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고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고원은 청나라 말기의 군인으로, 안휘성 합비 출신이다. 그는 태평천국의 난과 염군의 난 진압에 참여하여 부장으로 활약했으며, 청불 전쟁과 청일 전쟁에 참전했다. 특히 대만 방어에 기여하여 펑후진 총병, 대만진총병을 역임했고, 자오저우에 주둔하며 칭다오 건설 등 초기 인프라 구축에도 관여했다. 독일의 자오저우만 침공 당시에는 철수했다가 퇴직했으며, 이후 톈진진, 충칭진 총병을 지냈다. 1912년 상하이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페이시 출신 - 포증
포증은 북송 시대의 청렴하고 강직한 정치가이자 관료로, '포청천'이라고도 불리며 부패 척결과 공정한 판결로 명성을 얻어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고 사후에는 청백리의 상징이 되었다. - 허페이시 출신 - 양전닝
양전닝은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며, 리정다오와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 비보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양-밀스 이론을 개발했으며, 2016년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했다. - 1843년 출생 - 헨리 제임스
헨리 제임스는 19세기와 20세기 초 문학의 주요 인물로, 유럽과 미국 간 문화 차이, 사회적 불평등, 개인 심리 묘사, 등장인물 내면 심리 탐구에 탁월한 미국 출신 소설가이자 작가이다. - 1843년 출생 - 쇼타이왕
쇼타이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마지막 국왕이자 류큐번의 번왕으로, 일본 제국에 의해 강제 퇴위당한 후 후작 작위를 받았으며, 류큐 왕국의 격동적인 멸망 시기를 겪었다. - 1912년 사망 - 이시카와 다쿠보쿠
이시카와 다쿠보쿠는 이와테현 출신의 일본 시인이자 소설가로, 빈곤과 질병 속에서도 활발한 창작 활동을 펼쳐 『일각의 모래』와 같은 대표적인 시집을 남겼으며, 그의 작품과 일기는 일본 근대 단가 문학에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 1912년 사망 - 이용구
이용구는 동학 농민 운동에 참여하고 일본으로 망명하여 친일 활동을 하다가 시천교를 창설하고 한일 합방을 주도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장고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장고원 (章高元) | |
![]() | |
이명 | 정신 (鼎臣, Dingchen) |
출생 | 1843년 |
출생지 | 허페이 시, 안후이 성, 청나라 |
사망 | 1912년 (69세) |
사망지 | 상하이 시, 중국 |
군사 경력 | |
소속 | 청나라 |
군종 | 청나라 육군 |
복무 기간 | 1860년대 — 1898년 |
소속 부대 | 회군 |
참전 | 태평천국의 난 안칭 전투 청불 전쟁 담수이 전투 청일 전쟁 |
기타 정보 | |
최종 직위 | 바투루 |
2. 생애
장고원은 회군에 참여하여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타이완과 자오저우만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한 청나라 말기의 군인이었다.
1887년, 산둥성 덩저우 총병으로 전근하였다.[12] 1892년 가을에는 무군 양영과 광무군 영영, 총 4영, 약 2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자오저우에 주둔했다.[12] 자오저우 주둔 기간 동안 자오저우진(胶澳镇)의 수아문, 병영, 군화약고, 포대, 앞바다 잔교 부두, 전보국 등을 건설하고 자오저우와 칭다오를 잇는 도로를 정비하는 등 초기 인프라 구축에 기여했다.[12]
1900년에는 톈진진 총병을 지냈고, 곧 충칭진 총병으로 옮겼으나, 이후 사임하고 난징에서 거주했다.[12]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장고원은 안휘성 합비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에 회군에 참여했다. 유명전 휘하에서 태평천국의 난과 염군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부장(副將)이 되었다. 이후 유명전의 명으로 기대대의 선봉으로 활약하며 산둥성과 안후이성에서 전공을 세웠다. 특히 안구 전투(安丘之役)에서 큰 공을 세워 총병으로 승진하고, 기용 바투루(奇勇巴图鲁)라는 용맹스러운 칭호를 받았다.[12]1874년, 일본 제국이 타이완을 침략하여 랑야(현재의 헝춘)에 상륙했을 때, 장고원은 명령에 따라 군대를 이끌고 타이완으로 파견되었다. 이후 본토로 돌아와 강음(江陰)에 주둔했다.
1884년 청불전쟁 당시, 프랑스군이 타이완을 침공하자, 장고원은 유명전을 따라 타이완 방어에 참여했다. 프랑스군이 지룽을 점령한 상황에서, 장고원은 밤에 군대를 이끌고 프랑스군 진영을 기습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담수 전투에서는 승리를 거두어 펑후진 총병으로 승진하고, 연창아 바투루(年昌阿巴图鲁)라는 칭호를 받았다. 1885년에는 장가빈의 뒤를 이어 타이완진총병에 임명되어 타이완 산악 지대 개척에 힘썼다.[3]
2. 2. 대만에서의 활약
1874년, 일본군이 대만을 침략하여 랑야(현재 헝춘)에 상륙했다.[12] 장고원은 군대를 이끌고 대만으로 가라는 명령을 받았다.[12] 1884년, 청불 전쟁 당시 프랑스군이 대만을 침공하자, 장고원은 유명전을 따라 바다를 건너 대만을 방어했다.[3] 당시 프랑스군은 이미 지룽을 점령한 상태였다. 그는 죽음을 각오하고 병사들을 이끌고 "밤에 프랑스 요새로 돌입하여 단병접전으로 싸웠다. 그들은 너무나 날카롭고 치명적이었다."라고 하였다.[3] 기륭 원정 중 벌어진 담수 전투에서 장고원은 군대를 이끌고 승리를 거두었다.[12] 전쟁이 끝난 후, 펑후진 총병으로 승진하여 연창아 바투루(年昌阿巴图鲁)라는 칭호를 얻었다.[12] 1885년(광서 11년), 장가빈을 이어 대만진총병을 계승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2] 그는 상부의 명령을 받아 대만 산악 지대를 개척했다.[12]2. 3. 청일전쟁과 자오저우 주둔
1894년, 청일 전쟁이 발발하자 장고원은 8영(營)의 군 병력을 증원받아 랴오둥 반도와 가이핑에 주둔하는 부대를 이끌고 허난성 개주(蓋州)에 침입한 일본군을 맞아 큰 피해를 입혔다.[12] 청일 전쟁 이후, 그는 군대를 이끌고 다시 자오저우로 돌아왔다.1897년 11월 14일, 독일은 조주교안 사건을 구실로 자오저우만을 침공하기 위해 극동 함대를 파견했다. 장고원은 청나라 조정으로부터 전쟁 금지 명령을 받았고, 또한 그의 관할하는 군대가 부족했기 때문에 군대를 근처의 후사방 마을(後四方村)로 철수시켰다가, 이후 창커우(滄口)로 이끌었다.[12] 11월 19일, 장고원은 협상을 위해 독일 막사에 파견된 후 독일군에 의해 구금되었다가 12월 3일에 돌아왔다. 12월 17일, 그는 자오아오에서 모든 병력을 철수시키고, 옌타이로 퇴각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898년 2월, 그는 퇴직했다.[12]
2. 4. 독일의 자오저우만 침공과 이후
1897년 11월 14일, 독일 제국은 조주교안 사건을 구실로 자오저우만을 침략하기 위해 극동 함대를 파견했다.[3] 장고원은 청나라 조정으로부터 전쟁 금지 명령을 받았고, 병력도 부족했기 때문에 군대를 근처의 후사방(後四方) 마을로 철수시켰다가, 이후 창커우(滄口)로 이동시켰다.[3] 11월 19일, 장고원은 협상을 위해 독일 막사에 파견되었으나 독일군에 의해 구금되었다가 12월 3일에 풀려났다.[3] 12월 17일, 그는 자오저우만에서 모든 병력을 철수시키고, 옌타이로 퇴각하라는 명령을 받았다.[3] 1898년 2월, 그는 퇴직했다.[3][8]2. 5. 사망
1912년 상하이에서 병으로 사망했다.[9][3][2]참조
[1]
문서
The original books of his birth year were all written in 1913, but it was found that "Mr. Zhang Dingchen's Xingshu" was published in 1912, and his death year was actually 1912
[2]
웹사이트
Qingdao netizens dig out old photos out of print, Qingdao Morning Post, November 13, 2008
https://web.archive.[...]
2012-04-18
[3]
웹사이트
Zhang Gaoyuan, Shandong Provincial Intelligence Network, accessed 2012-4-18
http://sd.infobase.g[...]
2013-11-26
[4]
웹사이트
「滬尾砲響・清法印記—西仔反特展」,新北市立淡水古蹟博物館
https://www.tshs.ntp[...]
[5]
웹사이트
"[Stone monument] Donated by Zhang Gaoyuan Stone stele, Tamsui Longshan Temple"
https://www.xn--detr[...]
[6]
서적
Revised the General History of Taiwan Province
Taipei City, Taiwan Provincial Documentation Committee
1994
[7]
서적
The Collection of Liu Ming Chuan
Huangshan Publishing House
1997
[8]
웹사이트
德国人眼中的章高元,中国人民政治协商会议青岛市市南区委员会,于2012-4-18查阅
https://archive.toda[...]
2012-04-18
[9]
웹사이트
Recovering Zhang Gaoyuan from out-of-print old photos, Qingdao Evening News, November 13, 2008
https://web.archive.[...]
2012-04-18
[10]
문서
其生年原来各书均作1913年,但查《章鼎臣先生行述》为1912年出版,其卒年实为1912年
[11]
웹인용
青岛网友挖出绝版老照片,青岛早报,2008年11月13日
https://web.archive.[...]
2012-04-18
[12]
웹사이트
章高元,山东省情网,于2012-4-18查阅
http://sd.infobase.g[...]
2013-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