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타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타율은 타석당 획득 가능한 루타수의 기댓값을 나타내는 야구 기록 지표로,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의 가치를 반영하여 타자의 장타 능력을 평가한다. 계산은 루타수를 타수로 나누어 구하며, 2루타 이상의 장타가 많을 경우 1.000을 넘을 수도 있다. 한국 프로야구(KBO), 메이저 리그(MLB), 일본 프로야구(NPB) 등에서 역대 장타율 기록이 존재하며, 출루율과 결합된 OPS (출루율 + 장타율)와 같은 지표로 타자의 공격 생산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기록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기록 - 미국야구연구협회
    미국야구연구협회(SABR)는 야구 연구를 장려하고 야구 팬, 역사학자, 통계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연결하는 단체로, 야구 연구를 위한 위원회, 지부, 컨벤션, 출판물을 운영하며 야구 관련 지식 공유와 야구계 발전에 기여한다.
  • 야구에 관한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에 관한 - 홈런
    홈런은 야구에서 타자가 친 공이 구장 밖으로 완전히 벗어나거나 펜스를 넘어가는 타구로, 득점으로 연결되며, 일반 홈런, 장외 홈런,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등으로 구분되고, 상황별, 종류별 다양한 홈런이 존재한다.
  • 야구 용어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용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장타율
정의
정의야구에서 타자의 장타력을 측정하는 지표임.
계산타수가 주어졌을 때, 타자가 기록한 총 루수를 타수로 나누어 계산함.
약어 및 표기
약어SLG
표기.SLG
계산 방법
공식SLG = (1루타 + 2루타 × 2 + 3루타 × 3 + 홈런 × 4) / 타수
중요성 및 해석
중요성타자의 득점 생산 능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임.
해석SLG가 높을수록 타자의 장타 생산 능력이 뛰어남을 의미함.
SLG와 다른 지표
OPS출루율과 장타율을 더한 값으로, 타자의 종합적인 공격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임.
역사
고안자헨리 채드윅
도입 시기1880년대

2. 계산법

장타율은 타자가 타수당 평균적으로 몇 루를 전진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1920년 베이브 루스의 기록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기록이었으며, 2001년 배리 본즈가 .863의 장타율을 달성하기 전까지 유지되었다.[5][6] 네그로 리그 베이스볼에서 뛰었던 조시 깁슨은 1937년에 .974의 장타율을 기록했다.[6] 2024년 네그로 리그 통계가 메이저 리그 기록에 통합되기 전까지 MLB 통산 장타율 1위는 루스(.6897)였고, 그 뒤를 테드 윌리엄스(.6338)와 루 게릭(.6324)이 이었다.[8] 이후 루스는 통산 장타율 .718을 기록한 조시 깁슨에게 자리를 내주었다.[9]

MLB 역사상 4.000의 장타율로 은퇴한 선수는 없었지만, 많은 선수들이 메이저 리그 첫 타석에서 홈런을 쳐서 짧은 기간 동안 4.000의 통산 장타율을 기록했다. 단 한 번의 MLB 타석에서 3루타를 기록하여 통산 장타율 3.000을 기록한 선수로는 에릭 캠맥(2000년 메츠), 스콧 머닝호프(1980년 필리스),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1973년 브루어스), 척 린드스트롬(1958년 화이트삭스)이 있다.[10]

2023 시즌 MLB 전체 선수의 평균 장타율은 .414였다. 단일 시즌 리그 평균 최고는 2000년의 .437이었고, 최저는 1908년의 .305였다.[11]

2. 1. 공식

장타율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된다.

:'''장타율 = 루타 ÷ 타수'''

:a=1루타 수, b=2루타 수, c=3루타 수, d=홈런 수, x=타수일 때,

:\frac{a+2b+3c+4d}{x}

이는 타자가 타격으로 획득할 수 있는 1타수루타수의 기대값(평균값)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할(·푼·) 등으로 표시되며, 위의 식으로 산출된 수치의 소수점 4자리에서 반올림하여 3자리까지의 값을 사용한다. 정수 부분의 0은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1920년 뉴욕 양키스에서 베이브 루스는 458 타수 동안 172개의 안타를 기록했는데, 이는 73개의 1루타, 36개의 2루타, 9개의 3루타, 54개의 홈런이었다.[4] 이는 (73 × 1) + (36 × 2) + (9 × 3) + (54 × 4) = 388 총 루타수이다. 그의 총 루타수(388)를 총 타수(458)로 나눈 값은 .847인데, 이는 그 시즌의 장타율이다.[4]

2루타 이상의 장타를 많이 기록하면 수치가 1.000을 넘는 경우도 있다. 최고값은 4.000이며, 모든 타수에서 홈런을 기록했을 경우에 기록된다.

2. 2. 의미

장타율은 타자가 타격으로 획득할 수 있는 1타수당 루타 수의 기대값(평균값)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할푼리 등으로 표시되며, 소수점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의 값을 사용한다. 보통 정수 부분의 0은 생략한다.

장타율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장타율 = 루타 ÷ 타수'''

2루타 이상의 장타를 많이 기록하면 수치가 1.000을 넘는 경우도 있다. 이론상 최대 장타율은 4.000이며, 모든 타수에서 홈런을 기록했을 때 달성 가능하다.[1]

예를 들어, 베이브 루스는 1920년 뉴욕 양키스에서 458타수 동안 172개의 안타(73개의 1루타, 36개의 2루타, 9개의 3루타, 54개의 홈런)를 기록했다.[4] 이는 총 388루타((73 × 1) + (36 × 2) + (9 × 3) + (54 × 4) = 388)에 해당하며, 루스의 장타율은 .847(388 ÷ 458)이 된다.[4]

2023 시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전체 평균 장타율은 .414였다. 역대 단일 시즌 최고 평균 장타율은 2000년의 .437이며, 최저는 1908년의 .305였다.[11]

장타율은 출루율과 함께 타자의 공격 생산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야구 분석가들은 출루율(OBP)과 장타율(SLG)을 결합하여 선수 전체의 공격 생산성을 측정하는데, 이를 OPS(On-base Plus Slugging, 출루율+장타율)라고 한다. OPS는 계산이 쉽고 타자의 기여도를 간략하게 파악할 수 있어 최근 사용 빈도가 증가했다.

3. 한국 프로야구 (KBO)

한국 프로야구(KBO)에서 장타율은 타자의 공격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KBO 리그 역대 최고 장타율은 테임즈가 2015년에 기록한 0.790이다. 백인천은 1982년에 0.740, 강정호는 2014년에 0.739를 기록했으며, 이승엽삼성 소속으로 1999년(0.733), 2002년(0.689), 2003년(0.699)에 높은 장타율을 기록했다. 이 기록들은 규정 타석을 채운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3. 1. KBO 리그 역대 장타율 기록

KBO 리그 역대 장타율 기록을 살펴보면, 테임즈가 2015년에 0.790으로 1위를 기록했다. 백인천은 1982년에 0.740, 강정호는 2014년에 0.739를 기록했다. 이승엽삼성 소속으로 1999년(0.733), 2002년(0.689), 2003년(0.699)에 높은 장타율을 기록했다. 이 기록들은 규정 타석을 채운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3. 1. 1. 한 시즌 최고 장타율

순서선수명장타율연도소속팀기타
1테임즈0.7902015년NC장타율 1위
2백인천0.7401982년MBC장타율 1위
3강정호0.7392014년넥센장타율 1위
4이승엽0.7331999년삼성장타율 1위
5심정수0.7202003년현대장타율 1위
6박병호0.7142015년넥센장타율 2위
7이승엽0.6992003년삼성장타율 2위
8호세0.6952001년롯데장타율 1위
9이승엽0.6892002년삼성장타율 1위
10테임즈0.6882014년NC장타율 2위


  • 규정 타석 이상을 친 경우만 포함됨

4. 메이저 리그 (MLB)

1920년 베이브 루스뉴욕 양키스에서 458 타수 동안 73개의 1루타, 36개의 2루타, 9개의 3루타, 54개의 홈런을 포함하여 172개의 안타를 기록했다.[4] 이는 388 총 루타수이며, 루스의 장타율은 .847이었다.[4]

루스의 1920년 기록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기록이었으며, 2001년 배리 본즈가 476타수에서 411루타를 기록하여 .863의 장타율을 달성하기 전까지 유지되었다.[5][6]

4. 1. MLB 역대 장타율 기록

조시 깁슨은 1937년 네그로 리그 베이스볼에서 .974의 장타율을 기록했는데, 이는 2020년 MLB가 니그로 리그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면서 MLB 단일 시즌 최고 기록으로 등재되었다.[6] 배리 본즈는 2001년에 476타수에서 411루타를 기록하여 .863의 장타율로 그 이전의 MLB 단일 시즌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5][6] 1920년 베이브 루스는 458 타수 동안 172개의 안타(73개의 1루타, 36개의 2루타, 9개의 3루타, 54개의 홈런)를 기록하여 .847의 장타율을 달성하며 당시 신기록을 세웠다.[4]

2024년 네그로 리그 통계 통합 이후, MLB 통산 장타율 1위는 .718을 기록한 조시 깁슨이다.[9] 이론상 최대 가능한 장타율은 4.000이다.[1] 많은 MLB 선수들이 메이저 리그 첫 타석에서 홈런을 쳐서 짧은 기간 동안 4.000의 통산 장타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MLB 역사상 4.000의 장타율로 은퇴한 선수는 없었다.

에릭 캠맥(2000년 메츠), 스콧 머닝호프(1980년 필리스),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1973년 브루어스), 척 린드스트롬(1958년 화이트삭스) 4명의 선수는 단 한 번의 MLB 타석에서 3루타를 기록하여 통산 장타율 3.000을 기록했다.[10] 2023 시즌 MLB 전체 선수의 평균 장타율은 .414였다. 단일 시즌 리그 평균 최고 장타율은 2000년의 .437이었고, 최저는 1908년의 .305였다.[11]

4. 1. 1. 통산 장타율 리더 (2024년 이전 기준)

2024년 네그로 리그 통계가 메이저 리그 기록에 통합되기 전까지 MLB 통산 장타율 1위는 베이브 루스 (.6897)였고, 그 뒤를 테드 윌리엄스 (.6338)와 루 게릭 (.6324)이 이었다.[8]

5. 일본 프로야구 (NPB)

일본 프로야구(NPB)에서도 장타율은 타자의 중요한 기록으로 관리된다. 오 사다하루일본어(왕정치)는 4000타수 이상 기준, 일본프로야구 통산 장타율 1위(.634)를 기록했으며, A. 카브레라(.592), 마쓰이 히데키(.582)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2000타수 이상 4000타수 미만 선수 중에서는 R. 버스 (.660)가 가장 높은 장타율을 기록했다.[15]

5. 1. NPB 역대 장타율 기록

오 사다하루일본어(왕정치)가 일본프로야구(NPB) 통산 장타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4000타수 이상), A. 카브레라, 마쓰이 히데키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2000타수 이상 4000타수 미만 선수 중에서는 R. 버스가 가장 높은 장타율을 기록했다.[15]

순위선수명장타율
1오 사다하루.634
2A. 카브레라.592
3마쓰이 히데키.582
4오치아이 히로미쓰.564
5T. 로즈.559
6부머.555
7나카니시 후토시.553
8L. 리.5419
9야마모토 코지.5416
10오가사와라 미치히로.5399
11나가시마 시게오.5397
12야나기타 유키.5350
13타부치 코이치.5347
14장훈.53393
15나가이케 토쿠지.53387
16마쓰나카 노부히코.5337
17카케후 마사유키.531
18레온.530
19몬다 히로미츠.529
20A. 라미레스.523



2000타수 이상 4000타수 미만
순위선수명장타율
1R. 버스.660
2R. 페타지니.633
3C. 매니얼.604
4T. 우즈.573
5스즈키 세이야.570
6R. 브라이어트.568
7G. 알트먼.561
8W. 크로마티.558
9C. 폰세.555
10무라카미 무네타카.550



위 기록은 2024년 시즌 종료 시점 기준이다.

5. 1. 1. 개인 통산 기록

오 사다하루일본어(왕정치)가 .634로 일본프로야구(NPB) 통산 장타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4000타수 이상)[15] A. 카브레라 (.592), 마쓰이 히데키 (.582)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순위선수명장타율
1오 사다하루.634
2A. 카브레라.592
3마쓰이 히데키.582
4오치아이 히로미쓰.564
5T. 로즈.559
6부머.555
7나카니시 후토시.553
8L. 리.5419
9야마모토 코지.5416
10오가사와라 미치히로.5399
11나가시마 시게오.5397
12야나기타 유키.5350
13타부치 코이치.5347
14장훈.53393
15나가이케 토쿠지.53387
16마쓰나카 노부히코.5337
17카케후 마사유키.531
18레온.530
19몬다 히로미츠.529
20A. 라미레스.523



2000타수 이상 4000타수 미만 선수 중에서는 R. 버스가 .660으로 가장 높은 장타율을 기록했다.

2000타수 이상 4000타수 미만
순위선수명장타율
1R. 버스.660
2R. 페타지니.633
3C. 매니얼.604
4T. 우즈.573
5스즈키 세이야.570
6R. 브라이어트.568
7G. 알트먼.561
8W. 크로마티.558
9C. 폰세.555
10무라카미 무네타카.550



위 기록은 2024년 시즌 종료 시점 기준이다.

5. 1. 2. 개인 시즌 기록

순위선수명소속 구단장타율기록 연도비고
1W. 발렌틴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7792013년센트럴 리그 기록
2R. 바스한신 타이거스.7771986년좌타자 기록
3오치아이 히로미쓰롯데 오리온스.7631985년퍼시픽 리그 기록
4오 사다하루요미우리 자이언츠.7611974년일본인 좌타자 기록
5A. 카브레라세이부 라이온스.7562002년
6오 사다하루요미우리 자이언츠.7551973년
7오치아이 히로미쓰롯데 오리온스.7461986년
8코즈루 마코토쇼치쿠 로빈스.7291950년
9오 사다하루요미우리 자이언츠.7251976년
10오 사다하루요미우리 자이언츠.7231967년


  • 기록은 2024년 시즌 종료 시점[16]

6. 장타율과 다른 지표의 결합

장타율은 야구 분석가들이 출루율(OBP)과 결합하여 선수 전반의 공격 생산성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새로운 중요성을 얻었다. 빌 제임스는 OBP + SLG를 "생산성"이라고 불렀다. 1954년 브랜치 리키는 ''라이프''에서 출루율과 "추가 베이스 파워"(EBP, 장타율의 전신)를 결합하면 트리플 크라운 통계보다 선수 성과를 더 잘 나타낼 수 있다고 제안했다.[12]

앨런 바라와 조지 이그나틴은 "SLOB"(장타율 × 출루율)를 고안했다.[13]

6. 1. OPS (출루율 + 장타율)

OPS(On-base Plus Slugging)는 출루율과 장타율을 더한 값으로, 타자의 생산성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계산이 간편하여 널리 사용되며, 타자의 공격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데 유용하다.[14]

OPS는 1984년 피트 팔머와 존 손이 개발했으며, 두 값을 간단히 더하는 방식으로 계산한다. 이전에는 앨런 바라와 조지 이그나틴이 "SLOB" (장타율 × 출루율)라는 유사한 지표를 고안했고, 빌 제임스는 득점 창출 공식에 이를 활용했다.[13] 1954년 브랜치 리키는 ''라이프''에서 출루율과 "추가 베이스 파워"(EBP, 장타율의 전신)를 결합하면 기존의 트리플 크라운 통계보다 선수 성과를 더 잘 나타낼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12]

2015년 브라이언 그로스닉은 출루율과 장타율의 최대치가 각각 1.000과 4.000으로 차이가 있어 단순 합산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나 OPS는 단순성과 가용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며, "적어도 75%는 맞을 것"이라고 덧붙였다.[14]

6. 2. 득점 창출 (RC)

빌 제임스는 득점 창출(RC) 공식을 통해 장타율과 출루율을 활용하여 타자가 팀 득점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측정했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14]

:\text{RC}=\frac{(\text{안타}+\text{볼넷})\times(\text{총 루타})}{(\text{타수}) + (\text{볼넷})}

7. 비판 및 한계

장타율은 오래전에 발명되었지만, 야구 분석가들이 출루율(OBP)과 결합하여 선수의 전반적인 공격 생산성을 매우 잘 측정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새로운 중요성을 얻었다. (OBP + SLG는 원래 야구 작가이자 통계학자인 빌 제임스에 의해 "생산성"이라고 불렸다).[12]

앨런 바라와 조지 이그나틴은 두 가지 현대적 통계를 결합하여 "SLOB"(장타율 × 출루율)를 만들었다.[13] 빌 제임스는 몇 년 후 이 원리를 그의 득점 창출 공식에 적용하여 SLOB × 타수를 곱하여 다음 공식을 만들었다.

:\text{RC}=\frac{(\text{안타}+\text{볼넷})\times(\text{총 루타})}{(\text{타수}) + (\text{볼넷})}

1984년, 피트 팔머와 존 손은 장타율과 출루율을 결합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인 출루율+장타율(OPS)을 개발했는데, 이는 두 값을 간단히 더한 것이다. 계산하기 쉽기 때문에 OPS는 최근 몇 년 동안 타자로서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간략한 형태로 사용 빈도가 증가했다.

2015년 기사에서 브라이언 그로스닉은 "출루율"과 "장타율"을 단순히 더하기에는 충분히 비교할 수 없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출루율"은 이론상 최대 1.000인 반면 "장타율"은 이론상 최대 4.000이다. 실제 숫자는 그만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그로스닉은 .350을 좋은 "출루율"로, .430을 좋은 "장타율"로 나열한다. 그는 OPS가 단순성과 가용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적어도 75%는 맞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14]

참조

[1] 서적 Baseball Scorekeeping: A Practical Guide to the Rul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2003
[2] 웹사이트 Slugging Average All Time Leaders on Baseball Almanac https://www.baseball[...]
[3] 웹사이트 What is a Slugging Percentage http://m.mlb.com/glo[...]
[4] 웹사이트 Babe Ruth https://www.retroshe[...] 2024-04-13
[5] 웹사이트 Barry Bonds https://www.retroshe[...] 2024-04-13
[6] 웹사이트 Single-Season Leaders & Records for Slugging % https://www.baseball[...] 2016-12-10
[7] 웹사이트 MLB Elevates Negro Leagues to 'Major League' Status, Giving 'Overdue Recognition' to 3,400 Players https://www.cbssport[...] 2020-12-18
[8]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Slugging % https://www.baseball[...] 2024-04-13
[9] 뉴스 What to know about Negro Leagues stats entering MLB record https://www.mlb.com/[...] 2024-05-29
[10] 웹사이트 Slugging Percentage https://armorypitchi[...] 2020-10-10
[11] 웹사이트 Major League Baseball Batting Year-by-Year Averages https://www.baseball[...] 2024-04-13
[12] 웹사이트 Lies, Damn Lies, and RBIs http://old.nationalr[...] nationalreview.com 2001-03-31
[13] 뉴스 The best season ever? http://www.salon.com[...] 2001-06-20
[14] 웹사이트 Separate but not quite equal: Why OPS is a "bad" statistic https://www.beyondth[...] 2015-09-18
[15] 웹사이트 歴代最高記録 長打率【通算記録】 https://npb.jp/bis/h[...]
[16] 웹사이트 歴代最高記録 長打率【シーズン記録】 https://npb.jp/bis/h[...]
[17] URL https://npb.jp/bis/2[...]
[18] 웹사이트 通算記録 (MLB) http://www.baseball-[...]
[19] 웹사이트 시즌記録 (MLB) http://www.baseba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