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평천국의 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평천국의 난은 19세기 청나라에서 발생한 대규모 반란으로, 기근, 자연재해, 경제난, 외세 침략 등으로 어려움을 겪던 청나라의 사회적 불안을 배경으로 일어났다. 홍수전이 기독교적 사상을 바탕으로 창설한 태평천국은 사회 개혁을 주장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나, 내부 분열과 청나라 정부의 반격, 서구 열강의 개입으로 멸망했다. 이 난은 청나라의 권력 구조 변화, 한족 관리의 부상, 군벌 시대의 토대 마련 등 중국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의 근대 민족주의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4년 중국 - 염군의 난
    1850년대부터 1860년대 청나라에서 발생한 염군의 난은 1851년 황하 대홍수로 인한 사회 혼란과 청 정부의 무능에 대한 불만을 배경으로 장락행이 '부자를 죽이고 가난한 자를 돕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일으킨 반란으로, 청나라 재정 고갈과 사회 불안정을 심화시켜 신해혁명으로 이어지는 요인이 되었다.
  • 1861년 중국 - 염군의 난
    1850년대부터 1860년대 청나라에서 발생한 염군의 난은 1851년 황하 대홍수로 인한 사회 혼란과 청 정부의 무능에 대한 불만을 배경으로 장락행이 '부자를 죽이고 가난한 자를 돕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일으킨 반란으로, 청나라 재정 고갈과 사회 불안정을 심화시켜 신해혁명으로 이어지는 요인이 되었다.
태평천국의 난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태평천국 운동
중국어 간체太平天国运动
중국어 번체太平天國運動
한어 병음Tàipíng tiānguó yùndòng
웨이드-자일스T'ai-p'ing t'ien-kuo yün-tung
광둥어 예일taai3 ping4 tin1 gwok3 wan6 dung6
객가어Thai-phìn-thiên-koet yun-thung
민난어Thài-pêng-thian-kok ūn-tōng
푸저우어Tái-bìng-tiĕng-guók ông-dông
우어Tha bin thi koq hhyn don
영어 명칭Great Peace Heavenly Kingdom Movement
주요 교전 지역중국
발발 시기1850년 12월
종결 시기1864년 8월
결과청나라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 1청나라
프랑스 제2제국
대영 제국
교전 2태평천국
염군 반란군
홍건적 반란군 (천지회)
소도회
묘족 반란군
흑기군
지휘관
교전 1 지휘관함풍제
서태후
증국번
센게린첸
관문
이홍장
뤄빙장
지르항가
좌종당
장궈량
허춘
샹룽
프레데릭 타운센드 워드
오귀스트 레오폴드 프로테
찰스 조지 고든
교전 2 지휘관홍수전
홍천귀복
홍선교
양수청
풍운산
소조귀
위창휘
홍인간
석달개
이수성
진옥성
이세현
친리강
장러싱 (염군)
쑤싼낭 (염군)
추얼사오 (홍건적)
류융푸 (흑기군)
병력 규모
교전 1 병력340만 명 이상
교전 2 병력200만 명
총 병력1000만 명
사상자
총 사망자2000만 ~ 3000만 명
태평천국 정보
국호태평천국
건국 시기1851년
멸망 시기1864년
이전 국가청나라
이후 국가청나라
수도천경
최대 도시천경
국가 원수천왕
초대 국가 원수홍수전
마지막 국가 원수홍천귀복
정부 수뇌동왕 양수청
정부 수뇌서왕 소조귀
정부 수뇌남왕 풍운산
정부 수뇌북왕 위창휘
정부 수뇌익왕 석달개
건국 계기금전봉기
주요 사건영안건제
주요 사건천경사변
주요 사건천경 함락
주요 사건홍천귀복 포획
통화태평천국성보
전투 정보
전투 이름태평천국의 난
주요 전투 지역중국 남부
전투 결과청나라의 진압
교전 1 병력정규군 200만~500만 명, 민병 34만 명
교전 2 병력정규군 100만~300만 명
교전 1 사상자수십만 명 이상
교전 2 사상자수십만 명 이상
관련 전역
주요 전투금전
제1차 남경
제1차 강남
제2차 남경
삼하
제2차 강남
상해
자계
제3차 남경

2. 역사적 배경

19세기 청나라는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잦은 기근, 자연재해, 경제난은 물론 외세의 침략까지 겹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6] 농민들은 과도한 세금과 치솟는 지대에 짓눌렸고, 결국 땅을 버리고 떠나는 이들이 속출했다.[6] 아편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중국 경제는 대규모 아편 밀수입으로 인한 무역 불균형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6] 사회 곳곳에서 산적들이 들끓었고, 비밀결사와 자위부대가 우후죽순 생겨나면서 소규모 전쟁이 빈번하게 발생했다.[6]

중국 인구는 1766년부터 1833년 사이에 거의 두 배 가까이 폭증했지만, 경작 가능한 땅은 늘어나지 않아[6] 식량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다. 만주족이 이끄는 청나라 정부는 점점 부패해갔고, 특히 남부 지역에서는 지방 세력의 힘이 강해지면서 중앙 정부의 통제력이 약화되었다.[6] 이러한 상황에서 객가 공동체를 중심으로 반만주족 감정이 거세게 일어났고, 기독교 선교사들의 활동도 활발해졌다.[7]

이러한 혼란스러운 시대적 배경 속에서 홍수전이 등장한다. 광동성의 가난한 마을 출신 객가인 홍수전은 여러 차례 과거 시험에 낙방하면서 관리가 되려는 꿈을 접어야 했다.[6] 그는 신경쇠약 증세를 겪던 중 하늘을 방문하는 꿈을 꾸었는데, 꿈속에서 자신의 천상 가족을 만나고 '홍수전'이라는 새 이름을 받았다.[6] 이후 그는 기독교 팜플렛을 통해 자신의 꿈이 하느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부패한 청나라 정부와 유교를 타파하라는 계시를 받은 것이라 해석하게 되었다.[8]

1847년, 홍수전은 광저우에서 미국 침례교 선교사 Issachar Jacox Roberts에게 성경을 배우기도 했지만[9], 세례는 받지 못했다.[10] 1844년 홍수전이 광서(廣西)에서 설교를 시작한 직후, 그의 추종자 봉윤산(馮雲山)은 배상제회(拜上帝會)를 창설했다.[6] 배상제회는 기독교, 도교, 유교와 토착 밀레니엄주의를 융합한 홍수전의 사상을 따랐으며, 그는 이를 상제에 대한 고대 중국 신앙의 회복으로 제시했다.[6]

배상제회는 처음에는 산적과 해적을 소탕하며 성장했지만, 청나라 당국의 탄압으로 인해 게릴라전을 벌이게 되었고, 결국 광범위한 내전으로 확대되었다. 양소청(楊秀清)과 소조규(蕭朝貴) 등 다른 배상제회 신자들은 자신들이 "천상의 가족"의 일원으로서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의 말을 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6]

2. 1. 청나라의 쇠퇴

19세기, 청나라는 일련의 기근, 자연재해, 경제 문제, 그리고 외세의 침략으로 어려움을 겪었다.[6] 농민들은 과도한 세금에 시달렸고, 지대는 급등했으며, 농민들은 땅을 버리고 떠나기 시작했다.[6] 아편전쟁에서 청나라 군대는 참패했고, 중국 경제는 대규모 아편 불법 수입으로 인한 무역 불균형의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6] 산적이 급증했고, 수많은 비밀결사대와 자위부대가 결성되면서 소규모 전쟁이 증가했다.[6]

한편, 중국 인구는 1766년부터 1833년 사이에 거의 두 배로 증가했지만 경작지는 그대로였다.[6] 만주족이 지배하는 정부는 점점 부패해졌고, 남부 지역에서는 지역 세력의 힘이 강해져 중앙 정부의 권력이 약화되었다.[6]

2. 2. 민중의 불만 고조

아편전쟁 이후 청나라는 과도한 세금 징수와 가격 폭등으로 백성들의 삶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6] 전쟁 배상금 마련을 위해 동남 연해부 지방을 중심으로 법정 세금의 몇 배를 거두었고, 지정은제 하에서 은(銀) 유출로 인한 '은귀전천'(銀貴錢賤) 현상까지 겹쳐 백성들의 부담은 상상 이상으로 커졌다.[6] 이전에는 은 1냥이 돈 1,000문이었지만, 아편 수입 등으로 은이 국외로 유출되면서 2,000문 이상으로 급등하여, 세금을 은으로 납부해야 했던 백성들에게는 사실상 세금이 두 배 이상 오른 셈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민중들이 대거 태평천국군에 합류하는 배경이 되었다.

2. 3. 배상제회의 등장

광동성화현(현재의 광저우시 화두구) 출신의 객가인 홍수전은 과거 시험에 계속 떨어지고, 약 40일 동안 병상에 누워 이상한 꿈을 꾸었다고 한다. 꿈에서 야훼로 보이는 노인에게 검을 받고, 예수로 보이는 중년 남자에게 요괴를 처단하는 도움을 받았다는 것이다. 병이 나은 후 홍수전은 광저우에서 프로테스탄트 팸플릿인 '''권세양언'''을 얻어 꿈의 의미를 "이해"하고 기독교에 눈을 뜨게 된다. 이는 로버트 모리슨이 성경을 번역할 때 'God'을 '상제'로 번역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홍수전은 상제가 유일신임을 강하게 의식하고 우상 파괴에 힘썼다. 유교, 도교, 불교 관련 사당을 파괴하고 상제만을 숭배할 것을 요구했다. 광동성에서의 선교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홍수전은 '''원도구세가''', '''원도성세훈'''을 저술하며 효과적인 선교 방법을 모색했다.

1847년, 광서성계평현 금전촌에서 태평천국의 전신인 배상제회가 설립되었다. 풍운산은 포교 활동으로 약 3천 명의 신도를 얻었고, 홍수전을 맞이했다. 배상제회는 숯구이, 빈농, 광부, 객가 등 낮은 사회 계급이 중심이었다. 계평현에서의 성공은 병 치료 등 현세 이익을 강조한 포교 덕분이었다. 풍운산은 종교적 열의와 윤리뿐 아니라 현재 삶의 장점을 강조하여 많은 신도를 얻었다. 그러나 조직 확대는 공권력 및 지역 유력자들과의 마찰을 불렀고, 홍수전은 종교 활동에서 정치 혁명으로 나아가기로 결심한다.

3. 태평천국의 성립과 발전

1850년, 배상제회는 금전촌에 집결해 단영(團營)이라는 사조직을 결성했다. 그곳에서는 남녀를 엄격하게 나누어 각각 남영과 여영에 입영시켰다. 이전부터 거위 울음소리로 위장하며 총과 대포 등의 무기를 몰래 만들며 혁명을 준비하고 있었지만, 금전촌에 집결하는 과정에서 청나라 군대 및 자경단과 충돌이 발생했다.

1851년 1월 1일, 청나라 정규군인 녹영군이 광서성 금전현(오늘날의 계평시)의 배상제회를 공격했다. 배상제회 교주 홍수전은 자신이 야훼의 둘째 아들이자 예수의 동생이라고 주장했다. 녹영군의 배상제회 공격은 금전봉기로 이어졌다. 금전촌에 집결한 사람은 1만에서 2만 명 정도였는데, 그중 성인 남자는 3천 명 정도였다. 하지만 이들은 수적으로 우세한 청군을 물리치고 혁명의 시작을 알렸다.

계평현 금전촌 봉기터의 동상


1851년 1월 11일, 홍수전은 금전촌에서 국호를 태평천국으로 정하고 자신을 천왕(天王)이라고 칭했다.

3. 1. 초기 지도부 구성

1851년 1월 11일(도광 30년 12월 10일), 금전촌에서 배상제회는 국호를 태평천국으로 정하고, 홍수전은 자신을 '''천왕'''(天王)이라고 칭했다. 그러나 태평천국이라는 국호를 언제부터 사용했는지는 여러 설이 있어 명확하지 않다. 공식적으로 정해진 것은 얼마 후인 3월 23일(도광 31년 2월 21일)이며, 이 날을 등극절이라고 한다. 태평천국은 영안에서 반년 동안 머무르면서 이곳에서 관제와 관작 등을 결정하고, 국가의 체계를 갖췄다.[64]

태평천국 초기 지도자
 북왕
위창휘
 
서왕
소조귀
천왕
홍수전
동왕
양수청
 남왕
풍운산
 
익왕
석달개



이때 천왕 아래의 다섯 간부를 아래와 같이 결정했다.



이 중 양수청은 ‘천부하범’(天父下凡)을, 소조귀는 ‘천형하범’(天兄下凡)이라고 칭하고 각각 야훼예수의 신탁을 받을 수 있다고 하여[64], 그것을 빌려 자신의 명령을 내렸기 때문에 점차 홍수전의 발언력은 줄어들었다.

3. 2. 세력 확장

1851년 1월 11일(도광 30년 12월 10일), 금전촌에서 배상제회는 국호를 태평천국으로 정하고, 홍수전은 자신을 천왕(天王)이라고 칭했다. 그러나 태평천국을 언제부터 칭했는지는 여러 설이 있어 확실하지 않다. 공식적으로 정해진 것은 얼마 후인 3월 23일(도광 31년 2월 21일)이며, 이날을 등극절로 했다. 태평천국으로 국호를 정한 것은 청나라에 공개적으로 반기를 든 것을 의미했으며, 남경(南京)에 자리를 잡기 전까지는 각지를 전전하며 이동해야 했다. 태평천국군은 금전촌에서 등현을 거쳐 영안(현재의 멍산현)으로 이동했다. 태평천국은 영안에서 반년 동안 머무르면서 관제와 관작 등을 결정하고 국가 체계를 갖췄다.

이때 천왕 아래 다섯 간부를 다음과 같이 결정했다.

직책이름
중군주장 동왕(東王)양수청(楊秀淸)
전군주장 서왕(西王)소조귀(蕭朝貴)
후군주장 남왕(南王)풍운산(馮雲山)
우군주장 북왕(北王)위창휘(韋昌輝)
좌군주장 익왕(翼王)석달개(石達開)



이 중 양수청은 ‘천부하범’(天父下凡)을, 소조귀는 ‘천형하범’(天兄下凡)이라고 칭하고 각각 야훼그리스도의 신탁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64] 자신의 명령을 내렸기 때문에, 점차 홍수전의 발언력은 줄어들었다.

1840년 발발한 아편 전쟁제2차 아편 전쟁(1856년~1860년)으로 인해 청나라의 많은 전력이 소모되었다. 이로 인하여 청나라 정규군은 광대한 지역에 분산 배치될 수밖에 없었고, 태평천국군은 청군을 여러 번 격파했다.

식량과 화약이 부족해지자 태평천국군은 영안을 떠나 양수청의 의견에 따라 호남성과 호북성을 목표로 북상했다. 1852년 6월 상강에서 남왕 풍운산이, 9월 장사 공략 중에는 서왕 소조귀가 전사했다. 두 왕의 전사는 태평천국 지도부 간의 힘 관계를 미묘하게 변화시켰고, 이후 ‘천경사변(天京事變)’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전사 직후에는 청나라와의 교전이 복수전의 성격을 띠어 오히려 사기를 높였다.

결국 계림장사(호남성의 성도)는 함락하지 못했지만, 12월 하순에는 한양(漢陽), 한구(漢口)를 함락시켰고, 1853년 1월에는 무창을 함락했다. 무창은 태평천국군이 최초로 함락시킨 성도(호북)였으며, 그 점령은 엄청난 금은보화를 가져다주었다.

이후 양수청의 의견에 따라 수륙 양군을 편성하여 장강을 따라 내려갔다. 1853년 3월 19일(함풍 원년 2월 18일)에 태평천국군은 강녕(남경)을 함락시키고 이곳을 천경(天京)으로 개명하고 태평천국 왕조를 세웠다.

4월 27일, 영국의 HMS 허미즈가 남경에 도착하였고, 영국 공사 조지 본햄이 북왕 위창휘와 익왕 석달개와 회견했다. 회견에서는 토머스 테일러 메도우즈(Thomas Taylor Meadows|토머스 테일러 메도우즈영어)의 통역으로 영국이 태평천국에도, 청나라에도 중립적인 입장임을 알렸다.

계림 공격 당시 격전으로 5,000명으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남경 함락 시에는 태평천국군이 20만 명 이상으로 급증하여 수륙 양군을 편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급격한 팽창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우선 청나라 조정의 증세가 있었다. 전쟁 전비 조달과 패전 후 손해 배상을 위해 청나라는 법으로 정한 몇 배의 세금을 특히 동남 연해부 지방에서 징수했다. 또한 ‘은귀전천’(銀貴錢賤) 현상도 백성들에게 실질적 증세가 되었다. 당시 토지세는 으로 납입하는 지정은제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돈을 은으로 환전해서 납부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국에서 수입하는 아편을 비롯한 외국과의 무역을 통해 은이 국외로 유출되자 은과 돈의 교환 비율이 변동했다. 은 1냥이 1,000문 돈이었지만, 2,000문 이상으로 급등했다. 이러한 과도한 세금 부담에 참다못한 민중들이 대거 태평천국군에 투신하면서 조직은 급격하게 팽창되었다.

난징조약에 의해 교역이 광동 한 항구에 한정되지 않자 내국의 물류 통로가 격변했고, 그때까지 화물 운송에 참여했던 많은 사람들이 실직을 당하고 산적이 되었다. 또한, 백련교도의 난 이후 조직된 ‘향용’이라는 임시 모집병이 아편전쟁 이후 해산되자, 이들도 산적이 되었다. 태평천국이 이들을 흡수한 것도 급격한 팽창의 요인이 되었다.

3. 3. 군사적 성격

초기 태평천국군은 일반적인 도적떼와는 달리 엄격한 규율과 높은 도덕성을 가지고 있었다. 적어도 난징에 수도를 정할 때까지는 이러한 경향이 강하게 유지되었다. 예를 들어, 약탈은 물론 민가에 함부로 침입하는 것조차 금지되었고, "오른발을 민가에 넣은 자는 오른발을 자른다"는 식의 엄벌로 다스렸다.[1] 반면, 청나라 군대는 백성들을 상대로 약탈을 일삼았다.[1]

당시 진압에 나섰던 흠차대신 사이상가(1794-1875)와 양광총독 서광진(1797-1869)은 태평천국군이 기존의 도적 무리와는 달리, 구성원 간의 결속이 강하고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기록했다.[1]

태평천국군은 반란의 핵심 전력이었으며 높은 수준의 규율과 광신성이 특징이었다.[2] 그들은 일반적으로 붉은 상의에 파란 바지를 입고 머리를 길게 길렀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장발(長髮)"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반란 초기 태평천국군에는 많은 여성들이 복무했는데, 이는 19세기 다른 군대와 구별되는 특징이었다. 그러나 1853년 이후 여성의 수는 줄어들었다.[2] 홍수전, 서삼랑, 구이소는 태평천국군에서 여성 병사들을 지휘한 여성 지휘관들의 예시이다.[2]

전투는 항상 피비린내 나고 극도로 잔혹했으며, 포병은 적었지만 소화기를 장비한 대규모 병력이 투입되었다. 양측 군대는 서로를 전장에서 몰아내려고 시도했고, 사상자는 많았지만 결정적으로 승리한 전투는 거의 없었다. 태평천국군의 주요 정복 전략은 주요 도시를 점령하고 도시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한 다음, 주변 시골로 진출하여 현지 농민을 모집하고 정부군과 전투를 벌이는 것이었다.[2]

태평천국군의 전체 규모는 약 200만 명으로 추정된다. 군대의 조직은 진(秦)나라의 조직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각 군단은 약 1만 3천 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군단들은 크기가 다른 군대로 배치되었다. 주력 태평천국군 외에도 수천 명의 친(親)태평천국 집단들이 자체 비정규군을 운용하고 있었다.[2]

반군은 상대적으로 현대적인 무기로 잘 장비되어 있었다. 외국 정부의 지원을 받지는 않았지만, 소총, 포병, 탄약을 포함한 현대 탄약을 외국 공급업체로부터 구입했다. 1853년부터 무기를 구입하기 시작했다.[3] 탄약은 주로 영국과 미국인들에 의해 중국으로 밀반입되었다. 1862년 4월, "반군과 거래로 유명한" 미국 무기상의 선적에는 2,783정(퍼커션 캡) 머스킷, 66정 카빈총, 4정 소총, 895문 야포가 포함되어 있었고, 이 무기상은 충왕(忠王)이 서명한 여권을 소지하고 있었다.[3]

반군은 또한 무기를 제조하고 제조 장비를 수입했다. 1862년 여름, 서구 관찰자는 난징에 있는 반군 공장에서 청나라보다 우수한 대포를 포함한 총을 생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반군은 노획한 장비로 현대 무기고를 증강했다.[3] 처형 직전, 태평천국의 충왕 이수성은 청나라에 외국 열강과의 전쟁에 대비하여 최고의 외국 대포와 포차를 구입하고 복제하는 방법을 배울 것을 권고했다.[3]

1853년 초부터 여러 국가 출신의 외국인들이 전투와 행정 직책에서 반군에 합류하여 전투 중인 태평천국을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반군은 사격 중에도 용감했고, 방어 시설을 빠르게 구축했으며, 이동식 부교를 사용했다. 한 가지 전술은 청군의 방어 시설을 포위하여 사격한 후, 도망치는 청군 병사들을 개별적으로 사살하는 것이었다.[3]

양쯔강과 그 지류를 따라 작전하는, 노획한 배로 구성된 소규모 태평천국 해군도 있었다. 해군 사령관 중에는 항왕 탕정채가 있었다.[2]

4. 태평천국의 통치

태평천국은 점령지에서 여러 가지 독특한 정책을 시행했다. 우선, 청나라의 증세와 아편전쟁의 여파로 백성들의 삶이 어려워지자, 많은 이들이 태평천국군에 합류하여 조직이 급격히 팽창했다. 난징 조약으로 인해 실직한 사람들, 백련교도의 난 이후 해산된 향용 등도 태평천국에 흡수되었다.[14]

태평천국은 사회 개혁에도 힘썼다. 성별을 엄격하게 분리하고, 전족을 폐지했으며, 토지를 공유하고 사적 무역을 억제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또한 아편 수입을 금지했다.[28] 종교적으로는 유교, 불교, 중국 민간 신앙 대신 홍수전예수의 동생이자 상제의 차남이라고 주장하는 기독교 신앙인 하늘을 섬김을 따랐다. 불교와 유교 관련 서적들은 불태워졌고, 사찰은 종종 새로운 종교 시설이나 병원, 도서관으로 바뀌었다.[29]

초기에는 성별 분리가 엄격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완화되었다. 십계명을 오역하여 간음뿐 아니라 "방탕"도 금지했기 때문에, 부부간의 성관계조차 꺼리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태평천국군은 높은 규율과 광신성을 가진 반란의 핵심 전력이었다. 붉은 상의와 파란 바지를 입고 머리를 길게 길러 "장발(長髮)"이라고 불렸다. 초기에는 여성 병사들도 많았지만, 1853년 이후로는 그 수가 줄었다. 홍수전(洪秀全), 서삼랑(蘇三娘), 구이소(丘二嫂) 등이 여성 병사들의 지휘관으로 활약했다.

전투는 매우 잔혹했으며,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다. 태평천국군은 주요 도시를 점령하고 주변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군대 조직은 진(秦)나라의 조직에서 영감을 받아, 각 군단은 약 1만 3천 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외에도 수천 명의 친(親)태평천국 집단들이 자체적인 비정규군을 운영했다.

태평천국군은 외국 정부의 지원 없이도 외국 상인들로부터 소총, 포병, 탄약 등 현대적인 무기를 구입하여 사용했다. 1862년 4월에는 미국 무기상이 충왕(忠王)의 여권을 소지하고 2,783정의 머스킷, 66정의 카빈총, 4정의 소총, 895문의 야포를 판매하기도 했다.[21] 또한, 노획한 장비와 자체 생산을 통해 무기고를 확충했다. 이수성(李秀成)은 청나라에 외국 대포와 포차를 구입하고 복제하는 방법을 배울 것을 권고하기도 했다.[22]

태평천국군은 이동식 부교를 사용하고, 청군의 방어 시설을 포위하여 사격한 후 도망치는 병사들을 사살하는 전술을 사용하기도 했다. 노획한 배로 구성된 소규모 해군도 운영했으며, 탕정채(唐正才)가 해군 사령관 중 한 명이었다.

남경을 수도로 정한 후, 태평천국은 청나라의 강남대영(江南大営)강북대영(江北大営)의 압박을 받게 되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세 가지 방안이 논의되었다.

방안내용
첫째강남대영(江南大営)과 강북대영(江北大営)을 격파하고 강남(江南) 지역에 확고한 지배 지역 확립
둘째북벌(北伐)을 감행하여 北京을 함락
셋째천경 방위와 북벌을 동시에 진행하고, 서쪽으로도 군대를 파병



태평천국은 결국 마지막 방안을 선택하여 천경 방위에 최대 병력을 배치하고, 정예 병력 2만 명을 북벌에 투입했다.

4. 1. 종교와 사상

기독교적 이상을 내세워 지상낙원을 건설하려 했던 홍수전이었지만, 현실적으로 사회를 조직·운영하는 데 있어 전통적·토착적인 사고방식과 가치관에서 벗어날 수 없었기에, 그의 이상과 현실은 극도로 괴리될 수밖에 없었다.

태평천국은 기독교의 자극으로 발생한 현상으로, 삼위일체론을 교리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홍수전예수의 동생으로 위치시킨 점에서 기독교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신 앞에 모든 사람은 평등하며 형제자매라는 천하일가(天下一家)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태평천국은 성경 외에 홍수전이 저술한 『원도구세가(原道救世歌)』 등을 일부 수정하여 경전으로 사용했다. 홍수전은 『권세량언(勸世良言)』을 통해 각성한 후 광저우에서 I. J. 로버츠라는 미국인 선교사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이때 기본적인 지식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세례는 시기상조라는 이유로 받지 못했다.

초기 태평천국은 독자적인 해석을 곁들이면서도 기독교에 충실하려고 노력했다. 예를 들어 우상숭배를 배격하고 유교 등의 가르침을 담은 책을 적극적으로 폐기했다. 그러나 1854년경부터 이러한 태도에 변화가 나타났다. 무조건 소각했던 육경(六經)을 태평천국에 맞게 개정한 후 유포하는 것을 허용하고, 성경은 태평천국이 개정한 것만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삼위일체론을 태평천국에 맞게 변경하고 홍수전양수청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조치였다.

문화적인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새로운 문자를 만든 것이다. 예를 들어 혼(魂)은 “운인(云人)”, 백(魄)은 “백인(白人)” 등 총 22자를 만들었다. 다만, 圀(국)과 같은 측천문자의 생명력은 유지했다.

4. 2. 사회 제도

태평천국은 남경에 입성한 후 바로 제도 정비에 착수했다. 홍수전을 비롯한 지도자들은 웅장한 궁궐을 지었고, 그중에서도 홍수전과 양수청의 궁궐이 특히 컸다. 홍수전은 궁궐 깊숙한 곳에 머물며 정치와 백성들로부터 멀어졌고, 양수청이 실질적인 정무를 담당했다. 초기 천경(남경)의 정책은 양수청의 강력한 지휘 아래 시행되었다.

태평천국의 사회는 청나라와의 전쟁이 계속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군사적인 성격이 강했고, 병사와 농민이 하나 되는 병농일치가 원칙이었다. 봉기 직후부터 남녀는 부부라도 서로 다른 집단으로 나뉘어 생활했고, 천경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천왕을 비롯한 지도부는 예외적으로 일부일처제를 요구하는 서민들과 달리 구약성서의 일부다처제를 근거로 많은 처첩을 거느렸다. 이는 중국 황제의 후궁 제도에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왕과 서민 간의 이러한 차이는 불만을 야기했고, 결국 1855년에 남녀 분리 제도는 폐지되어 새로운 점령 지역에서만 시행되었다.

객가 출신이 많았던 태평천국에서는 전족의 풍습이 없었고, 여성도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기 때문에 전족이 금지되었다. 또한, 매춘 금지와 여성 과거 실시를 통해 남녀 평등을 추구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여성 과거 합격자가 중용되지 않고, 이후 남발된 왕위에 여성이 한 명도 포함되지 않은 점으로 볼 때, 남존여비 사상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천조전무제도는 밭을 모든 사람이 경작하고 수확물을 공평하게 나누어 풍족한 생활을 보장한다는 목표로 만들어졌다. 밭을 9등급으로 나누어 남녀 구분 없이 분배하고, 개인 소비분을 제외한 생산물은 국고에 보관하여 사유 재산을 인정하지 않았다. 대신 결혼, 장례 등의 의례 비용과 고아 및 노인 부양은 국고에서 지출했다. 25가구마다 양사마라는 관리와 예배당을 두어 관리하는 체계였다.

토지 평균 분배를 내세운 이 제도는 당시 대토지 소유가 만연했던 청나라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고, 그 사상적 의미는 컸다. 그러나 실제로는 백성들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시행되지도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지배 지역에서는 토지 유력자를 '향관'으로 임명하여 소작료를 징수했는데, 이는 지배를 안정시키고 식량을 확보하기 위한 현실적인 선택이었다.

역법으로는 태양력을 채택한 천력이 시행되었다.

4. 3. 외교 관계

1853년 4월, 영국 공사 보넘(Bonham)은 천경(남경)에 직접 가서 홍수전 등에게 난징 조약 등 기득권을 침해하지 않는 한 내전에 간섭하지 않고 중립을 지키겠다고 전했다. 그러나 태평천국 측은 열강을 조공국으로 대우했고, 대화는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다.[28]

이러한 외교적 자세는 중화사상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흥미로운 것은 화이(華夷)의 구별이 중국 문화의 정도에 의한 것이 아니라 기독교 신앙의 유무에 따랐다는 점이다. 따라서 태평천국에게 가까운 곳은 청나라보다 서구였다. 홍수전 등은 서유럽을 ‘서양 형제’라고 부르며, 스스로는 후한 대접을 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28]

이러한 태평천국의 외교 태도에 영국과 다른 열강은 실망했다. 1860년, 마침 애로호 전쟁이 열강에 유리한 조건으로 타결되면서 태평천국보다 청나라 편을 들게 된다. 그 중 하나가 후술하는 상승군이다.[34]

5. 내분과 쇠퇴

1856년, 태평천국천경사변이라 불리는 내부 권력 투쟁으로 큰 혼란을 겪었다. 이는 종교적 권위를 가진 홍수전과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던 양수청 사이의 갈등에서 비롯되었다. 양수청은 '천부하범'(天父下凡)이라는 종교적 의식을 통해 홍수전을 압박했고, 홍수전은 위창휘를 끌어들여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 과정에서 양수청을 비롯한 수많은 사람이 학살되었고, 석달개는 내분에 반발하여 위창휘의 처벌을 요구했으나, 결국 위창휘도 홍수전에 의해 제거되었다.

이후 홍수전은 석달개와 잠시 협력했지만, 곧 석달개는 독자적인 행동을 시작하면서 태평천국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주요 지도자 중에는 홍수전만 남게 되었다.

청나라는 태평천국의 내분을 틈타 증국번이 이끄는 상군을 동원하여 공격해왔다. 1858년 5월, 구강이 함락되고 천경(지금의 난징시)이 포위되면서 태평천국은 큰 위기를 맞았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홍수전이수성, 이세현, 진옥성 등 젊은 장군들을 등용하여 반격에 나섰다. 이들은 삼하 전투에서 상군에게 대승을 거두는 등 활약하며 태평천국을 부활시켰다.

1859년에는 홍인간천경에 합류하여 내정을 맡아 서구식 개혁을 시도했다. 그는 홍콩에서 서구 문명을 접한 경험을 바탕으로 철도, 기선 도입, 신문 발행, 과거 제도 개혁 등 다양한 개혁안을 제시했으나, 다른 지도자들의 이해 부족으로 실패했다. 그의 개혁안은 《자정신편》에 상세히 기록되었다.

홍수전은 새로운 지도부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왕호를 남발하기 시작했다. 1860년 이후에는 수많은 '왕'이 등장했고, 태평천국 말기에는 1,700명 이상의 '왕'이 존재했다고 한다.[14]

5. 1. 천경사변

태평천국을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기준은 천경사변이라고 할 수 있다. 전기 태평천국은 홍수전양수청 두 사람이 이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종교적 권위는 그리스도의 동생이라고 주장했던 홍수전이, 실무는 양수청이 담당했다. 보통 이 둘은 군신 관계였다.

하지만 양수청에게 ‘천부하범’(天父下凡)이 일어나면[64], 두 사람의 입장은 뒤바뀌었다. 군주인 홍수전이 신하인 양수청에게 엄벌을 받는 상황이 벌어졌다. 본래 ‘천부하범’이나 ‘천형하범’은 금전촌 시기에 풍운산이 체포되자 흔들리는 신자들을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이 시초였다. 이후 청나라에 맞서 봉기하기로 한 것도 ‘천부하범’의 권위 덕분이었다.

처음에는 군 내부 규율 유지와 양수청의 독재에 반대하는 간부 숙청에 주로 사용되었고, 천왕 홍수전 자신을 위한 경우는 드물었다. 그러나 천경에 입성하면서 점차 횟수가 늘어났다. 그 내용은 홍수전의 첩을 대하는 방식부터, 홍수전과 마찬가지로 양수청에게도 만세를 불러야 한다는 것까지 다양했다.

1721년 요한 B.F. 본 엘라치 경이 그린 영곡탑


홍수전은 겉으로는 양수청에게 순순히 복종했지만, 결국 그를 제거하기로 결심한다. 마찬가지로 양수청에게 억눌려 있던 북왕 위창휘를 부추겨 친위 쿠데타를 일으켰다. 1856년 9월 새벽, 양수청 일족과 부하 병사, 그 가족들 약 4만 명이 학살당했다. 얼마 후 천경에 들어온 석달개는 내분에 분노하여 홍수전에게 위창휘의 처벌을 요구했다. 대보은사의 영곡탑을 파괴하고 석달개의 진군에 대비했지만, 홍수전에 의해 위창휘는 숙청되었다.

홍수전은 위창휘의 목을 석달개 진영에 보내 잠시 동안 석달개와 협력 체제를 구축했다. 그러나 홍수전은 이미 직계 가족 외에는 중용할 생각이 없었고, 석달개는 몇 달 만에 천경을 떠나 독자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태평천국은 지배 영역이 안정되자마자 내분으로 약화되었고, 금전촌에서 봉기했을 때 주요 인물은 홍수전 한 명만 남게 되었다. 그러나 태평천국은 이대로 몰락하지 않고, 석달개를 대신할 유능한 장군들이 여럿 나타나면서 한동안 더 존속할 수 있었다.

5. 2. 후기 지도부 등장

청나라태평천국의 내분을 틈타 증국번 등이 이끄는 상군을 동원하여 장강 상류에서 공격해 왔다. 1858년 5월 구강을 함락시켰고, 천경(지금의 난징시)을 포위하면서 태평천국은 위기에 놓였다.

이때 홍수전이수성, 이세현, 진옥성 등 젊은 장군들을 발탁했다. 이들은 어릴 때부터 전장에서 활약해 경험이 풍부했다. 이후 태평천국은 반격에 나섰고, 삼하 전투에서 상군에 대승을 거두며 부활했다. 이수성과 이세현은 강남 지역을 다시 장악했고, 진옥성은 안후이성으로 진군했다. 홍수전은 오군주장을 다시 설치하고 다음 5명을 임명했다.

직책이름비고
중군 주장양보청이후 보왕
전군 주장진옥성이후 영왕
후군 주장이수성이후 충왕
우군 주장위준이듬해 청나라에 투항
좌군 주장이세현이후 시왕



1859년, 홍인간이 천경에 도착하여 간왕에 봉해지고 내정을 맡았다. 그는 홍콩에서 서구 문명을 접하고 태평천국에서 서구식 개혁을 시도했다. 그의 개혁안은 《자정신편》에 상세히 나와 있다. 주요 내용은 철도, 기선 등 교통망 정비, 광산 개발 등 인프라 정비, 신문 발행, 복지 향상, 과거 개혁, 서구와의 통상 관계 구축, 선교사 활동 허가 등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다른 지도부의 이해 부족으로 실패했다. 역설적이게도 《자정신편》의 내용은 증국번이홍장에 의해 계승되어 양무운동으로 이어진다.

5. 3. 홍인간의 개혁 시도

홍인간은 홍수전의 사촌동생으로, 1859년 남경에서 간왕(干王)에 봉해졌다. 그는 홍콩 등지에서 서구 문물을 접한 경험을 바탕으로, 태평천국을 근대 국가로 변모시키기 위한 개혁안을 제시했다.[14]

홍인간의 개혁안은 그의 저서 《자정신편(資政新篇)》에 잘 나타나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홍인간의 《자정신편(資政新篇)》 주요 개혁안
분야내용
교통철도, 기선 도입을 통한 교통망 정비
산업광산 개발, 공장 설립 장려
언론신문 발행을 통한 여론 형성
복지양로원, 고아원 등 사회 복지 시설 확충
교육과거 제도 개혁, 서양 학문 도입
외교서구 열강과의 통상 관계 구축, 선교사 보호



그러나 홍인간의 개혁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홍수전은 《자정신편(資政新篇)》의 내용을 지지했지만, 다른 태평천국 지도자들은 서구 문물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하지 못했다.[14]

홍인간의 개혁 시도는 비록 실패했지만, 이후 청나라 말기에 추진된 양무운동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5. 4. 왕호 남발

1859년부터 1860년까지 홍수전은 새로운 지도부가 된 젊은 장군들에게 왕위를 수여하기로 결정했다. 양보청을 ‘보왕’(輔王)에, 이수성을 ‘충왕’(忠王)에, 이세현을 ‘시왕’(侍王)에, 진옥성을 ‘영왕’(英王)에 각각 봉했다.[14] 1857년까지 왕호는 귀했으며, 건국 초기 동서남북익의 오왕 외에는 군공을 세운 두 명의 ‘연왕’(燕王), ‘예왕’(豫王), 전사자에게 추증한 ‘분왕’(奮王), ‘무왕’(撫王), ‘오왕’(呉王), 홍수전의 형제 두 사람에게 ‘안왕’(安王), ‘복왕’(福王)을 내려 총 12명으로 제한되어 있었다.[14] 그러나 1860년 이후에는 사기와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왕호가 자주 내려졌다.[14] 전황이 악화되자 왕호 남발은 더욱 심해졌고, ‘열왕’(列王)이라는 수십 명이 함께 봉해지는 사태까지 등장했다.[14] 태평천국 말기에는 1,700명 이상의 ‘왕’이 있었다고 한다.[14]

6. 태평천국의 멸망

1860년 2월부터 5월까지 벌어진 제2차 강남대영 공략에서 홍인간, 이수성, 양보청, 이세현, 진옥성이 이끄는 태평천국군은 청군을 격파했다. 그러나 홍인간이 합류하면서 태평천국 내부에 갈등이 생기기 시작했다. 홍인간의 개혁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었고, 뚜렷한 전공도 없었기에 이수성 등은 그가 왕으로 봉해진 것을 홍수전의 편애로 여겼다. 이수성과 이세현은 홍씨 일족에 대항하여 이씨 파벌을 형성하고 독단적인 행동을 일삼았다.

1860년 상하이 공략 당시, 이수성은 열강의 조계가 있던 상해 공격을 자제하라는 지시를 어기고 공격을 감행했다가 큰 피해를 입었다. 이는 서구와의 협상을 통해 청나라에 가담하지 않도록 획책하던 홍인간과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또한 진옥성장강 중류에서 상군과 싸우는 동안, 이수성은 강남 제패를 우선시하여 합류하지 않아 진옥성이 고립되어 섬멸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태평천국군은 규율이 무너지고 민중의 지지를 잃어가고 있었다. 식량 확보를 위해 무질서한 징수와 약탈을 일삼았고, 항복한 청나라 병사를 편입하면서 군대의 질도 떨어졌다. 태평천국군은 염군 등 다른 반란군과 협력하려 했지만, 자존심 때문에 원활한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태평천국의 열세는 내부 문제뿐만 아니라 청나라 군대의 재건도 큰 영향을 미쳤다. 증국번상군이홍장회군은 지연, 혈연, 학연으로 맺어진 사병적 성격의 군대로, 청나라 군대보다 지휘관 개인에게 충성했다.

1860년 베이징 조약 이후, 서구 열강은 태평천국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다. 상하이와 닝보 전투에는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태평천국군을 압박했다. 또한, 상해의 관료와 상인들은 자금을 모아 서양식 무기로 무장한 외국인 용병 부대를 고용했다. 이 부대는 프레드릭 타운센드 워드가 지휘하는 양창대였으며, 이후 상승군으로 개명되어 태평천국 진압에 큰 역할을 했다.

6. 1. 청나라 군대의 재건

청군이 룬현을 탈환하다


태평천국의 난에 맞서 청나라 조정은 100만 명이 넘는 정규군과 수만 명에 달하는 지역 민병대, 외국 용병으로 구성된 제국군을 동원했다. 제국군에는 찰스 고든 등의 서구 장교가 지휘하고 유럽 무기 회사에서 무기를 공급받은[31] 중국인 병사들의 정예부대 상승군이 있었다.

증국번의 향군, 호남성 출신 좌종당의 군대도 청나라 군대의 중요한 축이었다. 중앙 정부의 통제를 받는 군대가 태평천국을 제압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들 향신사가 이끄는 용영 군대가 활약했다.

중국 제국은 전통적으로 정확한 기록을 중시했지만, 전쟁이 내전이었고 지역 세력에 의존하는 분권화된 방식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신뢰할 만한 수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태평천국이 멸망하면서 관련 기록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약 10% 정도만 남아있다.

태평천국 측 신병의 약 90%는 전투 중 사망하거나 청나라에 투항했다.[32]

청나라 군대는 지역 민병대 외에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군대 종류병력 규모
팔기군25만 명
녹영군약 61만 명
향군 (호남)13만 명
회군 (안휘)7만 명
초군4만 명
상승군5,000명


6. 2. 서구 열강의 개입

베이징 조약 체결 이후, 구미 열강은 태평천국을 명확하게 적대하기 시작했다. 상하이와 닝보 전투에서 영국과 프랑스군은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태평천국군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14]

태평천국군은 외국인 용병 부대와도 싸워야 했다. 상해의 관리와 상인들은 자금을 갹출하여 서양식 총과 대포를 갖추고 조계에 있던 외국인 병사를 고용하여 중국 최초의 서양식 군대를 조직하였다. 이 용병군은 미국인 프레드릭 타운센드 워드를 지휘관으로 하는 양창대라는 이름으로 발족했다. 이듬해에는 중국인 4~5천 명을 징병하여 '''상승군'''으로 개명했다.[14] 자계 전투에서 워드가 전사한 후 다소 혼란이 있었지만, 영국인 찰스 고든이 지휘관으로 취임하면서 다시 파죽지세를 되찾았다. 상승군의 성공을 본받아 상안군, 정승군, 상첩군 등 유사한 군대가 각지에 만들어졌다.[14] 상승군은 중국인이라도 서양식 군대 장비를 갖추면 강해질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증국번 등은 이 힘을 목격한 후 군대의 현대화에 주력하게 되었고, 이는 양무 운동의 원점으로 평가받는다.[14]

6. 3. 최후

1863년 이후 태평천국은 태창주(太倉州), 무석(無錫), 소주(蘇州), 항주(杭州)를 차례로 잃고 천경(南京)은 고립되었다. 이세현 등은 이미 홍수전을 버리고 있었지만, 이수성 만은 청나라의 포위를 뚫고 천경으로 들어갔다. 이수성은 홍수전에게 천경을 버릴 것을 권했지만, 홍수전은 완강히 거부하고 도리어 이수성에게 방어를 맡도록 명령했다. 고립된 천경의 식량 사정은 위태로웠고, 잡초를 ‘첨로’(甜露)라고 먹을 정도였다. 수도임에도 방어를 담당할 병사들은 폭도가 되어 있었고, 끝이 가까워져 오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 사람은 없었다.

1864년 6월 1일, 홍수전은 영양실조로 병사했다. 이수성에 따르면 직접적인 원인은 ‘첨로’를 먹고 건강을 해쳤음에도 불구하고 약을 복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자살했다는 설도 있었지만, 그것은 상군(湘軍)의 업적을 과대평가하기 위한 의도적인 사기였던 것 같다. 죽음 직전 “내가 천국에 올라가 천부천형에게 군사를 빌려 천경을 지키겠다”고 말했으며, 이것이 홍수전 마지막 조칙이 되었다.

천경 공방전


7월 19일, 천경공방전에서 상군의 공격에 의해 천경이 함락되면서 태평천국의 난은 끝났다. 성 밖에서 굴을 파서 병력을 들여보냈는데, 이 전술은 태평천국의 특기였다. 성내에는 이미 싸우기 싫어하는 분위기가 가득했지만, 소주 함락 때 태평천국 병사 8,000명이 몰살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투항하지 못하고 끝까지 계속 싸웠다. 점령 후 노인이나 아이들이 많이 있었지만 20만 명이 학살당했다고 한다.[59] 홍수전의 무덤도 파헤쳐 불태웠다. 이수성홍수전의 아들 홍천귀복을 데리고 천경을 탈출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붙잡혀 처형되었다. 이수성은 처형되기 전에 상세한 자술서를 남겼다.

이후 태평천국 잔당은 강소, 절강, 복건의 산악지대로 밀려났고, 중국 대륙 최남단인 광동성까지 쫓겨났다. 생존한 제왕들은 염군과 합류하는 등 각지에서 산발적인 저항을 하면서 청군을 괴롭혔다. 광동에서 최후의 태평천국 잔당 지도자인 왕해양1866년 1월 29일 토벌되어 태평천국의 난은 완전히 마무리되었다. 1868년에는 염군마저 괴멸되었고, 1870년대에는 거의 모두가 진압되었다.

7. 태평천국 운동의 영향

태평천국 운동은 단순한 반란을 넘어 중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쟁은 베트남까지 확산되어 큰 피해를 입혔다. 1860년, 좡족 출신 태평천국 지도자 오릉운(吳凌雲)은 중국-베트남 국경 지역에서 팅링(廷陵國)을 세웠으나 1868년 청나라 군대에 멸망했다. 그의 아들 오아중(吳亞忠)은 베트남으로 도망쳤지만, 1869년 청나라-베트남 연합군에 의해 살해되었다.[15] 오아중의 부대는 황기군(黃旗軍)과 류용부(劉永福)가 이끄는 흑기군(黑旗軍) 등으로 나뉘어 약탈을 일삼았다. 류용부는 북부 톤킨의 유명한 군벌이 되었고, 1880년대 청불전쟁에서 프랑스에 맞서 응우옌 왕조(阮朝)를 도왔으며, 나중에는 대만민국(Republic of Formosa)의 지도자가 되었다.

다른 "기군(旗軍)"들은 란쌍왕국(Lan Xang)을 약탈하는 산적떼로 변했다. 이들은 라마 5세의 군대에 대항하여 하전쟁(Haw wars)을 벌였고, 1890년까지 싸웠다.

태평천국 운동은 극심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파괴 외에도 후기 청나라에 변화를 가져왔다. 권력은 제한적으로 분권화되었고, 한족 관리들이 고위직에 더 많이 등용되었다.[48][49] 또한, 산시성(Shanxi)과 안후이성(Anhui)의 회주 지역(Huizhou region) 상인들의 중요성이 감소한 반면, 광저우(Guangzhou)와 닝보(Ningbo) 등 해안 지역 무역은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았다. 상하이로 유입된 난민들은 상하이의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존 킹 페어뱅크는 태평천국 반란군이 1세기 후 권력을 잡은 마오쩌둥의 공산주의자들과 유사하다고 평가했다.[56]

태평천국 운동은 여러 역사 소설에서 다루어졌다. 로버트 엘레건트의 만다린, 플래시맨과 용, 리사 시의 눈송이와 비밀 부채, 에이미 탄의 백 가지 비밀 감각, 캐서린 패터슨의 천국의 반역자들, 리 보의 《Tienkuo: The Heavenly Kingdom》 등이 대표적이다.

이 전쟁은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1988년 홍콩 TVB 드라마 멸망의 황혼, 2000년 중국중앙텔레비전 드라마 태평천국, 2007년 영화 전쟁의 군주들 등이 있다.

7. 1. 중국 근현대사

태평천국의 난은 청나라 말기 혼란스러운 사회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이 난은 단순한 반란을 넘어, 이후 중국 근현대사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우선, 정치적으로 청나라 중앙 정부의 권위가 약화되고 지방 권력이 강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한족 출신 관료들의 등용이 확대되었고, 이는 기존 만주족 중심의 권력 구조에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증국번, 이홍장 등 한족 출신 지방관들이 이끄는 군사 조직(향군)은 중앙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독자적인 세력으로 성장했고, 이는 훗날 군벌 시대의 기원이 되었다.[48][49]

사상적으로도 태평천국의 난은 이후 중국 혁명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태평천국의 기독교 사상과 급진적인 사회 평등 주장은 쑨원 등 후대 혁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51] 일부 태평천국 출신들은 쑨원이 이끈 중국 부흥회에 참여하기도 했다.[9]

중국 공산당은 태평천국의 난을 원시 공산주의 봉기로 해석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51] 마오쩌둥은 태평천국의 혁명 정신과 농민 중심의 군사 전략을 높이 평가했으며, 이는 중국 공산당의 혁명 노선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7. 2. 한국 근현대사

태평천국의 난은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개혁 등 한국의 근대 민족주의 및 사회 개혁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

참조

[1] 서적 Taiping Rebel: The Deposition of Li Hsiu-ch'eng
[2] 웹사이트 Global Trends: Facing up to a Changing World https://www.goodread[...]
[3] 서적 Treaty Ports in Modern China: Law, Land and Pow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간행물 War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3-09-26
[5] 학술지 Did the Hakka Save China? Ethnicity, Identity, and Minority Status in China's Modern Transformation https://digitalcommo[...] College of Saint Benedict and Saint John's University
[6] 서적 Taiping Rebel: The Deposition of Li Hsiu-ch'eng
[7] 서적 The Wobbling Pivot: China Since 1800
[8] 서적 Sources of Chinese Tradi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9] 학술지 Reverend Issachar Jacox Roberts and the Taiping Rebellion
[10] 서적 Asian Millenarianism: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the Taiping and Tonghak Rebellions in a Global Context https://books.google[...] Cambria
[11]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China
[12] 서적 Mercenaries and Mandarins: The Ever-Victorious Army in Nineteenth Century China KTO Press
[13] 서적 The Celestial Empire Turns Left, the World Turns Right: The Crossroads of Sino-Western Confrontation in Modern Times https://books.google[...] Huawen chubanshe
[14] 서적 The roots and consequences of civil wars and revolutions: conflicts that changed world history ABC-CLIO
[15] 서적 Imperial Bandits: Outlaws and Rebels in the China-Vietnam Borderland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6] 백과사전 Taiping Rebellion
[17] 서적 China Imagined: From European Fantasy to Spectacular Pow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Qing Dynasty 4 https://books.google[...] Qingpingguo shuju zhongxin
[20] 백과사전 Small Sword Society https://books.google[...] ABC-CLIO
[21] 서적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https://books.google[...] Curzon 2010-06-28
[22] 서적 The Chinese sultanate: Islam, ethnicity, and the Panthay Rebellion in southwest China, 1856–1873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Chinese studies in philosophy, Volume 28 https://books.google[...] M. E. Sharpe 2010-06-28
[24] 서적 Burma past and present https://archive.org/[...] C. K. Paul
[25] 서적 From Yunnan to Xinjiang: Governor Yang Zengxin and his Dungan Generals http://www.ouigour.f[...] Pacific and Asian Histor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0-07-14
[26]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7] 서적 Encyclopedia of Islam, Volumes 1–5 https://books.google[...] Brill 2011-03-26
[28] 백과사전 Taiping Rebellion https://referencewor[...]
[29] 서적 The Cultural Practices of Modern Chinese Buddhism: Attuning the Dharma https://books.google[...] Routledge
[30] 서적 The Languages of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학술지 Some Corner of a Chinese Field: The politics of remembering foreign veterans of the Taiping civil war
[32] 서적 China's Political Economy in Modern Times: Changes and Economic Consequences, 1800–2000 Routledge
[33] 학술지 Reverend Issachar Jacox Roberts and the Taiping Rebellion https://www.jstor.or[...]
[34] 서적 Western reports on the Taiping : a selection of documents https://open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35] 학술지 Christian Influence Upon the Ideology of the Taiping Rebellion
[36] 서적 Western reports on the Taiping: a selection of documents https://openresearch[...] 1982
[37] 서적 Western reports on the Taiping: A selection of documents https://openresearch[...] 1982
[38] 뉴스 Our China Correspondence: Affairs at Ningpo Admiral Hope Finds Fault with the Rebels Proceedings of the Insurrectionists Distress at Shanghai How Foreigners are to be Protecte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03-01
[39] 웹사이트 Western colonialism – The Opium Wars https://www.britanni[...] 2022-11-24
[40] 서적 Atrocities: The 100 Deadliest Episodes in Human History https://books.google[...] W. W. Norton 2011
[41]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Reference to Casualty and Other Figur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2
[42] 서적 Studies on the Population of China, 1368–1953 Harvard University Press 1959
[43] 서적 The Hakka Odyssey & their Taiwan homeland Allegheny 1992
[44] 서적 China Ernest Benn 1962
[45] 서적 China Ernest Benn 1962
[46] 서적 The Awakening of China: 1793–1949 Putnam 1967
[47] 서적 China Ernest Benn 1962
[48] 학술지 Military Organization and Power Structure of China During the Taiping Rebellion http://phr.ucpress.e[...] 1949
[49] 학술지 Militarism and Militarization in Modern Chinese History 1981
[50] 학술지 Warlord Studies 1980
[51] 웹사이트 Marx and the Taipings https://digitalcommo[...] 2012-12-23
[52] 서적 China's Last Empire: The Great Qing Harvard University Press 2012
[53] 서적 Studies on the Population of China, 1368–1953 Harvard University Press 1959
[54] 서적 Mao Zedong and Workers: The Labour Movement in Hunan Province, 1920–23 Routledge 2017
[55] 학술지 The Jen Yu-wen Collection on the Taiping Revolutionary Movement 1975
[56] 서적 East Asia: The modern transformation: A History of East Asian Civilization 1965
[57] 서평 Mandarin, by Robert S. Elegant https://www.kirkusre[...] Kirkus 1983
[58] 서적 Tienkuo: The Heavenly Kingdom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7-03-10
[59] 서적 能静居士日記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Autumn in the Heavenly Kingdom: China, the West, and the Epic Story of the Taiping Civil War https://books.google[...] Knopf 2012
[63] 서적 Zhongguo Renkou Shi [A History of China's Population] Fudan Daxue Chubanshe 2001
[6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