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이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이경은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로,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서 1000m와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쇼트트랙 최초의 여자 2관왕이 되었다.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에서는 1000m와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국제올림픽위원회 선수분과위원회 위원, SBS 쇼트트랙 해설위원, 싱가포르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감독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 김연아
    김연아는 대한민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서 올림픽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하고, 독창적인 기술과 예술성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은퇴 후에도 사회 활동과 유니세프 친선대사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 공상정
    공상정은 중국계 화교 3세 출신으로 특별 귀화를 통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쇼트트랙 선수이며, 소치 동계올림픽 금메달 획득, 세계 주니어 선수권 종합 우승 등의 뛰어난 성적을 거둔 후 2021년 은퇴했다.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해설가 - 김소희 (쇼트트랙 선수)
    김소희는 199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종합 우승,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출신 스포츠인으로, 은퇴 후 스포츠마케팅 석사 및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위원회 홍보위원, 서울대학교 스포츠산업연구소 주임 연구원, 대한체육회 국제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스포츠 외교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해설가 - 김동성 (쇼트트랙 선수)
    김동성은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1000m 금메달,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종합 우승, 쇼트트랙 월드컵 종합 우승 등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대한민국 쇼트트랙 간판 스타로 활약한 선수로, 은퇴 후 코치 및 해설가로 활동했다.
  • 199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 - 송재근
    송재근은 1992년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5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 쇼트트랙 선수 출신으로, 선수 은퇴 후에는 대한민국 및 중국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코치로 활동했다.
  • 199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 - 김소희 (쇼트트랙 선수)
    김소희는 199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종합 우승,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출신 스포츠인으로, 은퇴 후 스포츠마케팅 석사 및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위원회 홍보위원, 서울대학교 스포츠산업연구소 주임 연구원, 대한체육회 국제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스포츠 외교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전이경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전이경
한자全利卿
로마자 표기Jeon Igyeong
매큔-라이샤워 표기Chŏn Rigyŏng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976년 1월 6일
출생지대한민국 충청북도 옥천군
신장1.63m
체중58kg
은퇴1998년
선수 경력
종목쇼트트랙
주요 성적
올림픽금 4, 동 1
세계 선수권 대회금 10, 은 10, 동 3
AG금 1, 은 3, 동 1
올림픽 메달
1998 나가노금메달, 금메달, 동메달
1994 릴레함메르금메달, 금메달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메달
1998 빈3000m 금메달, 개인종합 은메달, 1000m 은메달, 3000m 계주 은메달
1997 나가노개인종합 금메달, 1500m 금메달, 3000m 금메달, 3000m 은메달, 3000m 계주 은메달, 1000m 동메달
1996 헤이그개인종합 금메달, 1500m 금메달, 1000m 은메달, 3000m 은메달
1995 예비크1500m 금메달, 1000m 금메달, 3000m 금메달, 종합 금메달, 3000m 계주 은메달
1993 베이징1500m 은메달, 3000m 은메달, 종합 은메달, 3000m 계주 동메달
1994 길퍼드3000m 계주 동메달
세계 쇼트트랙 팀 선수권 대회 메달
1997 서울단체전 금메달
1996 레이크플래시드단체전 금메달
1995 주테르메이르단체전 금메달
1992 노베야마단체전 금메달
1998 보르미오단체전 은메달
1994 케임브리지단체전 은메달
아시안 게임 메달
1996 하얼빈1000m 금메달, 1500m 은메달, 3000m 동메달
1990 삿포로3000m 계주 은메달, 1000m 동메달
유니버시아드 메달
1997 무주3000m 금메달, 3000m 계주 은메달, 1000m 동메달
1995 하카1500m 금메달, 3000m 계주 은메달, 3000m 은메달, 500m 동메달

2. 학력

3. 경력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로서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과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 연속으로 2관왕을 차지하며 올림픽 쇼트트랙 역사상 최초의 기록을 세웠다.[5]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이후 현역에서 은퇴한 뒤에는 아이스하키 선수로도 활동했으며,[6] 이후 지도자, 해설위원, 국제올림픽위원회 (IOC) 선수위원 등 스포츠계 여러 분야에서 활동했다.

3. 1. 선수 경력

1988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국가대표로 처음 선발되었다.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 16세의 나이로 출전하였으나 8강에서 탈락하였다. 같은 해 일본 노베야마에서 개최된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팀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4] 199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한국 여자 쇼트트랙 팀의 에이스로 자리매김하였다.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서는 여자 1000m와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관왕에 올랐다. 이후 1995년부터 1997년까지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 종합 3연패를 달성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압도적인 기량을 선보였다.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중국의 강호 양양(楊揚), 양양(楊陽) 등을 제치고 여자 1000m와 3000m 계주에서 다시 한번 금메달을 목에 걸었으며, 500m에서는 동메달을 추가했다. 이로써 올림픽 쇼트트랙 역사상 최초로 2회 연속 2관왕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나가노 올림픽 시즌을 끝으로 현역 쇼트트랙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당시 연세대학교 소속이었다.[5]

은퇴 후 아이스하키로 종목을 전환하여 2005년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2007년 창춘 동계 아시안 게임 대표로 선발되었으나,[6] 부상으로 인해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

3. 2. 선수 외 경력

4. 선수 시절

충청북도 옥천군 출신으로, 서울 숭의초등학교 6학년 때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일찍부터 주목받았다.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을 시작으로 올림픽 무대에 섰으며,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서는 1000m와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쇼트트랙 여자 선수 최초로 2관왕에 올랐다. 이 공로로 같은 해 체육훈장 청룡장을 받았다.

이후 1995년부터 1997년까지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3년 연속 종합 우승을 차지하는 등 국제 무대를 휩쓸며 대한민국 여자 쇼트트랙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다시 한번 1000m와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 대한민국 선수 최초로 올림픽 2회 연속 2관왕이라는 대기록을 세웠으며, 500m에서도 동메달을 추가했다. 이는 대한민국 여자 쇼트트랙 사상 첫 500m 올림픽 메달이었다.[5]

나가노 올림픽 직후 열린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종합 2위를 기록한 뒤 현역에서 은퇴했다. 선수 시절 올림픽에서만 금메달 4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당시 대한민국 선수 중 최다 올림픽 메달리스트였다. 은퇴 후에는 약 3.5억의 체육연금을 일시에 수령했으며,[7] 2006년에는 아이스하키 선수로 전향을 시도하기도 했다.[6]

4. 1. 초창기

충청북도 옥천군에서 태어나 서울 숭의초등학교 6학년 때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주목받았다.[4]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 16세의 나이로 처음 출전했으나 8강에서 탈락했다.[4] 같은 해 일본 노베야마에서 열린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팀전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4] 199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를 따내며 대한민국 여자 쇼트트랙 팀의 에이스로 자리 잡았다.[5]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서는 여자 1000m와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여자 쇼트트랙 선수 최초로 올림픽 2관왕에 올랐다.[5] 이 공로로 같은 해 체육훈장 청룡장을 받았다. 이후 1995년, 1996년, 1997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3년 연속 개인 종합 우승을 차지하는 등 각종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대한민국 여자 쇼트트랙의 전성기를 이끌었다.[5]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연세대학교 소속으로 출전했다.[5] 여자 1000m 결승에서 강력한 경쟁자였던 중화인민공화국의 양양 (A)와 치열한 접전 끝에 마지막 '날 들이밀기' 기술로 극적인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어 3000m 계주에서도 금메달을 추가하며 대한민국 선수 최초로 동계 올림픽 2회 연속 2관왕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 또한 이 대회 500m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는데, 이는 대한민국 여자 쇼트트랙 선수가 올림픽 500m 종목에서 딴 첫 메달이었다. 나가노 동계 올림픽 직후 열린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종합 2위를 차지한 뒤 현역에서 은퇴했다.[5]

전이경은 올림픽에서 금메달 4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당시 대한민국 선수 중 가장 많은 올림픽 메달을 보유한 선수였다. 이후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에서 양궁김수녕이 메달을 추가하며 통산 메달 수에서는 김수녕이 앞서게 되었지만, 전이경은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의 풍부한 입상 경력 덕분에 가장 많은 체육연금 점수를 확보했다. 그는 약 3.5억의 연금을 일시에 수령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7]

4. 2. 전성기

충청북도 옥천군 출신으로, 서울 숭의초등학교 6학년 때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주목받았다.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 16세의 나이로 처음 출전했으나 8강에서 탈락했다. 같은 해 노베야마에서 열린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팀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4] 1993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를 따내며 한국 여자 쇼트트랙 팀의 에이스로 자리 잡았다.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서는 1000m와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쇼트트랙 최초의 여자 2관왕이 되었다. 이 공로로 같은 해 체육훈장 청룡장을 받았다. 이후 1995년, 1996년, 1997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 종합 3연패를 달성하는 등 각종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대한민국 여자 쇼트트랙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양양 (A)와 치열한 경쟁 끝에 1000m 금메달을 획득했고, 3000m 계주에서도 금메달을 추가하여 대한민국 선수 최초로 올림픽 2회 연속 2관왕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현재까지 깨지지 않고 있다. 또한 이 대회 500m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는데, 이는 대한민국 여자 쇼트트랙 선수가 올림픽 500m에서 딴 첫 메달이다. 당시 소속은 연세대학교였다.[5] 나가노 올림픽 직후 열린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종합 2위를 차지한 뒤 현역에서 은퇴했다.

전이경은 올림픽에서 금메달 4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당시 대한민국 선수 중 가장 많은 올림픽 메달을 보유했다. 이후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에서 양궁김수녕이 메달을 추가하며 통산 메달 수 기록은 경신되었지만, 전이경은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대회에서의 풍부한 입상 경력으로 가장 많은 체육연금 점수를 확보했다. 연금 3.5억여만원을 일시에 수령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7]

은퇴 후 2006년 아이스하키를 시작하여 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대표로 선발되었으나,[6] 부상으로 출전하지는 못했다.

4. 3. 은퇴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 여자 1000m와 3000m 계주 2관왕을 달성하고 500m 동메달까지 획득한 후, 곧이어 열린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종합 2위를 차지하고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이 시즌 당시 소속은 연세대학교였다.[5]

그는 올림픽에서 금메달 4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은퇴 시점에는 대한민국 스포츠 선수 중 가장 많은 올림픽 메달을 보유한 선수였다. 이후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에서 양궁김수녕이 메달을 추가하면서 통산 메달 수에서는 김수녕이 더 많아졌지만, 전이경은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등 여러 국제 대회에서의 풍부한 입상 경력을 바탕으로 가장 많은 체육연금 점수를 확보했다. 약 3.5억의 연금을 일시에 수령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7]

은퇴 후 2006년에는 아이스하키를 시작하여 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대표로 선발되기도 했으나,[6] 부상으로 인해 실제 대회에 출전하지는 못했다.

5. 선수 은퇴 이후의 활동

쇼트트랙 선수 생활을 마친 후, 전이경은 빙상 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주목받았다. 취미로 시작한 골프에서 2003년 세미프로 자격을 얻기도 했으며,[8] 2005년부터는 아이스하키 선수로도 활동하여 2006년 말 국가대표로 선발되기도 했다.[10] 그러나 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출전 직전 부상으로 대회에 참가하지는 못했다.[6]

스포츠 행정 분야에서도 활동하여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기간 중 IOC 선수위원에 도전했고, 이후 부산광역시 빙상경기연맹 경기이사를 거쳐 대한빙상경기연맹 이사로 활동했다.[11] 또한 토리노 동계 올림픽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SBS 쇼트트랙 해설위원을 맡아 방송 활동도 병행했다.

2010년 3월에는 당시 여당이던 한나라당에 입당하여[12] 정치 참여를 모색하기도 했으나, 지방 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이 외에도 2018년 동계 올림픽 평창 유치위원회 선수위원,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선수위원, 대한체육회 선수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스포츠계 발전에 기여했다.

5. 1. 스포츠 행정 및 방송

쇼트트랙 선수 생활을 마친 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취미로 시작한 골프는 2003년 8월 세미프로 자격을 취득하는 성과로 이어졌다.[8]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기간 중 IOC 선수위원 선거에 도전했으나 당선되지 못했고, 대신 선수분과위원회에서 활동했다. 2003년 12월에는 대한올림픽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9] 2004년에는 평창 동계 올림픽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2005년부터는 아이스하키 선수로도 활동했으며, 2006년 말에는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2007년 창춘 동계 아시안 게임 출전을 준비했다.[10] 그러나 대회 직전 부상으로 인해 출전하지는 못했다.[6]

방송 해설가로서도 활동하여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SBS 쇼트트랙 해설을 맡았다.

스포츠 행정 분야에서는 부산으로 이주한 뒤 부산광역시 빙상경기연맹 경기이사로 활동하며 선수들을 지도했고[11], 이후 대한빙상경기연맹 이사로 선임되었다.

2010년 3월에는 당시 한나라당에 입당하여[12] 지방 선거 출마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실제 선거에 나서지는 않았다. 같은 해 5월부터는 2018년 동계 올림픽 평창 유치위원회 선수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011년 7월에는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선수위원과 대한체육회 선수위원으로도 발탁되었다.

5. 2. 아이스하키 선수 활동

2005년 아이스하키 선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2006년 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로 선발되어 2007년 창춘 동계 아시안 게임에 출전할 예정이었으나,[10][6] 대회 직전 부상으로 인해 출전하지 못했다.

5. 3. 정치 활동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기간 중 IOC 선수위원 선거에 도전했으나 낙선했고, 대신 선수분과위원으로 활동했다. 대한올림픽위원회의 지원으로 2003년 12월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으며[9], 2004년에는 2014년 동계 올림픽 유치를 추진하던 평창의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2010년 3월에는 당시 여당이던 한나라당에 입당하여[12], 지방 선거 출마를 통해 정계에 진출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으나, 실제 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같은 해 2010년 5월 평창에서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 유치위원회 선수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011년 7월에는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선수위원으로 발탁되었다. 또한, 대한체육회 선수위원으로도 발탁되었다.

5. 4. 지도자 활동

쇼트트랙 선수 은퇴 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취미로 시작한 골프에서 2003년 8월 세미프로 자격을 얻었다.[8]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 기간 중 IOC 선수위원 선거에 도전했으나 낙선했고, 대신 선수분과위원으로 활동했다. 2003년 12월에는 대한올림픽위원회의 지원으로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9] 2004년 2014년 동계 올림픽 평창 유치 홍보대사로 위촉되었으며, 2005년부터는 아이스하키 선수로도 활동했다.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는 SBS 쇼트트랙 해설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같은 해 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선수로 선발되어 창춘 동계 아시안 게임 출전을 준비했다.[10][6] 그러나 대회 직전 큰 부상을 입어 출전하지 못했다. 이후 부산으로 이주하여 부산광역시 빙상경기연맹 경기이사로 발탁되어 선수들을 지도했으며,[11] 이후 대한빙상경기연맹 이사로 활동했다. 2010년 밴쿠버에서 열린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도 SBS 쇼트트랙 해설을 맡았다.

2010년 3월 한나라당에 입당하여[12] 지방 선거 출마설이 있었으나, 실제 출마는 하지 않았다. 같은 해 2018년 동계 올림픽 평창 유치위원회 선수위원으로 활동했다. 2011년 7월에는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선수위원과 대한체육회 선수위원으로 각각 발탁되었다.

6. 수상

1992년 노베야마에서 열린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팀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4] 이듬해인 199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를 따내며 한국 여자 쇼트트랙의 에이스로 자리매김했다.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여자 1000m와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2관왕에 올랐다. 이후 1995년, 1996년,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 종합 3연패를 달성하는 등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도 여자 1000m와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강력한 경쟁자였던 중국의 양양(楊揚), 양양(楊陽) 등을 제치고 올림픽 쇼트트랙 역사상 최초로 2회 연속 2관왕을 달성했다.

'''주요 수상 내역'''

연도대회세부 종목메달
1992세계 선수권 (노베야마)팀전금메달[4]
1993세계 선수권개인 종합은메달
500m동메달
1500m은메달
3000m 계주은메달
1994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여자 1000m금메달
여자 3000m 계주금메달
1995세계 선수권개인 종합금메달
1996세계 선수권개인 종합금메달
1997세계 선수권개인 종합금메달
1998나가노 동계 올림픽여자 1000m금메달
여자 3000m 계주금메달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sports-r[...]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Olympic Movem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5-14
[3] 언어
[4] 간행물 Short Track Speed Skating World Championships - Team - Ladies http://www.isu.org/v[...]
[5] 웹사이트 전이경 '진면목 보여주겠다' https://www.hani.co.[...] 1998-02-17
[6] 뉴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7-01-01
[7] 뉴스 3억5000만! … 전이경 ‘연금 여왕’ 메달밭 쇼트트랙·양궁 체육연금 수령자 상위권에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08-10-21
[8] 뉴스 '쇼트트랙 여왕' 전이경 씨 "골프 세미프로 됐어요"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9] 뉴스 ‘쇼트트랙 여왕’ 전이경, IOC잡지 특집호에 http://sports.news.n[...] 동아일보
[10] 뉴스 스틱 잡은 전이경, 동계 亞경기 출전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7-01-01
[11] 뉴스 부산빙상경기연맹 경기이사에 '쇼트트랙 여왕' 전이경 발탁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09-01-12
[12] 뉴스 ‘쇼트트랙의 여왕’ 전이경, 정계 진출...한나라당 입당. http://www.ccdailyne[...] 충청일보 2010-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