christianisme..., 1670), 《위대한 왕 예수의 왕실 찬가》(Le Chant Royal du Grand Roy Jésus..., 1670), 《다양한 영적 찬송가 모음》(Receüil de diverses Chansons Spiritüeles, 1670), 《영혼에 대한 성령의 제국...》(L'Empire du S. Esprit sur les Ames..., 1671), 《장 드 라바디 등의 교리에 대한 믿음과 순수성의 해명 또는 선언》(Eclaircissement ou Declaration de la Foy et de la pureté des sentimens..., 1671) 등을 암스테르담에서 출간했다.
헤르포르디에서는 《Veritas sui vindex, 즉 믿음의 엄숙한 선언...》(Veritas sui vindex, seu solemnis fidei declaratio..., 1672)을, 알토나에서는 《예수가 새롭게 계시되다...》(Jesus revelé de nouveau..., 1673)를 출판했다. 말년에는 암스테르담에서 《몇몇 시와 영적 감정의 단편...》(Fragmens de quelques poesies et sentimens d'esprit..., 1678), 《신성한 사랑의 성시》(Poésies sacrées de l'amour divin, 1680), 《영적 찬송가 모음》(Recueil de Cantiques spirituels, 1680), 《재생된 기독교인, 또는 아무것도 아닌》(Le Chretien regeneré ou nul, 1685) 등을 저술하며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다.
4. 평가와 영향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 결과를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간행물
Can These Bones Live?
http://www.christian[...]
Christian History
1986
[2]
문서
Schaff-Herzog
[3]
서적
La Badie, Jean de
EB1911
[4]
서적
Labadie, Jean de
BBK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