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준환 (영화 감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준환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영화아카데미 11기를 수료했다. 1994년 단편 영화 《2001 이매진》으로 데뷔하여, SF 영화 《지구를 지켜라!》(2003)로 주목받았다. 이후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2013), 《1987》(2017) 등을 연출하며 평론과 흥행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2006년 배우 문소리와 결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종상 감독상 수상자 - 박찬욱
박찬욱은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영화 평론가로 활동하다 영화감독으로 데뷔하여, 복수 3부작과 인간이 아닌 존재의 3부작 등 독특한 스타일의 작품들로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세계적인 거장으로, 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한국 영화의 위상을 높이며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 대종상 감독상 수상자 - 신상옥
신상옥은 대한민국의 영화감독이자 제작자로, 수많은 흥행작을 만들었으며 북한에 납치되어 영화를 제작하기도 했고, 탈북 후 미국에서 활동하다 칸 영화제 심사위원을 지냈으며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 한국영화아카데미 동문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 한국영화아카데미 동문 - 김태용 (1969년)
김태용은 1969년생으로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호주국립영화학교를 졸업한 영화 감독이며, 영화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로 데뷔하여 《가족의 탄생》, 《만추》 등을 연출하고 배우 탕웨이와 결혼했다. - 대한민국의 정치인의 배우자 - 정경심
정경심은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형이 확정되어 복역 후 가석방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대학교수였다. - 대한민국의 정치인의 배우자 - 김성수 (언론인)
김성수는 인촌이라는 호를 사용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경성방직 설립, 동아일보 창간, 보성전문학교 인수 및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2대 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친일 논란이 있다.
장준환 (영화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준환 |
출생일 | 1970년 1월 18일 |
출생지 | 전주시, 전라북도, 대한민국 |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
학력 | 성균관대학교 |
활동 기간 | 1994년–현재 |
배우자 | # 템플릿 제거 필요 (아래에 수정) |
자녀 | 1녀 |
개인 정보 | |
로마자 표기 | Jang Jun-hwan |
한글 | 장준환 |
한자 | # 템플릿 제거 필요 (아래에 수정) |
로마자 표기 (수정) | Jang Junhwa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ang Chunhwan |
2. 학력
3. 생애 및 경력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한 장준환의 첫 연출작은 1994년 단편 영화 《2001 이매진》이었다. 그의 장편 영화 데뷔작은 한국 영화 역사상 가장 독특하고 독창적인 영화 중 하나로 손꼽히는 SF 영화 《지구를 지켜라!》(2003)였다.[1] 장준환은 제4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 감독상을, 제25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특별은상 감독상을 수상했다.[2]
그는 두 편의 단편 영화 《헤어》(2004)와, 도시 부산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다룬 옴니버스 영화 《카멜리아]》(2010)의 일부인 《러브 포 세일》을 연출했다. 이후 2013년, 장준환의 오랜 기다림 끝에 두 번째 장편 영화인 복수 스릴러 《
4. 작품
장준환 감독은 영화 연출, 출연, 각본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1994년 단편 영화 《2001 이매진》으로 연출 데뷔를 했고, 2003년 장편 영화 데뷔작 《지구를 지켜라!》를 통해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상,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특별은상 감독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다.[2]
이후 단편 영화와 옴니버스 영화 연출을 이어가다 2013년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2017년 《1987》 등을 연출하며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1987》은 한국영화기자협회상 감독상 및 작품상, 청룡영화상 최우수 작품상을 받는 쾌거를 이루었다.
영화 《유령》, 《지구를 지켜라!》의 각본을 쓰기도 했다.
4. 1. 연출
- 1994년 《2001 이매진》 (영화 아카데미 졸업작품)
- 2003년 《지구를 지켜라!》 (장편 데뷔작)
- 2004년 《털》 (나와 통하는 다음검색 필름페스티벌 상영작)
- 2010년 《러브 포 세일》 (옴니버스 영화 ''카멜리아''의 일부)
- 2013년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 2017년 《1987》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한 장준환의 첫 연출작은 1994년 단편 영화 《2001 이매진》이었다. 그의 장편 영화 데뷔작은 한국 영화 역사상 가장 독특하고 독창적인 영화 중 하나로 손꼽히는 SF 영화 《지구를 지켜라!》(2003)였다.[1] 장준환은 제4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 감독상을, 제25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특별은상 감독상을 수상했다.[2]
그는 두 편의 단편 영화 《헤어》(2004)와, 도시 부산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다룬 옴니버스 영화 《카멜리아]》(2010)의 일부인 《러브 포 세일》을 연출했다. 이후 2013년, 장준환의 오랜 기다림 끝에 두 번째 장편 영화인 복수 스릴러 《
4. 2. 출연
- 2017년 《여배우는 오늘도》 ... 소리 남편 역
- 2012년 《류덕환#감독으로서의 활동|장준환을 기다리며]]》 (단편 영화) ... 카메오 역
- 2006년 《감독들, 김기영을 말하다》 (다큐멘터리) ... 출연
- 1994년 《2001 이매진》 (단편 영화) ... 출연
4. 3. 각본
4. 4. 기타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94 | 포도 씨앗의 사랑 | 촬영 | 단편 영화 |
1994 | 하늘소리 땅소리 | 촬영 | 단편 영화 |
1994 | 2001 이매진 | 감독, 각본, 출연 | 단편 영화 |
1994 | 지리멸렬 | 조명 | 단편 영화 |
1994 | 성공시대 | 조명 | 단편 영화 |
1996 | 변질헤드 | 촬영 | 단편 영화 |
1996 | 붕붕 | 촬영 | 단편 영화 |
1997 | 모텔 선인장 | 조감독, 연출부 | |
1999 | 유령 | 각본 | |
2003 | 지구를 지켜라! | 감독, 각본 | |
2004 | 털 | 감독, 각본 | 단편 영화 |
2006 | 감독들, 김기영을 말하다 | 출연 | 다큐멘터리 |
2010 | 러브 포 세일 | 감독 | 옴니버스 영화 카멜리아 |
2012 | 장준환을 기다리며 | 카메오 | 단편 영화 |
2013 |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 감독 | |
2017 | 달리는 여자 | 배우 | |
2017 | 1987 | 감독 |
5. 수상
연도 | 상 | 작품 |
---|---|---|
2003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감독상 | 지구를 지켜라! |
2003 | 대종상 신인감독상 | 지구를 지켜라! |
2003 | 대한민국 영화대상 신인감독상 | 지구를 지켜라! |
2003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감독상 | 지구를 지켜라! |
2003 | 청룡영화상 신인감독상 | 지구를 지켜라! |
2003 | 춘사영화상 신인감독상 | 지구를 지켜라! |
2004 |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 |
2004 | 브뤼셀 판타스틱 영화제 금까마귀상 | 지구를 지켜라! |
2014 | 마리끌레르영화제 파이오니어상 | |
2018 | 올해의 영화상 감독상 | 1987 |
올해의 영화상 작품상 | 1987 | |
우디네극동영화제 관객상 | 1987 | |
우디네극동영화제 블랙 드래곤 관객상 | 1987 |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대상 | 1987 | |
파리한국영화제 장편영화부문 작품상 | 1987 | |
대종상 감독상 | 1987[7] |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작품상 | 1987 |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영평 11선 | 1987 | |
청룡영화상 최우수작품상 | 1987 | |
황금촬영상 감독상 | 1987 | |
2018 | 황금촬영상 최우수작품상 | 1987 |
2018 |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감독상 | 1987[8] |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특별언급 | 1987 |
6. 개인사
장준환은 2006년 12월 24일 배우 문소리와 결혼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JANG Joon-hwan
http://www.koreanfil[...]
2012-11-10
[2]
웹사이트
25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03)
http://www.moscowfil[...]
2013-04-01
[3]
웹사이트
Meet the Monster in HWAYI
http://www.koreanfil[...]
2013-01-18
[4]
웹사이트
JANG Joon-hwan Returns with HWAYI
http://www.koreanfil[...]
2013-09-04
[5]
웹사이트
JANG Joon-hwan Returns
http://koreanfilm.or[...]
2013-09-30
[6]
웹사이트
Actress, Director to Wed on Christmas Eve
http://english.chosu[...]
2006-12-01
[7]
웹사이트
'Burning' wins best picture at Daejong Film Awards
http://english.yonha[...]
2018-10-22
[8]
웹사이트
EXO's D.O., Kim Tae Ri, and more win awards at the '18th Director's Cut Awards!
https://www.allkpop.[...]
2018-1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