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진선은 영광역과 사수역을 잇는 총 59.7km 길이의 협궤 철도로, 13개의 역을 가지고 있다. 1923년 신흥 철도에 의해 개통되었으며, 이후 일제강점기 조선 철도에 편입되었다가, 해방 이후 북한 철도성에 귀속되었다. 장진선은 여객 운송뿐만 아니라 화물 운송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목재, 곡물, 광석 등의 화물을 수송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아키타 내륙 종관 철도 아키타 내륙선
아키타 내륙 종관 철도가 운영하는 아키타 내륙선은 다카노스역과 가쿠노다테역을 잇는 94.2km의 철도 노선으로, 과거 국철 시대 노선들을 통합하여 개통되었으며 현재 쾌속 열차와 급행 열차도 운행한다. - 193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백무선
백무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원목 수송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일부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협궤를 사용하며, 개통 당시 역명 변경 및 폐지와 이용악 시인의 시 〈그리움〉의 배경이 되었다. - 함경남도의 철도 교통 - 평원선
평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서포역에서 고원역까지 이르는 철도 노선으로, 해방 후 일부 구간이 평라선에 편입되어 현재는 북한 철도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 함경남도의 철도 교통 - 리원선
리원선은 리원철산역과 차호역을 연결하는 총 11.2km의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철산선과 차호선을 통합하여 만들어졌으며 일부 구간은 평라선과 공유하고 대한민국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4개의 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 192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진해선
진해선은 창원역과 진해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해군기지 지원 목적으로 건설되어 여객 운행이 중단된 후 현재는 화물 수송에 이용되며, 도시철도 건설 계획에 따라 노선 활용 방안이 추진 중이다. - 192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다다미선
다다미선은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쓰역과 니가타현 고이데역을 잇는 동일본여객철도의 총 연장 135.2km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1928년 개통 후 2011년 호우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상하 분리 방식으로 2022년 전 구간 운행을 재개했으며, 현재 36개 역이 운영 중이고 적자 문제 해결과 지역 활성화 노력이 요구된다.
장진선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장진선 (長津線) |
로마자 표기 | Jangjin-seon |
유형 | 중량 철도, 지역 철도 |
상태 | 운영 중 |
위치 | 함경남도 |
기점 | 영광 |
종점 | 사수 |
역 수 | 13개 |
개통 | 1926년 10월 1일 (영광—상통) 1934년 9월 1일 (상통—삼거) 1934년 11월 1일 (삼거—구진) |
폐쇄 | 1935년 7월 15일 (신대—구진) 1935년 8월 30일 (사수—신대) |
소유주 | 신흥 철도 (1934–1938) 조선 철도 (1938–194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1945년 이후) |
노선 길이 | 58.6 km |
궤도 수 | 단선 |
전철화 | 1500 V DC 가공 전차선 |
최대 경사 | 370‰ |
노선도 | |
![]() | |
지도 정보 |
2. 노선 정보
- '''구간과 거리''': 영광역 ~ 사수역 58.6km[5]
- '''역 수''': 13개 (양단역 포함)
- '''궤간''': 762mm (협궤)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직류 3000V)
- '''복선 구간''': 없음
거리 (km) | 역명 | 옛 역명 | 접속 노선 | |||
---|---|---|---|---|---|---|
누계 | 역간 | 로마자 표기 | 조선글 (한자) | 로마자 표기 | 조선글 (한자) | |
0.0 | 0.0 | 영광 | 영광 (栄光) | Oro | 오로 (五老) | 신흥선 |
5.6 | 5.6 | 동양 | 동양 (東陽) | |||
9.1 | 3.5 | 송당 | 송당 (松堂) | |||
13.3 | 4.2 | 상통 | 상통 (上通) | |||
17.4 | 4.1 | 룡수 | 룡수 (龍水) | |||
23.4 | 6.0 | 하기천 | 하기천 (下岐川) | |||
28.4 | 5.0 | 삼거 | 삼거 (三巨) | |||
32.0 | 3.6 | 부장 | 부장 (堡庄) | |||
35.8 | 3.8 | 황초령 | 황초령 (黄草嶺) | |||
41.2 | 5.4 | 고토 | 고토 (古土) | |||
49.2 | 8.0 | 상평 | 상평 (上坪) | |||
54.3 | 5.1 | 장진 | 장진 (長津) | |||
58.6 | 4.3 | 사수 | 사수 (泗水) |
- '''폐지된 역'''
역명 | 누계 거리 (km) | 역간 거리 (km) | 폐지일 |
---|---|---|---|
동정 (東井) | 11.4 | 2.3 | 미상 |
부성 (富盛) | 46.4 | 5.2 | 미상 |
신대 (新垈) | 62.7 | 4.1 | 1935년 7월 15일[6] |
중남 (中南) | 68.4 | 5.7 | 1935년 7월 15일[5] |
구진 (舊津) | 75.1 | 6.7 | 1935년 7월 15일[5] |
일제강점기에 사유 철도 회사인 신흥 철도가 건설한 노선을 원형으로 한다. 처음에는 1926년 10월 1일 함남선의 지선으로 오로역(영광역)에서 상통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1934년 장진강 유역의 수력 발전소 건설 지원 및 자원 개발을 목적으로 신흥 철도가 상통역부터 노선을 연장하면서 본격적인 장진선 건설이 시작되었다.[3] 건설 과정에서 삼거역, 구진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으나[4], 일부 구간(신대역-구진역, 사수역-신대역)은 1935년 폐지되기도 하였다.[5][6] 1938년 4월 22일에는 신흥 철도가 조선 철도에 매수되면서, 기존 함남선 지선 구간(오로역-사수역)이 장진선에 통합되었다.[7][13]
3. 연혁
광복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북한 내 모든 철도 노선이 국유화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소속이 되었다.[1] 이 과정에서 기존 함남선, 송흥선, 장진선이 조정되어, 함남선 본선과 송흥선은 신흥선으로 통합되었고, 함남선의 영광-상통 지선은 장진선에 편입되었다. 이후 장진선은 전철화되었으나, 신흥선 본선 구간과는 달리 협궤 노선으로 계속 운영되고 있다.[8]
3. 1.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에 사유 철도 회사인 신흥 철도가 건설한 노선을 원형으로 한다. 신흥 철도는 1923년 함남선 본선(함흥-오로-신흥역)을 개통한 데 이어, 1926년 10월 1일 오로에서 상통역까지 함남선의 지선을 개통하였다.
1934년, 장진강 유역의 수력 발전소 건설 지원 및 임업 자원 개발을 목적으로 신흥 철도는 장진선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첫 구간인 상통역-삼거역 구간은 1934년 9월 1일에 개통되었고, 같은 해 11월 1일에는 삼거역-구진역(舊津驛) 구간까지 연장되었다. 이후 일부 구간이 폐지되었는데, 신대역(新垈驛)-구진역 구간은 1935년 7월 15일에, 사수역(泗水驛)-신대역 구간은 1935년 8월 30일에 폐지되었다.
1938년 4월 22일, 신흥 철도는 조선 철도에 매수되어 흡수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 함남선 지선이었던 오로역-사수역 구간이 장진선에 통합되었다.
날짜 | 내용 |
---|---|
1926년 10월 1일 | 함남선 지선으로 오로역(영광역) - 상통역 구간 개통 |
1934년 9월 1일 | 신흥 철도 장진선으로 상통역 - 삼거역 구간 개통[15][9] |
1934년 11월 1일 | 삼거역 - 구진역(舊津驛) 구간 개통[16][10] |
1935년 2월 21일 | 중남신호장이 중남역(中南驛)으로 승격됨[17] |
1935년 7월 15일 | 신대역(新垈驛) - 구진역 구간 폐지[18][11] |
1935년 8월 30일 | 사수역(泗水驛) - 신대역 구간 폐지[19][12] |
1938년4월 22일 | 신흥 철도가 조선 철도에 양도되어, 오로역 - 사수역 구간이 장진선으로 통합됨[13] |
3. 2. 해방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북한의 모든 철도는 국유화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에 편입되었다.[1] 이 과정에서 기존의 함남선, 송흥선, 장진선은 분할 및 통합되었다. 함남선의 본선과 송흥선은 통합되어 신흥선이 되었으며, 함남선의 영광—상통 지선은 분리되어 장진선에 편입되었다. 이후 장진선은 전철화되었다. 한편, 함흥—신흥 구간(신흥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에 의해 표준궤로 재건되었지만,[8] 장진선은 협궤로 유지되었다.4. 역 목록
거리 (km)
거리 (km)
(오로역)
(하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