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물 관리 시스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작물 관리 시스템(CMS)은 웹사이트 콘텐츠를 추가, 수정, 제거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으로,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CMA)과 콘텐츠 전달 애플리케이션(CDA)으로 구성된다. CMS는 온-프레미스 방식과 클라우드 기반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자료 생성, 사용자 권한 관리, 콘텐츠 워크플로우 정의 등의 특징을 갖는다. 주요 기능으로는 색인, 검색, 형식 관리, 개정 관리, 게시 등이 있으며, SEO 친화적인 URL, 플러그인 지원 등의 부가 기능도 제공한다. CMS는 기능 제한으로 고속 동작과 조작성을 제공하는 경량/간이 CMS, 화면 디자인을 배제한 헤드리스 CMS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웹 콘텐츠 관리 시스템(WCMS),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DAMS), 컴포넌트 콘텐츠 관리 시스템(CCMS), 기업 콘텐츠 관리 시스템(ECMS) 등 유형으로 분류된다. 2021년 10월 기준 워드프레스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CMS이며, 스퀘어스페이스, 줌라, 쇼피파이, Wix 등도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작물 관리 시스템 - 셰어포인트
셰어포인트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웹 기반 협업 및 문서 관리 플랫폼으로, 기업 콘텐츠 관리, 인트라넷, 그룹 협업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 저작물 관리 시스템 - 파일메이커
파일메이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공유를 위한 소프트웨어로, FileMaker Pro를 통해 커스텀 앱을 제작하고 FileMaker Server로 LAN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 및 백업하며, FileMaker Go 앱과 FileMaker WebDirect를 통해 모바일 및 웹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베이스 솔루션을 활용하고 Claris Connect로 엔터프라이즈 앱과의 데이터 통합을 지원한다. - 기록 관리 - 정보 아키텍처
정보 아키텍처는 정보 시스템 및 정보 기술 분야에서 공유 정보 환경의 구조적 설계를 의미하며, 웹사이트, 소프트웨어 등의 구성과 레이블링을 포함하여 검색 용이성과 사용성을 지원하고, 도서관정보학에 기원을 두고 있다. - 기록 관리 - 파일 호스팅 서비스
파일 호스팅 서비스는 사용자가 파일을 온라인 서버에 저장하고 접근하도록 지원하며, 이동식 미디어 대체, 백업, 파일 전송, 공유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저작물 관리 시스템 | |
---|---|
개요 | |
유형 | 콘텐츠 관리 시스템 |
설명 |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 관리, 수정하는 소프트웨어 |
기능 | |
콘텐츠 관리 | 콘텐츠 생성, 편집, 구성, 게시, 보관 기능 제공 |
협업 | 여러 사용자가 콘텐츠 작업 가능 |
사용자 관리 | 사용자 권한 및 접근 제어 |
템플릿 |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하여 일관된 디자인 유지 |
검색 엔진 최적화 (SEO) | SEO 도구를 제공하여 콘텐츠 검색 엔진 순위 향상 |
플러그인 및 확장 | 추가 기능 및 사용자 정의를 위한 플러그인 및 확장 기능 지원 |
구성 요소 | |
콘텐츠 저장소 |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
프레젠테이션 계층 | 콘텐츠 표시를 위한 템플릿 엔진 |
관리 인터페이스 | 콘텐츠 관리 및 구성을 위한 웹 기반 인터페이스 |
유형 | |
웹 콘텐츠 관리 시스템 (WCMS) | 웹사이트 및 웹 애플리케이션용 콘텐츠 관리 |
엔터프라이즈 콘텐츠 관리 시스템 (ECMS) | 기업 환경에서 콘텐츠 관리 |
컴포넌트 콘텐츠 관리 시스템 (CCMS) | 컴포넌트 기반 콘텐츠 관리 |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DAM) | 디지털 자산 저장, 구성, 관리 |
특징 | |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제공 |
워크플로우 관리 | 콘텐츠 생성 및 게시를 위한 워크플로우 정의 |
버전 관리 | 콘텐츠 변경 사항 추적 |
접근성 | 장애인을 위한 접근성 기능 제공 |
보안 | 콘텐츠 및 사용자 데이터 보호 |
장점 | |
효율성 | 콘텐츠 생성 및 관리 간소화 |
일관성 | 브랜드 일관성 유지 |
협업 | 팀 협업 개선 |
비용 절감 | 콘텐츠 관리 비용 절감 |
사용 사례 | |
웹사이트 | 웹사이트 콘텐츠 관리 |
블로그 | 블로그 게시물 관리 |
전자 상거래 | 제품 정보 및 콘텐츠 관리 |
지식 기반 | 지식 기반 문서 관리 |
참고 자료 | |
관련 기술 | HTML CSS JavaScript 데이터베이스 웹 서버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콘텐츠 콘텐츠 전략 디지털 경험 정보 아키텍처 |
2. 구조
CMS는 일반적으로 콘텐츠 관리 애플리케이션(CMA)과 콘텐츠 전달 애플리케이션(CDA)이라는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CMA는 프론트 엔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가 웹마스터의 개입 없이도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추가, 수정, 제거할 수 있도록 돕는다. CDA는 CMA에서 생성, 관리되는 콘텐츠를 가져와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CMS 설치에는 온-프레미스 방식과 클라우드 기반 방식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온-프레미스 설치는 CMS 소프트웨어를 서버에 직접 설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온-프레미스 설치가 가능한 대표적인 CMS로는 드루팔, 그라브, 줌라, ModX, 워드프레스 등이 있다. 클라우드 기반 CMS는 공급업체 환경에서 호스팅된다. 클라우드 기반 CMS의 대표적인 예로는 어도비 익스피리언스 매니저, 콘텐츠풀, 고스트, 스퀘어스페이스, 웹플로우, WIX, 워드프레스닷컴 등이 있다.
저작물 관리 시스템(CMS)은 웹사이트나 포털 사이트 구축 및 관리에 자주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5]
3. 설치 유형
4. 특징
CMS의 핵심 기능은 다음과 같다:[5]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CMS는 기술 지식이 없어도 텍스트나 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준비하여 웹을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템플릿 선택으로 디자인을 쉽게 변경하는 등 업무 효율성도 높여준다.
4. 1. 경량/간이 콘텐츠 관리 시스템
경량·간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Lite / Simple CMS"를 번역한 것으로, 기능을 제한한 시스템 구성으로 빠른 동작과 간단한 조작성을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말한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4. 2. 헤드리스 CMS
헤드리스 CMS는 화면 디자인을 정의하는 뷰(헤드)의 관리 기능을 제외한 CMS를 의미한다.[1]
; 장점
: 뷰의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CMS를 범용 CMS로 간주하여 헤드리스 CMS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 화면 디자인 관리에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 및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1]
: : 범용 CMS에서는 CMS에 따라 화면 표시에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및 기술이 제한되었지만, 헤드리스 CMS는 API로 콘텐츠를 가져오므로 HTTP 통신을 지원하는 대부분의 시스템과 조합할 수 있다.[1]
: ; 필요한 부분에만 CMS를 도입할 수 있다.[1]
: : 범용 CMS에서는 시스템 전체를 CMS 위에 구축해야 하며, 모든 화면을 CMS 표준 템플릿으로 기술해야 했다.[1]
: : 헤드리스 CMS에서는 CMS에 의한 콘텐츠 관리가 필요한 부분에만 API를 사용하여 콘텐츠 관리를 도입할 수 있다.[1]
:
; 단점
: ; 뷰(화면)를 관리하는 기술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1]
: : 뷰 관리에 임의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해당 기술을 사용하여 헤드리스 CMS를 이용하기 위한 기술은 도입하는 측에서 다룰 수 있어야 한다.[1]
: ; 콘텐츠 관리에서의 마크업 자유도가 낮아진다.[1]
: : 헤드리스 CMS는 콘텐츠를 디자인과 분리하여 관리하는 것을 전제로 한 시스템이므로, 유연한 마크업에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1]
: : 헤드리스 CMS를 도입할 때에는 사용할 마크업에 대해 사전에 설계할 필요가 있다.[1]
5. 유형
CMS는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웹 콘텐츠 관리 시스템(WCMS): 웹사이트 콘텐츠 관리에 특화된 CMS이다. (예: 워드프레스, 줌라)
-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DAMS): 이미지, 비디오 등 디지털 미디어 자산 관리에 특화된 CMS이다.
- 컴포넌트 콘텐츠 관리 시스템(CCMS): 모듈 단위로 콘텐츠를 관리하는 CMS이다. (주로 기술 문서 작성에 사용)
- 기업 콘텐츠 관리 시스템(ECMS): 기업 내부 문서, 지식 관리 등에 사용되는 CMS이다.
헤드리스 CMS는 콘텐츠를 전달 계층에서 분리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콘텐츠 배포에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6. 주요 CMS 목록
2021년 10월 기준으로 상위 1,000만 개 웹사이트의 43.6%가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다. 그 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으로는 스퀘어스페이스, 줌라, 쇼피파이, Wix 등이 있다.[8][9]
7. 한국의 CMS 활용 현황
한국에서는 다양한 웹사이트 및 포털 사이트 구축, 관리에 CMS가 활용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등 블로그 플랫폼의 사용률이 높다.
- 워드프레스, XE(XpressEngine), 그누보드 등 오픈 소스 CMS의 활용도 활발하다.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기반의 CMS 구축 사례가 많다.
- 최근에는 헤드리스 CMS 도입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 더불어민주당은 당 홈페이지 운영에 CMS를 적극 활용하며, 당원과의 소통 및 정책 홍보에 활용하고 있다.
- 국민의힘은 CMS를 활용하여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지만, 당원 및 지지자와의 온라인 소통은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는다.[1]
위키백과 등에서 사용되는 위키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전자 상거래도 콘텐츠 관리 시스템 중 하나이다.[1] CMS는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1]
참조
[1]
서적
Managing Enterprise Content: A Unified Content Strategy
New Riders
2003
[2]
서적
The content management handbook
Facet Publishing
2005
[3]
서적
Content Management Bible
John Wiley & Sons
2005
[4]
간행물
Moving Media Storage Technologies: Applications & Workflows for Video and Media S2011
[5]
웹사이트
What is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MS)? Definition from WhatIs.com
https://searchconten[...]
2019-09-23
[6]
웹사이트
What Is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MS)
https://kinsta.com/k[...]
Kinsta
2019-08-19
[7]
웹사이트
Content Management System (CMS) and other spin-off terms definition(s)
https://www.comentum[...]
Comentum
2019-08-19
[8]
웹사이트
Tech Reports – What CMS?
https://web.archive.[...]
2020-12-14
[9]
웹사이트
W3Techs content management usage
https://w3techs.com/[...]
2021-03-01
[10]
웹사이트
Free and open-source Lite / Simple software » Open Source CMS Demos
https://www.opensour[...]
2018-08-09
[11]
서적
Managing Enterprise Content: A Unified Content Strategy
New Riders
2003
[12]
서적
The content management handbook
Facet Publishing
2005
[13]
서적
Content Management Bible
John Wiley & Sons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