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공중초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3. 운용 방식
- 4. 유형
- 4.1. BARCAP (Barrier Combat Air Patrol)
- 4.2. BATCAP (저녁 전투 공중 초계)
- 4.3. CAP/Strike
- 4.4. DADCAP (해질녘 전투 공중 초계)
- 4.5. FastCAP
- 4.6. FORCAP (Force Combat Air Patrol)
- 4.7. HAVCAP (High Asset Value Combat Air Patrol)
- 4.8. JACKCAP
- 4.9. MiGCAP
- 4.10. RAPCAP (Radar Patrol Combat Air Patrol)
- 4.11. RESCAP (Rescue Combat Air Patrol)
- 4.12. SARCAP (Search and Rescue Combat Air Patrol)
- 4.13. SCOCAP (Reconnaissance Combat Air Patrol)
- 4.14. Slow CAP
- 4.15. Strike/CAP
- 4.16. TARCAP (Target Combat Air Patrol)
- 참조
1. 개요
전투공중초계(CAP, Combat Air Patrol)는 아군 세력을 보호하기 위해 전투기가 특정 지역을 순찰하는 군사 작전이다. CAP는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BARCAP, FORCAP, HAVCAP, RESCAP, TARCAP 등이 있다. 이러한 유형들은 항공모함, 폭격기, 고가치 자산, 지상 인원, 특수 공격 항공기 등을 보호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CAP는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다양한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중전 전술 - 공중강습
공중강습은 헬리콥터 등을 이용하여 전투 병력을 적진에 투입하는 군사 작전으로, 전투 병력 투입과 더불어 근접 항공 지원, 의무 후송, 보급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1930년대부터 발전하여 한국 전쟁, 알제리 전쟁, 베트남 전쟁 등을 거치며 전술과 기술이 발전해왔다. - 공중전 전술 - 윙맨
윙맨은 항공 전투에서 편대장을 호위하며 전투를 지원하는 항공기 또는 조종사로, 편대장 상황 인지 능력 강화, 화력 증강, 전술적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최근에는 유인 전투기를 지원하는 로열 윙맨 개념이 등장하여 네트워크 중심전 환경에서 효율적인 협력이 가능하다. - 군사 용어 - 망명
망명은 정치적 탄압, 종교 갈등, 경제적 빈곤 등 다양한 이유로 자신의 국가를 떠나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쿠데타, 정변, 정치적 박해 등을 피해 안전한 국가로 이동하거나 망명 정부를 조직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군사 용어 - 지휘통제
지휘통제는 군사 작전에서 지휘관이 부대를 지휘 및 통제하여 임무를 완수하는 핵심 활동으로, 현대전에서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지휘통제와 지휘통제전이 중요하며, 대한민국 국군은 C4I 체계 발전과 한미 연합 지휘통제 체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전투공중초계 | |
---|---|
군사 작전 | |
개요 | |
변형 | |
2. 역사
2. 1. 한국 전쟁
2. 2. 베트남 전쟁
3. 운용 방식
4. 유형
미국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양한 종류의 전투 공중 초계(CAP)를 사용해 왔다.
- '''BARCAP''' (Barrier Combat Air Patrol, 배리어 전투 공중 초계): 해군 용어로, 항공모함과 예상되는 적기의 출현 지점 사이, 또는 아군 폭격기 편대와 적기의 출현이 예상되는 지점 사이의 직선거리 공간을 초계 비행하는 것이다. "MiG screen"이라고도 불린다. 저지선에 전투기를 배치하여 선을 돌파하려는 적기를 격퇴하는 작전이다.
- '''CAP/Strike''': 주 임무가 전투 공중 초계(CAP)이고 부 임무가 공격인 항공기를 말한다. 이러한 항공기는 공격 무장을 투하하고 발견된 적 항공기를 적극적으로 추격할 수 있으며, 방어적인 교전에 국한되지 않는다. Strike/CAP는 주 임무가 공격이고 부 임무가 방공인 항공기로, 공격 무장을 투하하고 직접 공격을 받은 경우에만 적 항공기와 교전할 수 있다. Strike/CAP 항공기는 공격 무기가 목표에 전달되면 탈출 CAP 역할도 수행한다.
'''CAP/스트라이크'''는 CAP와 항공 공격을 조합한 것이다. 폭탄 등의 무장을 탑재하여 폭격 작전을 수행하지만, 적기를 조우했을 경우 CAP 임무를 우선하여 적기를 격파한다.
'''스트라이크/CAP'''는 CAP와 항공 공격을 조합한 것이다. 폭탄 등의 무장을 탑재하여 공습 작전을 수행하지만, 폭격 작전 등이 우선이며, 적기로부터 직접 공격을 받거나, 폭격 작전 종료 후에 CAP 임무를 수행한다.
- '''FastCAP''': 전투기 공격 항공기를 보호하기 위한 전투 공중 초계이다.
- '''FORCAP''' (Force Combat Air Patrol): 아군 폭격기 편대 주변에 위치하면서 적기의 출현을 감시하는 것이다. 공격 부대 상공에서 유지되는 전투기 초계로, 본질적으로 호위 임무이다.
- '''HAVCAP''' (High Asset Value Combat Air Patrol): AWACS 또는 J-STARS 항공기, 공중 급유 항공기, 또는 정보, 감시 및 정찰(ISR) 항공기와 같은 "고가치 자산"을 특정 시간 동안 보호하기 위해 수행되는 전투공중초계(CAP)이다. "고가치 공중 자산 CAP"을 의미하는 ''HVAACAP''라고도 한다.[2][3] 베트남 전쟁 동안 EA-3B / EKA-3B, P-3A / P-3B, EB-66 / RB-66, B-52, 또는 EC-121과 같이 속도가 느린 항공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던 "Slow CAP"을 대체하였다.
- '''MiGCAP''': 주로 베트남 전쟁 동안 사용되었으며, MiG 항공기를 특별히 겨냥한 전투공중초계(CAP)를 의미한다. 라인배커 작전 중의 MiGCAP은 고도로 조직화되었고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 진입 MiGCAP: 처음 지원 부대 (예: 채프 폭격기 또는 SAM 억제기)에 앞서 2~3개 편대(8~12대의 전투기)로 구성되어 적대 구역을 벗어날 때까지 유지되었다.
- 목표 지역 MiGCAP: 실제 공격기에 즉시 앞서 2개 이상의 편대로 구성되었다.
- 탈출 MiGCAP: 예상 탈출 지점에 가장 빠른 탈출 시간 10분 전에 도착하는 1~2개 편대로 구성되었다. 모든 탈출 MiGCAP 편대는 유조선으로부터 완전히 연료를 공급받았으며 목표 지역 CAP을 교대했다.
- '''RESCAP''' (Rescue Combat Air Patrol): 지상의 인원(예: 추락한 조종사)을 지상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전투 수색 및 구조 항공기 또는 기타 구조 부대를 지상 및 공중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전투 부대이다. RESCAP는 종종 해당 지역에 이미 있는 항공기에서 차출된다. SARCAP (Search and Rescue Combat Air Patrol)는 RESCAP의 초기 버전이다.
- '''Slow CAP''': 베트남 전쟁 동안 EA-3B / EKA-3B, P-3A / P-3B, EB-66 / RB-66, B-52, EC-121과 같이 속도가 느린 항공기를 보호하기 위한 전투 공중 초계였다. 이후 HAVCAP으로 대체되면서 이 명칭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 '''TARCAP''' (Target Combat Air Patrol): AC-130 건쉽과 같은 특수 공격 항공기를 적 전투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공격 목표 상공 또는 근처에서 수행된다. 아군 항공 공격 부대의 작전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4. 1. BARCAP (Barrier Combat Air Patrol)
BARCAP(Barrier Combat Air Patrol, 배리어 전투 공중 초계)은 해군 용어로, 항공모함과 예상되는 적기의 출현 지점 사이, 또는 아군 폭격기 편대와 적기의 출현이 예상되는 지점 사이의 직선거리 공간을 초계 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MiG screen"이라고도 불린다. 저지선에 전투기를 배치하여 선을 돌파하려는 적기를 격퇴하는 작전이다.4. 2. BATCAP (저녁 전투 공중 초계)
저녁 전투 공중 초계(BATCAP)는 야간에 이루어지는 전투 공중 초계 임무를 의미한다.[1]4. 3. CAP/Strike
CAP/Strike는 주 임무가 전투 공중 초계(CAP)이고 부 임무가 공격인 항공기를 말한다. 이러한 항공기는 공격 무장을 투하하고 발견된 적 항공기를 적극적으로 추격할 수 있으며, 방어적인 교전에 국한되지 않는다. Strike/CAP는 주 임무가 공격이고 부 임무가 방공인 항공기로, 공격 무장을 투하하고 직접 공격을 받은 경우에만 적 항공기와 교전할 수 있다. Strike/CAP 항공기는 공격 무기가 목표에 전달되면 탈출 CAP 역할도 수행한다.CAP/스트라이크는 CAP와 항공 공격을 조합한 것이다. 폭탄 등의 무장을 탑재하여 폭격 작전을 수행하지만, 적기를 조우했을 경우 CAP 임무를 우선하여 적기를 격파한다. 스트라이크/CAP는 CAP와 항공 공격을 조합한 것이다. 폭탄 등의 무장을 탑재하여 공습 작전을 수행하지만, 폭격 작전 등이 우선이며, 적기로부터 직접 공격을 받거나, 폭격 작전 종료 후에 CAP 임무를 수행한다.
4. 4. DADCAP (해질녘 전투 공중 초계)
DADCAP(해질녘 전투 공중 초계)은 저녁 전투 공중 초계의 일종이다.[1]4. 5. FastCAP
FastCAP은 전투기 공격 항공기를 보호하기 위한 전투 공중 초계이다.4. 6. FORCAP (Force Combat Air Patrol)
FORCAP(Force Combat Air Patrol)은 아군 폭격기 편대 주변에 위치하면서 적기의 출현을 감시하는 것이다. FORCAP은 공격 부대 상공에서 유지되는 전투기 초계로, 본질적으로 호위 임무이다.4. 7. HAVCAP (High Asset Value Combat Air Patrol)
AWACS 또는 J-STARS 항공기, 공중 급유 항공기, 또는 정보, 감시 및 정찰(ISR) 항공기와 같은 "고가치 자산"을 특정 시간 동안 보호하기 위해 수행되는 전투공중초계(CAP)이다.[2][3] "고가치 공중 자산 CAP"을 의미하는 ''HVAACAP''라고도 한다.[2][3] 베트남 전쟁 동안 EA-3B / EKA-3B, P-3A / P-3B, EB-66 / RB-66, B-52, 또는 EC-121과 같이 속도가 느린 항공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던 "Slow CAP"을 대체하였다.4. 8. JACKCAP
다른 외부 차단막으로 네 개의 사분면을 커버하는 전투 공중 초계이다.[1]4. 9. MiGCAP
MiGCAP은 주로 베트남 전쟁 동안 사용되었으며, MiG 항공기를 특별히 겨냥한 전투공중초계(CAP)를 의미한다. 라인배커 작전 중의 MiGCAP은 고도로 조직화되었고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진입 MiGCAP: 처음 지원 부대 (예: 채프 폭격기 또는 SAM 억제기)에 앞서 2~3개 편대(8~12대의 전투기)로 구성되어 적대 구역을 벗어날 때까지 유지되었다.
- 목표 지역 MiGCAP: 실제 공격기에 즉시 앞서 2개 이상의 편대로 구성되었다.
- 탈출 MiGCAP: 예상 탈출 지점에 가장 빠른 탈출 시간 10분 전에 도착하는 1~2개 편대로 구성되었다. 모든 탈출 MiGCAP 편대는 유조선으로부터 완전히 연료를 공급받았으며 목표 지역 CAP을 교대했다.
4. 10. RAPCAP (Radar Patrol Combat Air Patrol)
RAPCAP은 레이더 초계 전투 공중 초계를 의미한다.[1]4. 11. RESCAP (Rescue Combat Air Patrol)
RESCAP(Rescue Combat Air Patrol)은 지상의 인원(예: 추락한 조종사)을 지상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전투 수색 및 구조 항공기 또는 기타 구조 부대를 지상 및 공중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전투 부대이다. RESCAP는 종종 해당 지역에 이미 있는 항공기에서 차출된다. SARCAP(Search and Rescue Combat Air Patrol)는 RESCAP의 초기 버전이다.4. 12. SARCAP (Search and Rescue Combat Air Patrol)
SARCAP(Search and Rescue Combat Air Patrol)은 RESCAP의 초기 버전이다.[1]4. 13. SCOCAP (Reconnaissance Combat Air Patrol)
SCOCAP은 정찰 전투 공중 초계(Reconnaissance Combat Air Patrol)를 의미한다.[1]4. 14. Slow CAP
Slow CAP은 베트남 전쟁 동안 EA-3B / EKA-3B, P-3A / P-3B, EB-66 / RB-66, B-52, EC-121과 같이 속도가 느린 항공기를 보호하기 위한 전투 공중 초계였다.[1] 이후 HAVCAP으로 대체되면서 이 명칭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1]4. 15. Strike/CAP
미국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양한 종류의 전투 공중 초계(CAP)를 사용해 왔다.[1] CAP/Strike는 주 임무가 CAP이고 부 임무가 공격인 항공기다. 이러한 항공기는 공격 무장을 투하하고 발견된 적 항공기를 적극적으로 추격할 수 있으며, 방어적인 교전에 국한되지 않는다.[1] Strike/CAP는 주 임무가 공격이고 부 임무가 방공인 항공기로, 공격 무장을 투하하고 직접 공격을 받은 경우에만 적 항공기와 교전할 수 있다. Strike/CAP 항공기는 공격 무기가 목표에 전달되면 탈출 CAP 역할도 수행한다.[1]'''CAP/스트라이크'''는 CAP와 항공 공격을 조합한 것이다. 폭탄 등의 무장을 탑재하여 폭격 작전을 수행하지만, 적기를 조우했을 경우 CAP 임무를 우선하여 적기를 격파한다.
'''스트라이크/CAP'''는 CAP와 항공 공격을 조합한 것이다. 폭탄 등의 무장을 탑재하여 공습 작전을 수행하지만, 폭격 작전 등이 우선이며, 적기로부터 직접 공격을 받거나, 폭격 작전 종료 후에 CAP 임무를 수행한다.
4. 16. TARCAP (Target Combat Air Patrol)
TARCAP(목표 전투 공중 초계)은 AC-130 건쉽과 같은 특수 공격 항공기를 적 전투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공격 목표 상공 또는 근처에서 수행된다. 아군 항공 공격 부대의 작전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참조
[1]
서적
The Fast Carriers: The Forging of an Air Navy
McGraw Hill Book Company
1968
[2]
웹사이트
All Weather Intercept (AWI) Flight Training Instruction
http://www.cnatra.na[...]
2020-08-13
[3]
학위논문
The Joint Surveillance Target Attack Radar System: Can Procedures be Developed to Support the Requirements of the Land And Air Component Commanders?
http://apps.dtic.mil[...]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20-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