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파리조 드 라 발레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파리조 드 라 발레트는 프랑스 출신의 몰타 기사단 기사로, 1565년 몰타 대공방전을 승리로 이끌고 발레타를 건설한 인물이다. 그는 퀘르시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1514년 성 요한 기사단에 입단하여 로도스 대공성전에 참여했으며, 이후 트리폴리 총독과 기사단 갤리선 총사령관을 역임했다. 1557년 기사단장으로 선출된 후,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맞서 몰타를 성공적으로 방어했으며, 대공방전 이후 발레타 건설을 시작했으나 완공 전에 사망했다. 그의 이름은 몰타의 수도 발레타와 여러 기념물에 사용되었으며, '장 드 라 발레트'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생전에는 '파리조'라는 별명을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호기사단 총장 - 파벨 1세
파벨 1세는 표트르 3세와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어머니와의 불화, 강경한 프랑스 혁명 대응,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군사 개혁, 그리고 귀족들의 불만으로 1801년 암살당했다. - 구호기사단 총장 - 가르니에 드 나뷔레
가르니에 드 나뷔레는 12세기 말과 13세기 초 성 요한 기사단의 수장으로서, 제3차 십자군 전쟁에서 활약하며 아르수프 전투에서 기사단을 이끌고 십자군 원정을 위한 자금 모금 활동을 펼쳤다. - 몰타의 로마 가톨릭교도 - 로버트 아벨라
로버트 아벨라는 2020년부터 몰타의 총리이자 노동당 대표를 역임하고 있으며, 몰타 대통령의 아들로 변호사 출신 정치인이다. - 몰타의 로마 가톨릭교도 - 센수 타보네
센수 타보네는 몰타의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군의관, 안과 전문의, 몰타 의학 협회 창립 기여자, 몰타 대학교 평의회 및 의학부 위원, 국민당 소속 국회의원 및 장관을 역임하며 트라코마 퇴치에 헌신하고 몰타 정치에 참여한 인물이다. - 몰타 기사단 - 표트르 바그라티온
표트르 바그라티온은 나폴레옹 전쟁 시기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 수보로프 장군 휘하에서 공을 세워 명성을 얻었으며, 여러 전투에서 용맹을 떨치다 보로디노 전투에서 전사했고, 그의 이름은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에 사용될 정도로 기려지고 있다. - 몰타 기사단 - 몰타 기사단의 기
몰타 기사단의 기는 붉은 바탕에 흰색 십자가가 그려진 깃발로, 1291년부터 기사단의 해군 함선에 게양되었으며 현재는 몰타 기사단 본부와 공식 거주지, 대사관 등에서 사용되고, 몰타 십자가가 그려진 기사단 사업기는 대수도원과 인도주의적 사업 현장에서 사용된다.
장 파리조 드 라 발레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이름 | 장 드 발레트 |
별칭 | 파리조 |
출생일 | 1495년 2월 4일 |
출생지 | 프랑스 루에르그 파리조 |
사망일 | 1568년 8월 21일 |
사망지 | 몰타 기사단 |
안장 장소 | 성 요한 공동 대성당 (원래는 승리의 성모 교회에 안장됨) |
국적 | 프랑스 |
직업 | |
직업 | 군인 귀족 |
종교 | |
종교 | 천주교 |
인간 관계 | |
배우자 | 카트린 그레크, 기타 정부 |
자녀 | 바르텔레미 드 발레트 이사벨라 구아스코니 기타 사생아 가능성 있음 |
군사 경력 | |
소속 | 구호기사단 |
복무 기간 | 1514년–1568년 |
계급 | 갤리선 선단 제독 (1554년–1557년) 총장 (1557년–1568년) |
참전 | 로도스 공방전 몰타 공방전 |
구호기사단 경력 | |
직책 | 트리폴리 총독 (1546년-1549년) 구호기사단 총장 |
총독 임명 | 후안 데 오메데스 이 코스콘 |
총독 전임 | 크리스토파노 데 솔리스 파르판 |
총독 후임 | 페드로 누녜스 데 에레라 |
총장 임기 시작 | 1557년 8월 21일 |
총장 임기 종료 | 1568년 8월 21일 |
총장 전임 | 클로드 드 라 셍글 |
총장 후임 | 피에르 드 몽테 |
군주 | 펠리페 2세 (스페인) |
2. 명칭 표기
장 파리조 드 라 발레트는 15세기 말 프랑스 남서부 퀘르시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2] 젊은 시절 성 요한 기사단에 입단했다. 그는 1522년 로도스 공방전에 참여했으며[3], 이후 기사단 내에서 경력을 쌓아 트리폴리 총독[6], 기사단 갤리선 총사령관[7] 등을 역임했다.
오랫동안 기사단장의 성은 일반적으로 ''de La Valette''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2012년 발레타에 그의 이름을 딴 장 드 라 발레트 광장(Pjazza Jean de La Valette몰타어)이 개장되면서 명칭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다. 이 광장에는 현지 조각가 조셉 체트쿠티(Joseph Chetcuti영어)가 청동으로 제작한 2.5m 높이의 동상이 세워졌는데, 동상에서 라 발레트는 갑옷 차림에 한 손에는 발레타의 계획서를, 다른 손에는 칼을 들고 있다.
2012년 11월, 동상 제막식에서 판사이자 역사학자인 조반니 보넬로는 기사단장이 생전에 항상 ''La'' 없이 ''de Valette''로 서명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일주일 후, 기사단장의 후손인 데지레 폰 라 발레트 생 조르주(Désireé von la Valette Saint Georges영어)는 가문의 이름이 ''de la Valette''라고 반박하며 논쟁이 불붙었다.
역사적 자료를 살펴보면, 발레트 가문의 여러 분파 구성원들은 당시 ''de La Valette''와 ''de Valette'' 두 가지 표기를 모두 사용했지만, 정작 기사단장 본인은 ''La''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실제로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기사단이 주조한 138개의 동전과 19개의 메달에는 모두 ''de Valette'', ''de Valetta'' 또는 단순히 ''Valette''라고 표기되어 있다. 보넬로는 발레타 시가 일반적으로 ''La Valletta''라고 불리면서 사람들이 기사단장의 이름에도 ''La''를 붙여 부르기 시작했고, 때로는 이중 ''l''을 넣어 ''La Vallette''로 표기하게 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한편, 드 발레트가 약 45세의 나이로 이미 몰타에 거주하던 1539년, 프랑스에서는 프랑수아 1세가 빌레르코테레 칙령을 통해 프랑스어 표기법의 통일을 시도한 바 있다. 이는 당시 프랑스 내 다양한 언어 표기의 혼란을 정리하기 위한 조치였다.
현재 몰타에서는 공식적으로 ''de Valette''라는 표기를 사용하지만, 오랜 관습과 집단 기억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그를 ''de La Valette''라고 부른다. 기사단의 후계 조직인 몰타 기사단은 기사단장을 ''프라' 장 드 라 발레트-파리소(Fra' Jean de La Vallette-Parisot프랑스어)라고 칭한다.
결론적으로, '''장 드 라 발레트'''(Jean de la Valette프랑스어)라는 표기가 널리 쓰이지만, 정작 본인은 생전에 이 이름을 사용한 적이 없다. 이는 그가 사망한 후 그의 공적을 기려 명명된 도시 '''라 치타 발레타'''(La Citta Vallettait, 현재 몰타의 수도 발레타)의 이름과 혼동되면서 점차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파리조'는 그의 생전 별명이었다.
3. 생애
1557년 성 요한 기사단의 그랜드 마스터로 선출된 그는 1565년 오스만 제국의 대규모 침공에 맞서 몰타 대공방전을 성공적으로 지휘하며 기독교 세계를 방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승리로 유럽 전역에서 명성을 얻었으나, 교황청으로부터 추기경직 제안을 받고도 이를 거절하며 기사단의 독립성을 지키고자 했다.
대공방전 이후 그는 새로운 요새 도시 발레타 건설을 시작했으며, 1566년 직접 첫 돌을 놓았다. 그러나 도시의 완공을 보지 못한 채 1568년 8월 21일 사망하였고, 그의 유해는 발레타의 성 요한 대성당 지하 묘실에 안치되었다.[7]
3. 1. 초기 생애와 기사단 입단
그는 프랑스 남서부 퀘르시의 유서 깊은 귀족 가문인 라 발레트 가문 출신이다. 라 발레트 가문은 여러 세대에 걸쳐 프랑스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가문의 여러 인물이 십자군 전쟁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의 할아버지 베르나르 드 라 발레트는 성 요한 기사단의 기사단원이자 왕의 시종이었고, 아버지 기욤은 프랑스 기사였다. 또한 그는 장 루이 드 노가레 드 라 발레트, 초대 에페르농 공작과는 먼 친척 관계였다.[2]
그의 정확한 출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1494년생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몰타 대공방전 당시의 기록을 남긴 프란시스코 발비 디 코레조와 히폴리토 산스는 그가 당시 67세였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1498년 출생을 시사한다. 한편 18세기 역사가 아베 베르토는 라 발레트가 술레이만 1세 및 크즐아흐메들리 무스타파 파샤와 동갑이라고 주장했는데, 이 경우 그는 1565년 몰타 대공방전 당시 70세가 된다.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다만 1523년 로도스 섬 공방전 당시 성 요한 기사단 총장이었던 필리프 빌리에 드 리라단과 함께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이 시기를 전후하여 기사단에 입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2. 기사단 내 경력
라 발레트는 1514년경 20세의 나이로 기사단에 입단했으며, 그 이후 프랑스나 가족 소유지로 돌아가지 않았다.[2] 그는 1522년 로도스 대공성전에 참여했으며, 오스만 제국의 술탄 술레이만 대제에 의해 기사단이 로도스에서 추방된 후, 기사단장 필리프 빌리에 드 릴아담과 함께했다.[3]
로도스 섬을 잃은 후, 기사단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로부터 몰타 제도와 트리폴리를 봉토로 받았다. 1538년 라 발레트는 사람을 공격한 혐의로 고조 감옥에서 4개월 동안 투옥되기도 했다.[4] 1541년에는 압드-우르-라흐만 쿠스트 알리와의 해상 전투에 참여했다가 부상을 입고 그의 갤리선인 ''산 조반니''가 나포되었다. 라 발레트는 바르바리 해적의 투르구트 레이스 휘하에서 1년 동안 갤리선 노예로 잡혀 있었으나, 이후 포로 교환을 통해 풀려났다.[5] 1546년 라 발레트는 트리폴리 총독으로 임명되어 당시 혼란스러웠던 도시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다.[6]
1554년, 라 발레트는 기사단의 갤리선 총사령관으로 선출되었다. 이는 프로방스 출신 기사에게는 큰 영예였는데, 기사단 역사 대부분 동안 해군 총사령관 직위는 주로 이탈리아 출신 기사단 대십자 기사가 맡았기 때문이다. 이 직위에서 그는 뛰어난 해군 제독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동시대의 위대한 기독교 해상 사령관 중 한 명인 기사 마투랭 로메가스와 같은 존경을 받았다. 당시 양측 진영 모두 뛰어난 해군 지휘관들을 보유하고 있었다. 기독교 측에서는 라 발레트, 로메가스, 오스트리아의 후안 등이 최고의 사령관으로 꼽혔고, 이슬람 측에서는 하이레딘 바르바롯사와 투르구트 레이스와 같은 뛰어난 제독들이 있었다. 프랑스의 작가 아베 드 브랑톰은 라 발레트를 "매우 잘생긴 남자이며,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그리스어, 아랍어, 튀르키예어 등 여러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고 묘사했다.[7]
3. 3. 몰타 대공방전
1557년, 클로드 드 라 상글 기사단장이 사망하자, 곧 닥칠 공격을 염두에 둔 기사단은 라 발레트를 기사단장으로 선출했다. 1560년, 그는 트리폴리를 재정복하기 위해 합스부르크 제국과 동맹을 맺었으나, 이 원정은 제르바 해전에서 기독교 세력의 패배로 끝났다. 그럼에도 기사단의 갤리선은 여러 다른 기독교 선박을 구조할 수 있었고, 이후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라 발레트는 기사단의 해군력을 크게 강화했다.
그는 몰타 방어를 조직하고, 포위 기간 동안 직접 전투를 지휘했으며, 1565년 몰타 대공성전에서 오스만 제국 군대를 성공적으로 격퇴했다. 이 전투는 유럽 역사상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포위 기간 동안, 훨씬 더 적은 수의 기독교도들은 예니체리를 포함하여 최소 3만 명 이상의 병사로 구성된 오스만 군대와 술탄의 약 193척의 함대에 맞서 3개월 이상 버텼다. 오스만 측의 전문 기술자들은 현지 정보원으로부터 정보를 얻고 정찰 임무를 수행하여 성 엘모 요새의 방어력을 평가하고 3일 안에 함락될 것이라고 예측했으나, 실제로는 약 한 달간의 치열한 전투 끝에야 겨우 함락시킬 수 있었다. 요새 함락 후에도 기사단은 비르구와 셍글레아에서 끈질기게 저항하며 구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버텨냈다.
시칠리아에서 온 기사 사령관 르 상드가 이끄는 증원군이 도착하자, 그는 몰타 언덕에서 오스만군을 향해 전면 공격을 명령했다. 기독교 연합군은 오스만군이 바다로 후퇴할 때까지 공격했고, 격렬한 전투 끝에 오스만군은 막대한 손실을 입고 후퇴했다. 당시 바다가 핏물로 붉게 물들었다고 전해진다. 결국 오스만군은 배에 올라 콘스탄티노플로 철수했다. 돌아가는 길에 반격을 고려하기도 했으나, 병력과 물자 손실이 크고 사기가 저하되어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기사단의 극적인 승리로 라 발레트는 유럽 전역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그는 교황청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추기경직 제안을 거절하며, 전사 수도사로서의 겸손함을 보였다.
1566년부터 그는 새로운 요새 도시 발레타 건설을 명령했으며, 도시 건설의 첫 돌을 직접 옮겼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그는 도시의 완공을 보지 못하고 사망하여, 발레타 요새 안쪽 성 요한 대성당의 납골당에 묻혔다.
3. 4. 발레타 건설과 죽음
1566년, 라 발레트는 대 포위전 이후 새로운 도시 발레타 건설을 지시하며 직접 첫 번째 돌을 놓았다. 건설 장소는 몬테 스키베라스 비탈이었는데, 이곳은 대 포위전 당시 투르크 군의 정예 부대가 성 엘모 요새를 공격하다 전멸한 곳이다. 투르크 군은 요새가 3~4일 안에 함락될 것이라 예상했지만, 수비대는 30일 동안 용맹하게 버텨냈다.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된 도시 Humilissima Civitas Vallettae|후밀리시마 키비타스 발레타에la(가장 겸손한 도시 발레타)는 유럽에서 가장 귀족적이고 배타적인 요새로 알려졌으며, 종종 Superbissima|수페르비시마la(가장 훌륭한) 도시로 불렸다. 발레타는 오늘날까지 몰타의 수도로 남아 있다.
라 발레트는 예배당에서 기도하던 중 뇌졸중으로 쓰러져, 1568년 8월 21일 그랜드 마스터가 된 지 정확히 11년 만에 사망했다. 그는 자신이 건설을 시작한 발레타 시의 완성을 보지 못했다. 그의 무덤은 석관 형태로 발레타 성벽 안 성 요한 대성당의 지하 묘실에 안치되어 있다.[7] 무덤에 새겨진 라틴어 비문은 그의 비서이자 대 포위전 당시 마지막 영국 랑그 기사였던 올리버 스타키 경이 작성한 것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여기에 라 발레트가 잠들다.
: 영원한 영예를 받을 만한 자,
: 한때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재앙이었으며,
: 유럽의 방패였던 그는,
: 그의 신성한 무기로 야만족을 몰아냈고,
: 그가 창건한 이 사랑스러운 도시에 처음으로 묻히다.
4. 개인사
라 발레트는 서약을 어긴 적이 없는 인물로 알려졌지만, 로도스에서 '그리스인(Greek)'이라는 별명을 가진 카트린이라는 정부를 두었고, 그녀와의 사이에서 사생아 바르텔레미 드 라 발레트를 낳았다는 주장이 있다. 실제로 바르텔레미는 1568년 프랑스 국왕 샤를 9세의 칙령에 의해 적자로 인정되었다는 증거 문서가 발견되기도 했다.[8]
또한, 라 발레트가 로도스 출신 피렌체 귀족의 부인과 불륜 관계를 맺어 이사벨라 과스코니라는 또 다른 사생아를 두었다는 주장도 있다. 이사벨라는 나중에 피렌체 출신 신사 스테파노 부오나코르시와 결혼했지만, 1568년 7월 31일 남편에게 살해당했다. 부오나코르시는 이사벨라를 살해한 후 그녀의 재산을 가지고 섬에서 도망쳤으며, 이후 행방이 묘연해졌다.[9]
5. 유산
라 발레트는 대 포위전을 승리로 이끌고 발레타를 건설한 기사단장으로 잘 알려져 있다. 낙사르 시의 한 거리와 비르투 페리의 기함 '장 드 라 발레트'는 모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라 발레트는 여러 차례 몰타 우표, 동전, 지폐, 텔레카드에도 등장했다.
2012년, 발레타에는 기사단장의 동상이 있는 장 드 라 발레트 광장(mt)이 개장되었다. 동상은 높이 2.5m이며, 현지 조각가 조셉 체트쿠티(en)가 청동으로 주조했다. 동상에서 라 발레트는 갑옷을 입고 한 손에는 발레타의 계획서를, 다른 손에는 칼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오랫동안 기사단장의 성은 일반적으로 ''de La Valette''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2012년 11월 장 드 라 발레트 광장에서 동상 제막식 당시 판사이자 역사학자인 조반니 보넬로(en)는 기사단장이 항상 ''La'' 없이 ''de Valette''로 서명했다고 주장했다. 일주일 후, 기사단장의 후손인 데지레 폰 라 발레트 생 조르주(en)는 가문의 이름이 ''de la Valette''이지 ''de Valette''가 아니라고 반박하면서 그의 실제 이름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다.
발레트 가문의 여러 분파 구성원들은 실제로 당시 두 가지 표기를 모두 사용했지만, 기사단장 자신은 ''La''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드 발레트 재임 기간 동안 기사단이 주조한 138개의 동전과 19개의 메달 모두 ''de Valette'', ''de Valetta'' 또는 단순히 ''Valette''라는 이름을 보여준다. 보넬로는 또한 발레타 시가 일반적으로 ''La Valletta''라고 불렸기 때문에 사람들이 기사단장의 이름에도 ''La''를 포함하기 시작했고, 때로는 이중 ''l''을 넣어 ''La Vallette''로 표기하게 되면서 ''La''가 붙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드 발레트가 약 45세로 이미 몰타에 있었던 1539년, 프랑스에서는 프랑수아 1세가 다양한 로망스어와 게르만어 사용으로 인한 언어적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북부 프랑스와 파리 지역에서 사용되던 표준 프랑스어(fr) 사용을 규정한 빌레르코테레 칙령을 제정한 바 있다.
현재 몰타에서는 공식적으로 ''de Valette''라는 이름을 사용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집단 기억 때문에 여전히 그를 ''de La Valette''라고 부른다. 기사단의 후계자인 몰타 기사단은 기사단장을 '프라 장 드 라 발레트-파리소'(it)라고 칭한다.
그는 1565년 몰타 공방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에, 여러 문학 작품에서 주요 인물 또는 조연으로 등장했다.
- 마르테세 페네치(en)의 '몰타 공방전 3부작'에는 ''팔각형 십자가'' (2011), ''매의 그림자'' (2020), ''잿더미'' (2022)가 있으며, 세 소설 모두 발레트를 등장인물로 한다.
- ''철의 천사''(en)는 1997년 니콜라스 프라타(en)의 유사 역사 소설이며, 드 발레트가 주인공이다.[18]
- ''철의 불꽃: 전쟁과 사랑에 대한 서사 소설''(en)은 2005년 데이비드 W. 볼(en)의 모험 소설이다. 드 발레트는 조연으로 등장한다.[19]
- ''종교: 소설''(en) (2007)은 팀 윌록스(en)의 작품으로, 드 발레트가 조연으로 등장한다.
- ''운명의 여정''(en) (2015)은 토니 로스먼(en)의 작품으로, 드 발레트는 'de Valette'라는 성씨를 가지고 조연으로 등장하며, 최근의 역사적 증거에 따라 묘사되었다.
- ''대 공방전''(en)은 역사적 문서를 바탕으로 한 1565년 공방전에 대한 1961년의 역사 기록이다.
- ''파나케이아''(el) (2008) / en는 파나기오티스 코니디리스(el)의 그리스 모험 소설이다. 드 발레트는 조연으로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Medieval Sieges & Siegecraft
https://books.google[...]
Skyhorse Publishing
[2]
웹사이트
Jean Parisot de La Vallette
http://smom-za.org/g[...]
2014-08-18
[3]
웹사이트
6 little-known facts about Jean de Valette
https://www.independ[...]
2020-06-28
[4]
웹사이트
Old Prison
https://heritagemalt[...]
2020-04-03
[5]
웹사이트
Jean Parisot de la Valette
http://www.knightsof[...]
2014-08-18
[6]
간행물
The Order of Malta and the defence of Tripoli 1530–1551
https://www.um.edu.m[...]
1975
[7]
웹사이트
Grand Master Jean Parisot de Valette (1557–1568)
http://stjohnscocath[...]
2014-08-18
[8]
뉴스
The love children of Grand Master Jean de La Valette
http://www.timesofma[...]
2013-05-26
[9]
뉴스
Murder of Grand Master de Valette's love-daughter, Isabella Buonaccorsi
http://www.timesofma[...]
2013-06-02
[10]
뉴스
New de Valette Square inaugurated in Valletta
http://www.timesofma[...]
2012-11-21
[11]
서적
Malta and Gozo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5
[12]
뉴스
Family of Grand Master say name is wrong
http://www.timesofma[...]
2012-11-27
[13]
뉴스
de Valette or de La Valette?
http://www.timesofma[...]
2013-01-13
[14]
뉴스
It is Grand Master Jean De la Valette
http://www.timesofma[...]
2013-05-12
[15]
뉴스
Is it La Valette or De Valette?
http://www.timesofma[...]
2012-12-23
[16]
뉴스
The Grand Master we know
http://www.timesofma[...]
2012-12-10
[17]
웹사이트
The 79 Grand Masters
http://www.orderofma[...]
2014-08-18
[18]
웹사이트
Angels in Iron
http://www.arxpub.co[...]
[19]
서적
Ironfire by David Ball
http://www.randomho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